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232U -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232U
KR19990003232U KR2019970016826U KR19970016826U KR19990003232U KR 19990003232 U KR19990003232 U KR 19990003232U KR 2019970016826 U KR2019970016826 U KR 2019970016826U KR 19970016826 U KR19970016826 U KR 19970016826U KR 19990003232 U KR19990003232 U KR 199900032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plate
muffler
vibration
baffle plates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승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232U/ko
Publication of KR19990003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232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배플 플레이트들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봉을 설치하여, 상기 배플 플레이트들의 떨림에 대한 버팀 강성을 증가하게 함으로서 배플 플레이트들의 진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강성 증가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어 머플러(60)를 구성하는 재킷(62)의 내면에 조립되어 칸막이 역할과 함께 배기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배플 플레이트들(68)(70)에 있어서, 상기 재킷(62)과 완만한 곡면을 이루면서 조립되는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의 사이에 지지봉(100)을 설치하여 배플 플레이트들(68)(70)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배플 플레이트들(68)(70)의 떨림에 대한 버팀 강성이 증가되어 종래처럼 배플 플레이트들(68)(70)의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머플러의 내부를 구성하는 배플 플레이트들 사이에 지지봉을 설치하여, 상기 배플 플레이트들의 떨림에 대한 버팀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서 배플 플레이트들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강성 증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 있어 머플러는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기 전에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종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배기 시스템은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되는 배기 파이프(10)의 단부에 엔진의 진동 전달을 차단시키는 벨로우즈관(20)이 연결되고, 이 벨로우즈관(20)을 통해 차례로 유해 가스의 방출을 억제시키는 촉매 변환기(catalytic converter)(30)와,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하는 프런트 머플러(40) 및 센터 파이프(50)를 통해 테일 파이프(80)를 갖는 리어 머플러(60)가 설치되어 배기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리어 머플러(60)는 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재킷(62)과, 상기 재킷(62)의 양측을 밀폐시켜 커버하며 파이프를 지지하는 프런트 커버(64) 및 리어 커버(66)와, 상기 재킷(62)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칸막이 역할과 함께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와, 상기 프런트 커버(64)와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 및 리어 배플 플레이트(70)를 통해 고정되고 배기 시스템(배기 파이프)과 연결되어 배기 가스를 머플러(60)로 유입시키는 인렛 파이프(72)와, 상기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 및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와 리어 커버(66)를 통해 고정되고 테일 파이프(80)와 연결되어 배기 가스를 머플러(60)로부터 대기로 방출시키는 아웃렛 파이프(7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기 시스템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 가스가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된 배기 파이프(10)를 통해 벨로우즈관(20)을 거쳐 촉매 변환기(30)에서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된 유해 가스가 환원되어 프런트 머플러(40)와 센터 파이프(50) 및 리어 머플러(60)로 배기되면, 리어 머플러(60)에서는 인렛 파이프(72)와 아웃렛 파이프(76) 및 이들 파이프(72)(76)에 천공된 구멍(72a)(76a)을 거치면서 배기 가스의 압력과 온도가 저하되고 급격한 팽창과 폭음이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를 통해 억제되어 대기와 노출된 테일 파이프(80)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리어 머플러(60)의 조립 구조에 의하면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는 재킷(62)의 내측으로 조립되는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는 상기 재킷(72)의 단면과 같은 삼각 형상을 이루고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바, 엔진의 시동에 의해 배기 시스템에서 배기 가스의 발생시 리어 머플러(60)가 진동을 일으키게 되고, 여기에 상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상기의 배플 플레이트들(68)(70)도 진동하여 떨림으로서 소음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배플 플레이트들(68)(70)의 진동에 의한 떨림으로 인하여 리어 머플러(60)의 소음을 가중시키게 되고, 아울러 리어 머플러(60)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재킷에 각각 독립적으로 조립되는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봉을 설치하여, 상기 배플 플레이트들의 떨림에 대한 버팀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서 배플 플레이트들의 진동에 의한 떨림으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재킷의 내면에 조립되어 칸막이 역할과 함께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봉을 설치하여, 상기 배플 플레이트들의 떨림에 대한 버팀 강성을 증가 시킴으로서 종래처럼 배플 플레이트들의 진동에 의한 떨림으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 차량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머플러62 : 재킷
64 : 프런트 커버 66 : 리어 커버
68 :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 70 : 리어 배플 플레이트
72 : 인렛 파이프 74 : 아웃렛 파이프
80 : 테일 파이프 100 : 지지봉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 배기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리어 머플러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머플러(60)의 몸체 외관을 구성하는 재킷(62)과, 상기 재킷(62)의 양측을 밀폐시켜 커버하며 파이프를 지지하는 프런트 커버(64) 및 리어 커버(66)와, 상기 재킷(62)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칸막이 역할과 함께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와, 상기 프런트 커버(64)와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 및 리어 배플 플레이트(70)를 통해 고정되고 배기 시스템(배기 파이프)과 연결되어 배기 가스를 리어 머플러(60)로 유입시키는 인렛 파이프(72)와, 상기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 및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와 리어 커버(66)를 통해 고정되고 테일 파이프(80)와 연결되어 배기 가스를 리어 머플러(60)로부터 대기로 방출시키는 아웃렛 파이프(76)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의 사이에 지지봉(100)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리어 머플러(60)에 의하면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에 사이에 설치된 지지봉(100)에 의해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의 떨림에 대한 버팀 강성이 증가되어, 상기 배플 플레이트들(68)(70)의 진동에 의한 떨림으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리어 머플러를 구성하는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봉을 설치하여, 상기 배플 플레이트들의 떨림에 대한 버팀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서 배플 플레이트들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게되며, 아울러 리어 머플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것이다.

