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988B1 - 식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988B1
KR100325988B1 KR1020000019629A KR20000019629A KR100325988B1 KR 100325988 B1 KR100325988 B1 KR 100325988B1 KR 1020000019629 A KR1020000019629 A KR 1020000019629A KR 20000019629 A KR20000019629 A KR 20000019629A KR 100325988 B1 KR100325988 B1 KR 10032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hwasher
opening
lid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570A (ko
Inventor
가지하라히로시
다니구치유타카
기무라교스케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3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small size, e.g. portable mini dishwashers for small kitchens, office kitchens, boats, recreational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를 세정하는 식기 세정기에서, 덮개를 연 상태에서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는 식기 세정기 본체 이외의 설치공간을 작게 억제하고, 개수대의 한정된 설치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설치형태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전방에 개구부를 가지는 세정조(21)를 식기 세정기 본체(27)에 포함하고, 식기 세정기 본체(27)의 상부에 상단부(29)를 축 지지한 덮개(28)에 의해 개구부를 위로 열 수 있게 덮어 구성한다. 덮개(28)는 가운데가 꺽인 상태가 되도록 상호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윗 덮개(30)와 아래 덮개(31)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정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를 세정하는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식기 세정기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했다. 즉, 도 8에 도시한 것은, 덮개(1)를 식기 세정기 본체(2)의 하부에 개폐가 가능하게 부착하여, 식기 세정기 본체(2)의 전면 개구부를 덮게 한 앞열기 타입의 식기 세정기이고, 도 9에 도시한 것은 덮개(3)를 식기 세정기 본체(4)의 상부 후방에 개폐가 가능하게 부착하여 식기 세정기 본체(4)의 상면 개구부를 덮게 한 윗열기 타입의 식기 세정기이다. 이들은 모두 개수대의 위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식기 세정기의 기본적인 동작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간단히 서술하면 사용자가 덮개(1) 또는 (3)을 열어 식기 세정기 본체 내의 세정조에 설치된 식기통에 더러워진 식기류를 세트하고, 덮개(1) 또는 (3)을 닫아 운전을 개시하면, 세정조의 바닥부에 배치된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면서 식기를 향해 분사되어, 식기의 찌꺼기를 떼내는 세정공정을 한다. 그 후, 덮개(1, 3)에 설치된 배기구(5, 6)로부터 세정조 내의 증기를 도 8에서는 전방, 도 9에서는 상방으로 배출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을 하여 운전이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구성에서 도 8과 같은 앞열기 타입에서는 덮개(1)가 열린 상태에서 식기 세정기 본체(2)의 앞쪽의 공간을 막아버리기 때문에, 개수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없고, 또 앞 방향으로 설치한 경우는 열린 덮개(1)가 통행에 지장을 주는 데다, 또 개수대의 더러워진 식기를 식기 세정기 본체(2)에 세트할 때에 거리가 멀기 때문에 세트하기 어려워 바닥을 더럽히기 쉬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 도 9와 같은 윗열기 타입에서는 개수대에 옆방향, 앞방향 모두 설치할 수 있지만, 덮개(3)가 윗 방향으로 열리기 때문에 식기 세정기 본체(4)의 윗쪽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식기장 등이 낮게 매달린 경우는 설치할 수 없고, 건조 중에 배기구(6)로부터 윗 쪽으로 배출된 증기에 의해 식기장 등을 부식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덮개를 연 상태에서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는 식기 세정기 본체 이외의 설치 공간을 작게 억제하고, 개수대의 한정된 설치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설치형태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상기 식기 세정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종단면도,
도 7은 상기 식기 세정기의 주요부 확대 횡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식기 세정기의 일예의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식기 세정기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세정조 27 : 식기 세정기 본체
28 : 덮개 29 : 상단부
30 : 윗 덮개 31 : 아래 덮개
32 : 중앙 꺽임부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방에 개구부를 가지는 세정조를 식기 세정기 본체에 포함하고, 식기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상단부를 축 지지한 덮개에 의해 개구부를 위로 열 수 있게 덮어 구성하고, 덮개는 가운데가 꺽인 상태가 되도록 상호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윗 덮개와 아래 덮개로 구성된 것이다.
