KR200338101Y1 -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101Y1
KR200338101Y1 KR20-2003-0033223U KR20030033223U KR200338101Y1 KR 200338101 Y1 KR200338101 Y1 KR 200338101Y1 KR 20030033223 U KR20030033223 U KR 20030033223U KR 200338101 Y1 KR200338101 Y1 KR 200338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s
interlocking
jeans
pants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용
Original Assignee
조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용 filed Critical 조재용
Priority to KR20-2003-0033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93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 D06B11/0096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to get a faded loo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바지(Jean) 등의 직물 바지의 특정부위에 주름 성형을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마모 또는 탈색된 모양(worn look)으로 가공하기 위한 청바지 주름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체와 극히 유사한 마네킹을 사용하여 소정부위의 주름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특징이 발휘되고 있으나, 상기 마네킹에 입혀진 바지가 다리의 벌림 이동만으로는 소망하는 자연스러운 주름의 형성이 어렵고 이때의 주름은 인체의 소정부위 즉, 바지와 몸통부가 만나는 접속부 위치인 생식기 앞부분만의 주름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청바지를 입을 때에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주름부, 허리와 양다리 사이로 이어지는 수평 주름과 무릎을 굽힐 때의 무릎 양측으로 형성되는 주름이 사람이 청바지를 착용하여서 생성되는 주름형상으로 그대로 자연스럽게 형성하도록 함과,
상기에서 형성된 주름이 가공 작업 중에도 그대로 유지되어 탈색 마모의 효과를 증대함과,
바지가 착용되는 하체부와 이 하체부를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의 향상과 열풍의 공급으로 빠른 건조와 상기 하체부의 다리가 좌우로 벌림과 ">"형 벌림으로 소정위치의 주름성형이 자유롭고 자연스런 성형과 주름부에 고온의 열로 빠른 주름성형이 이루어지면서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없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고안이다.

Description

청바지 주름성형장치{Blue jeans pleater}
본 고안은 청바지(Jean) 등의 직물 바지의 특정부위에 주름 성형을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마모 또는 탈색된 모양(worn look)으로 가공하기 위한 청바지 주름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 유행에 의하여 청바지를 부분적으로 탈색시켜 오래되어 낡고 빛이 바랜 듯한 느낌을 강조하는 복고풍의 제품과, 청바지를 브러시로 연마하여 특정 부위가 닳아빠진 듯 낡고 탈색되어 복고적인 분위기를 살린 "빈티지 진(Vintage jean)" 이라는 타입의 청바지가 많이 애용되고 있다.
또한 청바지를 즐겨 입는 소비자들의 또 다른 유행은 바지를 오래 기간 착용함으로서 사용에 의한 탈색과 특정한 부위 일예로 히프(hip)와 무릎 등의 소정 위치부에 주름이 형성되는 무늬바지를 선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 제조되는 청바지도 오래된 것인 양 주름을 성형하고 또한 탈색시켜 그 외관이 오래되고 낡은 듯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청바지 제조업자들은 직물에 염색 등의 특수 처리로 새 의류가 낡고 바랜 듯이 보이도록 재 가공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탈색가공에서 돌 세척(stone washing)방법은 세탁조에 돌과 함께 청바지를 넣어 세척함으로서 청바지의 일부분에 탈색을 형성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에서는 얇은 합판에 고무를 바지 형태와 유사하게 접착시킨 후 상기 합판을 청바지 속에 넣고 공기를 흡착하여 청바지내부 면에 밀착시키고, 샌드기를 이용하여 청바지 표면을 탈색 및 마모시키는 방법, 바지 가랑이가 끼워진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면 바지 가랑이가 부풀려지면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청바지의 표면을 연마하는 작업으로 실시되어 바지 전체 또는 소정부위를 마모시켜 탈색하는 작업이 있으나 이들은 탈색에 한정된 기술로 샌딩 및 화학 처리를 수행하게 되므로, 가공 후 만들어지는 청바지 주름의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인위적이어서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 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등록번호 20-0207463호에서는 실제로 청바지를 사람이 입어서 닳은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연마에 의한 외관을 지니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마네킹의 