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634U -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634U
KR19990006634U KR2019970020119U KR19970020119U KR19990006634U KR 19990006634 U KR19990006634 U KR 19990006634U KR 2019970020119 U KR2019970020119 U KR 2019970020119U KR 19970020119 U KR19970020119 U KR 19970020119U KR 19990006634 U KR19990006634 U KR 199900066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air
vehicle
trunk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634U/ko
Publication of KR199900066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634U/ko

Link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페어타이어의 교체작업시에 스페어타이어의 탈거작업과 수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트렁크의 바닥면이 요입되어 그 요입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12)에 스페어타이어(20)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삽입되도록 소정 외경을 갖고 중심부가 상기 결합부(12)에 끼워지도록 소정 내경으로 관통되며 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되도록 내·외주면에 주름부(20a)가 형성된 공기주머니(30)와, 상기 공기주머니(30)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자동차 실내에 공기를 압송하는 블로워로부터 트렁크 내부로 인입되어 접속되며 그 단부에 차단밸브(42)가 설치된 공기주입라인(4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차 트렁크의 스페어타이어수납부에 수납된 스페어타이어의 탈거작업이나 수납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은 상용차와는 달리 승용차에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의 바닥면에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를 형성하고, 그 내부의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원추형의 결합부(12)에 스페어타이어(20)를 끼운 다음, 상기 결합부(12)의 중앙부에 체결되어 돌설된 체결볼트(14)에 윗쪽으로부터 별도의 고정너트(16)를 조이거나 푸는 방식으로 스페어타이어(20)를 장착 또는 해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수납된 스페어타이어(20)를 탈거하거나 장착하기 위해서는 고정너트(16)를 풀고 트렁크의 내부 깊숙히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려서 무거운 스페어타이어(20)를 빼내거나 집어넣어야 하므로 힘이 들고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페어타이어의 교체작업시에 스페어타이어의 탈거작업과 수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렁크의 바닥면이 요입되어 그 요입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에 스페어타이어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수납부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수납부에 삽입되도록 소정 외경을 갖고 중심부가 상기 결합부에 끼워지도록 소정 내경으로 관통되며 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되도록 내·외주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공기주머니와, 상기 공기주머니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자동차 실내에 공기를 압송하는 블로워로부터 트렁크 내부로 인입되어 접속되며 그 단부에 차단밸브가 설치된 공기주입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상기 공기주머니의 상면 및 하면 상에는 물체와의 접촉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외피가 부착되는 한편,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공기주입라인과 결합되어 주입공기가 유도되도록 공기유입관이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수납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페어타이어수납부, 12:결합부,
20:스페어타이어, 30:공기주머니,
30a:주름부, 32:보호외피,
34:공기유입관, 40:공기주입라인,
42:차단밸브.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의 바닥면이 소정 형상으로 요입되고 그 요입부의 중앙에 결합부(1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에는 체결볼트(14)가 돌설되어 그 상단에 고정너트(16)가 체결되므로서 스페어타이어(20)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삽입되도록 소정 외경을 갖고 중심부가 상기 결합부(12)에 끼워지도록 소정 내경으로 관통되며 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되도록 내·외주면에 주름부(30a)가 형성된 공기주머니(30)와, 상기 공기주머니(30)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자동차 실내에 공기를 압송하는 블로워(송풍모터,미도시)로부터 트렁크 내부로 인입되어 접속되며 그 단부에 차단밸브(42)가 설치된 공기주입라인(40)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머니(30)의 상면 및 하면 상에는 공기주머니(30)가 딱딱한 고체나 날카로운 물체에 접촉시에도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외피(32)가 부착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공기주입라인(40)과 결합되어 주입공기가 유도되도록 공기유입관(34)이 연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라인(40)의 차단밸브(42) 선단에는 원터치니뿔의 암소켓(44)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머니(30)의 공기유입관(34) 단부에는 상기 암소켓(44)에 결속되는 숫소켓(36)이 설치되어 손쉽게 탈착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블로워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공기주입라인(40)의 설치방법은 트렁크 바닥면이나 트렁크 바닥면 저부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경로도 다른 장치 등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설치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에서 타이어를 손상되거나 수리하기 위해 스페어타이어(20)와 교체하고자 할 때는 먼저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스페어타이어(20)를 고정하는 고정너트(16)를 풀어서 해제하고, 운전자가 스페어타이어(20)를 외부로 빼내어야 하는데, 이때 공기주입라인(40)의 차단밸브(42)를 열게 되면 공기유입관(3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공기주머니(30)가 팽창되면서 주름부(30a)가 펼쳐지게 됨과 동시에 스페어타이어(20)가 상부로 부상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나 작업자는 스페어타이어(20)를 외부로 빼내어 타이어 교체작업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고, 작업이 완료되어 교체되어진 타이어는 다시 트렁크의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팽창된 공기주머니(30)의 상면 상에 위치시킨 다음, 공기주입라인(40)과 공기유입관(34)를 연결하는 원터치니뿔의 암소켓(44)과 숫소켓(36)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공기주머니(30) 내부의 공기가 서서히 배출되어 팽창되어 펼쳐진 주름부(30a)가 접혀지면서 스페어타이어(20)는 서서히 상기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너트(16)를 조여서 체결하게 되면 스페어타이어(20)는 상기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에 의하면, 스페어타이어수납부에 스페어타이어를 탈거하거나 장착하기 위해서 트렁크의 내부 깊숙히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려서 무거운 스페어타이어를 빼내거나 집어넣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탈·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트렁크의 바닥면이 요입되어 그 요입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12)에 스페어타이어(20)가 장착되는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타이어수납부(10)에 삽입되도록 소정 외경을 갖고 중심부가 상기 결합부(12)에 끼워지도록 소정 내경으로 관통되며 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되도록 내·외주면에 주름부(20a)가 형성된 공기주머니(30)와;
    상기 공기주머니(30)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자동차 실내에 공기를 압송하는 블로워로부터 트렁크 내부로 인입되어 접속되며 그 단부에 차단밸브(42)가 설치된 공기주입라인(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머니(30)의 상면 및 하면 상에는 물체와의 접촉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외피(32)가 부착되는 한편,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공기주입라인(40)과 결합되어 주입공기가 유도되도록 공기유입관(34)이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KR2019970020119U 1997-07-29 1997-07-29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KR199900066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119U KR19990006634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119U KR19990006634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34U true KR19990006634U (ko) 1999-02-25

