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858B1 - 2차전지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차전지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858B1
KR100380858B1 KR1019980002226A KR19980002226A KR100380858B1 KR 100380858 B1 KR100380858 B1 KR 100380858B1 KR 1019980002226 A KR1019980002226 A KR 1019980002226A KR 19980002226 A KR19980002226 A KR 19980002226A KR 100380858 B1 KR100380858 B1 KR 10038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battery
electrode
rechargeable lithium
active material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583A (ko
Inventor
안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8000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858B1/ko
Publication of KR98000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583A/ko
Priority to CN98807400A priority patent/CN1121731C/zh
Priority to EP98929897A priority patent/EP1016156B1/en
Priority to JP50546399A priority patent/JP4113593B2/ja
Priority to PCT/KR1998/000183 priority patent/WO1999000001A2/en
Priority to DE69817592T priority patent/DE69817592T2/de
Priority to US10/078,285 priority patent/US200201685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6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리튬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는 정극과 부극, 전해질 그리고 분리막으로 구성된다. 정극과 부극은 리튬과 가역(可逆) 반응할 수 있거나, 리튬이 전해질 염이나 전해질 용매와 반응한 산물이 석출 혹은 침전될 수 있는 구조 또는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구성된 활물질, 전자 전도성이 있는 미크론 규모의 섬유체로 구성된 첨가물, 금속 또는 탄소 재료로 이루어지는 집전체, 그리고 접찹제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전극을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는 내부 저항이 작고 높은 용량을 갖으며 고속 충방전 능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2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전지의 내부 저항이 작으며 전지의 용량이 획기적으로 증가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의 제조시 전도성 사상체(絲狀體)를 전극 활물질에 첨가하여 제조한 복합 전극을 채택하여 조립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리튬 이온 전지는 에너지 밀도와 비 에너지가 높은 반면 전지의 내부 저항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속 방전시 전지 전압의 급격한 하강으로 인한 전지의 가(可)용량 감소가 발생하며 이 단점으로 인하여 높은 전류가 요구되는 전자 기기 및 장치에서는 리튬 전지가 비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리튬 이온 전지의 큰 내부 저항과 낮은 충 방전 속도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는 종래 전극의 재료와 구조의 전기 전도도가 매우 낮은데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은 리튬 이온을 삽입할 수 있는 분말형 활물질과 집전판에 고정하는 접착제로 구성된다. 활물질로 현재 사용되는 LiCoO2, LiMn2O4, LiNiO2, 탄소계 재료 등은 전자 전도도가 매우 좋지 않다. 또한 이들 활물질 입자는 리튬 이온이 삽입, 방출될 때 팽창, 수축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응력(應力)과 전해액에 의한 접착제의 팽윤(膨潤) 작용은 활물질 입자들의 점 접촉(point contact)을 상실케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전극 제조시 집전판으로부터 활물질 까지의 전자 전달 통로를 부수적으로 형성해 주어야 한다. 부극의 경우 활물질이 흑연 혹은 기타 다른 탄소 재료일 때에는 전도도 문제가 정극 만큼 심각하지는 않으나, 때때로 전지의 종류와 설계 목적에 따라 부수적인 도전체의 첨가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통상적으로 카본, 흑연 등의 분말을 도전체로써 전극에 첨가한다. 그런데 이들 탄소 재료들은 금속과 비교하여 1000 분의 1정도로 전기 전도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전극 내부에서 입자들은 점 접촉에 의존하여 전기적 연결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전극의 내부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다시 말해, 입자가 전도성 매트릭스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는 입자와 입자끼리의 접촉이 집전판에서부터 활물질 입자의 최 전단(前端)까지 부단(不斷)히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와 같은 점 접촉에 의한 전자 통로는 필연적으로 큰 접촉 저항을 가지며 활물질 입자들이국지적으로 고립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전극의 방전 용량이 이론치 보다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위와 같은 분말형 도전체에 의한 전자 통로 형성의 과정은 부작위(不作爲)적이며 통로의 형성은 순전히 입자들의 조우(遭遇) 확률에 의존한다. 