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794A - 열연권취기의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연권취기의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794A
KR19990001794A KR1019970025242A KR19970025242A KR19990001794A KR 19990001794 A KR19990001794 A KR 19990001794A KR 1019970025242 A KR1019970025242 A KR 1019970025242A KR 19970025242 A KR19970025242 A KR 19970025242A KR 19990001794 A KR19990001794 A KR 19990001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value
coil
outer diameter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840B1 (ko
Inventor
노성철
박윤순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1997002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8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한 외경형상으로 스트립을 권취하기 위해서 스트립의 미단 위치를 추적해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고 목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트립 미단이 사상압연 마지막 스탠드를 통과하면 스트립미단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어 스트립미단의 감속속도, 감속율, 스트립미단 속도에 의한 연산값으로 감속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 맨드렐 외경과, 레퍼롤의 코일 두께계측치를 이용하여 레퍼롤에서 코일 두께의 실적치에 의한 코일외경을 구하는 단계 ; 레퍼롤의 코일두께산출에 의한 코일외경값과 종래의 방식인 맨드렐 권취회전수 방식과 비교하여 오차설정범위내에 있으면, 레퍼롤의 코일두께 실적치에 의한 코일외경 산출방식을 채택하는 단계 ; 스트립 미단의 정지목표위치까지의 이동거리를 HMD 센서가 온(On)에서 오프(Off)되는 타이밍에 상기 레퍼롤에서의 코일외경 실적치를 이용해 산출하는 단계 ; 상기 이동거리와 맨드렐 위치센서의 펄스 카운터값에 의한 거리값을 서로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서로 일치되는 정지목표위치로 감속패턴에 의해서 맨드렐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 상기 이동거리값과 맨드렐 위치센서의 카운터값에 의한 거리값이 미단정지 위치의 에러제로 범위내에 있도록 스트립 미단을 정지시키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연권취기의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 제어방법
본 발명은 철강플랜트의 연속열간압연공정에서 압연한 스트립을 권취하는 경우, 스트립의 미단을 자동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정확한 외경형상으로 스트립을 권취하기 위해서 스트립의 미단 위치를 추적해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고 목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열간압연 공정에서 열연권취기(100)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상압연기의 마지막 스탠드(F6)를 스트립(S)이 압연되어 빠져나와 런 아웃 테이블(110) 설비를 통해 권취온도 제어를 하고 나서 핀치롤(112) 사이를 스트립(S)이 통과해 권취기의 맨드렐(115)에 스트립(S)이 권취하게 된다. 여기서 스트립(S)의 미단(끝단) 정지제어는 코일(120)의 권취형상 및 코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종래의 연속열간 압연공정에서는 권취기의 맨드렐(115)에 스트립(S)이 권취되어 스트립(S) 미단이 핀치롤(112)을 통과할 때까지 코일(120) 외경을 계측하는데 있어서 실적치가 아닌 상위계산기(미도시)의 설정 데이터인 계산치를 받아 코일(120) 외경 계산식에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 코일(120)의 정지 목표위치와는 많은 오차를 발생시켜 권취완료된 코일(120)을 코일카(125)로서 인출하는 공정에서는 권취기 하우징(미도시)에 걸림발생 및 전체 고정의 지연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운전자가 수동개입하여 설비작동이 정지되도록 조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첫 번째의 문제점은 런 아웃 테이블(110)상의 센서(미도시)가 온(On)에서 오프(Off)되는 타이밍에서 감속을 하므로서 스트립(S)의 미단 진행속도의 감속을 위한 명확하지 못한 감속포인트가 설정되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센서의 감도 및 코일형상의 불균형에 따른 오차 범위가 커서 제어의 정밀도저하 및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두번째 문제점으로는 계산치에 의한 코일(120)의 외경 계측때문에 많은 오차가 발생함으로서 권취기에서 가장 중요한 원하는 목표지점의 정지위치에 정지하지 못하게 되어 스트립(S) 미단의 권취형상이 불량해지는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종래의 코일(120) 외경 계측방식은 맨드렐(115)에 스트립(S) 선단이 권취되기 시작해서 스트립(S)의 미단이 핀치롤(112)를 빠져나가면 핀치롤(112) 후방의 레이저 센서(130)가 온(On)에서 오프(Off)될때까지 코일(120)의 외경을 계측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코일(120) 외경 계측방법을 보면 크게 A 방식의 속도비방식과 B 방식의 맨드렐(115) 회전수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A 방식을 살펴보면 사상압연시의 스트립 라인스피드(VL)와 맨드렐(115)의 속도검출센서(미도시)의 회전수 N에 의해서 코일(120) 외경을 계산할 수 있다.
