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243U -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 Google Patents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243U
KR19990003243U KR2019970016837U KR19970016837U KR19990003243U KR 19990003243 U KR19990003243 U KR 19990003243U KR 2019970016837 U KR2019970016837 U KR 2019970016837U KR 19970016837 U KR19970016837 U KR 19970016837U KR 19990003243 U KR19990003243 U KR 19990003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air
outside air
blade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건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243U/ko
Publication of KR19990003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243U/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air prot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와 냉각팬의 쉬라우드(30)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의 풍향을 변환시키는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6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프러텍터(60)의 플레이트(61) 중앙에는 냉각팬의 쉬라우드(30) 내주와 동일한 내주의 통공(6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3)에는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를 통과한 외기가 냉각팬의 블레이드(10)로 유입되지 않게 각도를 이룬 다수개의 베인(64)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고속 주행시, 라디에이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강한 풍속의 외기가 직접 냉각팬의 블레이드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기의 풍향을 변환시킴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수 증가에 의한 전동모터에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본 고안은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air prot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고속 주행시, 라디에이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강한 풍속의 외기가 직접 냉각팬의 블레이드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기의 풍향을 변환시킴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수 증가에 의한 전동모터에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에는 엔진의 과열을 방지 및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 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장치는 엔진을 냉각시키는 방식에 따라 외기를 이용하여 엔진을 직접 냉각시키는 공냉식과 실린더와 연소실을 둘러싼 워터 재킷의 냉각수가 서머스탯을 통해 라디에이터에 전달되면, 라디에이터 어셈블리의 냉각수를 외기의 접촉과 냉각팬의 강제 통풍으로 방열시키는 수냉식으로 분류되는데, 오늘날에는 자동차용 엔진의 대부분을 수냉식으로 채택하고, 냉각팬 또한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팬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라디에이터 어셈블리와 냉각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를 후방으로 빨아들이는 블레이드(10)를 부착한 냉각팬의 전동모터(20)가 냉각팬의 쉬라우드(30)의 고정부(31)에 결합되고, 상기 쉬라우드(30)의 주연부에 나사공(32a)을 갖는 플랜지부(32)가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의 후방에 형성된 나사공(40a)과 대응되어 볼트(B)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구조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내의 냉각수는 온도 센서(50)에 의해 감지되어 규정 온도 이상이 되면, 냉각팬의 전동 모터(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동 모터(20)의 회전력은 블레이드(10)를 회전시킨다. 이때, 블레이드(10)의 회전은 외기를 후방으로 빨아들이기 때문에, 라디에이터 어셈블리내(40)의 냉각수 열기는 냉각팬의 블레이드(10)에 의해 외기 함께 강제통풍 되어 소멸된다. 그러므로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내의 냉각수는 냉각된다.
그러나 차량의 고속 주행시, 외기는 강한 풍속을 지니게 되고, 강한 풍속의 외기가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를 통해 냉각팬의 블레이드(10)에 전달된다. 이때, 외기의 풍향은 블레이드(10)를 향한다. 그리고 상기 외기의 강한 풍속은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블레이드(10)의 회전수 증가는 전동모터(20)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전동모터(20)는 과부하로 인해 과열되거나 타버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라이에이터 어셈블리와 냉각팬의 결합 구조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라디에이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강한 풍속의 외기가 직접 블레이드에 전달됨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수 증가에 따른 전동 모터에 과부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의 고속 주행시, 라디에이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강한 풍속의 외기가 직접 블레이드에 전달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수 증가에 따른 전동 모터의 과부가 방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라디에이터 어셈블리와 냉각팬의 쉬라우드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의 풍향을 변환시키는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프러텍터의 플레이트 중앙에는 오일팬의 쉬라우드 내주와 동일한 내주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라디에이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외기가 냉각팬의 블레이드로 유입되지 않게 각도를 이룬 다수개의 베인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라디에이터 어셈블리와 냉각팬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레이드 20 : 전동 모터
