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383A - 리튬 전지용 음극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전지용 음극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383A
KR19990004383A KR1019970028473A KR19970028473A KR19990004383A KR 19990004383 A KR19990004383 A KR 19990004383A KR 1019970028473 A KR1019970028473 A KR 1019970028473A KR 19970028473 A KR19970028473 A KR 19970028473A KR 19990004383 A KR19990004383 A KR 19990004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lithium
lithium battery
fib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753B1 (ko
Inventor
안순호
정근창
임미라
전송희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2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753B1/ko
Priority to JP50546399A priority patent/JP4113593B2/ja
Priority to EP98929897A priority patent/EP1016156B1/en
Priority to CN98807400A priority patent/CN1121731C/zh
Priority to PCT/KR1998/000183 priority patent/WO1999000001A2/en
Priority to DE69817592T priority patent/DE69817592T2/de
Publication of KR1999000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383A/ko
Priority to US10/078,285 priority patent/US200201685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6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리튬 전지용 음극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용 음극은, 리튬과 가역(可逆) 반응 할 수 있거나, 리튬이 전해질 염이나 전해질 용매와 반응한 산물이 석출 혹은 침전될 수 있는 구조, 또는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구성된 활물질, 전자 전도성이 있는 미크론 규모의 섬유체로 구성된 첨가물, 금속 또는 탄소 재료로 이루어지는 집전체, 및 활물질 입자를 집전체에 고착할 수 있는 접착제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은 음극용 현탁액 제조시 혹은 접착제 용액 제조시 전도성 사상체를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집전체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제조된 리튬 전지용 음극은 활물질 사이에 존재하는 사상체로 인하여 활물질 분말과 집전체 사이의 전지 전도도가 증진되고 고속 방전능력이 우수하며, 충방전 수명이 긴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리튬 전지용 음극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기 전도도가 획기적으로 증가된 리튬 전지용 음극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도성의 사상체(絲狀體)와 분말형 혹은 섬유형 전극 활성 물질과의 복합전극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리튬 전지용 음극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는 개발된 리튬 전지는 방전 용량과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반면 전지의 내부 저항이 크고 충방전을 반복할때에 용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왔다.
그 주요 원인으로는 종래의 전극은 전기 전도도가 매우 낮으며 전극 활성물질의 접착 강도가 좋지 않아서 집전판으로 부터 전기적 연결이 서서히 단절되는데 있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리튬 전지의 음극은 전지 반응에 참여하는 탄소계의 활성 물질과 이것들을 집전판에 고정하는 접착제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활성물질로는 흑연계 혹은 비흑연계의 탄소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이탄소 재료들은 전기 전도도가 낮으며, 또한 전극 내부에서 입자들은 점 접촉(point contact)에 의존하여 전기적 연결을 취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접촉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국지적으로 고립된 입자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점들은 모두 전극의 저항을 증가시키고 전극의 충전 용량이 이론 값보다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더욱이 충방전시 탄소 구조 내부로 리튬 이온이 삽입, 방출될 때 탄소 입자는 팽창, 수축을 하는 현상을 보인다(Takami., J. Eletrochem. Soc., 142(1995)371). 이때 발생하는 응력(應力)은 분말끼리의 접척력을 약화시키고 입자들 끼리의 점 접촉을 상실케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점차로 탄소 알갱이와 집전판과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어 전지 전체의 용량이 감소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설계시 집전판과 활성 물질과의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전도성 매트릭스를 부수적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방법이 전도체인 카본 블랙 등의 분말을 전극에 첨가하는 것인데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이유에 의하여 비효율적이며 비합리적이다.
활성물질로 사용되는 흑연 등의 평균입도는 일반적으로 직경 활성 물질로 사용되는 흑연등의 평균입도는 일반적으로 직경 1 - 60 ㎛ 이고 카본 블랙의 평균 입도는 약 10 - 500 ㎚ 이다.
따라서 이렇게 상대적으로 작은 카본 블랙 입자가 전도성 매트릭스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는 입자와 입자끼리의 접촉이 집전판에서 부터 활성 물질 입자의 최 전단(前端)까지 부단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부작위(不作爲)적이며 통로의 형성은 순전히 입자들의 조우(遭遇) 확률에 의존한다.
