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577U -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 Google Patents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577U
KR20080004577U KR2020070005799U KR20070005799U KR20080004577U KR 20080004577 U KR20080004577 U KR 20080004577U KR 2020070005799 U KR2020070005799 U KR 2020070005799U KR 20070005799 U KR20070005799 U KR 20070005799U KR 20080004577 U KR20080004577 U KR 200800045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ans
rod
hinged
air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국
Original Assignee
정홍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국 filed Critical 정홍국
Priority to KR2020070005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577U/ko
Publication of KR20080004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93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 D06B11/0096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to get a faded loo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바지(Jean) 등의 직물 바지의 무릎, 장단지, 힙 등의 특정부위에 자연스러운 마모와 또는 탈색된 모양(worn look)으로 가공하기 위한 청바지 탈색마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바지의 탈색을 자연스럽게 형성시키기 위하여 탈색작업의 간편성을 발휘하는 구성과 작업자가 소정의 위치를 탈색시키기 위한 브러쉬의 이동을 자유롭게 구성함과
작업자가 청바지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탈색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빠른 작업을 이룰 수 있는 구성 및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체 상단에 이송레일을 형성시켜 이송레일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윈치(winch)를 구성하고 이 윈치에 매달려 청바지를 마모탈색시키기 위한 모터로 연동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가공장치를 구비하며 기체에 축받이로 힌지된 수직봉에 피니언을 구성하고 피니언을 연동하기 위한 랙을 실린더에 체결시켜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수직봉이 회전되도록 한 회동장치와,
상기 수직봉에 청바지를 체결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체결부재와 이 체결부재내의 가로봉에 힌지된 양측다리봉을 구비하며 다리봉에는 에어공급호스를 관통시켜 다리봉의 하단에 상향된 에어분사캡으로 분사되도록 한 에어분사장치와,
기체의 이면측 지지봉에 힌지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로드에 받침판을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고 이 받침판은 기체의 상단부와 연동판으로 힌지하여 받침판이 자유 롭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청바지 탈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윈치(winch), 브러쉬

Description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APPARATUS FOR ABRASION AND DECOLORIZATION 0F BLUE JEAN}
도1은 본 고안의 사용예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절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 청바지 회전을 위한 회동장치 정면도.
도 4는 본고안의 에어분사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에어로 충진된 청바지를 가공장치로 연마하는 상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기체 11;돌출부 12;이송레일
13;지지봉 20;이송체 21;이동바퀴
22;와이어 30; 윈치 31;로우프
40;가공장치 41;브러쉬 42;손잡이
50;회동장치 51;축받이 52;수직봉
53;피니언 54;랙 55,73;실린더로드
56,71;실린더 60;에어분사장치 61;체결부재
62;가로봉 63;다리봉 64;에어공급호스
65;에어분사캡 70;청바지지지장치 73;받침판
74;연동판 100;청바지
본 고안은 청바지(Jean) 등의 직물 바지의 무릎, 장단지, 힙 등의 특정부위에 자연스러운 마모와 또는 탈색된 모양(worn look)으로 가공하기 위한 청바지 탈색마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청바지의 최근 유행은 바지의 부분적인 탈색 또는 오래되어 낡고 빛이 바랜 듯한 느낌을 강조하는 복고풍의 제품으로 특정 부위가 닳아빠진 듯 낡고 탈색되어 복고적인 분위기를 살린 "빈티지 진(Vintage jean)" 이라는 타입의 청바지를 많이 애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청바지를 소비자의 기호에 의하여 오래된 것인 양 주름을 형성하고 또한 탈색시켜 그 외관이 오래되고 낡은 듯하게 보이도록 하는 청바지의 탈색 및 마모를 위한 가공장치들이 다수 알려진바 있다.
