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537A -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537A
KR19990007537A KR1019980041432A KR19980041432A KR19990007537A KR 19990007537 A KR19990007537 A KR 19990007537A KR 1019980041432 A KR1019980041432 A KR 1019980041432A KR 19980041432 A KR19980041432 A KR 19980041432A KR 19990007537 A KR19990007537 A KR 19990007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pot welding
tip
electrode tip
spark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720B1 (ko
Inventor
한상무
Original Assignee
엄병윤
세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병윤, 세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병윤
Priority to KR101998004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72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2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arthed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spark gaps or sparking plugs
    • H01T2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spark gaps or sparking plugs of sparking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ark Plu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염작용을 줄임으로써 혼합기의 착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성이 우수한 점화플러그용 전극팁의 제공과, 전극팁을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에 견고하게 접합시킴으로써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되는 점화플러그용 전극팁으로서, 본체(30)와; 상기 본체의 상반부 둘레로 형성되는 용접살(31)과;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폿용접돌기(33)와; V자 단면을 가진 십자형, 원형 및 V자 단면을 가진 격자형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소염방지홈(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은, 스폿용접기(7)의 스폿용접전극(71) 상면에 전극팁(3)을 고정배치함과 아울러 저면이 스폿용접돌기(33)와 접하도록 점화플러그의 전극(4)을 배치하여 스폿용접함으로써 스폿용접돌기와 전극의 저면을 서로 접합하는 1차 스폿용접단계와; 상기 용접된 전극을 레이저용접기(9)에 배치하여 상기 용접살(31)에 레이저 빔(LB)을 방사하여 용접살을 용융시킴으로써 전극과 전극팁의 접합부인 중앙용접부 및 테두리부를 증대시키는 레이저 용접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본 발명은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과 접지전극에 접합되는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심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불꽃이 꺼져 혼합기의 착화성을 악화시키는 현상, 즉 이른바 소염작용을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에 대한 접합성이 우수한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화장치는 점화코일에서 발생한 고압전류가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에 인가되어 중심전극과 접지전극과의 사이 간극에서 방전에 의한 전기불꽃을 발생함으로써 흡기밸브를 통하여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혼합기를 착화시키는 것으로서, 통상 축전지, 점화코일, 점화스위치, 배전기, 고압케이블, 점화플러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화플러그는 중심전극과, 점화코일에서 발생하는 고압전류를 상기 중심전극으로 도입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둘러싸 이를 절연하는 절연애자와, 상기 절연애자 및 전극을 보호하도록 이들을 둘러싸며 실린더헤드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가진 하우징과, 그리고 엔진에 접촉하는 상기 하우징의 수나사부의 하단 일측으로 연장굴곡되어 상기 중심전극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접지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들은 통상적으로 고온연소분위기에서 우수한 내용융성, 고온내식성 및 내스파크소모성을 가진 니켈합금으로 이루어지지지만 고온강도가 불충분하여 장기적으로 안정된 전기불꽃을 얻기 힘들고 비교적 단시간에 사용수명이 끝나기 때문에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의 서로 대응하는 면에는 통상 백금 또는 백금계 합금과 같은 귀금속 재질의 전극팁이 접합됨으로써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점화코일로부터 유기된 고압전류가 중심축을 통하여 중심전극에 인가되면 전극팁들 사이에서 방전에 의하여 전기불꽃이 발생함으로써 연소실의 혼합기가 착화되어 화염전파에 의하여 폭발행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점화플러그에 있어서는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에 접합되는 귀금속 전극팁들이 한국 공개특허 제98-66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원통형이나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팁들의 서로 대향하는 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이른바 소염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즉 전극팁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불꽃이 꺼져 혼합기의 착화성을 악화시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전극팁들은 