분말 첨가의 방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 확율이 의미 있는 수준으로 상승되어야 하며, 종래의 기술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자의 수밀도(數密度)를 과량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입자가 작고 비(比)표면적이 커서 분산이 용이하지 않은 카본 블랙의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전극 제조시 균일하게 분산된 슬러리를 제조하기 힘든 기술적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또한 입자의 점 접촉(point contact)에 의한 전자 통로의 전도도는 접촉의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전자통로가 중첩(重疊)적으로 형성이 되지 않고는 좋은 전도도를 얻을 수 없다. 이 또한 과량의 전도체를 첨가하게 되는 요인이 되며, 전자 전달 통로 형성에 참여하지 못한 잉여 전도체는 전극 내부의 불활성(不活性) 체적으로 남고 그 결과 전지의 용량과 에너지 밀도가 제한되며, 불필요하게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하여 전지의 비가역 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구조적으로도, 입자의 점 접촉에 의하여 접착제의 도움을 받아 위와 같이 형성된 매트릭스는 인장 강도와 비틀림 저항이 낮아서 활성 물질 입자의 팽창, 수축으로 부터 오는 응력을 적절히 흡수하기 어려울 것이란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설명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크론 규모 섬유형의 전지 전도체를 사용하여 구성된 음극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가닥의 섬유는 그에 필적하는 직경의 분말이 일렬로 늘어선 것과 같은 효과를 보이는 동시에 단위 부피당 표면적이 작고 종축 방향으로의 전기 전도도가 분말보다 월등히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는 일렬로 늘어선 입자들의 집합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수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성유형 재질을 사용하여 전극 내부에 전도 구조를 의도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며 이점은 재래기술이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우연하고도 과도 중복적 방법과 크게 대조된다.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이 보다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종경비(縱經比, aspect ratio)가 큰 전도겅의 섬유소를 혼합하면, 섬유끼리의 물리적 중첩에 의하여 유연하면서도 스스로 지탱하는(self-supporting)구조를 형성한다. 이 구조에 분말형 혹은 다른 형태의 활물질을 첨가하고 접촉제를 작용시키면 구조적 강도와 전도성이 증강된 망상(網狀) 조직과 활성 물질 분말 층이 적절히 혼합된 복합 전극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개개의 섬유소는 활성 물질 분말이 차지하고 남은 빈 공간에 잔류함으로 전극 체적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은 전기적 저항이 작고 고속 방전 능력을 보이며, 충방전을 거듭할 때 발생하는 전극 활물질의 수축 팽창이 수반하는 응력을 분산, 완충하는 특성을 보임으로써 오랜 수명을 보인다.
도 1은 셀 임피던스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리튬의 삽입/방출을 반복하여 용량과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섬유가 첨가되지 않은 것으로 전극의 용량과 리튬 방출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섬유가 첨가된 것으로 전극의 용량과 리튬방출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충방전의 반복에 따른 전극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리튬 전지용 음극은,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거나, 리튬이 전해질염이나 전해질 용매와 반응한 산물이 석출 혹은 침전될 수 있는 구조, 또는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구성된 활물질, 전자 전도성이 있는 미크론 규모의 섬유체로 구성되는 첨가물,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접착제, 및 금속 또는 탄소 재료로 이루어지는 집전체로 형성되며, 또한 이러한 구성의 재료를 이용하여, 음극용 현탁액 제조시 혹은 접착제 용액 제조시 전도성 사상체를 첨가하고 이 현탁액을 집전체에 도포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사상(絲狀) 첨가제는 금속 섬유와 탄소 섬유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금속섬유로는 철, 니켈, 구리, 아연,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백금등 순수금속 및 철-크롬의 합금, 철-크롬-니켈의 합금등 통칭 스테인레스강으로 AISI(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에 의하여 분류된 알루미늄합금과 알루미늄-구리, 알루미늄-망간, 알루미늄-마그네슘, 알루미늄-실리콘-마그네슘 등의 알루미늄의 합금 등에 의한 섬유가 사용된다.