즉,
VL: 스트립라인 스피드(mpm)
N : 맨드렐(115) 속도센서 회전수(RPM)
D : 코일(120)의 외경(m)
또한 B 방식의 맨드렐(115) 권취회전수방식은 스트립(S)이 사상압연 스탠드를 통과한 시점에서 앞의 A 방식에서 B 방식으로 교체되어 상위계산기의 설정 데이터인 판두께(h) 및 점적율(σ)을 이용하여 계산되어진다.
즉,
DW= (Wrap) × 2 × h
D : 코일외경
Do : A 방식에서 B 방식으로 절환시 코일(120)의 외경
Wrap : 맨드렐(115)의 전체 카운타수(회)
h : 판두께(상위계산기에서 설정된 값)
σ : 점적율 ≤ 1.0 (스트립과 스트립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위계산기에서 설정되는 값)
그러나 위의 A 방식과 B 방식을 보면, 양측방식 모두 상위계산기의 설정 데이터에 의한 계산식임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제의 코일외경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확한 외경형상으로 스트립을 권취하기 위해서 스트립의 미단 위치를 추적해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고 목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트립의 권취완료후 코일미단의 정확한 형상보존으로 코일의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수동개입을 최소화하고 공정 지연 방지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열연 권취기의 설비 구성도 ;
제2도는 본 발명의 스트립 미단 자동 정지 제어방법에서 래퍼롤 두께의 실적치를 이용한 코일외경 보정계측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
제3도는 본 발명의 스트립 미단 자동 정지 제어방법에서 정지위치 결정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
제4도는 본 발명의 스트립 미단 자동 정지 제어방법에서 스트립 미단 감속 정지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도 ;
제5도는 본 발명의 스트립 미단 자동 정지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권취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미단 정지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런 아웃 테이블112 ..... 핀치롤
115 ..... 맨드릴120 ..... 코일
130 ..... 레이저센서140 ..... 래퍼롤위치센서
147 ..... HMD 센서S ..... 스트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강플랜트의 연속열간압연공정에서 압연한 스트립을 권취하는 경우, 스트립의 미단을 자동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스트립 미단이 사상압연 마지막 스탠드를 통과하면 스트립미단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어 스트립미단의 감속속도, 감속율, 스트립미단 속도에 의한 연산값으로 감속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 맨드렐 외경과, 레퍼롤의 코일 두께계측치를 이용하여 레퍼롤에서 코일 두께의 실적치에 의한 코일외경을 구하는 단계 ; 레퍼롤의 코일두께산출에 의한 코일외경값과 종래의 방식인 맨드렐 권취회전수 방식과 비교하여 오차설정범위내에 있으면, 레퍼롤의 코일두께 실적치에 의한 코일외경 산출방식을 채택하는 단계 ; 스트립 미단의 정지목표위치까지의 이동거리를 HMD 센서가 온(On)에서 오프(Off)되는 타이밍에 상기 레퍼롤에서의 코일외경 실적치를 이용해 산출하는 단계 ; 상기 이동거리와 맨드렐 위치센서의 펄스 카운터값에 의한 거리값을 서로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서로 일치되는 정지목표위치로 감속패턴에 의해서 맨드렐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 상기 이동거리값과 맨드렐 위치센서의 카운터값에 의한 거리값이 미단정지 위치의 에러제로 범위내에 있도록 스트립 미단을 정지시키는 단계 ;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코일(120)의 외경계측 보정방식인 레퍼롤 두께실적치에 의한 방식으로 코일(120)의 외경을 구하고, 또한 그 코일(120) 외경의 실적치를 이용해 미단 정지목표에 정지되도록 스트립의 미단 정지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연권취기 시스템(190)을 통하여 스트립(S)의 미단 정지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열연권취기 시스템(190)은 상위계산기(180)의 컴퓨터 시스템이 제어용 테이터 회선(175)를 통해 PLC 제어부(145)에 연결되며, 상기 PLC 