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976A -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976A
KR19980086976A KR1019980017047A KR19980017047A KR19980086976A KR 19980086976 A KR19980086976 A KR 19980086976A KR 1019980017047 A KR1019980017047 A KR 1019980017047A KR 19980017047 A KR19980017047 A KR 19980017047A KR 19980086976 A KR19980086976 A KR 19980086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polymer
melter
reaction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 엑스. 선
테렌스 이. 프랜니
브래들리 엘. 비치
캐쓰린 이. 도울렌
Original Assignee
맥아들 존제이
렉스마크 인터네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아들 존제이, 렉스마크 인터네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맥아들 존제이
Publication of KR1998008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97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3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5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special means for lubricating and/or cleaning the fixing unit, e.g. applying offset preventing flu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93Release agent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이형제 성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형제 성분은 특별히 한정된 열안정성 실리콘 오일 실리콘 왁스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공중합체는 고온의 용융기 롤상에서는 액체이지만 실온에서 프린트된 페이지상에서는 고화되는 용융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토너 카트릿지에서 누설 밀봉용에 적합하며 반죽물이나 유연한 코르크 형태를 취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와 이러한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전자사진식 프린팅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사진식 프린팅 처리에서 고온 용융기 롤(fuser roll)에 사용되는 이형제(release agent)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식 처리에 있어서, 복사될 본래의 광 영상(light image)은 통상적으로 토너(toner)로서 언급되는 검전성 마킹 미립자를 사용하므로써 투시가능한 일련의 잠상 렌더링으로 감광성 부재상에 정전잠상의 형태로 기록된다. 투시가능한 토너 영상은 감광성 부재에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일련의 영상 고정법에 의해 상기 부재로부터 종이와 같은 다른 지지체로 이송된다.
검전성 토너 재료를 열에 의해 지지부재상에 영구적으로 고정하거나 용융하기 위해서는 토너 재료의 온도를 토너의 성분이 점착성이 되는 온도까지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토너는 지지 부재의 구멍이나 파이버내로 어느 정도 흐르게 된다. 그후, 토너 재료가 냉각될 때, 고형화가 실행되어 토너 재료는 상기 지지부재에 단단히 결합된다. 전자사진에 있어서, 토너 영상을 지지 부재상에 고정하기 위해 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는 낡은 기술이다.
검전식 토너 영상의 열 용융에 접근하는 한가지 방법은 토너 영상을 갖는 지지체를 한쌍의 대향의 롤러 부재 사이로 통과시키는 것이며, 상기 한쌍의 롤러 부재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로 가열된다. 이러한 형태의 용융 시스템의 작동에 있어서, 토너 영상이 정전식으로 고착되는 상기 지지체는 용융기 롤과 접촉되는 토너 영상을 구비한 롤 사이에 형성된 닙(nip)을 통하여 이동되며, 이에 따라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복사지로부터 용융기 롤까지 토너 입자의 옵셋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것은 롤러의 표면에 가해진 열이 롤의 표면 온도를 토너의 고온 옵셋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상기 토너의 고온 옵셋 온도에서, 토너의 영상 영역내의 토너 입자는 액화되어 용융된 토너를 분산시키고 그 결과 고온 옵셋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분리동작은 점착성 토너 덩어리를 서로 지지하는 접착력이 이들을 용융기 롤과 같은 접착 표면에 옵셋시키려는 접착력보다 작을 때 발생된다.
그러나, 때때로 토너 입자는 그 표면에 가해지는 불충분한 열로 인하여[즉, 콜드(cold) 옵셋] 용융기 롤에 옵셋될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불충분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복사지에 고착되지 않으려는 토너 입자나 상기 롤의 표면특징의 결함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토너 입자는 복사지가 닙에 있을 때의 시간 주기중 백업 롤으로의 일련의 이송에 의해 용융기 롤의 표면으로 이송된다.
또한, 토너 입자는 양면 복사의 용융중 용융기 및 백업 롤에 의해 또는 단순히 재생장치의 주변으로부터 픽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불안정한 토너 입자의 존재는 복사 성능을 불량하게 한다.
상술한 형태의 대부분의 용융기는 고온 롤에 이형액을 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 고유의 온도 저항 및 이형 특성으로 인하여, 토너가 용융기 롤의 표면에 고착되어 영상 품질을 저하시키고 용융기 표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실리콘 오일이 사용된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용융기의 압력 닙을 통과하는 수천장에 달하는 종이의 축적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의 윤활수단을 제공하므로써 용융기 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형액의 효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오일(전형적으로는, 페이지당 10 내지 100 마이크로그램)이 요구된다.