또한 탄소 섬유로는 인조 흑연 및 활성탄을 기초로한 섬유나 기상성장 휘스커(vapor-grown whisker)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사상체의 직경 및 종경비는 대상이 되는 전극 활물질의 입도 분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직경 0.5 미크론에서 25 미크론까지, 종경비는 4에서 2500정도의 범위를 갖는 섬유가 적합하다. 이러한 섬유들은 그대로,혹은 접착증가 등의 이유로 표면처리가 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합한 표면처리의 방법으로는 단순한 표면 산화 환원 반응에서 부터 유기, 혹은 고분자 화합물의 코팅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당업자는 본 발명에서 공지하는 기술에 의하여 섬유 재료 또는 그 재료의 전처리 과정에 관계없이 섬유 강화 전극 구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본 발명이 특별히 섬유의 종류와 그 전처리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음극의 활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탄소계와 비탄소계로 나눌 수 있는데, 탄소계는 다시 흑연계와 비흑연계로 분류된다.
상기 흑연계로는 플레이크(flake)형의 천연 및 인조 흑연과 메소페이스 피치(mesophase pitch)를 기초로한 흑연 즉, MCF, MCMB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흑연계로는 800-1800℃에서 열처리된 비정질(非晶質) 탄소계 물질로 석유 코우크스(petroleum coke), 연질 탄소(soft carbon), 경질 탄소(hard carbon)등과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이나 폴리아세닉(polyacenic)계 화합물, 석탄 등을 토대로 한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비탄소계 재료로는 금속의 산화물(oxides), 황화합물(sulfides), 셀라늄 화합물(selenides)등 통칭 디캘코전 화합물(dichalcogenide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SnO2, WO2, MoO2등이 있고, 금속 황화물의 예로는 TiS2, MoS2등, 셀레늄 화합물의 예로는 NbSe3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한 종류의 활물질 혹은 종류의 활물질 혹은 두 가지 이상의 혼합 활물질이 사용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활성 물질의 종류에도 제한되지 않는다.
전극도포용 슬러리는 전도용 사상체(1차 전도용 첨가제)와 전극 활물질을 용매에 분산시키고 적절한 유기 접착제를 직접 혹은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때에 전지 및 전극 제조자의 여러 가지 설계 목적에 부합하도록, 사상체 이외의 카본 블랙 또는 다른 종류의 탄소계 분말(2차 첨가제)을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접착제의 종류에 제한되지 아니하나 통상적으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계, PVC계, PMMA계, SBR계, SBR Latex계, PTFE(polytetrafluoroethlene)계 고분자 재료들이 사용된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휘발성이며 일반적으로 전극 건조 후 전극 내에는 잔류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nmp(n-methyl-2-pyrrolidone)나 아세톤(acetone) 등을 쓸수는 있으나 유기 용매의 종류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제조한 슬러리를 집전체에 얇게 도포한 후 오븐(oven)에서 가열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고 전극을 완성하고, 필요하면 압착(roll press)에 의하여 전극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집전체의 재료로는 금속판, 금속막, 금속메시(mesh), 금속 거즈(gauze), 구멍뚫린 금속박, 소결된 금속 섬유 메시, 탄소지(carbon paper), 탄소판, 탄소 코팅된 금속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며, 본 발명은 집전 재료의 기하학적 구조와 원소적 조성에 구애받지 않는다.
슬러리 제조시 활성 물질과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도용 사상체를 단독으로 혹은 2차 전도체 분말과 함께 미리 유기 용매에 분산시키는 전처리를 행할수 있다.