30 : 쉬라우드 40 : 라디에이터 어셈블리
50 : 온도 센서 60 : 에어 프러턱터
61 : 플레이트 62 : 플랜지부
63 : 통공 64 : 베인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의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와 냉각팬의 쉬라우드(30) 사이에 설치되도록 사각 형상의 에어 프러텍터(60)의 플레이트(61) 주연부에는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와 냉각팬 쉬라우드(30)의 플랜지부(32)에 형성된 나사공(40a, 32a)과 대응되는 나사공(62a)을 갖는 플랜지부(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61) 중앙에는 냉각팬의 쉬라우드(40)의 내주와 동일한 내주을 갖는 통공(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63)에는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를 통과한 외기가 직접 냉각팬의 블레이드(10)로 유입되지 않게 각도를 이룬 다수개의 베인(6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고속 주행시, 외기는 강한 풍속을 지니게 되고, 강한 풍속의 외기는 다시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를 통과한 다음, 냉각팬의 블레이드(10)로 향하게 된다. 이때, 외기의 풍향은 변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그러나 라이에이터 어셈블리(40)와 냉각팬의 블레이드(10) 사이에는 에어 프러텍터(6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라이에이터 어셈블리(40)를 통과한 외기는 곧 에어 프러텍터(60)의 통공(63)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는 에어 프러텍터(60)의 통공(63)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베인(64)에 부딪히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베인(64)은 외기가 냉각팬의 블레이드(10)로 유입되지 않게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인(64)에 부딪힌 외기의 풍향이 변동되어 냉각팬의 블레이드(10)를 빗겨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냉각팬의 블레이드(10)는 외기의 풍속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됨은 물론, 일정한 회전수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동모터(20)는 블레이드(10)의 일정한 회전수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고속 주행시, 라디에이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강한 풍속의 외기가 직접 냉각팬의 블레이드로 유입되지 않도록 에오 프러텍터가 외기의 풍향을 변환시킴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수 증가로 의한 전동모터에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와 냉각팬의 쉬라우드(30)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의 풍향을 변환시키는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6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프러텍터(60)의 중앙에는 냉각팬의 쉬라우드(30) 내주와 동일한 내주의 통공(6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3)에는 라디에이터 어셈블리(40)를 통과한 외기가 냉각팬의 블레이드(10)로 유입되지 않게 각도를 이룬 다수개의 베인(6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KR2019970016837U 1997-06-30 1997-06-30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KR199900032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837U KR19990003243U (ko) 1997-06-30 1997-06-30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837U KR19990003243U (ko) 1997-06-30 1997-06-30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243U true KR19990003243U (ko) 1999-01-25

Family

ID=6968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837U KR19990003243U (ko) 1997-06-30 1997-06-30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24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898B1 (ko) 자동차 축류팬용 쉬라우드
CA2961893C (en) External fan and drive end housing for an air cooled alternator
KR19990003243U (ko) 엔진의 냉각팬용 에어 프러텍터
KR20100005822A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KR101457540B1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JPH10169439A (ja) エンジン冷却装置及び建設機械
KR100391355B1 (ko) 가변블레이드식 라디에이터 냉각팬
KR100246660B1 (ko) 자동차의 냉각장치
CN218467699U (zh) 发电机风冷散热系统
KR20030012602A (ko) 차량용 냉각팬
KR200203911Y1 (ko) 건설중장비용 엔진의 냉각팬 가드
KR101856739B1 (ko) 이물질 유입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냉각 팬 장치
KR100409566B1 (ko) 냉각팬 구동모터의 열해방지장치
KR20030088277A (ko) 냉각팬 모터의 냉각 구조
KR200153774Y1 (ko) 팬과 쉬라우드 조립체
KR200160910Y1 (ko) 팬과 쉬라우드 조립체
KR200175604Y1 (ko) 라디에이터의 냉각팬
KR200143039Y1 (ko) 냉각팬용 슈라우드
KR200376811Y1 (ko) 팬과 쉬라우드 조립체
KR200255839Y1 (ko) 팬조립체
KR20020019264A (ko) 워터펌프용 임펠러
KR19990005096A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쿨링팬 작동장치
KR20030000004A (ko) 냉각팬의 밸런스 유지장치
JP2582308Y2 (ja) 車両用ファンの誤作動防止装置
KR100405788B1 (ko) 자동차의 냉각장치용 워터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