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767A - 세정기 - Google Patents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767A
KR19990006767A KR1019980021190A KR19980021190A KR19990006767A KR 19990006767 A KR19990006767 A KR 19990006767A KR 1019980021190 A KR1019980021190 A KR 1019980021190A KR 19980021190 A KR19980021190 A KR 19980021190A KR 19990006767 A KR19990006767 A KR 19990006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ver
locking
wash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9558B1 (ko
Inventor
요시오 이케다
도시오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다이조
Publication of KR1999000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조가 윗면에 개구부를 갖는 구조의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덮개(25)를 뒤 덮개본체(26)와 앞 덮개본체(27)와의 연결 구조로 하여 개방시에 2개로 접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크기가 작은 소형의 형태로 이루고, 또 폐쇄상태에서는 덮개(25)가 2개로 접힌 상태에서 펼쳐져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고, 이 상태에서 록용 걸림부재(56, 57)가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록되도록 하고,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조작은 조작부재(49)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덮개를 상하 회전식으로 하면서도 개방시에 찬장 등에 닿을 우려가 없고, 또 덮개가 눈에 거슬리지도 않고, 또 폐쇄상태에서는 덮개를 폐쇄상태로 확실히 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정기
본 발명은 세정조가 윗면에 개구부를 갖는 구조의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식기세정기 등의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조가 윗면에 개구부를 갖는 것은 피세정물의 출입이 그 세정조의 윗면의 개구부로부터 가능하여 사용자가 한번 더 구부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편리한 잇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윗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는 덮개가 일반적으로 가로 방향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세정기의 설치 장소의 윗쪽에 찬장 등 다른 설비가 있는 경우가 많고, 덮개가 개방상태에서 찬장 등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가로 방향 슬라이드식 덮개는 캐비넷의 천장판에 덮개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식기 세정기를 캐비넷의 뒤에 부착하는 경우 캐비넷의 천장판에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식기세정기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거나 곤란해져버린다.
이것을 피하는데는 덮개를 후단측 회전 지지 가능한 상하 회전식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천장판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할 필요를 없애면 좋지만 세정조의 윗면의 개구부는 피세정물의 출입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상당히 크고, 이것을 폐쇄하는 덮개도 상당히 대형이다. 이때문에 덮개를 상하 회전식으로 하면 덮개가 열렸을 때 상기한 찬장 등에 닿아버린다. 또한, 찬장 등에 닿지 않는다고 해도 개방 상태에서는 대형의 덮개가 기립 상태가 되기 때문에 눈에 거슬리는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덮개를 가이드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상하 회전식으로 하면서도 개방시에 찬장 등에 닿을 우려가 없고, 또 덮개가 눈에 거슬리지 않도록 하고, 또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를 폐쇄상태로 확실히 둘 수 있어 세정물의 비산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세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덮개의 폐쇄상태로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평면도,
도 2는 덮개의 개방 상태로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덮개의 폐쇄 상태로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G-G선을 따르는 주요 부분의 종단 측면도,
도 5는 주요 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회전 지지 가능 기구의 확대 평면도,
도 7은 도 6의 H-H선을 따르는 축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5의 I-I선을 따르는 회전 지지 가능 기구 부분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5의 J-J선을 따르는 회전 지지 가능 기구 부분과 덮개 부분의 분해 종단면도,
도 10은 록 기구 부분 전체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의 K-K선을 따르는 측면의 록(lock)기구 부분의 확대 종단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L-L선을 따르는 측면의 록기구 부분에서 덮개 개폐 검출 기구 부분에 걸친 종단측면도,
도 13은 도 3의 M-M선을 따르는 배기구 부분의 확대 종단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0의 해당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의 해당도,
도 16은 도 4의 해당도,
도 17은 도 16의 N-N선을 따르는 조작부재로부터 슬라이더에 걸친 부분의 종단 정면도,
도 18은 도 10의 해당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 부분의 해당도,
도 20은 도 19의 화살표 P방향으로 본 제 2 걸림부 부분의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 상당도 및
도 22는 도 21의 Q-Q선을 따르는 배기구 부분의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4 : 식기 세정기(세정기)
7 : 개구부 11 : 세정조
16 : 분수암(세정기구) 25 : 덮개
26 : 뒤 덮개본체 27 : 앞 덮개본체
26a, 27a : 상부 껍질(상부벽), 26b, 27b : 하부껍질(하부벽)
26c, 27c : 연결부 29 : 샤프트
30 : 회전 지지 가능 기구 31 : 축
33 : 레버 34 : 스프링(탄성체)
40 : 탄성 부착 부재 40a: 대략 U자형상부
L0 : 덮개의 회전 지지 가능부에서 선단부까지의 길이
L1 : 덮개의 회전 지지 가능부에서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까지의 길이
43 : 패킹(물밀봉부재) 44, 45 : 볼록부
46 : 패킹(제 2 물 밀봉부재) 47 : 손잡이부
49 : 조작부재 50 : 보스
51, 52 : 핀(변환기구) 56, 57 : 록용 걸림부재
56a, 57a : 가이드부 58, 59 : 긴 구멍(변환기구)
60∼63 : 안내부 64 : 리브
67, 68 : 스프링(탄성체) 69, 70 : 오목부(걸어맞춤부)
71 : 검출 기구(덮개 개폐 검출 수단) 72 : 검출 레버
76 : 마이크로스위치 77 : 고리 피스(제 2 걸림부)
77a : 가이드부 78 : 스프링(탄성체)
79 : 오목부(제 2 걸림부) 80 : 물배출구멍
81 : 배기구 91, 92 : 피니언(변환기구)
93, 94 : 랙(변환기구) 101 : 손잡이부
103 : 조작부재 104 : 축부
105, 106 : 슬라이더(변환기구) 105a, 106a : 사면부
107 : 스프링(탄성체) 108, 109 : 레버(변환기구)
116, 117 : 록용 걸림부재 116a, 117a : 가이드부
122∼125 : 안내부 126 : 개구부
127 : 세정조 128 : 상부 테두리
140 : 패킹(탄성체) 141 : 오목부(제 2 걸어맞춤부)
151 : 제 2 걸림부 153 : 볼록부(제 2 걸어맞춤부)
161 : 배기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정기는 윗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의 내부에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구와,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한단측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2개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개방시에는 2개로 접히고, 폐쇄시에는 펼쳐져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이 덮개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 근방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조측에 걸거나 벗기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덮개를 폐쇄 상태로 록하는 록용 걸림부재와, 이 록용 걸림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덮개는 개방시에 2개로 접혀지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소형의 형태가 된다. 또한, 폐쇄 상태에서는 덮개는 2개로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져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고, 이 상태에서 록용 걸림부재가 세정조측에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록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시스템 키친의 설겆이대용 캐비넷에 조립하는 식기 세정기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는 시스템 키친의 설겆이대용 캐비넷(1)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의 예를들면 스텐레스판으로 이루어진 천장판(2)에는 싱크(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싱크(3)의 측쪽부에는 물배출판부(4)를 형성하고, 그리고, 그 물배출판부(4)의 측쪽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정기(5)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식기세정기(5)는 통본체(6)를 주체로 구성한 것으로 그 통본체(6)는 천장판(2)에 형성한 개구부(7)(도 4 참조)를 통하여 윗쪽에서 캐비넷(1)내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식기 세정기(5)는 시스템키친의 설겆이대용 캐비넷(1)을 외부상자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통본체(6)는 플라스틱제로 그 상부에는 둘레 테두리부에 부착용 플랜지부(8), 오목부(9) 및 단부(10)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차례로 형성하고, 그리고, 그 단부(10)의 안쪽에 윗면이 개구된 세정조(1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통본체(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10)를 천장판(2)의 개구부(7) 둘레 테두리의 플랜지부(12)에 물 밀봉용 가스켓(13)을 통하여 얹어 설치하고, 그 위에서 복수개의 나사(14)에 의해 조이는 것에 의해서 천장판(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통본체(6)의 나사(14) 삽입부의 윗쪽에는 나사 은폐용 캡(15)을 장착하고 있다.
