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709Y1 -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709Y1
KR200312709Y1 KR20-2003-0001712U KR20030001712U KR200312709Y1 KR 200312709 Y1 KR200312709 Y1 KR 200312709Y1 KR 20030001712 U KR20030001712 U KR 20030001712U KR 200312709 Y1 KR200312709 Y1 KR 200312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olishing
unit
suppor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장식
Original Assignee
문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장식 filed Critical 문장식
Priority to KR20-2003-0001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입설되고 내측면에 가이드(12)가 고정된 승강지지대(15)가 중앙에 입설되며 측면에 지지후레임(11)이 결합되어 지지후레임(11)의 내측에 양쪽에 원단(80)의 공급을 위한 공급롤러(13) 및 성형된 원단(80)을 감아주기 위한 권취롤러(14)의 지지축(13'14')이 축설되며 상기 롤러의 중앙에 원단(80)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대(30)가 승강지지대(15)에 고정된 기대(10)와, 상기 기대(10)의 가이드(12)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원단(80)의 표면에 다수의 동일한 모양을 일시에 성형하여 주기 위해 마련된 연마부(50)와, 상기 연마부(5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연마부(50)의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동부(60)와, 구동부(60)의 반대편 승강지지대(15)의 상단에 결합되어 무늬성형이 완료된 원단(80)의 이송에 따라 연마부(50)를 승강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승강부(40)와, 권취롤러(14)의 일측 하방에 설치되어 연마가 완료된 원단(80)을 단계적으로 감아 권취시켜 주기 위해 마련되는 권취부(20) 및 상기 각 모터(21,43,61)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70)가 포함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효율적인 구성으로 주로 청바지 및 청자켓, 청치마 등의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의 원단에 다수의 모양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마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의류 및 각종 직물제품에 새로운 변화를 줄수 있을 뿐만아니라 외관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등의 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Grinding apparatus for pattern forming of textile fabrics}
본 고안은 주로 청바지 및 청자켓, 청치마 등의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의 원단에 다수의 모양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상시 즐겨입거나 사용하는 청바지 등의 의류 내지는 직물제품은 보편 획일화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에 근래에는 장식을 하거나 염색등의 다양한 변형을 가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패션어블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밖에 표현방법으로는 청바지 등은 물론 각종 직물제품을 낡고 오래된 형태로 보이기 위해 외표면을 의도적으로 마모시켜 주는 경우도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출원 제2002-968호 직물연마장치 및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내용으로는 실제로 청바지를 사람이 입어서 닳은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연마 외관을 지니게 하는 것과 청바지 연마 및 표백 단계에서 청바지의 물성을 열화시키지 아니하고, 슬러지 등 부산물 발생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마네킹의 몸통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을 지탱하고, 몸통을 앞뒤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운동하는 몸통 지지부와; 상기 마네킹의 골반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골반을 지탱하고 상기 몸통 지지부가 지면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 지지부의 회전 운동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 운동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골반 지지 로드와; 상기 마네킹의 다리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네킹 다리를 지탱하고 상기 골반 지지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마네킹의 다리를 상하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골반 지지 로드를 중심 축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힌지부와; 상기 마네킹의 다리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네킹 다리를 지탱하고,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와 상기 골반 지지 로드를 포함한 평면 상에서 상기 마네킹의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다리 지탱부를 포함하는 마네킹에 직물을 착의하고 자연스럽게 다양한 동작을 취하게 한 후, 이 때에 만들어지는 주름진 직물 표면에 화학 약품을 분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연마 표백된 구제 바지 제조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을 요약해보면 스프레이 분무 작업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각부위가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마네킹골조를 그 장치로 하고 있으나 직물연마를 위한 장치와는 전혀 무관할 뿐만 아니라 직물연마방법적인 면에서 볼때에도 마네킹에 하의를 입혀 화학약품이 들어있는 스프레이로 단순분사시켜 탈색마모시키는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직물연마방법이라기 보다는 염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방법에 