또한 입자의 점 접촉에 의한 전자 통로의 전도도는 접촉의 회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전자 통로가 중첩(重疊)적으로 형성이 되지 않고는 좋은 전도도를 얻을 수 없다. 종래 기술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자가 작고 비(比)표면적이 커서 분산이 용이하지 않은 카본 블랙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전극 제조시 균일하게 분산된 슬러리를 제조하기 힘든 기술적 어려움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전자 통로 형성에 참여하지 못한 잉여 전도체는 전극 내부의 불활성(不活性) 체적으로 잔존하게 되어서 전지의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제한한다. 또한 불필요하게 증가된 전극 표면적은 부극의 경우 비가역 용량의 증가, 정극의 경우 부반응 속도의 증가에 의한 자가 방전 상승 혹은 전지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 등을 제공하기도 한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97-28473호와 제97-28474호에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결점이 분말형 재료들을 혼합하는데 기인하는 것임을 지적하였으며, 분체형 활물질의 단순, 반복적인 누적(累積)이 활물질 입자 사이의 접촉 저항과 국지적으로 단절된 입자군(群)의 발생에 기여한다는 것을 개시하였다. 또한 상기의 선행 특허 출원에서 이종(異種)의 복합 전극을 구성하는 것과 이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섬유형의 전도체를 분말형 전극 활성 물질과 복합하여 완성된전극의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도 1은 MCMB 전극의 첫 충전, 방전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섬유형 도전체의 첨가에 따른 LiCoO2전극의 용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섬유형 도전체가 첨가된 전지의 충전, 방전 능력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리튬 이차 전지는 정극과 부극 그리고 전해질과 분리막으로 구성된다.
이중 정극은
Li1-xAxNi1-yByO2(여기서, A=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B=천이
금속, 0≤ x ≤0.1, 0≤ y ≤1.0);
LiMn2-yMyO4(여기서 M=Fe, Co, Ni; 0.02 ≤ y ≤ 0.3);
Li1-xNi1-yByS2(여기서, B=천이금속, 0 ≤ x ≤ 1.0, 0 ≤ y ≤ 1.0);
NbSe3; 또는
LixV2O5, LixV6O13(여기서, 0 ≤ x ≤ 3.0)
으로 표현되는 활물질과 전자 전도성이 있는 미크론 규모의 섬유체인 첨가물 그리고 금속 또는 탄소 재료로 이루어지는 집전체 및 활물질 입자를 집전체에 고착할 수 있는 접착제로 구성된다.
부극은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거나 리튬이 전해질 염이나 전해질 용매와 반응한 산물이 석출 혹은 침전될 수 있는 구조 또는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구성된 활물질과, 전자 전도성이 있는 미크론 규모의 섬유체로 구성되는 첨가물, 그리고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접착제, 및 금속 또는 탄소 재료로 이루어지는 집전체로 구성된다. 부극용 활물질 중에서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탄소계와 비탄소계로 나눌 수 있는데, 탄소계는 다시 흑연계와 비 흑연계로 나누어진다. 흑연계로는 플레이크(flake)형의 천연 및 인조 흑연과 메소페이스 피치 (mesophase pitch)를 기초로한 흑연 즉, MCF, MCMB 등을 들 수 있다. 비흑연계로는 약 800∼1800 ℃에서 열처리된 비정질(非晶質)탄소계 물질로 석유 코우크스(petroleum coke), 연질 탄소(soft carbon), 경질 탄소(hard carbon)등과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이나 폴리아세닉(polyacenic)계 화합물, 석탄 등을 토대로 한 재료를 들 수 있다. 비 탄소계 재료로는 금속의 산화물(oxides), 황 화합물(sulfides), 셀레늄 화합물(selenides)등 통칭 디캘코전 화합물(dichalcogenides)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SnO2, WO2, MoO2등이 있고, 금속 황화합물의 예로는 TiS2, MoS2등, 셀레늄 화합물의 예로는 NbSe3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한 종류의 활물질 혹은 두 가지 이상의 혼합 활물질이 사용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활성 물질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정극과 부극의 전도성 사상(絲狀) 첨가제는 금속 섬유와 탄소 섬유로 분류할 수 있다. 금속 섬유료는 철, 니켈, 구리, 아연,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백금 등 순수 금속 및 철-크롬의 합금, 철-크롬-니켈의 합금(통칭 스테인레스강)과 알루미늄-구리, 알루미늄-망간, 알루미늄-마그네슘, 알루미늄-실리콘-마그네슘의 알루미늄의 합금 등에 의한 섬유가 사용되며, 탄소 섬유로는 인조 흑연 및 활성탄을 기초로 한 섬유나 기상 성장 휘스커(vapor-grown whisker)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사상체의 직경 및 종경비는 대상이 되는 전극 활물질의 입도 분포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직경 0.1 미크론에서 25 미크론까지, 종경비는 4 에서 2500 정도의 범위를 갖는 섬유가 적합하다.