세정조(11)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에 세정기구를 형성하는 분수암(16) 및 히터(17)를 설치하고 있으며, 그 상부에 피세정물인 식기를 수용하는 식기바구니(18)를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 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다. 또한, 세정조(11)에는 급수밸브(19)를 구비한 급수관(20)을 접속하고 있으며, 그 급수밸브(19)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서 수도물이 급수관(20)으로부터 세정조(11)내로 소정 수위가 되기까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물은 상기 히터(17)에 의해서 소정 온도 예를 들면 60[℃] 정도까지 가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정조(11)의 외측에는 세정 펌프(21)와 배수 펌프(22)를 설치하고 있으며, 그 세정펌프(21)에 의해서 세정조(11)의 바닥부에 설치한 필터 부착 저장탱크부(23)로부터 세정조(11)내의 세정물을 흡입하여 상기 분수암(16)에 압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수펌프(22)에 의해서 동일 저장탱크부(23)로부터 세정조(11)내의 세정물을 흡입하여 상기 싱크(3)의 도시하지 않은 배수관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분수암(16)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물이 압송되어오면 그 세정물을 식기바구니(18)내의 식기(피세정물)를 향해서 분사함과 동시에 그 분사의 반동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회전에 의해 식기에 세정물이 치우치지 않고 식기의 세정이 실시된다.
또한, 세정조(11)의 외측에는 송풍기(24)를 설치하고 있다. 이 송풍기(23)는 건조 공정시에 세정조(11)내에 외부공기를 보내는 것으로 그 보내진 공기는 상기 히터(17)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화되고, 이 열풍에 의해 세정후의 식기를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는 덮개(25)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 덮개(2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덮개 본체인 뒤 덮개본체(26)와, 제 2 덮개본체인 앞 덮개본체(27)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양 덮개본체(26, 2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상부 껍질(26a, 27a)과 하부껍질(26b, 27b)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부 껍질(26a, 27a) 및 하부껍질(26b, 27b)은 예를들면 모두 플라스틱제이지만 그중에서도 하부껍질(26b, 27b)은 내열 플라스틱제로 되어 있다(상부 껍질(26a, 27a)도 내열 플라스틱제로 해도 좋다).
양 덮개본체(26, 27)는 이것들의 상부 껍질(26a, 27a)과 하부껍질(26b, 27b)을 각각 나사(28)에 의해 결합하여 속이 빈 편평한 직사각형 상자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며(이 경우, 나사(28)에 의한 결합 구조는 뒤 덮개본체(26)에 대해서만 도시했지만 앞 덮개본체(27)도 동일함), 또한, 하부껍질(26b, 27b)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의 연결부(26c, 27c)를 서로 배치하여 각각 가로로 일렬형상으로 다수 형성하고, 이것들을 조합하여 1개의 가는 봉형상 샤프트(29)(도 4 참조)를 통해 연결하는 것에 의해 양 덮개 본체(26, 27)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덮개(25)로는 2개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25)는 한단측인 뒤 덮개본체 본체(26)의 후단부를 세정조(11)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덮개(25)의 뒤 덮개본체(26)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회전 가능 회전 지지 가능기구는 축(31)을 갖는 것으로, 이 축(31)은 상세하게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부(31a)와, 단면 비원형 예를들면 작은 판형의 비원주부(31b)를, 원형의 차양부(31c)를 경계로 하여 그 양측에 갖고 있다.
회전 지지 가능 기구(30)는 그외에 원기둥형상의 베어링부(32a)를 갖는 베어링부재(32)와 레버(33), 탄성체인 스프링(34) 및 부착판(35)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중의 베어링부재(32)의 베어링부(32a)에 축(31)의 원기둥부(31a)를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레버(33)는 축(31)의 원기둥부(31a)의 반비원기둥부(31b)측 단부에 나사(36)에 의해서 부착하고, 상기 레버(33)의 선단부와 부착판(35)의 앞부분에 형성된 상승부(35a)와의 사이에 스프링(34)을 팽팽하게 걸어놓고 있다.
그리고, 회전 지지 가능기구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셋트를 1셋트씩 좌우로 나눠 상기 통본체(6)의 후변부의 단부(10)위에 배치하고, 이 위치에서 축(31)의 비원기둥부(31b)가 각각 외부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판(35)을 베어링부재(32)와 함께 나사(37)에 의해서 통본체(6)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통본체(6)의 후변부의 단부(10)위에는 카바(38)를 고리(39)에 의해서 부착하고, 이 카바(38)에 의해서 양 회전 지지 가능기구를 덮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31)의 비원기둥부(31b)만을 카바(38) 바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한편, 덮개(25)에는 뒤 덮개본체 본체(26)의 후단부의 양측에 탄성 부착부재(40)를 나사(41)에 의해서 부착하고 있다. 이 탄성부착부재(40)는 선단부측에 거의 대략 U자형상부(40a)를 갖는 것으로, 그 대략 U자형상부(40a) 측면의 자유편부(40b)의 내측에는 고리(40c)를 형성하고 있고, 이 고리(40c)를 갖는 자유편부(40b)의 탄성에 의해 대략 U자형상부(40a)를 상기 카바(38)로부터 돌출한 축(31)의 비원기둥부(31b)에 걸어 맞춰져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덮개(25)의 뒤 덮개본체(26)의 후단부를 세정조(11)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25)의 회전 지지 가능부에서 덮개(25) 전체의 선단부인 앞 덮개본체(27)의 전단부까지의 길이를 L0으로 하고, 지지부로부터 2개 접을 수 있는 부분인 뒤 덮개본체(26)의 전단부까지의 길이를 L1으로 했을 때, 길이 L1이 길이 L0 보다 반정도 큰, 즉 L1〉(L0/2)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조(11)측의 개구부 둘레 테두리인 단부(10)에는 홈(42)을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고 있고, 이 홈(4)에 물 밀봉부재인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패킹(43)을 장착하고 있다. 이 패킹(43)에 대해 덮개(25)의 뒤덮개 본체(26)의 내면 및 앞 덮개본체(27)의 내면에는 각각 볼록부(44, 45)를 뒤 덮개본체(26) 및 앞 덮개본체(27)의 연결부분을 제외하고 コ자형의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44, 45)는 덮개(25)의 폐쇄상태에서 패킹(43)을 누르는 돌출 크기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25)의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맞춤 부분인 상기 뒤 덮개 본체(26) 및 상기 앞 덮개 본체(27)의 맞춤 부분에는 제 2 물 밀봉부재인 패킹(46)을 맞추는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 패킹(46)은 상세하게는 예를들면 뒤 덮개본체(26)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뒤 덮개본체(26)에서 앞 덮개본체(27)의 후단면으로 압접하는 돌출 크기를 갖고 있다.