이로써 덮개를 연 상태에서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는 식기 세정기 본체 이외의 설치 공간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개수대의 제한된 설치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설치 형태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전방에 개구부를 가지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를 포함하는 식기 세정기 본체와, 이 식기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상단부를 축지지하여 상기 개구부를 위로 열 수 있게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가운데가 꺽인 상태가 되도록 상호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윗 덮개와 아래 덮개로 구성한 것으로, 한 장으로 구성된 덮개를 개폐할 때에 비해, 덮개의 개폐시에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는 식기 세정기 본체 이외의 설치 공간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개수대에 앞 방향 설치, 옆 방향 설치가 모두 가능하게 되어 제한된 설치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설치형태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 식기 세정기 본체는 설치된 개수대의 안쪽 길이에 맞는 가로폭 치수를 가지고, 이 설치형태에서 개수대의 측면에서 덮개를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개수대 옆 공간을 모두 식기 세정기 본체의 설치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어, 좁은 장소에서도 충분한 식기세정기 본체 용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수대의 더러워진 식기를 식기 세정기에 세트할 때에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세트가 쉽고, 바닥을 더럽히지도 않는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서, 세정조의 개구부 단면은 적어도 상방부에서 후방으로 후퇴하는 경사를 가지는 것으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는 눈으로 보았을 때의 압박감이 작아져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열린 상태에서는 세정조의 개구부를 넓게 할 수 있어, 용이하게 식기를 넣고 꺼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 덮개가 열렸을때의 위치가 자중에 의해 열린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설정된 것으로, 열린 상태에서의 덮개의 안정성이 증가하여, 식기를 넣고 꺼낼 때의 충격으로 덮개가 닫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정조의 개구부를 넓게 할 수 있어, 용이하게 식기를 넣고 꺼낼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발명에서, 손잡이부를 덮개의 중앙 꺽임부 근방에 설치한 것으로, 덮개의 개폐 조작시에 필요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5에 기재된 발명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에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설치하여,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이 벽부가 아래 덮개의 상단부를 전방에서 덮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사용자가 덮개를 닫을 때에 손잡이부 이외의 부분을 누른 경우에서도, 중앙 꺽임부에서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잘 끼지 않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6에 기재된 발명에서,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와 아래 덮개의 상단부 사이를 세정조 안 쪽에서부터 밀봉하는 밀봉재를 설치한 것으로, 운전중에 중앙 꺽임부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 및 아래 덮개의 상단부에는 세정조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밀봉재를 상하방향에서부터 포위하는 세정액 차폐부를 설치한 것으로 운전중의 중앙 꺽임부의 밀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발명에서, 덮개의 아래 덮개에 후방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세정조 또는 식기 세정기 본체의 개구부 측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부를 대략 상하로 미끄럼 이동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으로, 덮개의 개폐조작시에 아래 덮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어, 동작이 안정되어 사용에 있어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덮개의 축지지부에 여분의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강도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 덮개의 아래 덮개 하부의 이동궤적이 연직방향에서 세정조의 개구부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세정 운전중에 덮개를 열었을 때, 덮개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세정수가 흘러내려 아래 뚜껑의 하단으로부터 떨어져도 세정조 내로 회수 할 수 있어, 식기 세정기의 주위에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9 또는 10에 기재된 발명에서, 지지부재는 그 후방부에 저마찰 계수의 미끄럼 이동체를 가지는 것으로, 덮개의 개폐 조작시에 필요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개폐시의 내구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21)는 식기류(22)를 내부에 수납하여, 바닥부에 세정수를 고이게 함과 동시에, 전방은 개구부로 되어 있다. 세정 노즐(23)은 세정조(21)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세정 펌프(24)로부터 보내어진 세정수를 식기류(22)를 향해 분출한다. 세정 펌프(24)는 모터(25)에 의해 구동된다. 히터(26)는 세정조(21)의 바닥부에 배설하여 세정수를 가열시킨다.