전극들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접합된 것이지만 종래 전극팁들은 단순히 스폿용접에 의하여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에 접합되기 때문에 접합력이 약하여 전극팁들이 전극들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염작용을 줄임으로써 혼합기의 착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합성이 우수한 점화플러그용 전극팁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팁을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에 견고하게 접합시킴으로써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극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팁이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극팁이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팁이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팁이 점화플러그의 접지전극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극팁이 점화플러그의 접지전극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팁이 점화플러그의 접지전극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팁을 중심전극에 용접하는 과정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팁을 중심전극에 용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팁이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에 각각 용접된 점화플러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화플러그, 3 : 전극팁,
4 : 중심전극, 5 : 접지전극
7 : 스폿용접기, 9 : 레이저 용접기,
31 : 용접살, 33 : 스폿용접돌기,
35 : 소염방지홈, 71 : 스폿용접전극,
75, 95 : 가압스프링, 91 : 전극고정지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 또는 접지전극에 접합되는 점화플러그용 전극팁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대략 상반부 둘레로 형성되는 용접살과;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폿용접돌기와; V자 단면을 가진 십자형, 원형 및 V자 단면을 가진 격자형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소염방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염방지홈이 V자 단면을 가진 십자형 또는 V자 단면을 가진 격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소염방지홈은 본체의 저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염방지홈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소염방지홈은 본체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에 저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두 개의 전극팁이 차례로 접합되면, 중심전극 및 접지전극에 접합된 두 전극팁들의 사이에 방전에 의한 전기불꽃이 발생할 때 화염이 유입되어 화염핵, 즉 전기불꽃의 크기가 확대되므로 혼합기가 쉽게 착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대략 상반부 둘레로 형성되는 용접살과,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폿용접돌기와, 그리고 V자 단면을 가진 십자형, 원형 및 V자 단면을 가진 격자형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소염방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스폿용접기의 스폿용접전극 상면에 상기 스폿용접돌기가 위를 향하도록 전극팁을 고정배치함과 아울러 저면이 상기 스폿용접돌기와 접하도록 점화플러그의 전극을 배치하여 1차로 스폿용접함으로써 상기 스폿용접돌기와 전극의 저면을 서로 접합하는 1차 스폿용접단계와; 1차 스폿용접에 의하여 접합된 전극팁을 가진 전극을 스폿용접기로부터 이탈시켜 레이저용접기에 배치하여 상기 전극팁의 용접살에 레이저 빔을 방사하여 용접살을 용융시킴으로써 전극과 전극팁의 접합부인 중앙용접부(nugget;너겟) 및 테두리부(corona pond)를 증대시키는 레이저 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스폿 용접시에 전극팁이 전극쪽으로 힘을 받도록 전극팁을 고정하는 스폿용접기의 스폿용접전극 하부에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레이저 빔은 용접살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방사되고, 레이저 빔 조사중 레이저 빔 방사부를 용접살 둘레로 회전시키거나 전극을 고정하고 있는 전극고정지그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용접시 용착성의 향상과 용접시간 단축을 위하여 전극팁이 중심전극쪽으로 힘을 받도록 레이저 용접기의 전극고정지그 하부에도 가압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에 따르면, 1차 스폿용접 및 레이저 용접을 거쳐 이중으로 용접됨으로써 전극팁과 접합부인 중앙용접부 및 테두리부의 성장상태가 양호하게 유도되므로 전극팁의 접합상태가 우수하다. 1차 스폿용접시에는 물론 레이저 용접시에도 스프링에 의하여 전극과 전극팁을 가압하여 용접하면 가압력이 증대되어 접합부의 용융이 촉진되어 중앙용접부 및 테두리부의 성장이 더욱 촉진되므로 전극팁의 접합상태가 더욱 우수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도 2,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팁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조부호 3은 전극팁으로서, 귀금속, 예컨대 백금이나 Pt-Ni, Pt-Ir 또는 Pt-Pd와 같은 백금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팁(3)의 본체(30)이다. 본체(30)의 상단부 둘레로 용접살(31)이 형성됨으로써 본체(30)의 하단부는 용접살(31)보다 직경이 작은 단차부로 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 용접살(31)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팁(3)을 중심전극(4) 또는 접지전극(5)에 접합하기 위하여 거치는 한 공정인 레이저 용접공정을 위하여 제공된다.
