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006A - 글라스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글라스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006A
KR19990005006A KR1019970029167A KR19970029167A KR19990005006A KR 19990005006 A KR19990005006 A KR 19990005006A KR 1019970029167 A KR1019970029167 A KR 1019970029167A KR 19970029167 A KR19970029167 A KR 19970029167A KR 19990005006 A KR19990005006 A KR 19990005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lip
attached
assembly structure
m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006A/ko
Publication of KR1999000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006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글라스 조립에 있어 조립불량이 거의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립불량이 발생되더라도 쉽게 보수하여줄 수 있도록 해주며, 패널의 끝단이 ㄴ자모양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절곡부, 절곡부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 1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 1클립, 제 1걸림턱에 걸리는 제 2걸림턱과 글라스의 끝단이 안착되는 글라스 결합부를 갖는 제 2클립 및 제 2클립 상단을 둘러싸고 일측단에는 절곡부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 1프로텍터가 부착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글라스 상면에 접촉되는 제 2프로텍터가 부착되어 있는 몰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글라스 조립구조에 관한 발명.

Description

글라스 조립구조
본 발명은 글라스(glass)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의 소정 패널(panel)과 글라스를 연결하여 주므로 써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해주고 또한 차체의 패널과 접촉되는 프로텍터(protector)의 들뜸으로 인해 풍절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주는 글라스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글라스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글라스는 차체의 소정 패널과 연결하여 지지하여 주어야 되는 데 이를 위해 몰딩(molding)부재와 클립(clip) 등을 사용한다. 이에 관련하여 도 1와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글라스 조립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차체에 조립되어 있는 글라스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차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차체(10)에는 글라스(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글라스(12)의 조립구조는 도 2를 보면 알 수 있다.
도 2에는 차체의 패널(11)이 도시되어 있다. 이 패널(11)의 끝단은 ㄴ자모양으로 절곡되어 절곡부(13)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절곡부(13) 상에 글라스(12)의 끝단이 조립되어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글라스(12)와 절곡부(13) 사이에는 몰딩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몰딩부재(20)로는 서스(SUS) 재질의 것을 많이 사용한다. 이 몰딩부재(20)는 소정 형태로 절곡되어 대략 반 타원형 모양의 단면을 하고 있다. 이 몰딩부재(20)의 일단에는 글라스(12)와 접촉되는 부분에 프로텍터(30)가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부재(20)에는 클립(40)이 결합되어 있다. 이 클립(40)은 그 상단이 몰딩부재(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글라스(12)의 끝단을 받쳐주는 글라스 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클립(40)과 글라스(12)는 우레탄 접착제(50)를 통해 절곡부(13)의 일측에 접착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몰딩부재(20)에 클립(40)을 삽입한 후 글라스(12)의 끝단을 클립(40)에 조립한 상태에서 우레탄 접착제(50)로 절곡부(13)에 접착하는 형태로 글라스(12)를 조립하였다. 이 경우 우레탄 접착제(50)가 굳기 전까지 몰딩부재(20)가 빠지거나 이탈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몰딩부재(20)가 이탈되면 이를 다시 보수하여 주어야 되는 데, 우레탄 접착제(50)가 굳어버려 보수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몰딩부재(20)와 클립(40) 등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서는 굳어버린 우레탄 접착제(50)를 모두 제거하여야 하는 데 이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고 그 작업도 매우 어렵다.
또한 우레탄 접착제(50)가 굳기 전까지 클립(40)의 자세가 쉽게 변형되어 프로텍터(30)가 글라스(12)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이에 따라 차량이 주행시 진동으로 인해 프로텍터(30)가 글라스(12) 등의 표면에서 들뜸으로 인해 풍절음이 발생된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 조립에 있어 조립불량이 거의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립불량이 발생되더라도 쉽게 보수하여줄 수 있도록 해주는 글라스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차체의 패널과 접촉되는 프로텍터가 들뜸으로 인해 풍절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글라스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차체에 조립되어 있는 글라스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 제 1클립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패널 112 : 글라스
113 : 절곡부 116 : 양면 접착제
120 : 제 1클립 122 : 제 1걸림턱
130 : 제 2클립 132 : 제 2걸림턱
134 : 글라스 결합부 140 : 몰딩부재
142 : 제 1프로텍터 144 : 제 2프로텍터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되는 글라스와 차체의 소정 패널을 연결하여 주기 위한 글라스 조립구조에 있어서, 패널의 끝단이 ㄴ자모양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절곡부, 절곡부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 1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 1클립, 제 1걸림턱에 걸리는 제 2걸림턱과 글라스의 끝단이 안착되는 글라스 결합부를 갖는 제 2클립 및 제 2클립 상단을 둘러싸고 일측단에는 절곡부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 1프로텍터가 부착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글라스 상면에 접촉되는 제 2프로텍터가 부착되어 있는 몰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조립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 제 1클립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3, 도 4에는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널(111)이 도시되어 있다. 이 패널(111)의 끝단을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모양으로 절곡된 절곡부(113)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절곡부(113)에는 제 1클립(120)이 양면접착제(116)를 통해 일측에 부착되어 있다. 양면접착체(116)로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부착 상태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 3,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클립(120)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 1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클립(120)에는 제 2클립(130)이 결합되어 있다.
제 2클립(130)은 제 1걸림턱(122)에 걸리는 제 2걸림턱(132)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2걸림턱(132) 반대편 위쪽에는 글라스(112)의 끝단이 안착되는 글라스 결합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2클립(130)의 상단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돌기(1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38)는 뒤에서 설명되는 몰딩부재(140)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2클립(130) 위쪽에는 몰딩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몰딩부재(140)는 제 2클립(130)의 상단을 둘러싸고 있다. 이 몰딩부재(140)의 일측단에는 절곡부(113)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 1프로텍터(142)가 부착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글라스(112) 상면에 접촉되는 제 2프로텍터(144)가 부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1클립(120)을 절곡부(113)에 양면 테이프(116)로 부착한 후 제 1클립(120)과 제 2클립(130)을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글라스(112)를 조립한 구조로 제 1클립(120)이 양면 테이프(116)로 절곡부(113)에 부착되어 있어 조립 후 몰딩부재(140)의 제 1프로텍터(142)가 절곡부에서 떨어지는 불량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2차적인 이탈 등의 문제도 없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립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몰딩부재의 프로텍터 등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쉽게 보수하여줄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프로텍터가 차체의 패널에 완전히 밀착되어 있어 차량 주행에 따른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프로텍터가 패널에서 들뜨지 않아 풍절음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차량에 설치되는 글라스와 차체의 소정 패널을 연결하여 주기 위한 글라스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끝단이 ㄴ자모양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 1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 1클립, 상기 제 1걸림턱에 걸리는 제 2걸림턱과 상기 글라스의 끝단이 안착되는 글라스 결합부를 갖는 제 2클립 및 상기 제 2클립 상단을 둘러싸고 일측단에는 상기 절곡부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 1프로텍터가 부착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상기 글라스 상면에 접촉되는 제 2프로텍터가 부착되어 있는 몰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립은 양면 테이프를 통해 상기 절곡부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조립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클립 상단에는 상기 몰딩부재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기가 양측으로 돌출 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조립구조.
KR1019970029167A 1997-06-30 1997-06-30 글라스 조립구조 KR19990005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167A KR19990005006A (ko) 1997-06-30 1997-06-30 글라스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167A KR19990005006A (ko) 1997-06-30 1997-06-30 글라스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06A true KR19990005006A (ko) 1999-01-25