제어부(145)는 유압제어반(142)과 인터페이스(interface) 연결되고, 맨드럴 모터 제어부(150)와 래퍼롤 모터 제어부(155)를 통해 맨드럴모터(157)와 래퍼롤모터(159)를 제어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래퍼롤(135a)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40)가 상기 유압제어반(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래퍼롤(135a) 위치값을 송신하게 되며, 핀치롤(112)의 후단에 장착된 레이저 센서(130)도 상기 유압제어반(142)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에서 PLC 제어부(145)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트립 미단의 정지제어연산을 실행하며, 상기 PLC 제어부(145)에 인터페이스 연결되는 유압제어반(142)은 상기 래퍼롤 센서(140)에서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래퍼롤(135a)의 갭(Gap)(코일의 감긴 두께에 해당)실적치를 연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열연권취기 시스템(190)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S)의 미단 감속제어는 먼저, 감속타이밍 포인트의 결정을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감속 스타트 타이밍 포인트의 개념은 스트립미단이 사상압연 마지막 스탠드(F6)를 통과하면 스트립의 미단위치를 추적하여 스트립미단이 감속포인트에 도달하면 소정의 감속율로서 그리프 속도까지 감속시켜 스트립미단이 맨드렐의 목표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기술로서, 이는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상압연 스탠드(F5)(F6)를 스트립(S)의 미단이 통과하면 자동적으로 미단위치가 추적되어 감속속도(Vc), 감속율(α), 스트립 미단속도(Vs)의 연산에 의한 미단감속포인트를 설정하고, 소정의 감속율로서 그리프 속도(Vc)까지 감속시킨다. 여기서 그리프속도(Vc)란 스트립의 권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감속포인트에서 감속되어지는 속도이며, 이는 상위계산기(180)에서 설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그리프속도(Vc)로서 핀치롤(112)을 통과한 스트립(S)은 더욱더 감속되어 스트립(S) 미단이 맨드렐(115)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스트립(S) 미단이 핀치롤(112)을 통과한 시점에서는 스트립(S) 속도(Vs)가 그리프 속도(Vc)가 되도록 아래의 수식(1)을 이용하여 감속 타이밍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수식 항목은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Lp : 사상압연 라스트 스탠드(F6)와 핀치롤(112)간의 거리(m)
Lt : 사상압연 라스트 스탠드(F6)로부터 스트립(S) 미단감속점까지의 추적 거리(m)
Vs : 스트립(S) 속도(mpm)
Vc : 그리프 속도(mpm)
α : 감속 스피드율(mpm/s)
Lm : 미단길이 바이어스(m)(이는 보정값으로서 그 값은 매우 미소하고 이는 연산 프로그램상에서 반고정치로 사용되는 수치임)
Lsd : 미단감속점에서 핀치롤까지의 거리(Lp-L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S) 미단 추적제어는 상기 윗식 (1)이 성립되는 시점에서 감속시작 타이밍 포인트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레퍼롤(135a) 두께 실적치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지며, 이는 스트립(S) 미단이 핀치롤(112)을 통과해 레이저 센서(130)가 온(On)에서 오프(Off)되는 타이미밍에서 보정계산을 실시한다. 즉 스트립(S) 미단이 레이저 센서(130)를 통과하게 되면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롤(135a) 1번 또는 레퍼롤(135c) 3번이 스트립(S) 미단을 눌러준다. 이때 1번 레퍼롤(135a)에 붙은 위치 센서(140)는 맨드렐(115)의 외경에서부터 레퍼롤(135a) 1번까지의 실제 코일(120)의 권취수에 의한 코일(120)의 감겨진 두께(Gap)을 얻을 수 있어 위치 센서(140)의 피드백값에 의하여 제 5도에 도시된 유압제어반(142)에서 코일(120)의 외경(G)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유압제어반(142)에서 계산된 코일(120)의 외경은 제 5도의 PLC 제어부(145)와 인터페이스되어 코일(120) 전체의 외경을 다음의 수식 (2)와 같이 얻을 수 있다.