이형제로 사용된 오일이 용융기 시스템을 통과하는 종이에 의해 부분적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분배된 오일량은 불쾌할 정도의 프린트 품질 결함이 발견될 정도로 많으면 좋지 않다. 최대인 경우에, 영상화된 페이지의 표면은 투시가능하게 젖거나 오일에 의한 광택이 있으면 된다. 이중 프린팅인 경우(즉, 페이지의 양면 프린팅), 미세한 효과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오일은 양면 페이지에 의해 프린팅 처리중 후방으로 이송되며, 이러한 페이지상의 오일은 광전도체(photoconductor)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여러 장치들의 표면에 침적된다.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세한 양의 오일은 전개 롤로부터 상기 광전도체까지 토너의 이송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전개 처리는 톤된 전개기와 영상화된 광전도체 사이의 세정 작용(scrubbing action)에 의존하기 때문에, 또한 이러한 세정 작용은 전개기와 광전도체 사이에서 표면 속도의 부적합에 의해 유도되기 때문에, 두 표면의 경계에 실리콘 오일을 부가하는 것은 마찰 세정력을 토너의 이송이 심각하게 방해받는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프린트 품질 결함은 미세한 해상 프린팅에서는 매우 명백하게 나타난다. 페이지당 100 마이크로그램을 초과하는 수준의 오일은 페이지를 횡단하는 오일의 분배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프린트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전형적인 프린트 품질 결함은 그레이 스케일의 백색 선(white streaks in gray scale)이며, 이러한 선은 오일 농도가 높은 영역에서는 처리 방향에 평행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오일 계량의 상한치는 페이지당 약 100 마이크로그램이다.
저비용 데스크탑 프린터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윤활제 계량 방법은 펠트(felt)의 밀도와 파이버 사이즈로 조합되어 펠트를 벗어난 유동비가 합리적인 한계점내에서 제어될 수 있을 때 내온도성 재료(예를 들어, 듀폰의 NOMEX 파이버와 같은)로 구성된 펠트 패드를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와이퍼 패드의 전형적인 구성은 약 30,000 cst 의 점도를 갖는 일정한 양의 실리콘 오일(예를 들어, 7 내지 8g)을 예비절단된 펠트 부재(예를 들어, 직경이 9 미크론이고 펠트 점도가 55 oz./yd2)에 가하는 단계와, 오일이 펠트에 흡수되도록 펠트/오일 조합물을 고온으로 굽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고해상도 프린팅(1200 DPI)과 이중 프린팅이 실행되기 전에, 이러한 방법은 오일 유동을 페이지당 50 내지 500 마이크로그램으로 제어하고 흐름을 균일하게 하고 영상에 결함이 없는 우수한 계랑 시스템이었으나, 이전에 허용된 불균일한 오일 분포는 일부 영역에서 상술한 프린트 결함을 상당히 초래하게 되는 오일 농도를 형성하고 있다.
오일 시스템의 다른 요구사항으로는 분포된 오일의 양이 적용기의 수명(전형적으로 약 14,000 페이지)동안 일정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오일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토너는 용융기에 고착되어 용융기의 수명을 감소시킨다. 또한, 저유동은 토너가 충분히 축적되었을 때 토너가 펠트 적용기상에 수집되게 하며, 다량의 토너는 그 자유도가 차단되어 와이퍼 덤프(wiper dump)로 불리워지는 또 다른 프린트 품질 결함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 펠트 적용기는 중력 공급 시스템이다. 이것은 오일은 주어진 온도에서 일정한 비율로 펠트를 벗어나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리콘 오일은 프린터가 프린팅중이지 않더라도 와이퍼로부터 지속적으로 흘러서 대기상태로 된다. 따라서, 만일 프린터가 상당한 시간동안 대기상태에 있다면, 프린트된 제 1 페이지는 비정상적으로 상당한 양의 실리콘 오일을 수용하며 이중선(duplex streak)을 나타내게 된다.
요약한다면, 최적의 성능을 위하여 이형제 오일 적용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요구사항에 부응하여야 한다.