몸통을 구성하고 이 몸통을 앞뒤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통부에 결합된 양다리를 몸통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네킹의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네킹에 입혀진 바지의 앞부분에 주름을 형성하고 이때에 만들어지는 주름진 직물 표면에화학 약품을 분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연마 표백된 바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종래에 비하여 향상된 기술로 인체와 극히 유사한 마네킹을 사용하여 소정부위의 주름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특징이 발휘되고 있으나, 상기 마네킹에 입혀진 바지가 다리의 벌림 이동만으로는 소망하는 자연스러운 주름의 형성이 어렵고 이때의 주름은 인체의 소정부위 즉, 바지와 몸통부가 만나는 접속부 위치인 생식기 앞부분만의 주름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의 주름부 허리 양측부와 무릎부위의 주름성형이 불가능한 폐단을 야기하며 또한 습기를 가진 바지가 마네킹에 밀착되어 다리의 이동에 따른 주름형성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청바지를 입을 때에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주름부, 허리와 양다리 사이로 이어지는 수평 주름과 무릎을 굽힐 때의 무릎 양측으로 형성되는 주름이 사람이 청바지를 착용하여서 생성되는 주름형상으로 그대로 자연스럽게 형성하도록 함과,
상기에서 형성된 주름이 가공 작업 중에도 그대로 유지되어 탈색 마모의 효과를 증대함과,
바지가 작업 중에도 소정한 형상모양으로 지지되고 또한 회전되어 주름 성형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특히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이 편리하여 대량 생산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하여 바지가 착용되는 하체부를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의 향상과 열풍의 공급으로 빠른 건조를 이루고 상기 하체부의 다리가 좌우로 벌림과 ">"형 벌림으로 소정위치의 주름성형이 자유롭고 자연스런 성형과 주름부 에 고온의 열로 빠른 주름성형이 이루어지면서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없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확대한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히프 부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무릎 부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기체 11; 에어공급휀 12; 가열 히터
13; 배기관 14; 베어링 15; 연결관
20; 하체부 21; 소공 22; 승강판
23; 다리부재관 30; 회전판 31; 분할관
32; 분출관 33; 피니언 34; 타임밸트
35; 제 1실린더 35-1; 제 2실린더 35-2; 제 3실린더
35-3; 제 4,5실린더 40; 다리 벌림 리프트장치
41; 장공 42; 가이드판 43; 연동 힌지부
44; 고정힌지부 45; 좌우측연동간 45-1; 하부연동간
46; 좌우측연결부재 46-1; 하부연결부재 47; 히프판
48,48-1; 스프링 49,49-1; 와이어 50; 무릎리프트장치
51; 고정가이드 52; 안내공 53; 연동힌지부
53-1; 고정힌지부 54; 좌우측 연동간 54-1; 상부연동간
55; 연결부재 56; 열선 57; 주름형성판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확대한 절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휀(11)과 이 에어공급휀(11)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가온하는 가열 히터(12)를 구성한 기체(10)와, 기체(10)에 사람의 하체를 모방한 하체부(20)를 체결시켜 배기관(13)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열풍을 중공형의 하체부(20)로 보내어 지도록 하며
이 하체부(20)는 주면에 에어배출 소공(21)이 다수 천공되고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히프, 무릎부에 대응되어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체부(20)에서 돌출되는 승강판(22)을 구성하며 이 승강판(22)은 하체부(20)에 구성된 리프트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도 1과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0)에 고정된 배기관(13) 외측으로 베어링(14)으로 연결관(15)을 기체(10)에서 회전되게 구성시켜 회전되는 연결관(15)에 회전판(30)을 기체(10) 전면부로 구성한다.
회전판(30)의 전면부에는 배기관(13)과 연통된 분할관(31)으로 분할되는 한쌍의 분출관(32)을 구성하여 가온된 공기를 양방향으로 분출되도록 구성함과 함께 분출관(32)은 자유로운 휨이 형성되는 플랙시블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5)에는 피니언(33)을 구성함과 함께 피니언(33)에 체결된 타임밸트(34)를 구성하고 타임밸트(34) 양단에 제 1실린더(35)로 연결하여 제 1실린더(35)의 연동으로 피니언(34)이 약 90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30)에는 다리 벌림 리프트장치(40)를 구성하되, 장공(41)을 뚫은 기다란 가이드판(42)을 회전판(30)에 체결함과 함께 상기 장공(41)에서 안내 이동되도록 한 힌지장치부를 구성한다.