Db = Dmd + 2 × G ... (2)
여기서 ;
Dmd : 맨드렐(115) 외경
G : 레퍼롤(135a)의 코일 두께 계측치
Db : 레퍼롤(135a) 두께 실적치에 의한 코일(120) 외경의 계측치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얻어진 코일(120) 외경의 계측값은 종래의 B 방식인 맨드렐(115) 권취회전수방식과 비교해서 오차 설정범위내에 있으면, 본 발명의 레퍼롤(135a) 두께 실적치에 의한 코일(120) 외경 계측방식을 사용해 스트립의 미단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다음은 상기 수식 (2)에서 얻어진 코일(120) 외경 계측값을 이용해 실제 스트립(S) 미단의 정지 목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스트립 미단의 정지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단 정지제어방법은 스트립(S) 미단이 맨드렐(115) 정지 포인트에서 정지되도록 PLC 제어부(145)가 설정한 위치에 정지시킬 목적으로, 프로그램 1사이클에서 입력된 펄스를 계산해 HMD(Hot metal Detector) 센서(147)로부터 정지위치까지의 거리에 일치하도록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로우 패턴으로 맨드렐(115)의 속도를 조정하여 정지시킨다.
아래의 수식 (3)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 센서(147)를 통과해 설정된 미단 정지위치까지의 이동거리(L)를 나타내고 있다.
L = L1 + L2 + L3 + L4 ... (3)
L1 = 일정,
L4 = Dc/2(β + γ)
여기서 ;
Dp : 핀치롤(112) 외경
Dc : 상기 수식 (2)에서 얻어진 맨드렐(115) 권취코일(120)의 외경
α : π/2-β
β : tan-1B/A + ε
상기 수식 (3)에서 Dc 값은 수식 (2)의 Db 값과 동일한 것으로 Dc 값에 Db를 대입하여 HMD 센서(147)와 미단 정지위치까지의 이동거리(L)을 구하고, 제4도와 같은 감속패턴으로 감속정지를 행할 수 있으며 실제 정지목표 위치까지의 거리 편차 ERR(ε)은 다음의 수식 (4)과 같이 구할 수 있다.
ERR(ε) = L - COUNT × PINC...(4)
L : 수식 (3)에서 얻어진 이동거리
COUNT : 맨드렐센서(115a)에 의한 맨드렐 총 펄스 수
PINC: D/PREV(mm)
D : 코일(120) 외경,PREV: 맨드렐(115) 1회전시의 펄스 수
이와 같이 미단 정지제어는, 먼저 스트립미단이 HMD 센서(147)를 통과하여 맨드렐센서(115a)에 의한 맨드렐(115)의 전체 펄스수(COUNT)와 PINC의 값을 계산하면 HMD 센서(147)로부터 정지목표까지의 거리가 계산되며, 즉 코일(120)의 외경(Dc)을 계측해서 코일(120)의 이동거리(L)값을 구한 다음, 상기 L 값과 맨드렐(115) 펄스수(COUNT)와 PINC의 값(COUNT × PINC)에 의해서 얻어진 거리값이 같을 때, 즉 상기 ERR(ε) 값이 제로가 되는 지점이 정지목표위치가 되며, 따라서 실제 코일(120)의 정지 목표값은 상기 수식 (4)를 얻으므로써 정확하게 얻어지고 스트립의 미단 정지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S) 미단자동 정지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단계(210)는 감속타이밍 포인트 결정단계로서, 이는 스트립(S) 미단이 사상압연 마지막 스탠드(F6)를 통과하면 스트립(S) 미단 위치는 자동적으로 추적되어 수식 (1)을 충족시키는 상태의 감속속도(Vc), 감속율(α), 스트립미단 속도(Vs)에 의한 연산값으로 감속포인트를 설정하게 되고, 상기 감속포인트에 도달하면 소정의 감속율로 그리프 속도(Vc)까지 감속되어진다. 이후, 스트립(S)은 그리프 속도(Vc)로 핀치롤(112)을 통과한 후에 더욱더 감속된다.