★ 토너가 용융기 롤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수명동안 충분하고도 일정한 오일 흐름. 이것은 용융기 수명을 연장시키며 와이퍼 덤프를 방지한다. 페이지당 10 마이크로그램의 최소 유동비.
★ 1200 DPI와 양면 모드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프린팅할 때 영상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이지당 100 마이크로그램의 최대 유동비와 균일한 흐름.
1980년 1월 22일자로 스트렐라(Strella)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185.140 호에는 전자사진식 양면 처리에서 고온의 용융기 롤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 이형제가 서술되어 있다. 사용된 중합체 재료는 carboxy, hydroxy, isocynate, thieother 또는 mercapto 집단과 같은 기능적 집단(fuctional group)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재료들은 용융기 롤상에 탁월한 토너 이형 특성을 갖는 열안정성 이형층을 형성한다고 한다. 상기 중합체 재료는 용융기의 온도에서 액체인 경우에 한해서는 실온에서 고화된다. 이형제로 서술된 재료는 실리콘 오일이나 왁스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식 처리에서 고온의 용융기 롤에 사용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형제를 제공한다. 이러한 재료는 용융상태에서는 액체이며, 냉각시 프린트 매체상에서 고화된다. 이러한 이형제는 효과적인(즉, 토너가 용융기 롤의 표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융기 롤을 윤활) 이형제로 작용하며, 특히 이중 프린팅시 종이상에 오일의 존재로 인한 프린트 품질 결함을 방지한다.
프린트 품질에 대한 문제는 프린트 카트릿지로부터의 토너 결여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상기 토너 카트릿지는 프린터와 감광기에서 사용된 대체가능한 공급물이다. 그 기능은 저장조에서 토너 공급을 지지하고, 토너를 저장조로부터 단층으로 존재하는 전개기 롤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후, 상기 토너는 광전도체 표면상에 생성된 전하에 기초하여 프린트될 영상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광전도체상으로 이송된다. 토너 카트릿지는 전자사진
식 분야에서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그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고 1996년 12월 20일자로 출원되어 카페이(Coff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770,330 호에 기재되어 있다.
양호한 프린팅 영상을 얻는데는 세심한 토너 이송이 매우 중요하다. 토너의 누설은 사용자의 손과 옷 및 사무실의 오염뿐만 아니라 영상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것이다. 토너의 누설에 의한 것처럼 여겨지는 카트릿지상의 점(spot)은 전개기 롤의 단부에 위치된다. 실제로, 토너 카트릿지는 전개기 롤 단부에서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J-시일과 같은 특수한 밀봉제를 자주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누설은 카트릿지 부품과 조립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다. 액상이나 그리이스 밀봉제도 전개기 롤의 단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는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밀봉재의 프린트 영역내로의 이동은 전개기 롤과 광전도체와 전하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프린트 품질을 악화시킨다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물이나 코르크와 같은 경도를 갖도록 형성될 때 이동성이 없으며 사용이 용이하고 얇은 층으로 넓게 펼쳐질 수 있는 토너 카트릿지에 사용하기에 매우 효과적인 밀봉제로 작용하는 실리콘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을 갖는 열안정성 실리콘 랜덤 공중합체의 효과적인 양(전형적으로, 성분의 약 50 내지 100%)을 포함하는, 전자사진식 처리의 고온 용융기 롤상에 사용하기 적합한 이형제 성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x 는 공중합체의 약 0.75 내지 0.985(분자량)이며, y 는 공중합체의 0.015 내지 0.25 이고, R 은 C15-C60알킬의 약 70% 내지 100%(중량비)이고 C2-C14알킬의 약 0% 내지 30% 이다. 양호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x:y의 분자비는 15:1 내지 70:1 이며, 상기 R 의 주성분은 C30-C45알킬이다. 이형제 성분이 포함된 펠트 패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이형제 성분으로 코팅된 용융기 롤도 본 발명의 청구사항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시 반응혼합물 부분에 백금과 같은 촉매를 첨가하므로써 현저한 체인 길이(트리아콘텐이 가장 양호)로 C30-C45을 갖는 혼합된 1-알켄과 같은 C15-C601-알켄을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코-폴리메틸하이드록실록산(PDMS-co-PMHS) 예비중합체와 같은 메틸하이드로실록산의 반응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랜덤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촉매량이 한번에 반응 혼합물에 가해질 경우 반응의 완성도를 높게 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요소는 알킬 메틸 실록산 및 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성분을 구비한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중합체는 전자사진식 처리에서는가열된 용융 롤 표면상의 액체와 같은 용융점과 점도를 갖지만 프린트 표면(즉, 종이)상에서는 냉각시 고화된다. 정확한 용융점 및 점도는 사용된 용융기 시스템과 각각의 분배기에 따라 선택되어 최적화될 수 있다.