일측은 가이드판(42)의 장공(41)에 끼워진 연동 힌지부(43)로 구성되며 타측은 가이드판(42)에 고정되는 고정힌지부(44)로 구성되어 좌우측과 하부에 연동간(45)(45-1)으로 연결되고 각 연동간(45)(45-1)은 각각의 좌우측과 하부의 연결부재(46)(46-1)에 힌지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연결부(46)는 소공(21)을 뚫은 한쌍의 다리부재관(23)을 체결하고 하부 연결부재(46-1)에는 히프판(47)을 체결한다.
또한 도 3과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 힌지부(43)와 고정힌지부(44)는 스프링(48)으로 탄력설치 되어지고 이 연동힌지부(43)는와이어(49)로 연결된 제 2실린더(35-1)의 당김에 의해 연동간(45-1)이 외향으로 벌어지면서 이에 고정된 다리부재관(23)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관(23)의 단부에는 회전판(30)에 힌지 체결된 제 3실린더(35-2)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측의 연결부재(46)를 기점으로 다리가 ">"형 벌림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재관(23)의 무릎부위에는 도 3과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릎리프트장치(50)를 구성한다.
상기 무릎리프트장치(50)는 다리부재관(23)내에 고정된 고정가이드(51)와 이 고정가이드(51)에 안내공(52)을 뚫어 안내공(52)에 끼워진 연동힌지부(53)와 안내공(52)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힌지부(53-1)를 구성하고 연동힌지부(53)와 고정힌지부(53-1)에 각각의 좌우측 연동간(54)과 상부연동간(54-1)을 힌지구성 함과 함께 연결부재(55)로 힌지시킨다.
상기 상부의 연결부재(55)에는 무릎 승강판(22)을 체결하고 좌우 연결부재(55)에는 주름모양이 외부로 형성되고 내측에 열선(56)을 구성한 주름형성판(57)을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연동힌지부(53)와 고정힌지부(53-1)는 스프링(48-1)으로 탄력설치 되어지며 연동힌지부(53)는 와이어(49-1)에 의해 제 4, 5 실린더(35-3)와 연결되어 진다.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49-1)에 의한 연동힌지부(53)가 이동하면서 이송에 따른 연동간과 연결부재의 이동으로 승강판(22)과 좌우측 주름성형판(57)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미도시된 열풍장치를 기체(10)의 상부에 구성시켜 열풍을 바지로 방사하여 바지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열풍장치를 구성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0은 청바지를 도시한 것이고 101은 히프와 무릎이 돌출됨으로서 양측부로 형성되는 청바지의 주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0)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회전판(30)과, 이 회전판(30)에 사람의 하체를 모방한 하체부(20)를 체결시켜 배기관(13)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열풍을 중공형의 하체부(20)로 보내어 지도록 하고 이 하체부(20)는 주면에 에어배출 소공(21)이 다수 천공되고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히프, 무릎부에 대응되어 돌출되고 그 주면으로 주름이 형성되도록 한 하체부(20)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하체부(20)에 청바지(100)를 입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200)의 스위치를 온(ON)하면 기체(10)내의 에어공급휀(11)과 히터(12)로 가열된 고온의 열풍이 배기관(13)을 통해 회전판(30)의 전면부에 형성된 분할관(31)을 거쳐 한쌍의 분출관(32)으로 분사되고 이 분사되는 고온열풍은 다시 각각의 다리부재관(23) 내로 분사된다.
상기에서 공급된 고온열풍은 다리부재관(23)에서 다시 소공(21)으로 방사되어 다리부재관(23)에 착용된 청바지(100)를 부풀리게 되고 또한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콘트롤(200)의 또다른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서 다리부재관(23)이 좌우로 벌어지고 이와 함께 히프판(47)이 하강되면서 청바지(100)의 주름위치부에 주름형성과 함께 작업자가 약간의 작업으로 주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스위치의 조작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제 2실린더(35-1)와 제 3,4실린더(35-2)가 작동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49)(49-1)를 당기면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각각의 리프트장치가 연동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와이어(49)(49-1)는 다리벌림리프트장치(40)와 무릎리프트장치 (50)의 연동힌지부(43)(53)를 당기게되고 이에 의해 연동힌지부(43)(53)는 이동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이에 힌지된 각각의 연동간(45)(45-1) 및 (54)(54-1)을 절곡시켜 상기 연동간을 힌지한 연결부재(46)는 좌우로 이송되어 이에 고정된 다리부재관(23)을 좌우로 벌림하게 된다.