상기 이때에 활물질도 같이 혼합될 수 있으며 물리적 교반 혹은 초음파 분산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 제조시 전도용 사상체의 조성은 전체 질량의 0.05%에서 50%까지 혹은 전극 활물질 질량의 0.1%에서 50%까지 변화의 폭은 자유자재로 할 수 있으며, 2차 전도체 분말이 사용되어지는 경우에는 조성의 범위는 더욱 다양하며 분말 질량대 사상체 질량의 비는 0.01:1에서 1:0.01까지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비율은 활물질 질량의 0.5%내지 20% 이내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여러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PVdF 7.0g을 nmp 65ml에 용해시키고 인조 흑연(MCMB)93.0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잘 분산시킨다(혼합물A). 이 혼합물에 A에 0.5-1.0mm 정도의 길이로 절단된 직경 1.5㎛의 스테인레스강(316L)섬유 2.0g을 첨가하여 분산시킨다.(혼합물B). 용매를 제외한 이 혼합물 B의 조성은 흑연:금속섬유:바인더(PVdF)= 91.2:2.0:6.8 이다. 이 혼합물 B를 Cu 박막에 약 150 미크론 두께로 도포한 뒤, 상온에서 5시간 동안 일차 건조한후 약 130도에서 12시간 재차 건조하고 130에서 30분 동안 진공 건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전극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 금속섬유(fiber)가 고르게 전극 매트릭스에 퍼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제조된 전그을 양극으로, 리튬 박막을 음극으로 하여 셀가드(celgard) 1400막으로 분리시켜 조립하고, 이 적층 구조를 1M LiPF6/EC+DEC를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하여 셀(cell)을 구성한다.
상기 조립 직후 셀의 개방회로 전압은 약 3.2V 내외의 값을 보였다. 이 개방회로 전압에서 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도 1에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또한 비교의 목적으로 혼합물 A만을 사용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셀을 조립하고 실험을 행하여 얻은 결과를 도 1에서와 같이 도시한 결과를 보면, 거의 전 주파수대에서 섬유 전도체가 첨가된 셀이 낮은 저항을 보였다.
상기 단위 면적당 전류밀도를 0.31mA/cm2로 리튬의 삽입/방출(intercalation/deintercalation)을 반복하여 용량과 전압의 변화를 조사하여 그림 2에 나타내었다. 혼합물 A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전극에서 얻은 결과도 같이 비교하였다.
도 2에 도시된 결과는 섬유상 전도체가 첨가되었을 때 전극의 용량이 280에서 300mAh/g으로 약 7% 정도 증가함을 보여준다. 이는 전극 내부에 전자 전달 통로가 형성됨으로 인함이며 이로 인하여 전극 내부에 전기적으로 고립되었던 일부 전극 활물질이 전지 반응에 참여하게 됨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같이 제조된 셀을 이용하여 양극에 일정한 전류밀도(0.31mA/cm2)로 리튬 삽입(intercalation)을 수행하고, 0.31mA/cm2에서 6.1 mA/cm2까지 전류밀도를 증가시키며 방출(deintercalation)을 행하였다. 셀의 용량과 전압의 관계, 그리고 탄소 전극의 방출 용량을 각각 도 3, 4 와 표1, 2에 정리하였다.
상기 전도체가 첨가되지 않은 전극과 비교하여 상당한 양의 용량증가가 얻어졌고, 이러한 용량증가는 특히 고속도의 방전에서 더욱 강조되었다.
또한 고속 방전 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이는 전극 내부의 전기 전달 경로의 효율화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사상 전도체 첨가에 따른 고속 방전 용량의 변화.
차단전압(cut-off voltage)=1.5V
전극 상이한 방전율에서의 용량(mAh/g carbon)
0.31 1.55 3.1 4.65 6.2mAh/cm2
섬유가 첨가된 전극 300 274 229 2.65 139
섬유가 첨가되지 않은 전극 281 257 230 149 98
사상 전도체 첨가에 따른 고속 방전 용량의 변화.
차단전압(cut-off voltage)=0.9V
전극 상이한 방전율에서의 용량(mAh/g carbon)
0.31 1.55 3.1 4.65 6.2mAh/cm2
섬유가 첨가된 전극 297 272 224 174 128
섬유가 첨가되지 않은 전극 279 256 226 126 73
충방전 횟수와 용량과의 관계는 도 5에 도시하였다. 층방전 속도는 중간에 몇 차례의 고속 방전 실험을 제외하고는 모두 6.2mAh/cm2로 행하였다. 전반 적으로 섬유형 전도체가 첨가된 전극이 용량을 오래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직경 1.5㎛ 스테인레스강(316L) 섬유를 직경 2㎛ 니켈 섬유로 대체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 도포용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초기 충전시 발생하는 비가역 용량은 스테인레스강 섬유를 첨가한 전극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5)
이 실시예에서는 금속 섬유형의 전도체(1차전도체)가 종래의 분말형 전도체(2차전도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직경 2㎛, 길이 0.5mm의 니켈 섬유 0.4g과 카본블랙 0.4g 인조흑연(SFG15, Timcal)9.0g을 용매 nmp 20g과 혼합하고 고르게 분산 시킨다음 13wt/%의 PVdF/nmp용액 10g과 혼합하고 막자로 천천히 저어주면서 균일한 슬러리를 제조한다.