Family

ID=6968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119U KR19990006634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63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0990B2 (ja) 組込変形リザーバ付燃料タンク
US7448554B2 (en) Cleaning device for a vehicular lamp
US20100253034A1 (en) Quick swap fender
US20120160585A1 (en) Carrier and holder for a vehicle battery
US9188279B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reserve tank
KR19990006634U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탈착장치
US10974698B2 (en) Windscreen wiper connector assembly for a vehicle
JP2558729Y2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ウォッシャノズル装置
JP2002079966A (ja) カウリング付自動二輪車用フラッシャランプ取付構造
KR950012270B1 (ko) 스페어 타이어 커버용 덮개판의 지지장치
US20050252476A1 (en) Mounting structure for resonator
KR0113747Y1 (ko) 자동차용 윈드실드와셔의 튜브연결장치
KR100476754B1 (ko) 타이어 공기주입기
CN107599811B (zh) 一种汽车轮胎保护罩
KR200154697Y1 (ko) 자동차용연료펌프홀더
KR0115980Y1 (ko) 타이어 공기 주입구 캡 탈거 공구
KR0116924Y1 (ko) 예비타이어 고정구
JP2573435Y2 (ja) 自動車用ランプ取り付け構造
KR0133987Y1 (ko) 고리형 범퍼스테이
KR19980029135A (ko) 1박스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캡
KR0158358B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파손 방지구조
KR100379633B1 (ko) 잭의 보관구조
KR960004421Y1 (ko) 자동차 타이어의 에어주입밸브 및 보호캡
KR19980022020U (ko) 차량용 연료필터장치
KR970003975Y1 (ko) 자동차 견인용 훅 커버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