Family

ID=6598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167A KR19990005006A (ko) 1997-06-30 1997-06-30 글라스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0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656B1 (ko) * 2002-10-01 2005-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드 실드 글래스 장착 구조
KR100795699B1 (ko) * 2006-06-27 2008-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몰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656B1 (ko) * 2002-10-01 2005-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드 실드 글래스 장착 구조
KR100795699B1 (ko) * 2006-06-27 2008-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몰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6680B2 (ja) クリップ、および、エアバッグ本体の取り付け構造
KR19990005006A (ko) 글라스 조립구조
JP4734045B2 (ja)
JP4283136B2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JP5122373B2 (ja) 組立式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4631701B2 (ja) エスカッションの取付構造
JP3768114B2 (ja) 圧縮機の電装部品
JP3717005B2 (ja) リード線固定構造
KR10040286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JP2006214479A (ja) 樹脂部材の嵌合構造
US20030189352A1 (en) Fixing structure of protector
JP5216755B2 (ja)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及び固定用クリップ
KR100882494B1 (ko) 루프몰딩 체결구조
JP2602629Y2 (ja) ウインドウ仮止め用クリップ
KR200330642Y1 (ko) 간판부착용 장치
KR100528012B1 (ko) 차량용 보조손잡이 고정브라켓
JPH08167339A (ja) グロメット
KR100862226B1 (ko) 루프 몰딩의 마운팅 구조
JP5288881B2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
KR0130289Y1 (ko) 발광 다이오드 렌즈 고정구조
KR0134231Y1 (ko) 차량의 몰딩루프 들뜸방지구조
KR100528522B1 (ko) 자동차용 가니쉬의 고정구조
KR200207446Y1 (ko) 프레임 및 패널 체결용 스크류 보호구조
JPH07202445A (ja) 軽量筐体
KR100445359B1 (ko)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