그리고, 덮개(25)의 선단부측인 앞 덮개본체(27)의 중앙부 보다 약간 뒤측 부분의 상측에는 손잡이부(47)를 설치하고 있다. 이 손잡이부(47)는 앞 덮개본체(27)의 중앙부 보다 약간 후측의 부분에서 상기 상부 껍질(27a)에 형성한 원형의 오목부(48)와, 이 오목부(48)에 수납한 조작부재(49)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조작부재(49)는 오목부(48)의 앞의 거의 반정도를 차지하는 덮개 부착 주발 형상물을 세로로 반으로 나눈 자루 형상을 이루고, 바닥부(49a)만 원형을 이루고 있다. 이 조작부재(49)의 바닥부(49a)에는 중심부에 원통형상의 보스(50)를 갖고 있으며, 그 뒤부분과 앞부분에 핀(51, 52)을 갖고 있고, 보스(50)를 오목부(48)의 바닥부의 중심부에 와셔 부착의 나사(53)에 의해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핀(51, 52)을 오목부(48)의 바닥부에 형성한 구멍(54, 55)을 통하여 아래쪽 앞 덮개 본체(27)내로 돌출시키고 있다.
앞 덮개 본체(27)내에는 덮개(25)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근방에 위치하여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설치하고 있다. 이 록용 걸림부재(56, 57)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형상이고, 각 한단부에 좌우로 긴 구멍(58, 59)을 갖고 있으며, 이 긴 구멍(58, 59)에 상기 조작부재(49)의 핀(51, 52)을 끼워 맞추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49)의 핀(51, 52)을 통과한 오목부(48)의 구멍(54, 55)도 긴 구멍(58, 59)과 같은 긴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앞 덮개본체(27)내에는 중앙 주위의 부분과 좌우의 양 측부분에 각각 전후로 늘어서 좌우로 개방되는 안내부(60, 61, 62, 63)를 하부껍질(27b)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각 안내부(60∼63)의 각 사이에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안내부(60∼63)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 덮개본체(27)의 상부 껍질(27a)에는 록용 걸림부재(56, 57)의 각각에 대응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리브(64)를 형성하고 있으며(록용 걸림부재(56)에 대응하는 것만 도시했지만 록용 걸림부재(57)에 대응하는 것도 형성되어 있음), 이것들에 의해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하부껍질(27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눌러 덮개(25)의 상부 껍질인 앞 덮개본체(27)의 상부 껍질(27a)과 하부벽인 하부껍질(27b)사이에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용 걸림부재(56, 57)의 각 중간부와 앞 덮개 본체(27)의 하부껍질(27b)의 안내부(62, 63)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핀(65, 66) 사이에는 각각 탄성체인 스프링(67, 68)을 팽팽하게 걸고 있으며, 이것들에 의해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각각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져 그 각 선단부를 앞 덮개 본체(27)의 양 측 면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앞 덮개본체(27)의 양측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된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선단부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을 향해서 점차 상승하는 사면형상의 가이드부(56a, 57a)를 하측에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 세정조(11)측인 통 본체(6)의 오목부(9)측 벽면에는 걸어맞춤부인 오목부(69, 70)를 형성하고, 이것들에 록용 걸림부재(56, 57)가 각각 선단부를 계탈가능하게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69, 70)의 각각 내부로부터 외부에 걸쳐서 덮개 개폐 검출 수단인 검출 기구(71)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검출 기구(71)는 상세하게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단부(72a)를 오목부(69, 70)내에서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선단 가이드부(56a, 57a)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검출 레버(72)와, 이 검출 레버(72)의 원기둥형상의 중간부(72b)를 오목부(69, 70)의 측 벽부에 형성한 유지구멍(73)에 회전 가능하게 눌려져 나사(74)에 의해 고정된 누름판(75)과, 이 누름판(75)을 관통한 검출 레버(72)의 타단부(72c)에 의해 작동자(76a)가 눌려져 예를들면 온 작동되도록 배치된 마이크로스위치(76)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마이크로스위치(76)의 온 작동에 의해서 식기 세정기의 운전이 실행되고, 오프작동에 의해서 식기 세정기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덮개(25)의 선단부인 앞 덮개본체(27)의 전단부에는 중앙부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걸림부인 고리 피스(77)를, 탄성체인 스프링(78)에 의해 항상 앞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세정조(11)측인 덮개 본체(6)의 오목부(9) 앞 벽면에는 제 2 걸어맞춤부인 오목부(79)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패널 피스(77)도 선단부에는 앞쪽을 향해서 점차 상승하는 사면형상의 가이드부(77a)를 하측에 갖고 있다.
