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299U -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299U
KR19990003299U KR2019970016893U KR19970016893U KR19990003299U KR 19990003299 U KR19990003299 U KR 19990003299U KR 2019970016893 U KR2019970016893 U KR 2019970016893U KR 19970016893 U KR19970016893 U KR 19970016893U KR 19990003299 U KR19990003299 U KR 199900032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uffler
exhaust gas
inlet pip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299U/ko
Publication of KR19990003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299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인렛파이프를 이중 파이프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인렛파이프에서 아웃렛파이프로 배기되는 배기 가스가 인렛파이프에서 한 번더 리버스(reverse)되는 효과를 갖게 하여 제한된 머플러 몸체 내에서 배기 가스로 인한 소음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기와 노출되는 테일파이프(102)가 설치된 리어 머플러(100)에 있어서, 상기 리어 머플러(100)를 구성하는 인렛파이프(110)의 둘레에 공간을 두고 다수의 구멍(10a)이 천공되어 인렛파이프(110)에서 배기되는 가스를 한 번더 리버스시키는 중간파이프(10)를 형성한 것으로, 배기 가스가 인렛파이프(110)와 중간파이프(10)를 지나 아웃렛파이프(112)로 배기되게 함으로서 상기 중간파이프(10)가 배기 가스의 역공명 효과를 갖게 되어 리어 머플러(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머플러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배기 가스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인렛파이프의 둘레에 공간을 두고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중간파이프를 설치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 있어 머플러는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기 전에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엔진의 일반적인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되는 배기파이프(50)의 단부에 엔진의 진동 전달을 차단시키는 벨로우즈관(60)이 연결되고, 이 벨로우즈관(60)을 통해 차례로 유해 가스의 방출을 억제시키는 카탈레틱 컨버터(catalytic converter) (70)와,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하는 프런트 머플러(80) 및 센터파이프(90)를 통해 테일파이프(102)를 갖는 리어 머플러(100)가 설치되어 배기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리어 머플러(100)는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몸체(104)의 내부에 설치된 프런트 배플(106)과 리어 배플(108)을 통해 인렛파이프(110)와 아웃렛파이프(112)가 설치되고 이 아웃렛파이프(112)를 통해 테일파이프(10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기 시스템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 가스가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된 배기파이프(50)를 통해 벨로우즈관(60)을 거쳐 카탈레틱 컨버터(70)에서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된 유해 가스가 환원되어 프런트 머플러(80)와 센터파이프(90) 및 리어 머플러(100)로 배기되면, 리어 머플러(100)에서는 인렛파이프(110)와 아웃렛파이프(112) 및 이들 파이프(110)112)에 천공된 구멍(110a)(112a)을 거치면서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가 저하되고 급격한 팽창과 폭음이 억제되어 대기와 노출된 테일파이프(102)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리어 머플러(100)에 의하면, 배기 가스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머플러 몸체(104) 자체가 크면 클수록 유리하나, 머플러 몸체(104)가 설치되는 차체의 제약 때문에 머플러 몸체(104)를 크게 하는 것은 패키지에 따라 제한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리어 머플러(100)의 구조에서는 배기 가스의 소음 차단에 한계를 갖게 되어 테일파이프(102)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공명은 대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소음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테일파이프(102)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배기 가스의 소음이 더 이상 완화되지 못한 체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테일파이프(102)를 지나 대기로 방출되는 배기 가스로부터 이상 소음이 발생되며, 특히 차량의 고속 주행 중에는 배기 시스템과 함께 테일파이프(102)에서도 배기 가스 흐름이 빨라지게 되면서 배기 가스에서 지속적인 이상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인렛파이프를 이중 파이프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인렛파이프에서 아웃렛파이프로 배기되는 배기 가스가 인렛파이프에서 한 번더 리버스(reverse)되는 효과를 갖게 하여 제한된 머플러 몸체 내에서 배기 가스로 인한 소음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기와 노출되는 테일파이프가 설치된 리어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인렛파이프의 둘레에 공간을 두고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인렛파이프에서 배기되는 가스를 한 번더 리버스시키는 중간파이프를 형성한 것으로, 배기 가스가 인렛파이프와 중간파이프를 지나 아웃렛파이프로 배기되게 함으로서 상기 중간파이프가 배기 가스의 역공명 효과(reverse)를 갖게 되어 리어 머플러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간파이프100 : 리어 머플러