실시예 1에 따르면, 본체(30)의 상면에는 스폿용접돌기(33)가 형성됨으로써 스폿용접돌기(33)는 용접살(31)의 상면 안쪽 위로 돌출되어 있다. 스폿용접돌기(33)의 상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중앙이 위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폿용접돌기(33)의 상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면 후술하겠지만, 전극팁(3)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플러그(1)(도 15 참조)의 중심전극(4)에 접합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플러그(1)의 접지전극(5)에 접합하기 위한 스폿용접시에 스폿용접돌기(33)와 전극(4 또는 5)과의 접촉 단면적이 작아지고, 따라서 통전시의 저항열이 커져 스폿용접돌기(33)와 전극(4 또는 5)과의 접합부가 쉽게 용착될 수 있으므로 스폿용접에 유리하다.
실시예 1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저면에는 V자 단면을 가진 십자형 소염방지홈(35)이 형성된다. 이 소염방지홈(35)은 본체(30)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십자형 소염방지홈(35)을 가진 전극팁(3)이 중심전극(4) 및 접지전극(5)에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점화플러그(1)의 중심전극(4)에 점화코일을 통하여 유기된 고압전류가 점화플러그(1)의 중심축을 통하여 인가되면 방전에 의한 전기불꽃이 발생한다. 이 전기불꽃은 소염방지홈(35)에 유입됨으로써 화염핵, 즉 전기불꽃의 크기가 확대되어 소염방지홈(35)를 통하여 방사상으로 전파되므로 전기불꽃이 꺼지는 소염작용이 줄어들어 혼합기의 착화가 쉽게 일어난다.
실시예 2
도 3, 도 4,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극팁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전극팁(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저면 중앙에 원형의 소염방지홈(35)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이 전술한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므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전극팁(3)이 중심전극(4)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전극팁(3)이 접지전극(5)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5, 도 6,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팁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팁(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저면 중앙에 원형의 소염방지홈(35)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모두 동일하므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팁(3)이 중심전극(4)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전극팁(3)이 접지전극(5)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편의상 외주면이 대략 원통면으로 된 본체(30)를 가진 전극팁(3)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육면체로 된 본체를 가진 전극팁이나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된 본체를 가진 전극팁에도 용접살(31), 스폿용접돌기(33) 및 소염방지홈(35)의 형상이 전술한 바와 같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전극팁들도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에,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된 전극팁(3)들을 점화플러그(1)의 중심전극(4) 및 접지전극(5)에 접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극팁(3)을 중심전극(4)에 접합하는 방법 및 전극팁(3)을 접지전극(5)에 접합하는 방법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중심전극(4)에 전극팁(3)을 접합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1차 스폿용접을 행하기 위하여 도 13a와 같이 전극팁(3)을 스폿용접기(7)의 스폿용접전극(71) 상면에 놓는다. 스폿용접전극(71)의 상면에는 전극팁(3)의 소염방지홈(35)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30)의 저면 둘레의 단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에 삽입홈(7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팁(3)을 스폿용접전극(71)에 배치하면 스폿용접돌기(33)가 위롤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스폿용접전극(71)에 배치된 전극팁(3)의 상부에 저면이 전극팁(3)의 스폿용접용기와 접하도록 중심전극(4)을 배치하여 스폿용접전극(71) 및 중심전극(4)을 통전시키면 저항열에 의하여 중심전극(4)의 저면과 전극팁(3)의 용접돌기와의 접촉부분이 연화되어 용융된다. 스폿용접의 특성상 스폿용접돌기(33)와 중심전극(4)이 접촉하는 단면적이 작으면 통전시의 저항이 커져 발열량이 커지기 때문에 스폿용접돌기(33)와 중심전극(4)과의 접합부가 쉽게 용착될 수 있으므로 스폿용접에 유리하다. 그리고, 접촉부분이 용융되면 통전면적이 확대되어 전류밀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발열량이 감소하여 자연적으로 냉각작용이 일어나 용착부가 응고됨으로써 스폿용접돌기(33)와 중심전극(4)의 저면이 도 13b에 점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용접부(nugget) 및 테두리부(corona pond)로 형성되어 서로 접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1차 용접시에 중심전극(4)과 전극팁(3) 사이의 가압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전극팁(3)이 중심전극(4)쪽으로 힘을 받도록 전극팁(3)을 고정하고 있는 스폿용접전극(71) 하부에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스프링(7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레이저 용접을 행하기 위하여 전극팁(3)이 접합된 중심전극(4)을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폿용접기(7)로부터 이탈시켜 레이저 빔(LB)(도 13c 참조)이 전극팁(3)의 용접살(31)의 일측으로 방사되도록 레이저 용접기(9)의 전극고정지그(91)에 배치한다. 용착성의 향상 및 용접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기 위하여 레이저 빔(LB)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살(31)의 양쪽에 방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심전극(4)을 배치하여 레이저 빔(LB)을 용접살(31)에 방사하면 용접살(31)이 용융되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전극(4)과 전극팁(3)의 접합부인 중앙용접부 및 테두리부가 확산,증대되므로 1차 스폿용접시보다 접합력이 강화된다.