또한, 덮개(25)의 앞 덮개 본체(27)의 앞 단부의 좌우 양측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배출 구멍(8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 가능기구(30)를 덮은 카바(38)의 중앙부에는 배기구(81)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배기구(8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조(11)의 측벽 상부에 형성한 배기구멍(82)과 관로(83)에 의해 연통되는 것으로 그 관로(83)는 세정조(11)의 배기구멍(82) 둘레 테두리로부터 연출한 관로 주 벽(83a)과, 이 관로 주 벽(83a)에 결합된 관로 카바(8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관로 카바(84)에는 배기구멍(82)과 배기구(81)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배기구멍(82)으로부터 나오는 세정물이 배기구(81)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하는 물차단벽(84a)을 형성하고 있고, 또, 배기구(81)에는 루버(85)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4는 덮개(25)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덮개(25)는 뒤 덮개본체(26)와 앞 덮개본체(27)가 평탄하게 연결되어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으며, 그 윗면은 시스템키친의 설겆이대용 캐비넷(1)의 천장판(2)과 거의 면이 일치하고, 천장판(2)위에서의 작업에 덮개(25)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 회전 지지 가능기구(30)의 스프링(34)은 도 8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이며, 레버(33)로부터 축(31)을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것에 의해서 뒤 덮개본체(26), 더 나아가서는 덮개(25)의 전체를 폐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한편, 록용 걸림부재(56, 57)는 스프링(67, 68)의 힘에 의해 각각 선단부를 앞 덮개본체(27)의 양측 면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세정조(11)측의 오목부(69, 70)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덮개(25)를 폐쇄상태로 록하고 있다. 또한, 고리 피스(77)도 스프링(78)의 힘에 의해 선단부를 앞 덮개본체(27)의 앞 단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세정조(11)측의 오목부(79)에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로 덮개(25)를 폐쇄상태로 록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선단 가이드부(56a, 57a)에 의해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기구(71)의 검출 레버(72)가 한 단부(72a)를 눌러 내리고, 타단부(72c)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76)의 작동자(76a)를 밀어 넣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6)를 온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식기세정기의 운전이 사용자의 스타트 조작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또한, 이때 덮개(25)의 내면에 설치된 볼록부(44, 45)가 세정조(11)측의 패킹(43)을 눌러 세정조(11) 윗면의 개구부의 둘레 테두리와 덮개(25) 사이를 빈틈없이 봉하고 있으며, 덮개(25)의 뒤 덮개본체(26)과 앞 덮개본체(27) 사이에서는 패킹(46)이 그것들의 사이를 빈틈없이 봉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47)의 오목부(48) 보다 조작부재(49)에 손끝을 걸고, 이 걸은 손끝으로 조작부재(49)를 도 1 및 도 10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면 조작부재(49)는 보스(50)를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핀(51)에 의해 록용 걸림부재(56)를 화살표 B로 나타내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핀(52)에 의해 록용 걸림부재(57)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 조작부재(49)의 핀(51, 52) 및 이것을 끼워 맞춘 록용 걸림부재(56, 57)의 긴 구멍(58, 59)은 조작부재(49)의 수평 회전을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이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슬라이드는 각각 안내부(60∼63)에 의해 안내되고, 또 스프링(67, 68)의 힘에 저항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슬라이드된 록용 걸림부재(56, 57)는 선단부를 앞 덮개본체(27)의 양측 면부에서 안쪽으로 끌어넣어 세정조(11)측의 오목부(69, 70)로부터 빠져나가 그것들과의 걸어맞춤을 해제, 즉 덮개(25)의 록을 해제한다.
또한,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상기와 같은 작용에 따라 검출기구(71)의 검출 레버(72)는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선단 가이드부(56a, 57a)에 의한 한 단부(72a)의 누름이 해제되고, 타단부(72c)에 의한 마이크로스위치(76)의 작동자(76a)를 눌러 내리는 것을 해제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스위치(76)는 오프 작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식기 세정기가 운전중이면 그 운전이 즉시 정지되고, 운전 정지전이면 사용자가 스타트 조작을 해도 운전이 실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후 계속해서 조작부재(49)의 뒤를 윗쪽으로 들어올려 조작하면 덮개(25)는 뒤 덮개본체(26)가 축(31)을 중심으로 윗쪽으로 회전하면서 앞 덮개본체(27)가 뒤 덮개본체(26)의 샤프트(29)에 의한 연결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로 접혀진 상태가 되고,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를 개방한다.
또한, 이때, 고리 피스(77)는 앞 덮개본체(27)의 작동, 그 중에서도 최초의 작용에 의해 세정조(11)측의 오목부(79)에서 빠져나가는, 상기 오목부(79)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즉 덮개(25)의 록을 해제한다.
또한, 이때, 회전 지지 가능 기구(30)의 스프링(34)은 덮개(25)(뒤 덮개본체(26))의 윗쪽으로의 회전이 소정 각도 이상에 도달한 곳에서 상기한 부착판(35)의 상승부(35a)에 대한 스프링(34) 자체의 부착부(한 단부)와 레버(33)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O)을 윗쪽으로 넘게 하고,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여 레버(33)로부터 축(31)을 상기와는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것에 의해서 뒤 덮개본체(26) 및 덮개(25) 전체를 개폐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리고, 그 후 덮개본체(25)를 바로 앞으로 당기면 상기 덮개(25)는 뒤 덮개본체(26)가 축(31)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앞 덮개본체(27)가 뒤 덮개본체(26)와의 샤프트(29)에 의한 연결부분에서 윗쪽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가 되어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또한, 이 때, 회전 지지 가능기구의 스프링(34)은 덮개(25)(뒤 덮개본체(26))의 아래쪽으로의 회전이 소정 각도 이하로 도달한 곳에서 상기 부착판(35)의 상승부(35a)에 대한 스프링(34) 자체의 부착부(한 단부)와 레버(33)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O)을 윗쪽으로 넘고, 도 8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리고, 레버(33)로부터 축(31)을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것에 의해서 뒤 덮개본체(26) 더 나아가서는 덮개(25)의 전체를 폐쇄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한편, 록용 걸림부재(56, 57)는 조작부재(49)의 회전을 조작하지 않은 자연 상태에서는 스프링(67, 68)의 힘에 의해 각 선단부를 앞 덮개본체(27)의 양측 면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 있어 덮개(25)의 폐쇄 최종 단계에서 그 록용 걸림부재(56, 57)의 각 선단부가 통본체(6)의 최상 테두리부에 닿지만 그 닿는 부분은 가이드부(56a, 57a)이며, 상기 가이드부(56a, 57a), 덮개(25)의 폐쇄시의 힘, 또는 덮개(25)의 뒤 덮개본체(26)와 앞 덮개본체(27)와의 연결 부분 근방을 윗쪽에서 조금 누르는 힘에 의해 통 본체(6)의 최상 테두리부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스프링(67, 68)의 힘에 저항하여 록용 걸림부재(56, 57)를 후퇴시키도록 가이드한다. 이것에 의해서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선단부는 통 본체(6)의 최상 테두리부를 넘어 세정조(11)측의 오목부(69, 70)에 걸어맞춰져 덮개(25)를 폐쇄상태로 록한다.
또한, 이 경우, 조작부재(49)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록용 걸림부재(56, 57)의 각 선단부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통본체(6)의 최상 테두리부를 초과시키고, 세정조(11)측의 오목부(69, 70)에 걸어맞추도록 해도 좋다.