이러한 섬유 물질들은 그대로, 혹은 접착력 증가를 위하여 표면처리 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단순한 표면 산화 환원 반응에서부터 유기 물질, 혹은 고분자 화합물의 코팅을 예로 들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서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섬유 재료 또는 그 재료의 전 처리 과정에 관계없이 섬유 강화 전극 구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본 발명의 특별히 섬유의 종류와 그 전 처리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극 도포용 슬러리는 전도용 사상체(1차 전도용 첨가제)와 전극 활물질을 용매에 분산시키고 적절한 유기 접착제를 직접 혹은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때에 전지 및 전극 제조자의 여러 가지 설계 목적에 부합하도록, 사상체 이외의 카본 블랙 또는 다른 종류의 탄소계 분말(2차 첨가제)을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접착제의 종류에 제한되지 아니하나 통상적으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계, PVC계, PMMA계, SBR계, SBR Latex계, PTFE(polytetrafluoroethylene)계, 고무계 고분자 재료들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휘발성이며 일반적으로 전극 건조 후 전극내에는 잔류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nmp(n-methyl-2-pyrrolidone)나 아세톤(acetone) 등을 쓸 수 있으나 유기 용매의 종류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제조한 슬러리를 집전체에 얇게 도포한 후 오븐(oven)에서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증가시키고 전극을 완성한다. 필요하면 압착 (roll press)에 의하여 전극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집전체의 재료로는 금속판, 금속박, 금속 메시(mesh), 금속 거즈(gauze), 구멍 뚫린 금속박, 소결된 금속 섬유 메시, 카본지(carbon paper), 탄소판, 탄소 코팅된 금속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며, 본 발명은 집전 재료의 기하학적 구조와 원소적 조성에 구애받지 아니한다.