청바지의 탈색과 마모를 시키기 위하여 청바지 제조업자들은 직물에 염색 등의 특수 처리로 새 의류가 낡고 바랜 듯한 듯이 보이도록 재가공하여 판매하는 방식으로 청바지를 탈색 또는 연마시키기 위하여 돌 세척(stone washing)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기술은 돌 세척 방법으로 미합중국특허 제4,954,138호(STONE TO FINISH STONE WASHED JEANS)에 상술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돌 세척 방법은 화산석을 이용하여 염색된 의류를 세척하는 기술로서, 화산석의 대량 사용으로 세척기계가 손상되고 마모되는 문제점과 더욱, 대량으로 사용한 화산석으로부터의 슬러지 또는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청바지를 탈색 또는 연마시키는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얇은 합판에 고무를 바지 형태와 유사하게 접착시킨 후 상기 합판을 청바지 속에 넣고 공기를 흡착하여 청바지 내부 면에 밀착시키고, 샌드기를 이용하여 청바지 표면을 탈색 및 마모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 한편 다른 고안에서는 바지 가랑이가 끼워진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면 바지 가랑이가 부풀려지면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청바지의 표면을 연마하는 작업으로 실시되어 바지 전체 또는 소정부위를 마모시켜 탈색하는 작업이 있다.
그리고 성형판 위에 청바지를 입혀 놓은 상태에서 샌딩 및 화학 처리를 수행하게 되므로, 가공 후 만들어지는 청바지 주름의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인위적이어서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등록번호 제20-0207463호에서는 실제로 청바지를 사람이 입어서 닳은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연마에 의한 외관을 지니게 하는 직물 연마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장치는 사용자와 유사한 마네킹의 몸통을 구성하고 이 몸통을 앞뒤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통부에 결합된 양다리를 몸통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네킹의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네킹에 입혀진 바지의 앞 부분에 주름을 형성하고 이때에 만들어지는 주름진 직물 표면에 화학 약품을 분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연마 표백된 바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종래에 비하여 향상된 기술로 인체와 극히 유사한 마네킹을 사용하여 소정부위의 주름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특징이 발휘되고 있으나, 상기 마네킹에 입혀진 바지가 다리의 벌림 이동만으로는 소망하는 자연스러운 주름의 형성이 어렵고 이때의 주름은 인체의 소정부위 즉, 바지와 몸통부가 만나는 접속부 위치인 생식기 앞 부분만의 주름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의 주름부 허리 양측부와 무릎부위의 주름성형이 불가능한 폐단을 야기하며 또한 습기를 가진 바지가 마네킹에 밀착되어 다리의 이동에 따른 주름형성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 제20-0338000호에서는 상기 고안을 개선하여 작동이 간단하고 보다 향상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선고안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청바지의 탈색을 자연스럽게 형성시키기 위하여 탈색작업의 간편성을 발휘하는 구성과 작업자가 소정의 위치를 탈색시키기 위한 브러쉬의 이동을 자유롭게 구성함과
작업자가 청바지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탈색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빠른 작업을 이룰 수 있는 구성 및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체 상단에 이송레일을 형성시켜 이송레일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윈치(winch)를 구성하고 이 윈치에 매달려 청바지를 마모탈색시키기 위한 모터로 연동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가공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기체에 축받이로 힌지된 수직봉에 피니언을 구성하고 피니언을 연동하기 위한 랙을 실린더에 체결시켜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수직봉이 회전되도록 한 회동장치와,
상기 수직봉에 청바지를 체결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체결부재와 이 체결부재내의 가로봉에 힌지된 양측다리봉을 구비하며 다리봉에는 에어공급호스를 관통시켜 다리봉의 하단에 상향된 에어분사캡으로 분사되도록 한 에어분사장치와,
기체의 이면측 지지봉에 힌지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로드에 받침판을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고 이 받침판은 기체의 상단부와 연동판으로 힌지하여 받침판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청바지 탈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예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절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 청바지 회전을 위한 회동장치 정면도. 및 도 4는 본고안의 에어분사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에어로 충진된 청바지를 가공장치로 연마하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체(10) 상단부 전면으로 돌출된 돌출부(11)를 형성하여 그 끝단부에 하향된 이송레일(12)을 형성시켜 이송체(20)가 이동되도록 한다.