단계(220)는 레퍼롤(135a)에서 코일 두께 실적치에 의한 코일외경(G)을 구하는 단계로서, 스트립(S)이 핀치롤(112)을 통과하고, 핀치롤(112) 후단의 레이저 센서(130)가 온에서 오프되는 타이밍에서 보정계산이 시작된다. 이때 레퍼롤(135a)(135c) 1번 또는 3번은 스트립(S) 미단을 눌러주게 되어 레퍼롤(135a)에 장착된 위치센서(140)는 맨드렐(115)의 외경에서부터 레퍼롤(135a) 1번까지의 실제 코일(120) 권취수에 의한 코일(120) 두께를 측정하고, 위치센서(140)의 피드백값에 의해서 유압제어반(142)에서 수식 (2)를 이용하여 코일(120)의 실제 외경(G)을 계산하는 것이다. 상기 유압제어반(142)에서 계산된 매순간의 코일(120)의 외경(G)은 PLC 제어부(145)와 인터페이스되어 코일(120) 전체의 외경(G)을 구할 수 있다.
Db = Dmd + 2 × G ...(2)
단계(230)는 종래의 B 방식과, 레퍼롤(135a)에서의 코일두께에 의한 계측방식과의 비교단계로서, 레퍼롤(135a)의 코일두께산출에 의한 코일(120)외경값은 기존 B 방식인 맨드렐(115) 권취회전수 방식과 비교하여 오차설정범위내에 있으면, 본 발명에 의한 코일(120) 외경 계측방식인 레퍼롤(135a)의 코일두께 실적치에 의한 코일(120) 외경 산출방식을 사용해 미단제어를 행한다(코일외경의 오차설정범위는 PLC 제어부(145)내에서 반고정값으로 설정됨).
다음의, 단계(240)는 정지목표위치까지의 이동거리(L)를 수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로서, HMD 센서(147)가 온(On)에서 오프(Off)되는 타이밍에 상기 레퍼롤(135a)에서의 코일외경(G) 실적치를 이용해 이동거리(L)을 계산한다.
L = L1+ L2+ L3+ L4...(3)
단계(250)는 상기 이동거리(L)와 맨드렐(115) 위치센서(115a)의 펄스 카운터값과의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3)식에 식(2)를 대입하여 이동거리(L)을 구한 값과 맨드렐(115)의 전체펄스수와 PINC(펄스증분값)에 의해 계산된 거리값을 서로 비교해 두 개의 값이 서로 일치될 때까지 감속패턴으로 맨드렐(115)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L값과 맨드렐(115) 펄스수(COUNT)와 PINC의 값(COUNT × PINC)에 의해서 얻어진 거리값이 같을 때, 즉 상기 ERR(ε) 값이 제로가 되는 지점이 정지목표위치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단계(260)는 스트립 미단을 실제정지 목표위치에 정지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이동거리(L)값과 맨드렐 위치센서(115a)의 카운터값에 의해서 얻어진 거리값이 에러제로 범위내에 있도록 스트립의 미단을 정지시킨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로 스트립(S) 권취 완료후 코일(120)을 코일카에 의해서 이송할 때, 코일(120)의 미단이 형상불량하여 권취기 하우징에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코일(120) 미단의 형상을 양호하게 보존시킴으로서 코일제품의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으며, 둘째로 운전자의 수동개입에 의한 미단 정지 소요시간이 크게 단축됨으로서 공정지연의 방지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셋째로 연속열간압연공정의 권취기 설비에서 가장 중요한 미단정지제어의 실현이 가능함으로서 운전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의 권취기 운전실은 무인화하고 사상압연 운전실에서 운전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통합 무인운전을 실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철강플랜트의 연속열간압연공정에서 압연한 스트립을 권취하는 경우, 스트립의 