오르가노실리콘 왁스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화장품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업용 왁스중 그 어느것도 용융기 롤상에 사용할 수 있는 이형제 특성을 갖고 있지는 않다. 실리콘 왁스는 레이저 프린터에서 이형제로 사용되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에 부응해야 한다.
★ 높은 열안정성. 상기 왁스는 그 수명중 냄새가 나서는 않되며, 점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이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변화되서는 않된다.
★ 상기 왁스는 93℃ 에서 약 2,000 내지 10,000, 양호하기로는 3,000 내지 7,000, 가장 양호하기로는 3,500 센티포이즈의 용융 점도를 가져야 한다. 이것은 용융 온도에서 실리콘 오일 점도와 매치되며, 왁스가 직접적으로 펠트 패드 분배 시스템내에서 대신할 수 있게 한다.
★ 상기 왁스는 약 45 ℃ 내지 80 ℃의 용융점을 가져야 한다. 만일 용융점이 45℃ 이하라면, 왁스는 프린터가 완전 속도로 작동중이고 카드릿지가 고온일 때 고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중선이 발생하게 된다. 만일 용융점이 80℃ 이상이라면, 왁스는 무거운 매체의 프린팅시 백업롤상에 고화되어 종이 먼지와 토너를 수집하게 되어 매체가 백업롤을 감싸게 된다.
★ 표준 흐름율에서, 왁스는 투명한 선을 생성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페이지당 800 마이크로그램 이하의 흐름율을 가지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형제로 사용된 공중합체는 하기와 같은 화학식으로 표현된다. 분자의 실리콘 오일과 실리콘 왁스부는 임의적으로 배치된다. 실리콘 오일과 왁스부는 분자 전체에 걸쳐 임의적으로 배치되는 반면에, 동일한 부분은 서로 집단화되어 위치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 의해 적용된다.
이러한 화학식에 있어서, 분자의 x 부분은 실리콘 오일의 특성을 가지며, y 부분은 지방성 하이드로카본 왁스 특성을 갖는다. 상기 x 는 실리콘 오일 부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분자)퍼센트로서, 약 0,75 내지 0,985, 양호하기로는 0,85 내지 0,98, 가장 양호하기로는 0,97을 나타낸다. 상기 y 는 실리콘 왁스 부분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분자)퍼센트로서, 0,015 내지 0,25, 양호하기로는 0,02 내지 0,15, 가장 양호하기로는 0,03을 나타낸다. 양호한 중합체로서, x:y의 분자비는 15:1 내지 70:1, 양호하기로는 25:1 내지 50:1, 가장 양호하기로는 32:1 이다. R 은 C15-C60알킬의 약 70% 내지 100%(중량비)와, C2-C14알킬(양호하기로는 헥실)의 약 0% 내지 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알킬 성분은 할로겐화되며, 양호하기로는, 플루오르화된다. R 의 주요한 성분은 C30-C45알킬이며, 가장 양호하기로는 C36알킬(트리아콘틸)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약 80,000 내지 250,000, 양호하기로는 80,000 내지 150,000, 가장 양호하기로는 110,000 의 분자량을 갖는다.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서, 상기 폴리머는 반드시 열안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열안정은 210℃에서 3개월동안 색상, 냄새, 점도, 또는 분자량의 상당한 변화없이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형제 성분은 상술한 공중합체 성분을 약 50% 내지 97%, 양호하기로는 75% 내지 95%, 가장 양호하기로는 91%를 갖는다. 상기 성분의 용융 점도는 이형제가 용융 롤상에 분포되는 비율을 결정하는 요소중 하나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중합체의 점도는 사용된 각각의 분배 수단에 대해 최적화된다. 전형적으로, 93℃ 에서 약 2,000 내지 10,000, 양호하기로는 3,000 내지 7,000, 가장 양호하기로는 3,500 센티포이즈의 용융 점도를 가져야 한다. 이형제 성분의 융융점은 상기 성분이 프린터 종이상에서 냉각될 때 용융기 롤상에서 액체인지 고체인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은 약 45℃ 내지 80℃, 양호하기로는 65℃ 내지 80℃, 가장 양호하기로는 72℃의 용융점을 가져야 한다.