가까우며 그 효과도 예측가능한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97969호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제안한 등록실용신안의 경우 간단한 구조로 청바지 및 청자켓, 청치마 등과 같은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 등에 소정의 무늬를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연마장치와 상기 연마장치를 이용한 무늬성형방법을동시에 제공함으로서 의류 및 각종 직물제품에 새로운 변화를 줄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일층 돋보이게 하는 등의 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은 분명하나 무늬를 형성함에 있어서 원단에 다수의 무늬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며 원단에 무늬를 규칙적으로 형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노출되어 이를 보완하여 새롭게 개량출원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주로 청바지 및 청자켓, 청치마 등의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의 원단에 다수의 모양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통상의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입설되고 내측면에 가이드가 고정된 승강지지대가 중앙에 입설되며 측면에 지지후레임이 결합되어 지지후레임의 내측에 양쪽에 원단의 공급을 위한 공급롤러 및 성형된 원단을 감아주기 위한 권취롤러의 지지축이 축설되며 상기 롤러의 중앙에 원단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대가 승강지지대에 고정된 기대와, 상기 기대의 가이드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원단의 표면에 다수의 동일한 모양을 일시에 성형하여 주기 위해 마련된 연마부와, 상기 연마부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연마부의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반대편 승강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무늬성형이 완료된 원단의 이송에 따라 연마부를 승강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승강부와, 권취롤러의 일측 하방에 설치되어 연마가 완료된 원단을 단계적으로 감아 권취시켜 주기 위해 마련되는 권취부 및 상기 각 모터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가 포함되어 구성된 일련의 관련구성을 제공함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동부를 보이기 위한 좌측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승강부를 보이기 위한 우측면구성도
도 5는 "A"부의 확대발췌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무늬가 성형된 청바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대 11 : 지지후레임
12 : 가이드 13 : 공급롤러
14 : 권취롤러 13',14' : 지지축
15 : 승강지지대 20 : 권취부
21 : 권취모터 22 : 타이밍벨트
30 : 지지대 40 : 승강부
41 : 플레이트 42' : 통공
43 : 승강모터 44 : 체인
50 : 연마부 51 : 하우징
52 : 종동축 53 : 구동축
54 : 풀리 55 : 벨트
56 : 스핀들 57 : 마모부재
60 : 구동부 61 : 구동모터
62 : 베벨기어 70 : 콘트롤박스
80 : 원단
본 고안은 통상의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입설되고 내측면에 가이드(12)가 고정된 승강지지대(15)가 중앙에 입설되며 측면에 지지후레임(11)이 결합되어 지지후레임(11)의 내측에 양쪽에 원단(80)의 공급을 위한 공급롤러(13) 및 성형된 원단(80)을 감아주기 위한 권취롤러(14)의 지지축(13',14')이 축설되며 상기 롤러(13,14)의 중앙에 원단(80)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대(30)가 승강지지대(15)에 고정된 기대(10)와, 상기 가이드(1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고 하우징(51)의 내측에 종동축(52)이 등간격으로 입설되어 이에 축설된 풀리(54)가 구동축(53)과 벨트(55)로 연결되며 저면에 마모부재(57)가 부착된 스핀들(56)이 저부에 결합된 연마부(50)와, 하우징(5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구동축(53)의 상부 선단에 베벨기어(62)가 각각 결합되어 상호 치합된 상태로 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53) 및 종동축(52)이 동시에 일제히 회전되도록 한 구동부(60)와, 구동부(60)의 반대편 승강지지대(15)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통공(42)을 갖는 플레이트(41)의 상면에 승강모터(43)가 결합되어 상기 통공(41)을 통해 연마부(50)의 하우징(51) 일측과 체인(44)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승강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연마부(5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승강부(40)와, 권취롤러(14)의 일측 지지축(14')과 그 하방에 설치된 권취모터(21)가 벨트(22)로 연결되어 공급롤러(13)로 부터 연마가 완료된 원단(80)을 단계적으로 감아 주기 위한 권취부(20) 및 각 모터(21,43,61)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70)가 포함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동부를 보이기 위한 좌측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승강부를 보이기 위한 우측면구성도, 도 5는 "A"부의 확대발췌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무늬가 성형된 청바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무늬를 형성함에 있어서 원단(80)에 규칙적으로 다수의 무늬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부분연마를 통해 형성되는 불규칙적인 무늬를 탈피하여 작업성향상은 물론 일층 새로운 형태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측에 입설된 기대(10) 사이에 원단(80)의 공급을 위한 공급롤러(13)와 권취롤러(14)를 지지후레임(11)의 내측 양쪽에 각 롤러(13,14)의 양단이 축설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30)의 중앙에는 내측면에 가이드(12)가 고정된 승강지지대(15)가 기대(10)의 상부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저부가 