102 : 테일파이프110 : 인렛파이프
112 : 아웃렛파이프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몸체(104)의 내부에 설치된 프런트 배플(106)과 리어 배플(108)을 통해 인렛파이프(110)와 아웃렛파이프(112) 및 테일파이프(102)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되는 리어 머플러(100)에 있어서, 상기 인렛파이프(110)의 둘레에 공간을 두고 다수의 구멍(10a)이 천공되어 인렛파이프(110)에서 배기되는 가스를 한 번더 리버스시키는 중간파이프(10)를 프런트 배플(106)과 리어 배플(108)을 통해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도 1과 같이 엔진의 배기 가스가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된 배기파이프(50)를 통해 벨로우즈관(60)을 거쳐 카탈레틱 컨버터(70)에서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된 유해 가스가 환원되어 프런트 머플러(80)와 센터파이프(90) 및 리어 머플러(100)의 테일파이프(102)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게 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가스가 센터파이프(80)를 통해 리어 머플러(100)로 유입되면, 배기 가스는 인렛파이프(110)로 유입되면서 인렛파이프(110)에 천공된 구멍(110a)을 통해 중간파이프(10)로 배기되고 다시 중간파이프(10)에서 구멍(10a) 및 일 측 개구부(10b)를 통해 머플러 몸체(104) 내부로 빠져나와 아웃렛파이프(112)의 구멍(112a)과 일 측 개구부(112b)를 통해 배기되어 이와 연결된 테일파이프(102)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렛파이프(110)로 유입된 배기 가스로 머플러 몸체(104)를 통해 곧바로 아웃렛파이프(112)로 배기되지 않고 인렛파이프(110)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중간파이프(10)의 단계를 더 거쳐 아웃렛파이프(112)로의 배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기 가스에 의한 소음을 상기 중간파이프(10)가 일부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되어 배기 가스의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인렛파이프의 주위에 배기 가스의 흐름을 리버스할 수 있는 중간파이프를 설치함으로서 종래와 같은 크기의 머플러 몸체를 갖고도 배기 가스의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머플러 몸체(104)의 내부에 설치된 프런트 배플(106)과 리어 배플(108)을 통해 인렛파이프(110)와 아웃렛파이프(112) 및 테일파이프(102)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되는 리어 머플러(100)에 있어서,
    상기 인렛파이프(110)의 둘레에 공간을 두고 다수의 구멍(10a)이 천공되어 인렛파이프(110)에서 배기되는 가스를 한 번더 리버스시키는 중간파이프(10)를 프런트 배플(106)과 리어 배플(108)을 통해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KR2019970016893U 1997-06-30 1997-06-30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KR199900032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893U KR19990003299U (ko) 1997-06-30 1997-06-30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893U KR19990003299U (ko) 1997-06-30 1997-06-30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299U true KR19990003299U (ko) 1999-01-25

Family

ID=6968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893U KR19990003299U (ko) 1997-06-30 1997-06-30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2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457B1 (ko) * 2002-12-10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머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457B1 (ko) * 2002-12-10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머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5398B1 (en) Muffler assembly for engine
JP2005171933A (ja) 排気消音装置
US4540064A (en) Noise and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for use in exhaust system of engine
EP2193260B1 (en) Exhaust silenc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105918A (ja) エンジンの排気消音装置
KR19990003299U (ko)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KR19990003252U (ko)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KR100199504B1 (ko) 자동차 배기관의 소음 저감장치
KR100482517B1 (ko) 자동차용 소음 저감형 머플러 구조
KR100882654B1 (ko) 자동차의 저용량 소음기
JPS62291413A (ja) 排気消音器
KR100261416B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171218Y1 (ko) 특정 주파수 감쇄용 분기관을 구비한 소음기
KR100293784B1 (ko) 소음기
JP3331806B2 (ja) 消音器
KR200310819Y1 (ko) 소음기
KR100368639B1 (ko) 유연 연료를 사용하는 브이6 엔진용 배기 소음기
KR0128972Y1 (ko) 자동차의 공명기
JP2003269130A (ja) 内燃機関用のマフラー
KR200142455Y1 (ko) 자동차의 부소음기 구조
KR100203182B1 (ko) 자동차의 방사음 저감식 소음기
KR100293787B1 (ko) 자동차 소음기의 구조
JP2004137951A (ja) 共鳴型消音器
JP2000008847A (ja) 消音装置の連結構造
JPH07229414A (ja) 内燃機関用のマフ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