식기 세정기 본체(27)는 세정조(21)를 포함하고, 이 식기 세정기 본체(27)의 상부에는 덮개(28)의 상단부(29)를 축 지지하여, 세정조(21)의 개구부를 위로 열수 있게 덮고 있다. 이 덮개(28)는 윗 덮개(30)와 아래 덮개(31)로 구성되고, 중앙 꺽임부(32)에서 가운데가 꺽인 상태가 되도록 상호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덮개(28)의 중앙 꺽임부(32)의 근방에 손잡이부(33)를 설치한다. 또, 세정조(21)의 개구단면(3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방부에서 후방으로 후퇴하는 경사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서 동작을 설명한다. 이용자가 덮개(28)를 윗쪽으로 열어, 식기류(22)를 식기통(35)에 배치하여 세정조(21)에 수납하고, 세제를 넣은 후, 운전을 개시하면, 먼저 세정조(21)의 바닥부에 소정량의 수돗물이 급수된다. 그리고, 모터(25) 및 히터(26)로 통전되어, 세정수는 가열되면서 세정 펌프(24)에 의해 식기류(22)를 향해 세정 노즐(23)로부터 분출되어, 식기(22)의 찌꺼기를 떼어내는 세정공정을 한다. 그 후, 세정수가 배수되어 헹굼공정을 한 후, 세정조(21) 내의 증기가 배기구(34)로부터 전방으로 배출되어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이 행해진다.
덮개(28)는 윗쪽으로 열었을 때, 중앙 꺽임부(32)에서 꺽이면서 열리기 때문에, 식기 세정기 본체(27)의 전방의 여분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고, 윗쪽의 공간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수대(36)에 가로방향으로 설치해도 개수를 막지 않는다. 또, 식기장(37)이 낮게 달려 있어도 설치할 수 있는 경우가 많고, 건조중의 증기가 배기구(38)로부터 전방으로 배출되므로, 식기장(37)의 바닥부에 누수되어 부식될 우려도 없어진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수대(36)의 앞쪽에 설치한 경우에서도, 전방의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 열려 있는 덮개(28)가 통행에 지장을 주는 경우도 없어진다.
다음에, 사용자가 손잡이부(33)를 잡아 덮개(28)를 열었을 때, 손잡이부(33)가 중앙 꺽임부(32)로부터 떨어진 위치, 예컨대 아래 덮개(31)의 하부(39) 등에 설치되면 덮개(28)는 꺽이지 않고 윗 덮개(30)와 아래 덮개(31)가 일체가 되어 한 장의 덮개와 같이 열리게 되어, 열기가 어려워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손잡이부(33)를 덮개(28)의 중앙 꺽임부(32)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아래 덮개(31)가 저절로 꺽이도록 작동시킬 수 있어, 덮개(28)의 꺽임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벼운 힘으로 열 수 있다.
덮개(28)를 닫을 때도 마찬가지로, 손잡이(33)를 중앙 꺽임부(32)에서 떨어진 아래부분(39) 등에 설치하면, 아래 뚜껑(31)만이 앞으로 회전해 버려 닫는 동작이 부자연스럽지만, 손잡이부(33)를 덮개(28)의 중앙 꺽임부(32)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덮개(28)는 꺽임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연히 닫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3)를 덮개(28)의 중앙 꺽임부(32)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덮개(28)의 개폐조작을 자연스럽게 하여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세정조(21)의 개구단면(34)은 적어도 상방부에서 후방으로 후퇴하는 경사를 가지므로, 덮개(28)가 닫힌 상태에서는 식기 세정기 본체(27)의 전면이 상방으로 가는 데 따라 후퇴하므로, 눈으로 보았을 때 압박감이 작아져,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덮개(28)가 열린 상태에서는 세정조(21)의 개구부를 넓게 할 수 있어, 세정조(21)의 안쪽 상부에 있는 식기(22)를 꺼내고 넣기가 용이해져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 세정기 본체(40)는 설치된 개수대(41)의 안 쪽 치수(D)에 맞는 가로폭 치수(W)를 가지고, 식기 세정기 본체(40)를 개수대(41) 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개수대(41)의 측면에서 덮개(42)를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다.