슬러리 제조시 활성 물질에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도용 사상체를 단독으로 혹은 2차 전도체 분말과 함께 미리 유기 용매에 분산시키는 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때에 활물질도 같이 혼합될 수 있으며 물리적 교반 혹은 초음파 분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슬러리 제조시 전도용 사상체의 조성은 전체 질량의 0.05 %에서 50 %까지 혹은 전극 활물질 질량의 0.1 %에서 50 %까지 변화의 폭은 자유 자재로 할 수 있으며, 2차 전도체 분말이 사용되어지는 경우에는 조성의 범위는 더욱 다양하여 분말 질량재 사상체 질량의 비는 0.01 : 1에서 1 : 0.01까지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유용한 비율은 활물질 질량의 0.1 % 내지 20 % 이내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극을 이용하여 원통형의 전기를 제조한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정극과 부극에 단자를 용접한 후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감아서 젤리 롤(Jelly Roll)을 제조하고 18650 규격의 원통에 삽입하고 전극 단자를 원통과 뚜껑에 용접한 후 전해액으로 채우고 밀봉하여 전지를 완성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PVdF 7.0 g을 nmp 65 ml 에 용해시키고 인조 흑연 (MCMB) 93.0 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잘 분산 시켰다(혼합물 A). 이 혼합물 A에 0.5∼1.0 mm 정도의 길이로 절단된 직경 1.5 ㎛의 스테인레스강(316L) 섬유 2.0 g을 첨가하여 잘 분산시켰다(혼합물 B). 용매를 제외한 이 혼합물 B의 조성은 흑연:금속섬유: 바인더(PVdF)= 91.2 : 2.0 : 6.8이다. 이 혼합물 B를 구리 박막에 약 150 미크론 두께로 도포한 뒤, 상온에서 5시간 동안 일차 건조한 후 약 130 ℃에서 12시간 재차 건조하고 130 ℃에서 30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전극을 양극으로, 리튬 박막을 음극으로 하여 Celgard 1400 막으로 분리시켜 조립하고, 이 적층 구조를 1MLiPE6/EC+DEC를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하여 셀(cell)을 구성한다. 단위 면적량 전류 밀도를 0.31 mA/㎠로 리튬의 삽입/방출(intercalation/deintercalation) 을 반복하여 용량과 전압의 변화를 조사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혼합물 A 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전극에서 얻은 결과도 같이 비교하였다. 또한 도전체로서 카본 블랙(EC600)을 금속 섬유와 대등한 부피비로 사용한 전극도 도 1에 같이 비교하였다.
즉, 도 1에 3가지 종류의 부극 --(a)표준 전극, (b) 금속 섬유 함유 전극, (c)카본 블랙 함유 전극-- 에 대한 첫 방전 곡선을 도시하였다. 도전체가 첨가되지 않은 표준 전극과 비교하여 섬유가 첨가된 전극의 비가역 용량은 약 1∼5 mAh/g 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가역 용량에 있어서는 약 20∼40 mAh/g 정도 증가하였다. 비가역 용량의 증가는 금속 섬유에 의한 전극 표면적의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용량 증가는 전기적으로 고립되고 사장되어 있던 활물질이 섬유형 전도체에 의하여 전기적 연결을 회복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금속 섬유와 동일한 부피의 카본 블랙(EC600) 을 금속 섬유 대신 첨가한 전극의 경우에 가역 용량이 약 300 mAh/g으로 섬유 도전체에 의한 전극의 용량과 유사하였으나 비가역 용량은 약 54 mAh/g으로 금속 섬유(30 mAh/g)보다 훨씬 높았다.
실시예 2
PVdF를 nmp에 약 9 : 1의 비율로 용해시켜 접착제 용액을 준비하였다. 여기에 LiCoO2(Seimi)와 흑연(Lonza, KS6)을 첨가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슬러리 A). 이 슬러리 A 의 조성은 LiCoO2: 흑연 : PVdF = 91 : 6 : 3 이다. 이 슬러리 A에 직경이 1.5 ㎛이고 길이/직경 비가 100∼1000인 스테인레스강(316L) 섬유를 첨가하여 분산,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슬러리 B). 이 슬러리 B를 알루미늄박에 도포하여 130 ℃에서 약 30 분간 air-drying 하여 전극을 건조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전극을 양극으로, 리튬 foil을 각각 음극과 기준 전극 (Reference Electrode)으로하고, 1M LiClo4/EC+DEC를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하여 셀(cell) 을 구성하였다.