상기 성분의 용융 점도는 요구된 범위내에 속하는 것을 보장하고 이러한 범위에서 각각의 전자사진식 장치에서 최적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정된다. 점도를 조정하는 2가지 방법으로는 그 형성시 공중합체의 교차결합 레벨을 조정하거나 체인스토퍼를 사용하므로써 실록산 수산화물의 점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는 하기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부분에서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점도를 조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성분에 점도 제어제를 첨가하는 것이다. 사용시, 이러한 제어제는 일반적으로 성분의 0,5% 내지 30%, 양호하기로는 10% 내지 25%, 가장 양호하기로는 20% 를 포함한다. 선택된 제어제는 점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제어제를 변형시키는 사용가능한 점도의 실시예는 아몰퍼스(훈증) 실리카(특히,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표면처리한 아몰퍼스 실리카)와, 실리콘 오일과, 그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양호한 점도 제어제는 30,000 센티스토크의 실리콘 오일을 포함한다. 성분의 점도 조정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오일은 윤활 능력을 강화시키며 성분의 흐름율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이형제 성분은 다양한 온도 조건(실온과 같은 용융기 롤의 높은 온도)하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성분, 특히 공중합체는 발생될 수도 있는 냄새나 분해 및 교차결합을 제거하기 위해 안정해야 한다. 이것은 용융 장치에 열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성분에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므로써 달성된다. 필요시, 산화방지제는 일반적으로 3% 내지 20%, 양호하기로는 5% 내지 13%, 가장 양호하기로는 9%를 갖는다. 상기 산화방지제가 성분의 안정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만일 너무 높은 수준으로 사용될 경우, 프린트 복사물에 불필요한 포일 스트릭(foil streak)이 발생될 수도 있다. 종래의 다른 산화방지제도 사용될 수 있다. 메카니즘이 다른 산화방지제들의 혼합물도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이러한 산화방지제의 실시예로는 다음과 같다.
(a) 감춰진 페놀과 같은 자유 라디칼 살균제(free radical scavenger)
(b) 아인산염 재료
(c)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재료와 같은 분해자 수산화물
(d) 상술한 재료들의 혼합물
양호한 산화방지제 혼합물로는 Irganox 1010(시바 가이기사에 의해 판매되는 감추어진 페놀형 산화방지제)와, Cyanox STDP(사이텍 인더스트리즈에 의해 판매되는 디스테어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와, Mark 2112(위트코 코포레이션에 의해 판매되는 고온 아인산염 산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화학식을 갖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릿지에서 밀봉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화학식에서 x 는 약 0,988 내지 0,995, 양호하기로는 0,990 내지 0,992, 가장 양호하기로는 0,99의 공중합체 분자비를 나타낸다. 상기 y 는 약 0,005 내지 0,012, 양호하기로는 0,008 내지 0,010, 가장 양호하기로는 0,01의 공중합체 분자비를 나타낸다. R 은 C15-C60알킬 집단의 약 70% 내지 100%(중량비)와, C2-C14알킬(양호하기로는 헥실) 집단의 약 0% 내지 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알킬 성분은 할로겐화되며, 양호하기로는 플루오르화된다. R 의 주요한 성분은 C30-C45알킬이며, 가장 양호하기로는 C36알킬(트리아콘틸)이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열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공중합체는 약 80,000 내지 250,000, 양호하기로는 80,000 내지 150,000, 가장 양호하기로는 110,000 의 분자량을 갖는다. 상술한 공중합체의 경도로 왁스가 아닌 밀봉제로 사용가능한 공중합체는 반죽물이나 유연한 코르크 경도를 갖는다. 상기 밀봉제 공중합체는 93 ℃에서 3,000 내지 7,000 센티포이즈의 점도를 갖는다. 