또한 또다른 하부의 연결부재(46-1)는 하강하여 이에 고정된 히프판(47)을 하강함으로서 이 하체부(20)에 착용된 청바지(100)의 히프 부위를 하강시켜 전체적으로 바지가 팽팽하게 형성되고 이와 함께 또다른 와이어(49-1)에 의하여 당겨지는 무릎리프트장치(50)의 연동힌지부(53)가 이동하면서 각각의 좌우측연동간(54)과 상부연동간(54-1)이 이송되고 이를 체결한 각 연결부재(55)가 좌우 및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부재(55)에 고정된 무릎승강판(22)을 상향이송하고 좌우측의 주름성형판(57)을 다리부재관(23)양측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청바지(100)의 무릎부위가 팽팽하게 형성되면서 주름과 함께 주름이 질 수 있도록 여건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허리앞쪽의 주름부와 무릎의 주름부에 약간의 수작업으로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이때 주름은 자연스럽고 적당량이 되도록 조절하여 소정한 주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주름이 멋있고 자연스럽게 형성하기 하여 상기의 조작 중 실린더의 강약의 정도를 조절하여 청바지의 팽창정도를 고려하면서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바지 양측 주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체부(20)를 약 90도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콘트롤의 미도시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 1실린더(35)가 연동되고 이에 연결된 타임벨트(34)를 이송시켜 타임벨트(34)에 체결된 피니언(33)을 회전시킴으로 일체의 회전판(30)이 함께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30)에 구성된 하체부(20)가 회전되어 작업자가 한 위치에서 청바지의 양측면 주름을 구성하게 됨으로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청바지(100)의 허리부와 무릎부에 주름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온의열풍이 공급됨으로 청바지(100)의 건조와 함께 주름이 성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주름성형의 신속성과 정밀성을 위하여 무릎양측에 주름성형판(57)과 다리부재관(23)의 주름 위치부에 주름형상의 요철부와 함께 가온할 수 있는 열선(56)을 구성시켜 고열에 따른 성형의 신속성과 정밀성을 충족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체(10)의 상단부에는 이송가능 한 상태 또는 고정상태의 공지의 열풍장치를 구성시켜 고온 열풍을 하체부(20)에 착용된 청바지 전체에 공급하여 청바지의 빠른 건조와 주름성형의 신속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함은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있고 이러한 실시예도 본 고안의 기술적 수준에 있다할 것이다.
본 고안은 작업자가 주름(101)의 크기 정도, 량을 조절할 수 있고 주름성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가열시간과 온도, 가온 상태 등을 조절하여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건조상태, 작업환경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작업으로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청바지(100)에 주름이 성형되면 콘트롤(20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각각의 실린더를 복귀시키게되고 상기에서 이동된 각각의 힌지장치부의 스프링의 탄축력으로 연동힌지부(43)(53)가 복귀되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전술한 내용은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좁게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목적을 수행하기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변경 및 수정에 의한 구조도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그 범주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인체의 하체를 모방한 하체부를 구성하고 하체부에서 인체와 유사한 돌출부를 형성시켜 그 돌출에 따른 주름의 성형부를 파악함과 함께 동위치에 주름을 형성함으로 사용에 의한 주름과 같은 자연스러운 주름의 성형을 이루도록 하며 주름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온시켜 주름을 성형하므로 주름성형이 용이하고 빠르게 실시되는 특징과 함께 작업이 용이한 특징 및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생산가로 제작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는 고안이다.