0.1 C rate로 셀을 충전하고 방전하여 (4.2V-3.0V) 금속 섬유의 첨가가 전극의 방전 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차단 전압(cut-off Voltage)에 따른 용량을 표 1에 정리하였다. 도 2와 표 1은 금속 섬유의 첨가량에 따른 정극 방전 용량의 변화를 보여주는데, 금속 섬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극의 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용량 증가 현상은 전극 내의 활물질의 이용도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섬유형 금속 도전체가 첨가되기 전에는 기존 전극 내의 활물질이 100 %까지 이용이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기존 도전체인 흑연 입자에 의한 전자 전달이 미흡하여 국지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활물질이 금속 섬유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지 반응에 참여하게 된다고 이해된다. 한편 방전 곡선의 차단 전압이 높게 조정되어 있을수록 용량 증가의 폭이 커지는 것은 금속이 첨가됨에 따라 전극의 IR drop이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
섬유형 금속 도전체 첨가에 따른 전극 용량의 변화.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이 제조된 부극과 실시예 2와 같이 제조된 정극을 사용하여 18650 규격의 원통형의 전지를 제조하였다. 분리막으로는 Celgard 1400을, 전해질로는 LiPF61M 농도의 EC+DEC 용액을 사용하였다. 모든 충 방전 시험은 Toyo의 TOSCAT 3000U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첫 충방전은 0.1 C rate로 하였으며, 그 이후 0.2 C로 4회 cycle하고 이 후 1 C rate으로 충방전하였다. 1 C 충전시에는 정압 모드 충전을 병행하였고 총 충전 시간은 2시간 30분으로 제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용량의 변화를 도 3에 도시하였다. 금속 섬유 도전체가 사용되지 않은 전지와 비교하여 훨씬 안정되고 높은 용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2차 전지는 내부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전지의 용량이 획기적으로 증가된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한다.

Claims (13)

  1. 정극과 부극 그리고 전해질과 분리막으로 구성된 재충전 리튬 전지에 있어서,
    싱기 정극과 부극중 적어도 하나는 첨가물을 전극 활물질 질량의 0.1 %에서 50 %까지 포함하며, 상기 첨가물은 인조 흑연 및 활성탄을 기초로 한 섬유, 기상 성장 휘스커 형 탄소 섬유, 철, 니켈, 구리, 아연,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백금, 철-크롬의 합금, 철-크롬-니켈의 합금,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료로 구성 되었으며, 0.1 미크론 내지 25 미크론의 직경을 가지고 종경비가 4 내지 2500 인 섬유 형상의 첨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 리튬 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정극은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 유기황 화합물, 및 유기황화합물 고분자로 구성되는 군(群)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활물질로 포함하는 재충전 리튬 전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Li1-xAxNi1-yByO2(여기서 A=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B=천이 금속, 0≤ x ≤0.1, 0≤ y ≤1.0);
    LiMn2-yMyO4(여기서 M=Fe, Co, Ni; 0.02 ≤ y ≤ 0.3);
    Li1-xNi1-yByS2(여기서 B=천이금속, 0 ≤ x ≤ 1.0, 0 ≤ y ≤ 1.0);
    NbSe3; 또는
    LixV2O5, LixV6O13(여기서, 0 ≤ x ≤ 3.0) 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활물질로 포함하는 재충전 리튬 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부극은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리튬이 전해질염이나 전해질 용매와 반응한 산물이 석출 혹은 침전될 수 있는 구조의 화합물, 리튬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의 화합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및 탄소로 구성되는 군(群)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활물질로 포함하는 재충전 리튬 전지.
  5. 제 1항에 있어서,
    전해질은 LiPF6, LiBF4, LiClO4, LiAsF6, LiSbF6, LiN(CF3SO2)2, LiCF3SO2, LiN(SO2C2F5)2로 구성된 군(群)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재충전 리튬 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전해질은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비닐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부티롤락톤,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톡시에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群)에서 선택된 용매를 포함하는 재충전 리튬 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분리막이 다공성의 고분자 막(膜) 또는 부직포인 재충전 리튬 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인조 흑연 및 활성탄을 기초로 한 섬유 또는 기상 성장 휘스커 형 탄소 섬유로서, 직경은 0.1 미크론 내지 25 미크론이고, 종경비는 4 내지 2500인 재충전 리튬 전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의 직경은 0.1 내지 4 미크론이고, 종경비는 4 내지 250인 재충전 리튬 전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이 2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섬유상 첨가물의 혼합물인 재충전 리튬 전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의 직경은 0.5 미크론 내지 4 미크론이고, 종경비는 4 내지 250 인 재충전 리튬 전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의 함량은 전극 활물질 질량의 0.1 %에서 10 %까지 인 재충전 리튬 전지.