각각의 밀봉제 공중합체에 대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상기 x 값과 y 값과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변화시켜 필요한 점도를 얻을 수 있음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산화방지제와 조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실리콘 공중합체 재료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릿지에서 특히, 전개기 롤 단부에서의 누설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릿지의 구조는 본 기술분야에서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본원에 참조인용되고 1996년 12월 20일자로 출원되어 카페이(Coff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770,330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밀봉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개기 롤의 각각의 단부에는 유효한 양(5 mg 내지 40mg, 양호하기로는 약 10mg)이 제공된다. 그후, 상기 롤은 회전하여 롤의 표면이 공중합체로 젖게 된다. 상기 공중합체는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이같은 얇은 층은 토너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밀봉하며, 상기 공중합체는 사용시 프린터 영역내로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공중합체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된다. 그 단계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예비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리콘 수산화물과 실록산(D4)을 주기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예비중합체상에 긴 체인 알켄 집단을 접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응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반응
온도계, 콘덴서, 기계적 교반기, 및 스펙트럼을 갖춘 4지(four-neck)의 10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 209,39g 의 D4 와, 10,45g 의 PMHS 와, 0,95g 의 건조한 벤토나이트(100 ℃ 4시간동안의 F-105)와, 0,333g 의 HMDS(432,9㎕)를 첨가한다. 반응 플라스크를 질소로 채운다. 혼합물을 500 RPM 으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열한다. 90 ℃에서 7시간동안 유지한다. 혼합물의 점도는 6000 cps 에 도달되어야 한다. 반응하지 않은 D4를 제거하기 위해, 혼합물을 고진공하에서 125 ℃로 가열한다. 혼합물의 점도는 7000 cps 가 되어야 한다. 공중합체의 수산화물 내용은 양자 NMR 에 의해 측정되어 약 5 몰%가 되었다.
단계2 반응
반응 플라스크를 단계 1 로부터 실온으로 냉각한다. 그후, 61,4% 트리아콘텐(예를 들어, 60%이상의 알파-올레핀 내용을 갖는 알켄 재료의 혼합물로서 약 36 의 평균 체인 길이를 갖는, 쉐브론사에 의해 판매되는 굴프텐 30+)의 129,3g과, 400㎖의 톨루엔[분자 시버(siever)로 건조]과, 필요할 경우 DMS-VO5(디비닐 PDMS)를 단계 1 의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충진한다. 75℃로 가열하고, 용액 분취량의 IR을 측정하고, PC072(백금, 1,3-디에틸1-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복합물)의 90㎕를 첨가한다(시간=0 분). 20분 후에 PC072의 90 ㎕를 첨가하고 적외선 스펙트럼(IR)으로 수산화물 내용을 측정한다. 시간=0 에서 정점 크기에 대한 시간 t 에서의 수산화물 정점의 비율은 수산화물 내용(수산화물 퍼센트: H%)로 취해진다. 계속해서 매 20분 마다 90㎕를 첨가하고 IR(40min 이하 첨가, 60 min 첨가)에 의한 H %가 25 내지 30%에 도달될 때까지 분취량의 IR을 취한다. H%가 25내지 30% 에 도달되었을 때, 50 ㎖의 헥센과 90㎕의 PC072를 첨가한다(억제시간=0). 30분후, 다시 90㎕의 PC072를 추가한다. H%가 10%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관찰한다(일반적으로, 1시간). 분석을 위해 소량의 시료를 채취한다(분리해서 진공하에서 건조).
산화방지제 첨가 절차
단계 2에서 30%의 실리콘 오일(30000cp)과, 10%의 Cyanox STDP와, 2%의 Irganox 101과, 왁스의 양(만일 338g 의 왁스가 생산된다면, 101,6g 실리콘 오일, 33,8g 의 STDP, 6,67g 의 1010, 10,14g의 2112)에 따라 3%의 Mark 2112를 첨가하고, 100℃로 가열하여 혼합될 때가지 교반한다(1시간). 접시에 붓고, 폭발방지 오븐(∼75℃)에서 밤새도록 건조한다.