또한, 고리 피스(77)도 덮개(25)의 폐쇄 최종 단계에서 선단부가 통본체(6)의 최상 테두리부에 닿지만 그 닿는 부분은 가이드부(77a)이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덮개(25)의 폐쇄시의 힘, 또는 덮개(45)를 윗쪽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서 통본체(6)의 최상 테두리부를 넘게 하고 세정조(11)측의 오목부(79)에 걸어맞추게 하여 덮개(25)를 폐쇄상태로 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선단 가이드부(56a, 57a)에 의해서는 상기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기구(71)의 검출 레버(72)가 한 단부(72a)를 밑으로 내려 타단부(72c)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76)의 작동자(76a)를 누르고, 상기 마이크로스위치(76)를 온 작동시키기 때문에 식기 세정기가 운전 중단중이면 그 운전이 재개되고, 운전 정지전이면 사용자의 스타트 조작에 기초하여 운전이 실행된다.
또한, 이 때, 덮개(25)의 내면에 설치된 볼록부(44, 45)도 상기와 같이, 세정조(11)측의 패킹(43)을 눌러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의 둘레 테두리와 덮개(25)와의 사이를 빈틈없이 봉하고, 덮개(25)의 뒤 덮개본체(26)와 앞 덮개본체(27) 사이에서는 패킹(46)이 그것들의 사이를 빈틈없이 봉한다.
이와같이 본 구성으로 이루어진 덮개(25)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상하 회전식이면서 개방시에는 2개로 접혀져 크기가 작은 소형의 형태가 된다. 따라서, 그 윗쪽에 찬장 등이 있어도 덮개(25)가 그 찬장 등에 닿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장해가 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한편, 폐쇄상태에서 덮개(25)는 2개로 접힌 상태에서 펼쳐져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를 덮어 자른 것이고, 또 이 상태에서 록요 걸림부재(56, 57)가 세정조(11)측에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록되기 때문에 덮개(25)를 폐쇄 상태로 확실하게 둘 수 있고, 세정조(11) 내부에서의 세정 운전에 의한 세정물의 비산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어린이의 장난에 의한 덮개(25)의 개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경우, 록용 걸림부재(56, 57)를 항상 덮개(25) 보다 바깥쪽을 돌출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체로서 스프링(67, 68)을 설치함과 동시에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선단부에 이것을 세정조(11)측의 걸어맞춤부인 오목부(69 70)에 걸어맞추기 위한 가이드부(56a, 57a)를 설치했기 때문에 덮개(25)를 닫았을 때, 덮개(25)의 2개로 접혀진 부분의 근방을 윗쪽에서 조금 누르면 자연히 록이 걸리고, 특별히 록을 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로 접혀진 덮개(25)를 폐쇄상태로 록할 때, 그 록부분이 덮개(25)의 지지부에 가까우면 록 기구부분에서 덮개(25)의 선단부(앞 덮개본체(27)의 앞 단부)까지의 길이가 길어져 상기 덮개(25)의 선단부(앞 덮개본체(27)의 앞 단부)가 들뜨기쉽다. 이에 대해, 상기 구성의 것에서는 덮개(25)의 지지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0)에 대한 지지부로부터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까지 길이(L1)의 관계를 L1〉(L0/2)로 설정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록 기구가 덮개(25)의 전후의 중간부 보다 앞쪽에 설치되어 록 기구 부분에서 덮개(25)의 선단부(앞 덮개본체(27)의 앞 단부)까지의 길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덮개(25)의 선단부의 들뜸을 적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없앨 수 있어 물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것에서는 덮개(25)의 선단부에 제 2 걸림부로서 고리 피스(77)를 설치하고, 이것을 그에 대응하여 세정조(11)측에 설치한 제 2 걸어맞춤부로서의 오목부(79)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 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덮개(25)의 선단부의 들뜸을 더욱 없앨 수 있어 물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오목부(79)에 대한 고리 피스(77)의 걸어맞춤은 상기한 오목부(69, 70)에 대한 록용 걸림부재(56, 57)의 걸어맞춤과 마찬가지로 덮개(25)를 닫을 때, 덮개(25)를 윗쪽에서 조금 누르면 자연히 록이 걸려 특별히 록을 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79)로부터의 고리 피스(77)의 빠짐도 덮개(25)의 개방시의 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역시 사용하는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덮개(25)의 선단부측에는 손잡이부(47)를 설치하고, 이 손잡이부(47)에 조작부재(49)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25)를 열어야 하는 손잡이부(47)에 거는 손으로 조작부재(49)를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슬라이드에 의해서 세정조(11)측에 걸거나 벗기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조작부재(49)를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이 조작부재(49)의 수평 회전을 상기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로 하고, 조작부재(49)에 핀(51, 52)을 록용 걸림부재(56, 57)에 긴 구멍(58, 59)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49)를 수평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슬라이드시켜 록 해제 등을 할 수 있어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25)를 속인 빈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 록용 걸림부재(56, 57)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25)의 내부를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 그 록용 걸림부재(56, 57)나 이것의 슬라이드부에 대한 오염물의 부착이나 세정물의 부착을 덮개(25)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록용 걸림부재(56, 57)의 동작을 장시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25)의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내부의 공기에 의한 단열 기능에 의해서 온수 세정시나 건조시에 덮개(25)의 윗면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취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25)가 속인 빈 경우, 덮개(25)의 내부에는 손잡이부(47)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맞춤이나 틈 등으로부터 물이 들어오기 쉽지만 덮개(25)의 선단부의 측부에는 물배출구멍(80)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25)내에 침입한 물을 덮개(25)를 열었을 때(앞 덮개본체(27)를 일으켰을 때) 물배출구멍(80)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어 록용 걸림부재(56, 57)나 이것의 슬라이드부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물배출 구멍(8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세정조(11)내의 측쪽부에 떨어져 식기(피세정물)에 닿지 않기 때문에 건조후의 식기를 적시는 문제점을 생기게 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또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슬라이드에 의해서 세정조(11)측에 걸거나 벗기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덮개(25)의 상부벽과 하부벽으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있기 때문에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지지가 덮개(25)로 가능해 다른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을 싸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슬라이드에 의해서 세정조(11)측에 걸거나 벗기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덮개(25)에 그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안내부(60∼6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슬라이드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어 덮개(25)의 록 및 록 해제의 동작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세정조(11)측의 개구부 둘레 테두리에는 물밀봉부재로서 패킹(43)을 설치하고, 덮개(25)의 내면에 그 패킹(43)을 누르는 볼록부(44, 4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조(11)와 폐쇄상태의 덮개(25) 사이의 물 밀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비산된 세정물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25)의 한 단측을 지지하는 축(31)을 갖는 회전 지지 가능기구를 세정조(11)측에 설치하고 덮개(25)의 한 단측에는 대략 U자형상부(40a)를 갖는 탄성 부착 부재(40)를 설치하고, 이 탄성 부착 부재(40)의 대략 U자형상부(40a)를 회전 지지 가능기구의 축(31)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기 대문에 