상기 구성에서 식기 세정기 본체(40)의 가로폭 치수(W)를 설치된 개수대(41)의 안쪽 치수(D)에 맞추고 있기 때문에, 개수대(41) 가로 공간(43)을 모두 식기 세정기 본체(40)의 설치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어, 좁은 장소에서도 충분한 식기 세정기 본체(40)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식기 세정기 본체(40)를 개수대(41)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개수대(41)의 측면에서 덮개(42)를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개수대(41)의 더러워진 식기를 식기 세정기에 세트할 때, 거의 이동시키지 않고 세트할 수 있어 식기의 세트성이 좋아짐과 동시에, 더러워진 식기로 바닥을 더럽히는 일도 없어진다.
(실시예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4)는 열었을 때의 위치가 자중에 의해 덮개(44)를 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덮개(44)를 연 상태에서, 덮개(44)의 중심(G)이 개폐지점(45)보다 세정조의 개구단면(46)에 대해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다.
상기 구성에서, 덮개(44)를 열었을 때 덮개(44)의 자중에 의해 덮개(44)를 여느 방향으로 움직여 중심(G)이 개폐지점(45)보다 후방에 위치하므로, 덮개(44)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기(47)를 넣고 꺼낼 때의 충격으로 덮개(44)가 닫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정조의 개구부가 덮개(44)의 하부(48)에서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세정조의 안쪽 상부에 있는 식기(47)를 넣고 꺼내기가 용이해져, 식기(47)의 세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9)는 윗 덮개(50)와 아래 덮개(51)를 중앙 꺽임상태가 되도록 상호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고, 윗 덮개(50)의 하단부(52)에 아래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53)를 설치하여, 덮개(49)를 닫은 상태에서 이 벽부(53)가 아래 덮개(51)의 상단부(54)를 전방에서 덮는 구성으로 한다.
또, 밀봉재(55)는 덮개(29)가 닫힌 상태에서, 윗 덮개(50)의 하단부(52)와 아래 덮개(51)의 상단부(54) 사이를 세정조 안쪽에서 밀봉하도록 하고 있다. 또, 차폐부(56)는 윗 덮개(50)의 하단부(52)에 설치하고, 차폐부(57)는 아래 덮개(51)의 상단부(54)에 설치하고, 이들 차폐부(56, 57)는 세정조 안쪽으로 돌출하여 밀봉재(55)를 상하방향에서 포위하여 세정액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다.