따라서 이형제 성분의 공중합체의 용융 점도는 그 준비될 동안 공중합체의 교차결합을 제어하므로써 효과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교차결합제는 디비닐로 종료되는 폴리디메틸 실록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고분자량 공중합체가 요구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따른 결과는 공중합체 왁스 생산물의 흐름율을 제어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공중합체 점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저분자량 공중합체가 요구될 때, 0,1 내지 0,5 중량비(양호하기로는 약 0.26%)의 체인 스토퍼 재료가 단계 1 반응에 첨가된다. 효과적인 체인스토퍼 재료는 헥사메틸 디실록산(HMDS)와 같은 저분자량 PMDS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응은 벤토나이트의 존재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2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은 1-헥센과 같은 휘발성 저분자량 1-알켄(예를 들어, C2-C14 알켄)으로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억제 단계는 자체 교차결합과 같은 수산화물의 또 다른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된 재료내의 수산화물을 짧은 알킬 체인으로 대체한다. 공중합체상의 y 집단의 30% 이상 대체될 수 있으며, 이보다 높으면 재료의 점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효과적인 반응 촉매량이 반응중 반응 혼합물에 첨가될 때, 반응은 촉매가 한번에 모두 가해지는 것보다 빨리 완성되어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금, 팔라듐,믹 그 혼합물(양호하기로는 백금)에서 선택된 촉매하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촉매가 전체 반응을 통하여 반응 혼합물에 가해지는 환경하에서, C15-C601-알켄(양호하기로는 C30-C45알켄, 가장 양호하기로는 트리아콘텐)을 예비중합체를 함유하는 메틸하이드로실록산(양호하기로는 예비중합체를 함유하는 PDMS, 보다 양호하기로는 PDMS-co-PMHS 예비중합체, 가장 양호하기로는 PDMS:PMHS 분자 비율이 32:1 인 것)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1-알켄은 일반적으로 알켄의 혼합물로서 반응시 존재하기 때문에, 고순도(예를 들어, 희망의 알켄 중량으로 적어도 60%를 함유)인 것이 좋다. 또한, 반응은 그 완료시 1-짧은 체인(C2-C14 )1-알켄(양호하기로는 n 헥센)으로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인 촉매량은 반응을 촉진시키는데 필요한 전체 촉매량을 의미한다. 정확한 양은 사용된 촉매제와 억제제의 동질성에 의존하게 되며, 이것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사항이다.
전자사진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용융기 조립체는 동일하게 연장되는 중공부에 배치된 적절한 가열요소를 구비하는 중공 실린더나 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요소는 실린더의 표면 온도를 약 115℃ 내지 204℃(250。F 내지 400。F)의 작동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수정 램프와 같은 다른 적절한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재료 즉, 토너 입자를 용융하는데 요구되는 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열을 그 표면으로 이송하는 재료뿐만 아니라, 토너 입자가 용융기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형층과 장벽 용융기 부재의 표면 사이의 토너에 계면층이나 장벽층을 형성하도록 본 발명의 이형 성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표면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인 용융기 부재 재료는 산화피막된 알루미늄과 그 합금, 스틸, 스텐레스 스틸, 니켈 및 그 합금, 니켈도금된 구리, 구리, 유리, 아연, 카드뮴 등등과 이러한 재료들의 다양한 조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의 표면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재료로 피복되기만 하면, 이형제 성분과 비반응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용융기 부재의 표면 온도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3.327.196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용융기 조립체는 복사 종이나 기판이 통과하는 닙을 형성하여 그 토너 영상이 용융기 롤 구조물과 접촉되도록 용융기 롤 구조물과 협력하는 벨트 구조물이나 롤과 같은 백업 부재를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백업 부재는 예를 들어 탄성층을 갖는 단단한 스틸 코어나 스틸 실린더와 같은 다른 적절한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전개된 잠상을 이송하는 기판과 용융기 부재 사이에 필요한 접촉을 제공하는 적절한 벨트 재료일 수도 있다. 용융기 부재와 백업 부재의 칫수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는 용융기 조립체가 사용되는 전자사진 장치의 요구사항으로 표시되며, 이러한 칫수는 처리 속도와 기타 장치의 다른 변수에 의존한다. 약 15 내지 150psi 의 닙 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용융기 조립체에 부하를 가하기 위한 수단도 제공된다.
용융기 부재는 본 발명의 이형제 성분으로 처리되며, 본 발명의 청구대상인 상기 이형제 성분은 비반응성 열가소성 수지 토너가 용융기 부재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융기 부재에 의해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 토너를 분리시키는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연속적인 낮은 표면 에너지 필름으로 표면을 충분히 도포할 수 있는 양으로 가해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용융기 부재상에 본 발명의 잉형제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는 본 발명의 충분한 양(예를 들어, 6 내지 10g)의 이형제 성분으로 탐침된 온도저항성 파이어로 구성된 펠트 패드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성분과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이형제 성분은 다음과 같은 성분을 갖는다.