이송레일(12)에는 이동바퀴(21)를 구비한 이송체(20)를 구비하고 이 이송체(20)에 와이어(22)로 연결된 윈치(30)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윈치(30)는 이송체(20)가 이송레일(12)에서 좌우 이동됨과 함께 와이어(22)에 매달려 좌우 전후로 이동되며 윈치(30)에 감긴 로우프(31)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브러쉬(41)를 구비한 가공장치(40)가 매달려진다.
상기 가공장치(40)는 와이어(22)와 로우프(31)의 자유로운 이동성으로 전후좌우로 이동이 용이하면서 윈치(30)가 로우프(31)를 감거나 풀림하여 길이를 증감함으로써 상하이동 조절을 하게 되며 이러한 조작은 미도시된 가공장치(40)부에 형성된 스위치에 의해 조절되며 이 가공장치(40)는 손잡이(42)를 작업자가 잡은 상태에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체(10)에 축받이(51)로 힌지된 수직봉(52)을 형성하여 피니언(53)을 구성하고 피니언(53)을 연동하기 위한 랙(54)을 기체(10)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기체(10)에서 안내되도록 하며 랙(54)은 실린더로드(55)에 체결시켜 실린더(56)의 동작에 따라 좌우이동에 따라 피니언(53)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직봉(52)이 회전되도록 한 회동장치(50)를 구성한다.
상기 수직봉(52)에는 청바지(100)를 체결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체결부재(61) 와 이 체결부재(61)내의 가로봉(62)에 힌지된 양측 다리봉(63)을 하부로 길게 구비하며 다리봉(63)에는 에어공급호스(64)를 관통시켜 다리봉(63)의 하단에 상향된 에어분사캡(65)으로 에어를 분사되도록 한 에어분사장치(60)를 구성시켜 에어분사캡(65)으로 분사되는 에어가 체결부재(61)에 고정된 청바지(100)내로 분사되어 청바지(100)를 부풀리도록 한다.
기체(10)의 이면측 지지봉(13)에 힌지된 실린더(71)와 이 실린더로드(72)에 받침판(73)을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고 받침판(73)이 소정위치에서 받침판(73)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기체(10)의 상단측과 연동판(74)으로 힌지시켜 받침판(73)이 수직 또는 비스듬한 상태로 지지되고 전후로 이동되면서 다리봉(63)에 착용된 청바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청바지지지장치(70)를 구비하는 청바지 탈색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80은 발 스위치로 에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예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청바지의 최근 유행은 바지의 부분적인 탈색 또는 오래 되어 낡고 빛이 바랜 듯한 느낌을 강조하는 복고풍의 제품으로 특정 부위가 닳아빠진 듯 낡고 탈색되어 복고적인 분위기를 살린 빈티지 진(Vintage jean)이 유행함으로 제조 및 판매업자들은 소비자의 기호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청색 바지를 가공 탈색시키게 된다.
즉, 청바지는 처음 제조에서는 청색의 바지로 제조되며 이러한 청바지(100)를 도 1과 도 2의 점선표기와 같이 본 고안에 구비된 청바지(100)를 체결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체결부재(61)에 고정한다.
이때의 고정은 원통형 체결부재(61)에서 하향된 다리봉(63)이 바지가 끼워지고 허리부는 원통형에 씌워진 상태에서 허리부를 미도시된 밴드로 묶으거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밀폐가능한 상태로 고정한다.
이러한 체결상태와 함께 기체(10)의 이면측 지지봉(13)에 힌지된 실린더(71)를 조작하여 이 실린더로드(72)에 힌지된 받침판(73)이 청바지가 부풀려졌을 때에 청바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시킨다.