  13. 리튬 전지용 전극을 제조함에 있어서,
    a) 인조 흑연 및 활성탄을 기초로 한 섬유, 기상 성장 휘스커 형 탄소 섬유, 철, 니켈, 구리, 아연,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백금, 철-크롬의 합금, 철-크롬-니켈의 합금,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재료로 구성 되었으며, 0.1 미크론 내지 25 미크론의 직경을 가지고 종경비가 4 내지 2500 인 섬유 형상의 첨가물을 전극 활물질에 0.1 내지 50 중량%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현탁액을 집전체에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도포체를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KR1019980002226A 1997-06-27 1998-01-24 2차전지및그제조방법 KR10038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226A KR100380858B1 (ko) 1998-01-24 1998-01-24 2차전지및그제조방법
CN98807400A CN1121731C (zh) 1997-06-27 1998-06-26 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EP98929897A EP1016156B1 (en) 1997-06-27 1998-06-26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50546399A JP4113593B2 (ja) 1997-06-27 1998-06-26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1998/000183 WO1999000001A2 (en) 1997-06-27 1998-06-26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E69817592T DE69817592T2 (de) 1997-06-27 1998-06-26 Lithium-ionen sekundärbatteri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10/078,285 US20020168574A1 (en) 1997-06-27 2002-02-15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226A KR100380858B1 (ko) 1998-01-24 1998-01-24 2차전지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583A KR980006583A (ko) 1998-03-30
KR100380858B1 true KR100380858B1 (ko) 2003-08-02

Family

ID=3741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226A KR100380858B1 (ko) 1997-06-27 1998-01-24 2차전지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35B1 (ko) 2005-07-28 2007-05-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전극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1217561B1 (ko) * 2010-11-02 2013-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5640A1 (en) * 2020-10-12 2022-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charg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744A (ja) * 1994-11-16 1996-05-31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二次電池
JPH08236151A (ja) * 1995-02-28 1996-09-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非水溶媒電解液を有する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744A (ja) * 1994-11-16 1996-05-31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二次電池
JPH08236151A (ja) * 1995-02-28 1996-09-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非水溶媒電解液を有する二次電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35B1 (ko) 2005-07-28 2007-05-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전극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1217561B1 (ko) * 2010-11-02 2013-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US9029014B2 (en) 2010-11-02 2015-05-12 Samsung Sdi Co., Ltd. An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an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58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68574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8748036B2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01667640B (zh) 正极活性物质、使用它的正极以及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355627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6173121A (ja) 陰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陰極とリチウム電池
KR20070030487A (ko) 음극 전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040089514A (ko) 정극 활물질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비수성 전해질 2차전지
JP4595145B2 (ja) 非水電解質電池
WO2012144177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負極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WO2007021148A1 (en) Electrochemical device with high capac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2015735A (ja) リチウム二次電池正極活物質用リチウム鉄複合酸化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4113593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68754B1 (ko) 리튬전지용양극및그의제조방법
KR100368753B1 (ko) 리튬전지용음극및그의제조방법
JPH109787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EP3968409A1 (en) Composite anode active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anode compris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KR20080036255A (ko) 리튬 이차전지용 혼합 음극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고출력리튬 이차전지
JPH06302315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その製造法
JP349973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EP0905807B1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314088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80028797A (ko) 스웰링 현상이 개선된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050000318A (ko) 부극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전지
KR100380858B1 (ko) 2차전지및그제조방법
KR100897180B1 (ko) 도전제로서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양극 합제 및그것으로 구성된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