상기 구성에서, 사용자가 덮개(49)를 닫을 때는, 손잡이부(58)를 눌러 닫지만,무의식으로 손잡이부(58) 이외, 예컨대 윗 덮개(50)의 하단부(52)를 누른 경우는, 중앙 꺽임부(59)의 윗 덮개(50)와 아래 덮개(51)의 틈에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끼기 쉬워진다. 따라서, 벽부(52)에 의해 아래 덮개(51)의 상단부(54)를 전방에서 덮음으로써, 윗 덮개(50)와 아래 덮개(51)의 틈을 상하방향에서 전후방향으로 바꾸어 중앙꺽임부(59)에서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잘 끼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아래 덮개(51)의 상단부(54)에 단면 원호 형상부를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끼어도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 윗 덮개(50)와 아래 덮개(51)는 중앙 꺽임축(60)에서 상호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틈을 밀봉하지 않으면 세정수가 중앙 꺽임부(59)로부터 기계 밖으로 새어 나오게 된다. 이 때문에, 덮개(49)를 닫은 상태에서, 윗 덮개(50)에 부착한 밀봉 부재(55)의 립(lip)(61)이 아래 덮개(61)의 세정조 안쪽에서의 상단부(62)에 밀착하여 덮개(49)를 닫았을 때의 조작력을 증대시키지 않고 밀봉할 수 있으므로, 운전중의 중앙 꺽임부(59)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세정운전중은 세정수가 윗 덮개(50)의 내면(63)을 따라 떨어짐과 동시에, 아래 덮개(51)의 내면(4)을 윗쪽으로 뿜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세정조 안쪽으로 돌출한 차폐부(56) 및 (57)에 의해 이들의 물의 흐름이 밀봉재(55)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중의 중앙 꺽임부(59)의 밀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65)의 아래 덮개(66)에 후방으로 연장하는 지지부(67)를 설치하고, 세정조(68) 또는 식기 세정기 본체(69)의 개구부(70)의 측면(71)에는 지지부재(67)의 후방부(72)를 대략 상하로 미끄럼이동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73)를 설치하고 있다. 또, 덮개(65)의 아래 덮개(66)의 하단부(74)의 이동궤적은 연직방향에서 세정조(68)의 개구부(70) 내에 존재하도록 하고 있다. 또, 지지부재(6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단(75)에 저마찰 계수의 미끄럼 이동체(76)를 설치하고, 이 미끄럼 이동체(76)는 세정조(68)의 개구부(70)의 측면(71)에 설치된 가이드부(73)에 의해, 대략 상하로 미끄럼이동 안내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다.
상기 구성에서, 아래 덮개(66)는 중앙 꺽임축(77)에서 윗 덮개(78)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 덮개(66)의 하부(79)의 궤적을 어느 정도 규제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손잡이부(80)를 잡아 덮개(65)를 열 때, 개방 방향에 따라서는 덮개(65)가 가운데에서 접히지 않고, 윗 덮개(78)와 아래 덮개(66)가 일체가 되어 한 장의 덮개와 같이 움직여, 열기 어려운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덮개(65)를 닫을 때도 마찬가지로, 아래 덮개(6)만이 앞으로 회전하거나, 아래 덮개(66)의 하부(79)가 세정조(68)쪽에 눌러져 걸기게 되어, 축지부(81)에 이상한 부하가 작용하거나, 닫히는 동작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73)에 의해 아래 덮개(66)의 하부(79)의 전후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덮개(65)의 개폐 사이에서 대략 상하방향의 궤적을 부여함으로써, 안정된 덮개(65)의 개폐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덮개(65)의 축지부(81)에 여분의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강도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세정운전중에 덮개(6)를 열 때, 덮개(65)의 내면(82)에 부착되어 있는 세정수가 흘러 아래 덮개(66)의 하단부(74)로부터 떨어져도, 아래 덮개(66)의 하단부(74)의 이동궤적을 연직방향에서 세정조(68)의 개구부(70)내에 존재시킴으로써, 세정조(68) 내로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식기 세정기의 주위가 누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67)는 후방단(75)에 저마찰계수의 미끄럼 이동체(76)를 설치하고, 지지부재(6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 덮개(66)의 세정조(68)측 내면의 하부(83)에 부착되어, 후방(세정조측)으로 연장된다. 그 후방단(75)에 설치한 미끄럼 이동체(76)는 세정조(68)의 개구부(70)의 측면(71)에 설치한 가이드부(73)에 의해 대략 상하로 미끄럼이동 안내되고 있다.