Claims (1)

  1. 리어 머플러(60)를 구성하는 재킷(62)의 내면에 조립되어 칸막이 역할과 함께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배플 플레이트들(68)(70)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들(68)(70)의 떨림에 대한 버팀 강성이 증가되도록, 프런트 배플 플레이트(68)와 리어 배플 플레이트(70)의 사이에 지지봉(10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의 버팀 강성 증가 구조.
KR2019970016826U 1997-06-30 1997-06-30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 KR199900032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826U KR19990003232U (ko) 1997-06-30 1997-06-30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826U KR19990003232U (ko) 1997-06-30 1997-06-30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232U true KR19990003232U (ko) 1999-01-25

Family

ID=696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826U KR19990003232U (ko) 1997-06-30 1997-06-30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2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7370A1 (en) * 2000-01-26 2001-08-09 Catech Inc Particulate filter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7370A1 (en) * 2000-01-26 2001-08-09 Catech Inc Particulate filter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6176B2 (ja) 車両用排気装置
US4540064A (en) Noise and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for use in exhaust system of engine
EP0446813B1 (en) Muffler assembly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90003232U (ko)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플레이트 버팀 강성 증가 구조
CN212272367U (zh) 一种排气消声器及全地形车
JP2004162702A (ja) 排気浄化装置
JP3141637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CN220319664U (zh) 车辆
JP3306096B2 (ja) 触媒付内燃機関用排気装置
KR19990003204U (ko) 차량용 머플러의 배플 조립구조
JPH11223121A (ja) 内燃機関における触媒付き排気系装置
JPH0219285B2 (ko)
JPS62291413A (ja) 排気消音器
KR100293784B1 (ko) 소음기
JPH0622517U (ja) 触媒コンバータ付きマフラ
JP2586307Y2 (ja) 農作業車用エンジンマフラー
KR19990003252U (ko)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KR100203182B1 (ko) 자동차의 방사음 저감식 소음기
JPS61207814A (ja) エンジン用マフラ
KR100368639B1 (ko) 유연 연료를 사용하는 브이6 엔진용 배기 소음기
JPH10205324A (ja) 触媒付排気装置
KR19990003299U (ko) 차량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장치
CN111379615A (zh) 一种促进平衡的排气消声器
JP2551936Y2 (ja) 車両排気系
JP3020911B2 (ja) 自動二輪車の排気マフラー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