이 레이저 용접시에는 용접살(31)의 둘레가 고르게 용융되고 또한 신속하게 용융됨으로써 용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13c와 같이 레이저 빔(LB)이 용접살(31) 둘레로 회전하면서 용접살(31)에 방사되도록 하거나,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고정지그(91)를 회전함으로써 중심전극(4)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빔(LB) 방사시 전극팁(3)이 중심전극(4) 쪽으로 힘을 받도록 전극팁(3)을 고정하고 있는 전극고정지그(91)의 하부에도 가압스프링(9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작용에 의하여 전극팁(3)과 중심전극(4)의 접합부가 가압됨으로써 용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용착성이 우수하다. 즉, 도 13d 및 도 13c에 점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전극(4)과 전극팁(3)의 접합부인 중앙용접부 및 테두리부가 더욱 확산,증대되고, 따라서 중심전극(4)과 전극팁(3)의 접합력이 향상되어 전극팁(3)이 중심전극(4)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다.
전극팁(3)을 접지전극(5)에 접합하는 방법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과 동일하고, 이와 같이 전극팁(3)이 접합된 중심전극(4) 및 접지전극(5)을 조립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화플러그(1)를 완성한다.
참조부호 2는 점화플러그(1)의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팁에 의하면, 전극팁(3)의 본체(30) 저면에 전기불꽃이 발생할 때의 소염작용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소염방지홈(35)이 형성됨으로써 이 전극팁(3)이 점화플러그(1)의 전극(4 및 5)에 각각 접합되어 이루어진 점화플러그(1)를 점화시키면 양쪽 전극팁(3,3) 사이에서 방전에 의하여 전기불꽃이 발생하여 양쪽 전극팁(3,3)의 소염방지홈(35,35)에 화염이 유입되어 화염핵, 즉 전기불꽃의 크기가 확대되므로 혼합기가 쉽게 착화되어 엔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혼합기가 쉽게 착화됨에 따라 점화코일에 공급되는 전압이 낮아도 좋고, 따라서 점화장치를 구성하는 점화코일, 배전기 또는 점화케이블과 같은 전기장치계통이 고전압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점화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극팁(3) 둘레로 용접살(31)이 형성되고, 전극팁(3)의 접합면에 스폿용접돌기(33)가 돌출설치됨으로써 전극(4 또는 5)에 대한 전극팁(3)의 용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극팁(3)을 전극(4 또는 5)에 접합할 때 1차로 스폿용접을 수행하여 전극팁(3)과 전극(4 또는 5)의 접합부에 중앙용접부 및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그 다음에 2차로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용접살(31)을 용융시켜 중앙용접부 및 테두리부를 확산,증대시켜 전극팁(3)을 점화플러그(1)의 전극(4 또는 5)에 접합하는 방법이 채용됨으로써 전극팁(3)이 전극(4 또는 5)에 견고하게 접합되어 박리되지 않고, 따라서 전극(4 또는 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차 스폿용접후에 레이저 용접을 행하면 용접을 신속하고 빠르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품질도 향상된다.