덮개(65)의 개폐시에는 미끄럼 이동체(76)와 가이드부(73)가 끊어지지 않고, 접하면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데, 마찰을 낮게 억제하기 때문에, 덮개(65)의 개폐조작시에 필요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동시에, 개폐시의 내구강도도 향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방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를 포함하는 식기세정기 본체와, 이 식기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상단부를 축지지하여 상기 개구부를 위로 열 수 있게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가운데가 꺽인 상태가 되도록 상호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윗 덮개와 아래 덮개로 구성했기 때문에, 한 장으로 구성된 덮개를 개폐할 때에 비해, 덮개의 개폐시에 여분으로 필요로 하게 되는 식기 세정기 본체 이외의 설치 공간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제한된 설치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설치형태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식기 세정기 본체는 설치된 개수대의 안쪽에 맞는 가로폭 치수를 가지고, 이 설치형태로 개수대의 측면에서 덮개를 개폐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개수대의 가로 공간을 모두 식기 세정기 본체의 설치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어, 좁은 장소에서도 충분한 식기 세정기 본체용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수대의 더러워진 식기를 식기 세정기에 세트할 때에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세트가 잘 되고 바닥을 더럽히지도 않는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세정조의 개구부 단면은 적어도 상방부에서 후방으로 후퇴하는 경사를 가지기 때문에,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는 눈으로 보았을 때 압박감이 작아져,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개방 상태에서는 세정조의 개구부를 넓게 할 수 있어, 용이하게 식기를 넣고 꺼낼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덮개는 열었을 때의 위치가 자중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설정했으므로, 개방 상태에서의 덮개의 안정성이 증가하여 식기를 넣고 꺼낼 때의 충격으로 덮개가 닫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정조의 개구부를 넓게 할 수 있어, 용이하게 식기를 넣고 꺼낼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부를 덮개의 중앙 꺽임부 근방에 설치했기 때문에, 덮개의 개폐조작시에 필요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윗덮개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설치하고,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이 벽부가 아래 덮개의 상단부를 전방에서 덮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사용자가 덮개를 닫을 때에, 손잡이부 이외를 누른 경우에도, 중앙 꺽임부에서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잘 끼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와 아래 덮개의 상단부의 사이를 세정조 안쪽에서부터 밀봉하는 밀봉재를 설치했기 때문에, 운전중의 중앙 꺽임부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윗 덮개의 하단부 및 아래 덮개의 상단부에는 세정조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밀봉재를 상하방향으로 포위하는 세정액 차폐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운전중의 중앙 꺽임부의 밀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덮개의 아래 덮개에 후방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세정조 또는 식기 세정기 본체의 개구부 측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부를 대략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덮개의 개폐조작시에 아래 덮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어, 동작이 안정되고,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덮개의 축지부에 여분의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강도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덮개의 아래 덮개 하부의 이동궤적이 연직방향에서, 세정조의 개구부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세정 운전중에 덮개를 열었을 때, 덮개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세정수가 흘러 아래 덮개의 하단에서부터 떨어져도 세정조 내로 회수할 수 있어, 식기 세정기의 주위에 누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는 그 후방단에 저마찰계수의 미끄럼 이동체를 가지므로, 덮개의 개폐조작시에 필요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개폐시의 내구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2)

  1. 앞쪽에 개구부를 가지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를 포함하는 식기세정기 본체와, 이 식기 세정기 본체의 상부에 상단부를 축지지하여 상기 개구부를 위로 열 수 있게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가운데 부분이 꺽인 상태가 되도록 상호간을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한 윗 덮개와 아래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식기 세정기 본체는 설치된 개수대의 안쪽 길이에 맞는 가로폭 치수를 가지고, 이 설치형태에서 개수대의 측면쪽에서 덮개를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세정조의 개구부 단면은 적어도 상방부에서, 후방으로 후퇴하는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덮개는 열었을 때의 위치가 자중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덮개의 중앙 꺽임부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윗덮개의 하단부에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설치하고,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이 벽부가 아래 덮개의 상단부를 전방에서 덮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와 아래 덮개의 상단부의 사이를 세정조 안쪽에서 밀봉하는 밀봉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윗 덮개의 하단부 및 아래 덮개의 상단부에는 세정조의 안 쪽으로 돌출하여 밀봉재를 상하방향에서 포위하는 세정액 차폐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덮개의 아래 덮개에 뒷쪽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세정조 또는 식기 세정기 본체의 개구부 측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부를 대략 상하로 미끄럼 이동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0. 