덮개(25)를 원하는대로 착탈할 수 있고, 특히 벗겨진 상태에서는 덮개(25)를 단독으로 취급하여 충분히 세정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덮개(25)의 착탈 자체를 별도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1)측에는 덮개 개폐 검출 수단으로서 검출 기구(71)를 설치하고, 이 검출기구(71)를 록용 걸림부재(56, 57)로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 운전중에 덮개(25)를 열려고 하면 록용 걸림부재(56, 57)에 의한 록을 해제한 단계에서 세정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어 세정물이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에서 바깥쪽으로 비산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기구(71)는 덮개(25)의 양측쪽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덮개(25)의 좌우가 경사져 한측이 들뜬 상태에서는 한측의 검출기구(71)가 작동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세정 운전을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세정물이 세정조(11)의 윗면의 개구부에서 바깥쪽으로 비산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25)를 소정의 회전 각도 이상에서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소정의 회전 각도 이하에서는 폐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도글 기능을 갖는 탄성체로서 스프링(34)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25)를 닫았을 때는 그 들뜸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덮개(25)를 개방한 상태에는 덮개(25)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부주의하게 덮개(25)가 닫히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덮개(25)가 2개로 접는 것이 가능한 부분의 맞춤 부분에 제 2 물밀봉부재로서 패킹(46)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25)의 2개로 접히는 것이 가능한 부분의 맞춤 부분의 물 밀봉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세정물의 누수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 특히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덮개(25)의 뒷쪽부의 카바(38)에 배기구(81)를 형성하고, 이 배기구(81)를 세정조(11)의 측벽 상부에 형성한 배기구멍(82)과 통과시키고 있기 때문에 온수 세정시의 증기나 건조시의 공기 등, 고온의 배기를 덮개(25)의 내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고, 사용자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이상에 대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하,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이것의 경우, 조작부재(49)에는 아래쪽부에 피니언(91, 92)을 각각 부분적으로 설치하고, 록용 걸림부재(56, 57)의 각 한 단부에는 랙(93, 94)를 형성하여 이것들을 끼워맞추고 있다.
이 구성으로 조작부재(49)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피니언(91)이 랙(93)을 화살표 B로 나타내는 우측 방향으로 보내고, 피니언(92)으로부터 랙(94)을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좌측 방향으로 보내 록용 걸림부재(56, 57)를 각각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덮개(25)의 록을 해제한다.
따라서, 이 경우, 피니언(91, 92)과 랙(93, 94)이 조작부재(49)의 수평 회전을 록용 걸림부재(56, 57)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도 이하 제 1 실시예와 상위한 점만을 설명한다.
이것의 경우, 덮개(25)의 앞 덮개본체(27)의 중앙부 보다 약간 후측 부분의 상측에는 손잡이부(101)를 설치하고 있다. 이 손잡이부(101)는 앞 덮개본체(27)의 상부 껍질(27a)에 형성한 가로로 긴 직사각형 오목부(102)와, 이 오목부(102)의 앞 테두리부로부터 그 측쪽의 앞 덮개본체(27)내에 수납한 조작부재(103)로 이루어진 것으로, 또한 조작부재(103)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자형의 판형상을 이루고, 그 후테두리부를 양측의 축부(104)에 의해서 오목부(102)의 전 테두리 양측부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재(103)는 좌우의 양측 테두리부에 각각 상승부(103a, 103b)를 갖고 있으며, 하면부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늘어뜨린 벽(103c)을 예를 들면 가로폭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갖고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조작부재(103)의 앞부분(103d)이 위치한 앞 덮개본체(27)내의 뒤부분(덮개(25)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근방)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05, 106)를 좌우로 대칭 배치하고 있다. 이 슬라이더(105, 106)는 각각 한 단부에 사면부(105a 106a)(도 17 참조)를 갖는 것으로, 또 그 한단부사이에는 탄성체인 스프링(107)을 걸고 있고, 이 스프링(107)의 힘에 의해 사면부(105a, 106a)를 상기 조작부재(103)의 앞부분(103d)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상승부(103a, 103b)에 접촉시키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05, 106)의 각 타단부에는 레버(108, 109)의 각 한단부를 각각 핀(110)과 긴 구멍(111) 및 핀(112)과 긴 구멍(1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으며, 레버(108, 109)는 중간부를 앞 덮개본체(27)의 하부껍질(27b)에 보스(114, 115)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레버(108, 109)의 타단부는 직봉형상의 록용 걸림부재(116, 117)의 각 한단부에 핀(118)과 긴 구멍(119) 및 핀(120)과 긴 구멍(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으며, 록용 걸림부재(116, 117)의 각 타단부(선단부)는 앞 덮개본체(27)의 양측 면부에서 외부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록용 걸림부재(116, 117)의 각 선단부에는 제 1 실시예의 록용 걸림부재(56)의 각 선단부에 형성한 가이드부(56a, 57a)와 같은 가이드부(116a, 117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앞 덮개본체(27)내에 상기 슬라이더(105, 106) 및 록용 걸림부재(116, 117)를 각각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상기한 안내부(60∼63)와 같은 안내부(122, 123, 124, 125)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 손잡이부(101)의 오목부(102)로부터 조작부재(103)에 손끝을 걸고, 상기 조작부재(103)를 잡도록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도 16에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쪽으로 회전시키면 조작부재(103)의 앞부분(103d)에 의해서 슬라이더(105, 106)의 사면부(105a, 106a)가 도 17에 화살표 E,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눌려져 열리고, 슬라이더(105, 106)가 스프링(107)의 힘에 저항하여 그 각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레버(108)는 시계방향으로, 레버(109)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어 록용 걸림부재(116, 117)를 각각 앞 덮개본체(27)의 내부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덮개(25)의 록을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조작부재(103)의 조작을 해제하면 스프링(107)의 힘에 의해 슬라이더(105, 106), 레버(108, 109) 및 록용 걸림부재(116, 117)는 모두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원 상태로 되돌아기 때문에 나중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덮개(25)를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해도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며, 특히 이 경우, 슬라이더(105, 106) 및 레버(108, 109)는 조작부재(103)의 상하 회전을 록용 걸림부재(116, 117)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조작부재(49)를 상기와 같이 잡히도록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윗쪽으로 회전 조작하면 록용 걸림부재(56, 57)를 슬라이드시켜 록 해제 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이것의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비넷(1)의 천장판(2)에 형성한 개구부(126)와 세정조(127)의 윗면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부 테두리(12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이것의 경우, 통 본체(129)는 금속판 예를들면 스텐레스판제로 상부에 플랜지부(130) 및 꺽인 돌출부(?)(131)가 남도록 하고, 그 안 아래쪽부에 세정조(127)를 드로잉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꺽인 돌출부(1)에는 패킹(132)을 통하여 플라스틱제의 상부 테두리(128)를 피착하고, 이 상부 테두리(128)를 나사(133)에 의해서 플랜지부(130)에 부착하고 있다.