상기 용매를 제외한 이 혼합물의 조성은 흑연:금속섬유:카본블랙:바인더(PVdF)=81:3.6:3.6:11.8이다. 이혼합물을 Cu 박막에 약 100미크론 두께로 도포한 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셀을 제조하였다. 전극 활물질의 접착력이 한층 더 증강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고속 방전 용량은 8.3mA/cm2에서 전체 용량 50%를 보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같이 제조된 혼합물 B를 Cu Exmet(메시형 집전체)에 약 200㎛ 두께로 도포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셀을 제조하였다. 전극 활물질의 접착력이 한층 더 증강됨을 볼 수 있었다. 고속 방전 용량은 8.3 mA/cm2에서 전체 용량의 50%를 보였다
(실시예 7)
흑연화 반응이 된 탄소 휘스커(직경 5㎛, 길이 1mm)0.5g과 스테인레스강 섬유(직경 0.5㎛, 길이 0.5mm)0.2g, MCMB9.0g을 용매 nmp17g에 고르게 분산시키고, 13wt/%의 PVdF/nmp 용액 8.0g과 혼합하고 교반하여 균일한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Cu 박막에 약 100미크론 두께로 도포한 뒤, 실시예1과 같이 건조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셀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전극은 매우 강인한 접착력을 보였고, 0.3mA/cm2로 충전/방전을 거듭했을 때 100회 반복후 초기용량의 약 95%를 유지하였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용 음극은 활물질 사이에 존재하는 사상체의 망상구조로 인하여 활물질 분말과 집전체 사이의 접착력과 전기 전도도가 증진되고, 고속 충전/방전능력이 우수하며, 충전/방전 수명이 길다.

Claims (11)

  1. 활물질, 첨가물, 접착제, 그리고 집전체로 구성된 리튬 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거나, 리튬이 전해질이나 전해질 용매와 반응한 산물이 석출 혹은 침전될 수 있는 구조, 또는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첨가물은 전자 전도성이 있는 미크론 규모의 섬유체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제는 고분자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집전체는 금속 또는 탄소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철, 니켈, 구리, 아연,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백금등 순수 금속 및 철-크롬의 합금, 철-크롬-니켈의 합금등 통칭 스테인레스강으로 AISI(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에 의하여 분류된 합금과 알루미늄-구리, 알루미늄-망간, 알루미늄-마그네슘, 알루미늄-실리콘-마그네슘 등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료로 제조된 금속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의 직경은 0.5 미크론 내지 25 미크론의 범위이고, 그의 종경비는 4 내지 25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탄소 섬유로서, 인조 흑연 및 활성탄을 기초로 한 섬유 또는 기상성장 휘스커형 카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의 직경은 0.5 미크론 내지 25 미크론의 범위이고, 그의 종경비는 4 내지 25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2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섬유 재료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규격의 단일 종류의 섬유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규격의 2종류 이상의 이질 섬유 재료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섬유 재료와 분말 카본 재료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
  10. 리튬 전지용 음극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거나, 리튬이 전해질염이나 전해질 용매와 반응한 산물이 석출 혹은 침전될 수 있는 구조, 또는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구성된 활물질,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접착제, 금속 또는 탄소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전체를 이용하며,
    음극용 현탁액 제조시 혹은 접착제 용액 제조시 전도성이 있는 미크론 규모의 섬유체로 구성된 사상체를 첨가하는 단계, 이 현탁액을 상기 집전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이 도포체를 오븐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극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압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KR1019970028473A 1997-06-27 1997-06-27 리튬전지용음극및그의제조방법 KR10036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473A KR100368753B1 (ko) 1997-06-27 1997-06-27 리튬전지용음극및그의제조방법
JP50546399A JP4113593B2 (ja) 1997-06-27 1998-06-26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EP98929897A EP1016156B1 (en) 1997-06-27 1998-06-26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98807400A CN1121731C (zh) 1997-06-27 1998-06-26 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PCT/KR1998/000183 WO1999000001A2 (en) 1997-06-27 1998-06-26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E69817592T DE69817592T2 (de) 1997-06-27 1998-06-26 Lithium-ionen sekundärbatteri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10/078,285 US20020168574A1 (en) 1997-06-27 2002-02-15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473A KR100368753B1 (ko) 1997-06-27 1997-06-27 리튬전지용음극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383A true KR19990004383A (ko) 1999-01-15
KR100368753B1 KR100368753B1 (ko) 2003-04-08

Family