그리고 발스위치(80)를 조작함으로 이에 의한 에어밸브의 개폐와 미도시된 에어콤프레샤 (空氣壓縮機, air comperssor)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공급호스(64)를 통해 체결부재(61) 내의 가로봉(62)에 힌지된 양측 다리봉(63)를 거쳐 다리봉(63) 하단에 상향된 에어분사캡(65)으로 에어를 분사하고 분사되는 에어는 에어분사캡(65)에 의해 상부로 분사된다.
분사되는 에어는 다시 다리봉(63)에 씌워진 청바지(100) 내로 분출되고 청바지(1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제어되면서 청바지(100)를 펑펑하게 부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청바지(100)가 부풀린 상태에서 작업자는 기체의 윈치(30)에 매달린 가공장치(40)의 손잡이(42)를 잡은 상태에서 미도시된 전원온/오프 및 강약 스위치를 조절하면 모터와 이 모터로 연동되는 브러쉬(41)가 고속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브러쉬(41)의 회전상태에 있는 가공장치(40)를 상기에서 펑펑하게 부풀린 바지면에 밀착시켜 상하로 이동하면서 청바지(100)의 표면을 마찰하게 된다.
따라서 브러쉬(41)로 마찰되는 청바지(100)는 마찰 등으로 마모와 함께 색채가 탈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공장치(40)를 하부로 이동 또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는데 이때에는 윈치(30)를 조작하여 로우프(31)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림으로써 가공장치(4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고 이러한 이동상태에서 마모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와이어(22)와 로우프(31)의 유연성으로 이에 매달린 가공장치(40)가 보다 자유로운 이동성이 부여됨으로써 전후좌우의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과 각 위치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바지(100)이 앞면과 뒷면에 대한 마모가공을 실시하기 위하여 기체(10)에 축받이(51)로 힌지된 수직봉(52)을 형성되고 이 수직봉에 구성된 피니언(53)을 랙(54)에 연결하여 실린더(56)의 조작에 따라 좌우이동됨으로 랙에 결합된 피니언(53)이 회전됨으로써 수직봉(52)과 이 수직봉(52)에 형성되는 청바지(100)가 회전되면서 청바지의 앞면과 뒷면이 바뀌므로 앞·뒷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많은 량의 청바지 탈색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청바지(100)를 2장 이상 작업부를 구성하게 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청바지 체결부재(61)를 구비하는 에어분사장치(60)가 2장 이상 구비되고 하나의 청바지의 작업 후 다른 청바지를 작업하기 위하여서 가공장치(40)를 우측에서 좌측작업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기체(10) 상단부에 형성된 이송레일(12)에 안내이송되는 이송체(20)를 이송시키면 이송레일(12)에 안내되는 이동바퀴(21)가 용이하게 이동하여 이송체(20)에 구비된 윈치(30)가 쉽게 이동하고 이동한 상태에서 마모작업을 실시하도록 함으로 하나의 기체에서 2장 이상의 청바지를 가공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되며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체결부재를 구비한 장치부가 다수를 이룰 수 있음을 말한다.