한편, 캐비넷(1)의 천장판(2)의 개구부(126)의 둘레 테두리에는 플랜지부(134)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한 상부 테두리(128)를 부착한 통 본체(129)(세정조(127))를 아래쪽에서 들어올려 상부 테두리(128)를 플랜지부(134)에 닿게 하고, 이 상태에서 나사(135)를 윗쪽에서 플랜지부(134)를 통해 상부 테두리(128)에 나사로 조이는 것에 의해 통 본체(129)(세정조(127))를 천장판(2)에 부착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세정조(127)(식기세정기)를 캐비넷(1)에 조립함에 있어서 무거운 본체를 천장판(2)에서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요하지 않아 아래쪽에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테두리(128)에는 상기한 플랜지부(134)에 대한 부착 부분에 홈(136)을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고 있고, 이 홈(136)에 패킹(137)을 장전하고, 그 패킹(137)에는 플랜지부(134)의 내부 둘레 테두리부에 형성한 볼록부(138)를 압접시켜 상부 테두리(128)와 천장판(2)의 결합 부분의 물 밀봉을 하고 있다.
또한, 상부 테두리(128)에는 상기한 홈(42)에 해당하는 홈(139)을 형성함과 동시에 패킹(43)에 해당하는 패킹(14)을 장전하고, 그외에 오목부(79)에 해당하는 오목부(141)와, 오목부(69, 70)에 해당하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함과 동시에 검출기구(71) 및 회전 지지 가능기구를 부착하고 있어(이것들도 도시하지 않음), 이 경우, 상부 테두리(128)가 세정조(127)측이고, 이것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세정조측은 세정조(11, 127)와는 별개의 부품이라도 좋다.
따라서, 이 경우, 회전 지지 가능기구를 상부 테두리(128)에 부착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덮개(25)는 상부 테두리(1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덮개(25)의 부착을 캐비넷(1)에 조립하기 전의 상부 테두리(128)에 대해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도 이하 제 1 실시예와 상위한 점만을 설명한다.
이것의 경우, 제 2 걸림부(151)를 상기한 고리 피스(77)를 대신해 덮개(25)의 앞 덮개본체(27)의 하부껍질(27b)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걸림부(151)의 좌우의 양측부 아래쪽 부분은 절개부(152)로 하부껍질(27b)에서 떨어지게 하여 상기 제 2 걸림부(151)는 상부를 지점으로 하여 전후에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 그 탄성 변형에 의해 하단 앞면의 고리부(151a)가 통본체(6)의 오목부(9) 앞벽면에 형성된 제 2 걸어맞춤부인 볼록부(153)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덮개(25)의 폐쇄상태의 록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사용하는 다른 부품의 점수를 적게 할 수 있어 비용을 싸게 억제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도 이하 제 1 실시예와 상위한 점만을 설명한다.
이것의 경우, 덮개(25)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맞춤 부분(뒤 덮개본체(26)와 앞 덮개본체(27)와의 맞춤 부분)에서 세정조(11)의 안쪽에서 바깥족으로 통하는 배기구(161)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도 설명하면 뒤 덮개본체(26)의 앞 단부에 배기구멍(162)을 형성하고, 그 윗쪽부에 오목부(163)를 가로폭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고 있다. 한편, 앞 덮개본체(27)의 후단부에는 마찬가지로 가로폭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볼록부(164)를 형성하고 있고, 이 볼록부(164)를 오목부(163)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볼록부(164)와 오목부(163) 사이에는 비교적 큰 틈이 있어 상기한 배기구멍(162)으로부터 그 틈을 통하여 세정조(11)내로부터의 배기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세정조(11)내로부터의 배기를 덮개(25)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맞춤 부분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별도로 전용 배기구를 설치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세정조(11)내로부터의 세정물의 비산 누수는 볼록부(164)와 오목부(163)의 틈이 미로 형상으로 이루고 있는 것에 의해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변경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스프링(34, 67, 6, 78, 107)으로 예시한 탄성체는 모두 고무등으로 바꿔 실시해도 좋다. 또한, 그 중의 스프링(67, 68)은 없애도 좋은 것으로, 없는 경우에는 록용 걸림부재(56, 57)의 록 해제 방향 및 록방향의 양쪽의 작용을 조작부재(49)의 조작에 의해 실시하도록 하면 좋다(이 경우, 록용 걸림부재(56, 57)의 긴 구멍(58, 59)은 둥근구멍으로 해도 좋음)
또한, 캐비넷(1)은 부엌용 이외의 것이라도 좋고, 또 시스템키친용이라도 세정기 전용의 것이라도 좋다.
피세정물도 식기 이외, 예를들면 야채, 과일 등이라도 좋은 것으로 세정방식도 분수 타입에는 제한되지 않고, 피세정물을 물속에 담궈 생기는 수류에 의해 세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덮개 개폐 검출수단은 록용 걸림부재(56, 57, 116, 117)에 설치된 자석과 세정조(11, 127)측에 설치한 리드 스위치나 홀IC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것으로 하기의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1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가 가이드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상하 회전식이면서 개방시에는 2개로 접혀 크기가 작은 소형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덮개가 윗쪽의 찬장등에 닿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눈에 거슬리는 것도 피할 수 있다.
또한, 폐쇄상태에서는 덮개가 2개로 접힌 상태에서 펼쳐져 세정조의 윗면의 개구부를 덮고, 또 이 상태에서 록용 걸림부재가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록되기 때문에 덮개를 폐쇄상태로 확실하게 둘 수 있어 세정조 내부에서의 세정 운전에 의한 세정물의 비산 등의 문제를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어린이의 장난에 의한 덮개의 개방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세정기에 의하면 세정조를 캐비넷에 조립함에 있어서, 무거운 본체를 천장판 에서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요하지 않고, 아래쪽에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덮개의 부착을 캐비넷에 조립하기 전의 상부 테두리에 대해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를 닫을 때, 덮개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근방을 윗쪽에서 조금 누르면 자연히 록이 걸리고, 특별히 록을 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의 선단부의 들뜸을 적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없앨 수 있어 물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의 선단부의 들뜸을 더욱 없앨 수 있어 물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를 위한 록 조작에 대해서도 덮개를 닫았을 때 덮개를 윗쪽에서 조금 누르면 자연히 록이 걸리고, 특별히 록을 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록의 해제도 덮개의 개방시의 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역시 사용하는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세정기에 의하면 록용 걸림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덮개를 열어야하는 손잡이부에 거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세정기에 의하면 조작부재를 수평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록용 걸림부재를 슬라이드시켜 록 해제 등이 가능해 사용을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세정기에 의하면 조작부재를 잡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윗쪽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록용 걸림부재를 슬라이드시켜 록 해제 등이 가능하게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의 내부를 록용 걸림부재의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 그 록용 걸림부재 등에 대한 오염물의 부착이나 세정물의 부착을 덮개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록용 걸림부재의 동작을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의 내부의 공기에 의한 단열 성능에 의해서 온수 세정시나 건조시에 덮개의 윗면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취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세정기에 의하면 실내에 침입한 물을 덮개를 열었을 때 배출할 수 있어 록용 걸림부재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물을 세정조내의 피세정물에 가해지는 것도 없도록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후의 피세정물을 적시는 문제점을 생기게 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세정기에 의하면 록용 걸림부재의 유지가 덮개로 이루어져 다른 부재를 요하지 않아 비용을 싸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세정기에 의하면 록용 걸림부재의 슬라이드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어 덮개의 록 및 록 해제의 동작을 확실히 없앨 수 있다.