상기 공급롤러(13) 및 권취롤러(14)의 중앙에 설치된 상태로 연마 중 원단(80)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대(30)에 입설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양쪽 가이드(12)의 내측에는 가이드(1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승강되는 연마부(50)가 결합되는 바, 상기 내부가 중공상태인 연마부(50)는 길이재의 하우징(51) 내측에 종동축(52)이 등간격으로 입설되어 이에 축설된 풀리(54)가 구동축(53)과 벨트(55)로 연결되며 저면에 마모부재(57)가 부착된 스핀들(56)이 저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마부(50)는 하우징(5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구동축(53)의 상부 선단에 베벨기어(62)가 각각 결합되어 상호 치합된 상태로 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53) 및 종동축(52)이 동시에 일제히 회전되도록 하여 원단(80)에 동일한 모양의 무늬를 일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60)의 반대편 승강지지대(15)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통공(42)을 갖는 플레이트(41)의 상면에 승강모터(43)가 결합되어 상기 통공(41)을 통해 연마부(50)의 하우징(51) 일측과 체인(44)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승강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연마부(50)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원단(80)의 단계적인 권취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원단(80)에 연마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권취롤러(14)는 상기 권취롤러(14)의 일측 지지축(14')과 그 하방에 설치된 권취모터(21)가 타이밍벨트(22)로 연결되어 공급롤러(13)로부터 연마가 완료된 원단(80)을 단계적으로 감아 권취시켜 주기 위한 권취부(2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부(20) 및 구동부(60), 승강부(40)에 설치된 각각의 모터(21,43,61)는 기대(10)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박스(7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수 있도록 하여 일련의 관련동작을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점박이 무늬와 같이 다수의 동일한 무늬를 일정간격에 걸쳐 규칙적으로 연마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측 기대(10)의 지지후레임(1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공급롤러(13)에 성형하고자 하는 원단(80)을 공급하여 원단(80)의 선단을 지지대(30)의 상면을 통과시켜 원단(80)의 일부를 권취롤러(14)에 일부 권취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원단(80)의 공급을 완료한 다음 기대(10)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박스(70)를 조작하게 되면 구동부(60)의 구동모터(61)가 동작됨과 동시에 베벨기어(62)로 치합된 연마부(50)의 구동축(53)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함께 하우징(51)의 내측에 상호 벨트(55)로 연결된 다수의 종동축(52)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마부(50)의 구동축(53) 및 다수의 종동축(52) 선단에는 마모부재(57)가 부착된 스핀들(56)이 결합되어 회전되는 마모부재(57)가 원단(80) 표면에 밀착됨에 따라 지지대(30) 상면에 안정적으로 놓여진 원단(80) 표면의 일부만이 식각형태로 마모됨에 따라 청바지 및 청자켓 그리고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직물제품의 원단(80)에 여러가지 다양한 모양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모부재(57)의 크기를 달리하여 연마되는 모양의 크기도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마모부재(57)는 직물연마용 연마석이 주로 사용되며 되도록 미세한 입자를 갖는 연마석을 채택하여 원단(80)에 더욱 정교한 모양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단(80)에 점박이 모양과 같은 무늬성형을 완료하게 되면 승강부(40)의 승강모터(43)가 구동됨과 동시에 연마부(50)의 하우징(51)이 일시 상승됨과 아울러 권취롤러(14)와 연결된 권취부(20)의 권취모터(21)가 구동되어 일정폭의 원단(80)을 권취롤러(14)에 권취시켜 주게 되며 이어서승강모터(43)가 곧바로 동작되어 연마부(50)를 다시 연마 가능한 상태로 하강시켜 주게 된다.
상기 연마부(50)의 승강은 일측 기대(10)의 승강지지대(15)상에 구성되어 있는 승강부(4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바, 하우징(51) 일측이 승강모터(43)와 체인(44)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마부(50)가 기대(10)의 승강지지대(15) 내측에 결합된 가이드(12)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 연마부(50)가 더욱 미세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동구조 즉, 유압이나 공압실린더 등을 채택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 권취부(20)는 원단(80)의 횡방향으로 일시에 성형된 모양을 연속적으로 연마시켜 주기 위해 취해진 구성으로서, 권취롤러(14)의 지지축(14')과 권취모터(21)가 상호 타이밍벨트(2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원단(80)의 권취이송을 정확히 하게 되며 연마시 원단(80)의 팽팽하게 잡아 당겨주는 작용도 하게 되어 연마하고자 하는 모양을 더욱 정교히 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 즉 의류를 기본으로 하여 이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직물로 제작되는 각종제품에 응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효율적인 구성으로 주로 청바지 및 청자켓, 청치마 등의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의 원단에 다수의 모양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마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의류 및 각종 직물제품에 새로운 변화를 줄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등의 