제 9항에 있어서, 덮개의 아래 덮개 하부의 이동궤적은 연직방향에서, 세정조의 개구부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그 후방 단부에 저마찰계수의 미끄럼 이동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덮개의 중앙 꺽임부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덮개의 중앙 꺽임부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4. 제 3항에 있어서, 윗덮개의 하단부에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설치하고,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이 벽부가 아래 덮개의 상단부를 전방에서 덮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5. 제 4항에 있어서, 윗덮개의 하단부에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설치하고,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이 벽부가 아래 덮개의 상단부를 전방에서 덮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6. 제 5항에 있어서, 윗덮개의 하단부에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설치하고,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이 벽부가 아래 덮개의 상단부를 전방에서 덮는 구성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7. 제 3항에 있어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와 아래 덮개의 상단부의 사이를 세정조 안쪽에서 밀봉하는 밀봉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8. 제 4항에 있어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와 아래 덮개의 상단부의 사이를 세정조 안쪽에서 밀봉하는 밀봉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19. 제 5항에 있어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와 아래 덮개의 상단부의 사이를 세정조 안쪽에서 밀봉하는 밀봉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0. 제 6항에 있어서,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윗 덮개의 하단부와 아래 덮개의 상단부의 사이를 세정조 안쪽에서 밀봉하는 밀봉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1. 제 3항에 있어서, 덮개의 아래 덮개에 뒷쪽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세정조 또는 식기 세정기 본체의 개구부 측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부를대략 상하로 미끄럼 이동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22. 제 10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그 후방 단부에 저마찰계수의 미끄럼 이동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정기.
KR1020000019629A 1999-04-14 2000-04-14 식기 세정기 KR100325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06258 1999-04-14
JP11106258A JP3109509B2 (ja) 1999-04-14 1999-04-14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570A KR20010039570A (ko) 2001-05-15
KR100325988B1 true KR100325988B1 (ko) 2002-03-07

Family

ID=1442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629A KR100325988B1 (ko) 1999-04-14 2000-04-14 식기 세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09509B2 (ko)
KR (1) KR100325988B1 (ko)
CN (2) CN2422934Y (ko)
TW (1) TW520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08A (ja) * 1993-03-02 1994-09-13 Toohaku:Kk メタル釦アジャスト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0004A (zh) 2000-10-18
CN1137655C (zh) 2004-02-11
JP2000296090A (ja) 2000-10-24
JP3109509B2 (ja) 2000-11-20
KR20010039570A (ko) 2001-05-15
CN2422934Y (zh) 2001-03-14
TW520279B (en)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531B1 (ko) 식기세척기
KR101187069B1 (ko) 도어 어셈블리
CA2898830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water supply unit and softener supply unit with parts in fluidic communication
CA2898835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water supply unit in direct fluidic communication with water discharge unit
EP3293303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lidable dispenser
KR100671932B1 (ko) 드럼세탁기 가스켓의 배수장치
US20210310176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KR20060136164A (ko) 드럼세탁기 가스켓의 배수장치
KR100325988B1 (ko) 식기 세정기
JP3666351B2 (ja) 食器洗い機
JP3435953B2 (ja) 食器洗い機
JP3465693B2 (ja) 食器洗い機
JP2001292948A5 (ko)
JP4609367B2 (ja) 食器洗い機
KR100269558B1 (ko) 세정기
KR200146549Y1 (ko) 세탁기의 도어손잡이
AU202322292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3494163B2 (ja) 食器洗い機
JP3469082B2 (ja) 食器洗浄機
JP4730179B2 (ja) 食器洗い機
JP3417168B2 (ja) 食器洗い機
JP4670554B2 (ja) 食器洗い機
KR101232508B1 (ko) 식기 세척기
JP2001095742A5 (ko)
JPH05549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