청구항 13의 세정기에 의하면 세정조와 폐쇄 상태의 덮개 사이의 물 밀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비산한 세정물의 누수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를 원하는대로 착탈할 수 있고, 특히 떼어낸 상태에서는 덮개를 단독으로 다뤄 충분히 세정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덮개의 착탈 자체를 별도로 도구를 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하 15의 세정기에 의하면 세정 운전중에 덮개를 개방하도록 하면 록을 해제한 단계에서 세정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어 세정물이 세정조의 윗면의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비산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의 세정기에 의하면 세정물이 세정조의 윗면의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비산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를 닫았을 때는 그 들뜸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덮개를 열었을 때는 덮개를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부자연스럽게 덮개가 닫히는 일어 없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18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맞춤 부분의 물 밀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세정물의 누수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9의 세정기에 의하면 세정조내로부터의 배기가 덮개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맞춤 부분을 이용하여 가능하고 별도로 전용 배기구를 설치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Claims (19)

  1. 윗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
    상기 세정조의 내부에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구;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한단측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2개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개방시에는 2개로 접히고, 폐쇄시에는 펼쳐져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
    상기 덮개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 근방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조측에 걸거나 벗기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덮개를 폐쇄 상태로 록하는 록용 걸림부재; 및
    상기 록용 걸림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윗면에 개구부를 갖는 캐비넷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캐비넷의 개구부와 세정조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상부 테두리를 구비하고, 이 상부 테두리에 덮개를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조측에 록용 걸림부재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록용 걸림부재를 항상 덮개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체를 설치하고, 또 록용 걸림부재의 선단부에 이것을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기 위한 가이드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의 지지부에서 선단부까지의 길이를 L0으로 하고, 지지부에서 접을 수 있는 부분까지의 길이를 L1으로 했을 때 L1〉(L0/2)이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의 선단부에 제 2 걸림부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세정조측에 그 제 2 걸림부가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지는 제 2 걸어맞춤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의 선단부측에 손잡이부를 설치하고, 이 손잡이부에 조작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록용 걸림부재를 슬라이드에 의해서 세정조측에 걸거나 벗기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조작부재를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이 조작부재의 수평 회전을 상기 록용 걸림부재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록용 걸림부재를 슬라이드에 의해서 세정조측에 걸거나 벗기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조작부재를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이 조작부재의 상하 회전을 상기 록용 밀봉부재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를 속이 빈 상태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 록용 걸림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덮개의 선단부의 측부에 물배출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록용 걸림부재를 슬라이드에 의해서 세정조측에 걸거나 벗기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덮개의 상부벽과 하부벽으로 록용 걸림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록용 걸림부재를 슬라이드에 의해서 세정조측에 걸거나 벗기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덮개에 그 록용 걸림부재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조측의 개구부 둘레 테두리에 물 밀봉부재를 설치하고, 덮개의 내면에 그 물 밀봉부재를 누르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의 한 단측에 지지하는 축을 갖는 회전 지지 가능기구를 세정조측에 설치하고, 덮개의 한단측에 대략 U자형상부를 갖는 탄성 부착 부재를 설치하고, 이 탄성 부착 부재의 거의 U자형상부를 지지기구의 축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조측에 덮개 개폐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이 덮개 개폐 검출 수단을 록용 걸림 부재로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덮개 개폐 검출 수단을 덮개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를 소정의 회전 각도 이상에서는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소정의 회전각도 이하에서는 폐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맞춤 부분에 제 2 물 밀봉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를 2개로 접을 수 있는 부분의 맞춤 부분에 세정조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통하게 하는 배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KR1019980021190A 1997-06-03 1998-06-03 세정기 KR100269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45057A JPH10328112A (ja) 1997-06-03 1997-06-03 洗浄機
JP9-145057 1997-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767A true KR19990006767A (ko) 1999-01-25
KR100269558B1 KR100269558B1 (ko) 2000-12-01

Family

ID=1537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190A KR100269558B1 (ko) 1997-06-03 1998-06-03 세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328112A (ko)
KR (1) KR100269558B1 (ko)
CN (1) CN1202351A (ko)
TW (1) TW42591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583A (ja) * 2001-03-27 2002-10-02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蓋開閉構造
CN106638814A (zh) * 2016-10-28 2017-05-10 宁波中物东方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水槽式清洗机的清洗剂投放装置
CN108056732B (zh) * 2017-07-24 2024-01-1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水槽式清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25913U (en) 2001-03-11
JPH10328112A (ja) 1998-12-15
KR100269558B1 (ko) 2000-12-01
CN1202351A (zh) 199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08854A (ja) 洗濯装置
US10813530B2 (en) Rack mount for a dishwasher appliance
JP3572224B2 (ja) 食器洗浄機
US9022491B2 (en) Table top dishwasher
KR100271711B1 (ko) 세정기
KR100269558B1 (ko) 세정기
TW555542B (en) Tableware washing machine
JP2006263174A (ja) 食器洗浄機および扉の開閉検知装置
KR20060085795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조립 구조
JP3494117B2 (ja) 食器洗浄機
JP3540559B2 (ja) 洗浄機
JP2001070218A (ja) 食器洗浄機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KR100239518B1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JP2000023892A (ja) 洗浄機
KR19980082399A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EP3669740B1 (en) Dishwasher
KR102623193B1 (ko) 탑마운트 구조로 인덕션 레인지가 장착된 초음파 세척장치
CN212089464U (zh) 门体密封组件、密封门及洗碗机
JP4986810B2 (ja) 食器洗浄機
JPH10314099A (ja) 食器洗浄機
JP2011019601A5 (ko)
KR100325988B1 (ko) 식기 세정기
JP2002301003A (ja) 食器洗い機
JP2000000127A (ja)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