Claims (4)

  1. 에어공급휀(11)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가온하는 가열 히터(12)를 구성한 기체(10)와, 기체(10)에 사람의 하체를 모방한 하체부(20)를 체결하고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히프, 무릎부에 대응되어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체부(20)에서 돌출되는 승강판(22)을 구성하며 이 승강판(22)은 하체부(20)에 구성된 리프트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는 통상의 청바지 주름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체(10)의 배기관(13)에 연결관(15)이 회전되게 구성하고 회전되는 연결관(15)에 회전판(30)을 기체(10) 전면부로 구성시켜 배기관(13)과 연결된 분할관(31)에 한쌍의 분출관(32)을 구성시켜 열풍을 분출시키도록 함과 함께 연결관(15)에 피니언(33)을 구성하여 제 1실린더로 연동되는 타임밸트(34)에 의해 회전되게 구성함과,
    회전판(30)에는 다리 벌림 리프트장치(40)를 구성하되, 장공(41)을 뚫은 기다란 가이드판(42)을 회전판(30)에 체결함과 함께 가이드판(42)의 장공(41)에 끼워진 연동 힌지부(43)와 타측은 가이드판(42)에 고정되는 고정힌지부(44)로 구성되어 좌우측과 하부에 연동간(45)(45-1)으로 연결되고 각 연동간(45)(45-1)은 각각의 좌우측과 하부의 연결부재(46)(46-1)에 힌지되는 다리벌림리프트장치와,
    상기 좌우 연결부(46)는 소공(21)을 뚫은 한쌍의 다리부재관(23)을 체결하고 하부 연결부재(46-1)에는 히프판(47)을 체결하며 연동 힌지부(43)와 고정힌지부(44)는 스프링(48)으로 탄력 설치되어지고 연동힌지부(43)는 와이어(49)로 연결된 제 2실린더(35-1)로 연동되게 구성함과,
    상기 다리부재관(23)의 무릎부위에는 무릎리프트장치(50)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리프트장치(50)는 다리부재관(23)내에 고정된 고정가이드(51)에 안내공(52)을 뚫어 연동힌지부(53)와 단부에 고정된 고정힌지부(53-1)를 구성시켜 좌우측 연동간(54)과 상부연동간(54-1)을 힌지 구성시켜 연결부재(55)로 힌지함과
    상부의 연결부재(55)에는 무릎 승강판(22)을 체결하고 좌우 연결부재(55)에는 주름모양이 외부로 형성되고 내측에 열선(56)을 구성한 주름형성판(57)을 체결하여 와이어(49-1)에 의한 제 4,5실린더(35-3)로 연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관(23)의 단부에는 회전판(30)에 힌지 체결된 제 3실린더(35-2)로 연결구성시켜 좌우측의 연결부재(46)를 기점으로 다리가 ">"형 벌림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10)의 상부에 열풍장치를 구성시켜 열풍이 바지로 방사되어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2003-0033223U 2003-10-23 2003-10-23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0338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223U KR200338101Y1 (ko) 2003-10-23 2003-10-23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223U KR200338101Y1 (ko) 2003-10-23 2003-10-23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101Y1 true KR200338101Y1 (ko) 2004-01-13

Family

ID=4942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223U KR200338101Y1 (ko) 2003-10-23 2003-10-23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1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86B1 (ko) 2006-11-20 2008-02-12 백광인 바지의 주름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86B1 (ko) 2006-11-20 2008-02-12 백광인 바지의 주름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4686A1 (en) Item having silicone inserts printed by serigraph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id item
CN109758013A (zh) 一种全自动洗澡机
KR200338101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0347435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040063896A (ko) 다림질판
KR200338000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0463981Y1 (ko) 상의 다림장치
US3498510A (en) Hairpiece support block and stretcher
CN2405953Y (zh) 一种皮衣上光、熨烫机
US4473961A (en) Trouser finisher center buck with vacuum, steaming, and drying apparatus
KR20080004577U (ko)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CN106676864B (zh) 一种袖臂
KR20080003285U (ko) 청바지 주름성형 탈색장치
US4479314A (en) Trouser finisher with independently retractable and extendable waist and leg expanders
KR19980701988A (ko) 의류품에 마모된 외양을 제공하는 작업방법 및 장치
CN201079019Y (zh) 牛仔裤皱纹机
KR100488443B1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US4485572A (en) Waist expander for trouser finisher
KR200413053Y1 (ko) 청바지 주름형성장치
JPH0246880Y2 (ko)
EP0893534A3 (de) Vorrichtung zum Glätten von Wäsche
KR200207463Y1 (ko) 직물 연마 장치
JP3931629B2 (ja) 衣類仕上げ装置
JPH0211028Y2 (ko)
US4538370A (en) Waist expander for trouser fini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