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통상의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입설되고 내측면에 가이드(12)가 고정된 승강지지대(15)가 중앙에 입설되며 측면에 지지후레임(11)이 결합되어 지지후레임(11)의 내측에 양쪽에 원단(80)의 공급을 위한 공급롤러(13) 및 성형된 원단(80)을 감아주기 위한 권취롤러(14)의 지지축(13'14')이 축설되며 상기 롤러의 중앙에 원단(80)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대(30)가 승강지지대(15)에 고정된 기대(10)와, 상기 기대(10)의 가이드(12)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원단(80)의 표면에 다수의 동일한 모양을 일시에 성형하여 주기 위해 마련된 연마부(50)와, 상기 연마부(5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연마부(50)의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동부(60)와, 구동부(60)의 반대편 승강지지대(15)의 상단에 결합되어 무늬성형이 완료된 원단(80)의 이송에 따라 연마부(50)를 승강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승강부(40)와, 권취롤러(14)의 일측 하방에 설치되어 연마가 완료된 원단(80)을 단계적으로 감아 권취시켜 주기 위해 마련되는 권취부(20) 및 상기 각 모터(21,43,61)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70)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마부(50)는 상기 가이드(1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고 하우징(51)의 내측에 종동축(52)이 등간격으로 입설되어 이에 축설된 풀리(54)가 구동축(53)과 벨트(55)로 연결되며 저면에 마모부재(57)가 부착된 스핀들(56)이 저부에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부(60)는 하우징(5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구동축(53)의 상부 선단에 베벨기어(62)가 각각 결합되어 상호 치합된 상태로 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53) 및 종동축(52)이 일제히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부(40)는 구동부(60)의 반대편 승강지지대(15)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통공(42)을 갖는 플레이트(41)의 상면에 승강모터(43)가 결합되어 상기 통공(41)을 통해 연마부(50)의 하우징(51) 일측과 체인(44)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승강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연마부(50)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권취부(20)는 권취롤러(14)의 일측 지지축(14')과 그 하방에 설치된 권취모터(21)가 타이밍벨트(22)로 연결되어 공급롤러(13)로부터 연마가 완료된 원단(80)을 단계적으로 감아 주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KR20-2003-0001712U 2003-01-20 2003-01-20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KR200312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712U KR200312709Y1 (ko) 2003-01-20 2003-01-20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712U KR200312709Y1 (ko) 2003-01-20 2003-01-20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709Y1 true KR200312709Y1 (ko) 2003-05-13

Family

ID=4933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712U KR200312709Y1 (ko) 2003-01-20 2003-01-20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7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08B1 (ko) 2007-09-21 2009-04-28 문장식 다수개의 무늬모양 및 문자를 직물지 표면에 형성하는연마장치.
KR100972423B1 (ko) 2010-04-22 2010-07-26 김광철 구제기계
KR101932464B1 (ko) 2017-07-28 2018-12-26 (주)비피텍스 가변 패턴 형성기능을 갖는 원단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08B1 (ko) 2007-09-21 2009-04-28 문장식 다수개의 무늬모양 및 문자를 직물지 표면에 형성하는연마장치.
KR100972423B1 (ko) 2010-04-22 2010-07-26 김광철 구제기계
KR101932464B1 (ko) 2017-07-28 2018-12-26 (주)비피텍스 가변 패턴 형성기능을 갖는 원단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81912B (zh) 汽车内饰顶篷面料的加工工艺
KR200312709Y1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KR20090123219A (ko) 가죽가공장치
KR100488443B1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KR100895108B1 (ko) 다수개의 무늬모양 및 문자를 직물지 표면에 형성하는연마장치.
KR200160469Y1 (ko) 파일직물의 엠보스 성형장치
KR100218830B1 (ko) 의류품에 마모된 외양을 제공하는 작업방법 및 장치
CN113246601B (zh) 一种高弹春亚纺加工用印花装置及其印花方法
KR200297969Y1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KR20080004577U (ko) 청바지 탈색마모장치
KR200145480Y1 (ko) 파일직물의 엠보스 성형장치
KR19980010846U (ko) 양산에 레이스를 용착시키기 위한 초음파 장치
KR101021500B1 (ko) 원단 무늬 생성장치
KR100285553B1 (ko)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KR100543387B1 (ko) 직물의 무늬형성을 위한 연마장치
KR200338000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JP4108229B2 (ja) 研摩模様付け表面仕上げ装置
CN213108645U (zh) 一种纺织品印花装置
KR960003343Y1 (ko) 투명 유리에 요철을 형성되게한 브러쉬 장치
CN215551080U (zh) 一种下沉式胚体用生产装置
CN109834813A (zh) 一种瓷砖印花机
KR100520751B1 (ko) 건축자재용 홈 및 다각형 무늬 인쇄기
CN219670835U (zh) 一种高耐磨迷彩布料提高色牢度的空气氧化装置
KR200338101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0298340Y1 (ko) 접착식 스팽글 부착장치의 원단 텐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