ID=3741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473A KR100368753B1 (ko) 1997-06-27 1997-06-27 리튬전지용음극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7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393B1 (ko) * 1999-09-09 2002-10-19 (주) 네스 콘덴서
KR101088073B1 (ko) * 2010-10-16 2011-12-01 주식회사 샤인 금속 장섬유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를 갖는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43372A (ko)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439225B2 (en) 2014-06-13 2019-10-08 Lg Chem, Ltd. Lithium electr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4579A1 (en) 2004-07-27 2006-02-02 Vladimir Kolosnitsyn Battery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721035B1 (ko) 2005-07-28 2007-05-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전극촉매 및 그 제조방법
EP2629352A1 (en) 2012-02-17 2013-08-21 Oxis Energy Limited Reinforced metal foil electrode
EP2784850A1 (en) 2013-03-25 2014-10-01 Oxis Energy Limited A method of cycling a lithium-sulphur cell
PL2784851T3 (pl) 2013-03-25 2015-12-31 Oxis Energy Ltd Sposób ładowania ogniwa litowo-siarkowego
ES2671399T3 (es) 2013-03-25 2018-06-06 Oxis Energy Limited Un método para cargar una celda de litio-azufre
GB2517228B (en) 2013-08-15 2016-03-02 Oxis Energy Ltd Laminate cell
CA2932977A1 (en) 2013-12-17 2015-06-25 Oxis Energy Limited Electrolyte for a lithium-sulphur ce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8868A (ja) * 1987-06-10 1988-12-16 Hitachi Ltd 二次電池
JPH0945334A (ja) * 1995-07-26 1997-02-14 Katayama Tokushu Kogyo Kk リチウム二次電池極板用基材、該基材を用いた極板および該極板を用いた二次電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393B1 (ko) * 1999-09-09 2002-10-19 (주) 네스 콘덴서
KR101088073B1 (ko) * 2010-10-16 2011-12-01 주식회사 샤인 금속 장섬유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를 갖는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9680147B2 (en) 2010-10-16 2017-06-13 Jenax Inc. Battery having an electrode structure comprising long metal fiber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150143372A (ko)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312502B2 (en) 2014-06-13 2019-06-04 Lg Chem, Ltd. Lithium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0439225B2 (en) 2014-06-13 2019-10-08 Lg Chem, Ltd. Lithium electr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8753B1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68574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774683B1 (ko) 전극 활물질 슬러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이차전지
JP5518317B2 (ja) カーボンブラック複合体及びその用途
CN116190596A (zh) 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电池和终端
JP5985137B2 (ja) 非水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6173121A (ja) 陰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陰極とリチウム電池
JP2960834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5448555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の負極作製用のスラリー、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JP200716506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電極構造体及び該電極構造体を有する二次電池
KR100368753B1 (ko) 리튬전지용음극및그의제조방법
US6143448A (en) Electrode materials having carbon particles with nano-sized inclusions therewithin and an associated electrolytic and fabrication process
JP4113593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32839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0368754B1 (ko) 리튬전지용양극및그의제조방법
US20220020997A1 (en) Electrode material including silicon oxide an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JP3052760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100118809A (ko) 리튬 이차전지용 코어-쉘형 음극 활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2023124804A (ja) 金属硫化物を含む保護層を備えた全固体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2755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の製造方法
KR100380858B1 (ko) 2차전지및그제조방법
KR20220003985A (ko) 이차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전극
US20230106063A1 (en) 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olid-state battery
KR10040370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EP4177989A1 (en)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using same
EP4012798A1 (en)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