본 고안의 전술한 내용은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좁게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변경 및 수정에 의한 구조도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
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그 범주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체의 이송레일로 이동되는 윈치(winch)를 구성하여 브러쉬를 구비하는 가공장치를 구비시켜 청바지를 마모가공하도록 함과 청바지가 고정된 수직봉을 피니언과 랙으로 회전하여 청바지의 전후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에어공급으로 청바지를 부풀리어 마모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청바지의 마모 탈색을 자연스럽게 형성시킬수 있고 탈색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한 특징 및 작업자가 소정의 위치를 탈색시키기 위한 브러쉬의 이동을 자유로운 특징 및 빠른 작업을 이룰 수 있는 구성과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체(10)의 돌출부(11)에 이송레일(12)을 형성시켜 이송체(20)가 이동되도록 하고 이송체(20)에 와이어(22)로 연결된 윈치(30)를 구성함과 함께, 윈치(30)에 감긴 로우프(31)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브러쉬(41)를 구비한 가공장치(40)를 구비함과,
    상기 가공장치(40)는 와이어(22)와 로우프(31)의 자유로운 이동성으로 이동이 용이하면서 윈치(30)가 로우프(31)를 감거나 풀림하여 길이 증감으로 상하이동 조절을 하며 스위치와 손잡이(42)가 구성되는 가공장치(40)와,
    기체(10)에 축받이(51)로 힌지된 수직봉(52)에 피니언(53)을 구성하여 기체에서 안내되는 랙(54)으로 연동되고 랙(54)은 실린더로드(55)에 체결시켜 실린더(56)의 동작에 따라 수직봉(52)을 회전되도록 한 회동장치(50)와,
    수직봉(52)에는 청바지(100)를 체결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체결부재(61)와 체결부재(61) 내의 가로봉(62)에 힌지된 양측 다리봉(63)을 하부로 길게 구비시켜 에어분사캡(65)을 구성하고 에어공급호스(64)를 관통시켜 공급된 에어가 에어분사캡(65)으로 분사되어 청바지를 부풀리도록 하는 에어분사장치(60)와,
    기체(10)의 이면측 지지봉(13)에 힌지된 실린더로드(72)에 받침판(73)을 회 전가능하게 체결하고 받침판(73)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기체(10)와 연결된 연동판(74)을 구성하는 청바지지지장치(70)를 구비하는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KR2020070005799U 2007-04-09 2007-04-09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KR200800045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99U KR20080004577U (ko) 2007-04-09 2007-04-09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99U KR20080004577U (ko) 2007-04-09 2007-04-09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77U true KR20080004577U (ko) 2008-10-14

Family

ID=4150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799U KR20080004577U (ko) 2007-04-09 2007-04-09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57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423B1 (ko) * 2010-04-22 2010-07-26 김광철 구제기계
KR101247811B1 (ko) * 2011-06-03 2013-03-26 권희철 청바지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N108796940A (zh) * 2018-08-27 2018-11-13 中山益达服装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用于牛仔裤后袋裁片自动擦拭的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423B1 (ko) * 2010-04-22 2010-07-26 김광철 구제기계
KR101247811B1 (ko) * 2011-06-03 2013-03-26 권희철 청바지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N108796940A (zh) * 2018-08-27 2018-11-13 中山益达服装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用于牛仔裤后袋裁片自动擦拭的设备
CN108796940B (zh) * 2018-08-27 2023-11-21 中山益达服装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用于牛仔裤后袋裁片自动擦拭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5144B2 (ja) 自動化された衣服仕上げ処理システム
US9469934B2 (en) Automated clothing steamer
Kan Washing techniques for denim jeans
US48457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ing fabric finishes
CN108755162A (zh) 一种搅拌装置
KR20080004577U (ko)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WO2006110326A2 (en) Formation of patterns of fades on fabrics
CN205557079U (zh) 一种便携式生活衣物清洗装置
JP2904933B2 (ja) 衣料品にすり切れた外観を与えるための改良加工方法及び当該方法を実施するのに適した改良機械
CN108589152B (zh) 一种牛仔裤磨白的装置及其磨白方法
KR200338000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US20120276821A1 (en) Method and system enabling premature use of a textile garment made of denim fabric
KR200207463Y1 (ko) 직물 연마 장치
US20180272797A1 (en) Reuseable body application stencil arran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0347435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0338101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0312709Y1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KR20040026960A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KR20080003285U (ko) 청바지 주름성형 탈색장치
KR100972423B1 (ko) 구제기계
EP3378673A1 (en) Reuseable body application stencil arran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0543387B1 (ko) 직물의 무늬형성을 위한 연마장치
CN211339970U (zh) 一种舞蹈服加工用整烫装置
CN113599836B (zh) 一种布偶娃娃裙子缝合及定位与防褶皱装置
KR20160004698A (ko) 셔츠 프레스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