Claims (5)

  1.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 또는 접지전극에 접합되는 점화플러그용 전극팁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대략 상반부 둘레로 형성되는 용접살과;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폿용접돌기와; 그리고,
    V자 단면을 가진 십자형, 원형 및 V자 단면을 가진 격자형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소염방지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2. 본체와, 상기 본체의 대략 상반부 둘레로 형성되는 용접살과,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폿용접돌기와, 그리고 V자 단면을 가진 십자형, 원형 및 V자 단면을 가진 격자형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소염방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스폿용접기의 스폿용접전극 상면에 상기 스폿용접돌기가 위를 향하도록 전극팁을 고정배치함과 아울러 저면이 상기 스폿용접돌기와 접하도록 전극을 배치하여 1차로 스폿용접함으로써 상기 스폿용접돌기와 전극의 저면을 서로 접합하는 1차 스폿용접단계와;
    상기 1차 스폿용접에 의하여 접합된 전극팁을 가진 전극을 스폿용접기로부터 이탈시켜 레이저용접기에 배치하여 상기 전극팁의 용접살에 레이저 빔을 방사하여 용접살을 용융시킴으로써 전극과 전극팁의 접합부인 중앙용접부(nugget;너겟) 및 테두리부(corona pond)를 증대시키는 레이저 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폿 용접중에 스폿용접전극 하부에 설치된 가압스프링에 의하여 전극팁을 전극쪽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용접중에 레이저 빔은 용접살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방사되고, 레이저 빔 방사중 레이저 빔 방사부가 용접살 둘레로 회전되거나 전극을 고정하고 있는 전극고정지그가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용접중에 레이저 용접기의 전극고정지그 하부에 설치된 가압스프링에 의하여 전극팁이 중심전극쪽으로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KR1019980041432A 1998-10-01 1998-10-01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KR10027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432A KR100271720B1 (ko) 1998-10-01 1998-10-01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432A KR100271720B1 (ko) 1998-10-01 1998-10-01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37A true KR19990007537A (ko) 1999-01-25
KR100271720B1 KR100271720B1 (ko) 2000-11-15

Family

ID=1955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432A KR100271720B1 (ko) 1998-10-01 1998-10-01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5596A1 (ko) * 2009-11-25 2011-06-03 주식회사 유라테크 점화플러그 및 이의 제조를 위한 점화플러그 전극팁 용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46B1 (ko) * 2006-04-11 2007-10-02 주식회사 세림테크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에 귀금속 팁을 접합하기 위한 방법
KR100973025B1 (ko) * 2007-10-24 2010-07-30 주식회사 유라테크 점화 플러그의 전극팁 장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5596A1 (ko) * 2009-11-25 2011-06-03 주식회사 유라테크 점화플러그 및 이의 제조를 위한 점화플러그 전극팁 용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720B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7495B2 (en) Spark plug having precious metal pad attached to groun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39979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park plug
JP3425973B2 (ja) スパークプラ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56724A (en) High efficiency, extended life spark plug having shaped firing tips
JPH0696837A (ja) 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EP337859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park plug with first and second laser welding steps
EP1121736B1 (en) Application of precious metal to spark plug electrode
US2004009219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park plug
US6705009B2 (en) Process for producing middle electrode
KR100271720B1 (ko) 점화플러그용 전극팁 및 상기 전극팁을 점화플러그의 전극에 접합하는 방법
US20050077807A1 (en) Method-for producing a spark plug, and spark plug
KR100973025B1 (ko) 점화 플러그의 전극팁 장착방법
JP3796849B2 (ja) スパークプラ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32933A (ko) 내연기관용 점화플러그 및 그 제조방법
JPH08171976A (ja) 内燃機関用スパークプラグ
JP2011204668A (ja) 点火プラグ及びその点火プラグの製造方法
JP3796845B2 (ja) スパークプラグ
JPH06111919A (ja) 内燃機関用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JPH0737676A (ja) 内燃機関用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JP7463864B2 (ja) 内燃機関用のスパーク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7126961B2 (ja) 点火プラグ
KR101386107B1 (ko) 점화플러그 및 이의 제조를 위한 점화플러그 전극팁용접방법
US20130221831A1 (en) Laser welded spark plug electrod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24031227A (ja) スパークプラグ、及び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JP5149839B2 (ja) スパーク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