미단을 자동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스트립 미단이 사상압연 마지막 스탠드를 통과하면 스트립미단위치가 자동적으로 추적되어 스트립미단의 감속속도, 감속율, 스트립미단 속도에 의한 연산값으로 감속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210) ; 맨드렐 외경과, 레퍼롤의 코일 두께계측치를 이용하여 레퍼롤에서 코일 두께의 실적치에 의한 코일외경을 구하는 단계(220) ; 레퍼롤의 코일두께산출에 의한 코일외경값과 종래의 방식인 맨드렐 권취회전수 방식과 비교하여 오차설정범위내에 있으면, 레퍼롤의 코일두께 실적치에 의한 코일외경 산출방식을 채택하는 단계(230) ; 스트립 미단의 정지목표위치까지의 이동거리를 HMD 센서가 온(On)에서 오프(Off)되는 타이밍에 상기 레퍼롤에서의 코일외경 실적치를 이용해 산출하는 단계(240) ; 상기 이동거리와 맨드렐 위치센서의 펄스 카운터값에 의한 거리값을 서로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서로 일치되는 정지목표위치로 감속패턴에 의해서 맨드렐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250) ; 상기 이동거리값과 맨드렐 위치센서의 카운터값에 의한 거리값이 미단정지 위치의 에러제로 범위내에 있도록 스트립 미단을 정지시키는 단계(260) ;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10)의 감속포인트를 설정하는 과정은 스트립(S) 미단이 핀치롤(112)을 통과한 시점에서 스트립(S) 속도(Vs)가 그리프 속도(Vc)가 되도록 아래의 수식 (1)을 이용하여 감속 타이밍을 결정하고,
    여기서, 각각의 수식 항목은
    Lp : 사상압연 라스트 스탠드(F6)와 핀치롤(112)간의 거리(m)
    Lt : 사상압연 라스트 스탠드(F6)로부터 스트립(S) 미단감속점까지의 추적 거리(m)
    Vs : 스트립(S) 속도(mpm)
    Vc : 그리프 속도(mpm)
    α : 감속 스피드율(mpm/s)
    Lm : 미단길이 바이어스(m)(이는 보정값으로서 그 값은 매우 미소하고, 연산 프로그램상에서 반고정치로 사용되는 수치임)
    Lsd : 미단감속점에서 핀치롤까지의 거리(Lp-Lt)
    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20)의 코일외경을 구하는 과정은 수식 (2)와 같이 얻어지고,
    Db = Dmd + 2 × G ... (2)
    여기서,
    Dmd : 맨드렐(115) 외경
    G : 레퍼롤(135a)의 코일 두께 계측치
    Db : 레퍼롤(135a) 두께 실적치에 의한 코일(120) 외경의 계측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40)에서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은 아래의 수식 (3)에 의해서 얻어지고
    L = L1 + L2 + L3 + L4 ... (3)
    L1 = 일정,
    L4 = Dc/2(β + γ)
    여기서,
    Dp : 핀치롤(112) 외경
    Dc : 상기 수식 (2)에서 얻어진 맨드렐(115) 권취코일(120)의 외경
    α : π/2-β
    β : tan-1B/A + ε이며, 상기 수식 (3)에서 Dc 값은 수식 (2)의 Db 값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50)에서 이동거리 L 값과, 맨드렐(115) 펄스수(COUNT)와 PINC의 값(COUNT × PINC에 의해서 얻어진 거리값이 같은 정지목표위치의 편차ERR(ε)은 수식 (4)과 같이 구할 수 있으며,
    ERR(ε) = L - COUNT × PINC...(4)
    L : 수식 (3)에서 얻어진 이동거리
    COUNT : 맨드렐센서(115a)에 의한 맨드렐 총 펄스 수
    PINC: D/PREV(mm)
    D : 코일(120) 외경,PREV: 맨드렐(115) 1회전시의 펄스 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제어방법.
KR1019970025242A 1997-06-17 1997-06-17 열연권취기의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 제어방법 KR10031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242A KR100314840B1 (ko) 1997-06-17 1997-06-17 열연권취기의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242A KR100314840B1 (ko) 1997-06-17 1997-06-17 열연권취기의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94A true KR19990001794A (ko) 1999-01-15
KR100314840B1 KR100314840B1 (ko) 2002-02-28

Family

ID=3753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242A KR100314840B1 (ko) 1997-06-17 1997-06-17 열연권취기의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8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4504A (zh) * 2011-08-15 2011-12-21 唐山国丰钢铁有限公司 一种热轧线卷取跟踪丢失重建的控制方法
CN112191693A (zh) * 2020-11-06 2021-01-08 飞马智科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冷轧薄板处理线开卷机带尾切废的方法
CN113828636A (zh) * 2020-06-24 2021-12-24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轧卷取自动定尾控制方法
CN114833199A (zh) * 2021-10-14 2022-08-02 天津市新宇彩板有限公司 酸连轧机组带钢右侧甩尾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226B1 (ko) * 2003-05-16 2010-11-05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 교정설비에서 날판의 정지위치 제어방법
KR101227965B1 (ko) * 2010-12-28 2013-01-30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정지 위치 제어방법
KR101946484B1 (ko) 2017-12-01 2019-02-11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권취 시스템 및 그 방법
TWI731497B (zh) * 2019-12-04 2021-06-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用於設定冷軋鋁捲之尾料長度的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7217A (ja) * 1981-12-21 1983-06-25 Kawasaki Steel Corp 巻取機のストリツプ尾端停止位置制御装置
JPH0360817A (ja) * 1989-07-28 1991-03-15 Kawasaki Steel Corp 巻取機のストリツプ尾端停止位置制御方法
JPH06154853A (ja) * 1992-11-25 1994-06-03 Sumitomo Metal Ind Ltd ストリップの巻取機の回転数制御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4504A (zh) * 2011-08-15 2011-12-21 唐山国丰钢铁有限公司 一种热轧线卷取跟踪丢失重建的控制方法
CN113828636A (zh) * 2020-06-24 2021-12-24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轧卷取自动定尾控制方法
CN112191693A (zh) * 2020-11-06 2021-01-08 飞马智科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冷轧薄板处理线开卷机带尾切废的方法
CN112191693B (zh) * 2020-11-06 2024-02-09 宝信软件(安徽)股份有限公司 一种冷轧薄板处理线开卷机带尾切废的方法
CN114833199A (zh) * 2021-10-14 2022-08-02 天津市新宇彩板有限公司 酸连轧机组带钢右侧甩尾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4833199B (zh) * 2021-10-14 2024-02-06 天津市新宇彩板有限公司 酸连轧机组带钢右侧甩尾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840B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840B1 (ko) 열연권취기의 스트립 미단 자동정지 제어방법
KR20100005115A (ko) 리버스식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 장치
JP2619148B2 (ja) 金属コイルに模様を施す方法及び装置
US6443386B1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urnaround position in spool winders
KR100384633B1 (ko) 열간스트립권취래퍼롤점핑제어장치및방법
JP5637906B2 (ja) 冷間圧延機の板厚制御方法及び板厚制御装置
JPH0576366B2 (ko)
KR100428568B1 (ko) 열연권취기의 사이드 가이드 자동제어방법
JPH07328718A (ja) 巻取設備の鋼板速度検出方法
JP3404728B2 (ja) ダウンコイラのトラッキング調整方法と装置
JPH0212647B2 (ko)
KR100406382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용 박판위치 제어장치
JPS60227923A (ja) 巻取機における鋼帯の尾端停止位置決め方法
SU8312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среднейТОлщиНы СТЕНКи ТРуб
JPH06304636A (ja) 鍛接鋼管の自動肉厚制御方法
JP2667340B2 (ja) 巻取温度制御装置
JPH01170518A (ja) 捲取機のテールトラツキング制御方法
JPH02243455A (ja) コイル尾端定位置停止制御方式
JPS6064718A (ja) 自動係数演算装置
JP3854104B2 (ja) 条鋼材の圧延方法及び圧延装置
CN110180900A (zh) 一种厚规格窄带钢厚度控制方法
JPH01210111A (ja) 熱間仕上圧延における板厚制御方法
JPH05337531A (ja) 圧延機の加減速時の自動板厚制御方法
JPH0976014A (ja) 鋼帯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71614B2 (ja) 自動板厚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