재료 중량비
3 몰비율 메틸-트리아콘틸실록산-97 몰비율 디메틸실로산 공중합체 100
실리콘 오일, 30,000 센티스토크 30
Cyanox STDP 산화방지제(사이텍 인더스트리 판매) 1
Irganox 1010 산화방지제(시바 가이기 판매) 2
Mark 2112 산화방지제(위트코 코포레이션 판매) 3
화학식(1)의 공중합체에서 x=97, y=3, R 은 75%의 C36 알킬 및 25%의 헥실
상기 성분에 이형제를 더욱 많이 첨가하면 열안정성은 증가되지만 점도는 떨어진다.
상술한 성분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공중합체 재료를 톨루엔으로 용해하고, 실리콘 오일과 산화방지제가 첨가되며, 100 ℃로 가열되어 약 1시간동안 교반된다. 이러한 혼합물은 오븐으로 옮겨져서 폭발장지 오븐(∼75℃)에 밤새도록 건조된다.
이러한 성분은 전자사진 장치의 용융기 롤에 가해질 때 선을 생성하지 않고 또한 프린트된 페이지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탁월한 이형 특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성분은 다음의 방법으로 준비된다.
PLMS-co-PMHS 예비중합체의 합성
기계적인 교반기와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10.2g 의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과, 0,32g 의 폴리메틸하이드로실록산(알드리히17, 620-6)과, 0,3g 의 헥사메틸디실록산을 첨가하고, 파이어스톤 밸브 장치로 탈가스한다. 상기 혼합물은 90℃에서 18시간 가열된 후 실온으로 냉각된다. 실온으로 냉각후, 제품은 NMR 및 점도계에 의해 분석된다(PDMS:PMHS=97:3 몰비율:실온에서의 점도는 4,000-8,000 cst와 동일하다).
교차결합된 실록산 왁스 공중합체 준비
기계적인 교반기와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18,5g의 PDMS-co-PMHS(5000 cst)와, 6,29g 의 트리아콘텐(66%: 평균 C=36)과, 60㎖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파이어스톤 밸브 장치로 탈가스한다. 상기 혼합물은 트리아콘텐을 용융하기 위해 60℃로 가열되며, 혼합물의 분취량은 수집되며, % 수산화물은 시료에 대한 적외선 스펙트럼으로 결정된다. 그후, 6㎕의 백금 디비닐종료된 테트라메틸실록산 복합물(PC072)이 첨가된다. 이후, 온도는 70℃로 상승된다. 15분후, 다른 분취량(IR 에 의한 % H)이 취해지며, 20분 후에 6㎕의 PC072가 첨가된다. 30분후, 다른 분취량(IR 에 의한 % H)이 취해지며, 40분 후에 6㎕의 PC072가 첨가된다. 50분후, 다른 분취량(IR 에 의한 % H: 30% 이하)이 취해지며, 60분 후에 5㎖의 헥센과 6㎕의 PC072가 첨가된다. 90분후, 6㎕의 PC072가 첨가되고, 120분후, 마지막 분취량이 취해져서 % H 가 10%인 것을 보장한다. 분취량은 수집되며, 진공하에서 건조되어 제품내의 고화비율을 결정한다. 마지막 실록산 왁스 공중합체는 약 3%의 알켄과 97%의 실록산을 함유한다[플루오르화된 공중합체는 상술한 반응에서 헥센을 대신하여 10mL 1H,1H,2H-퍼플루오로-1-헥센을 대체하므로써 준비된다].
용융 온도에서 실록산 공중합체 왁스의 열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용융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 다른 첨가제가 상기 왁스에 혼합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성분 즉, 상술한 공중합체 왁스와; 주 산화방지제는 시바 가이기에 의해 판매되는 Irganox 1010과; 100 파트당 1,2 파트 왁스와; 고온의 아인산염 산화방지제로서 위트코 코포레이션에 의해 판매되는 Mark 2112와; 100파트당 1.8 파트 왁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톨루엔에 용해된 실록산 왁스 공중합체에 첨가되어 교반된 후 접시로 옮겨져서 80℃의 폭발방지 오븐에서 밤새 건조된다.
성분의 8,5g은 Nomex(듀폰) 펠트 패드(파이버 직경=9 미크론, 펠트 밀도= 55oz/yd2, 길이=213 mm, 폭=8mm, 깊이=11mm)의 한쪽에 분포된다. 상기 왁스와 펠트는 왁스가 펠트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140 ℃에서 8시간 베이킹된다. 일단 베이킹되면, 초기에 왁스가 분포된 펠트 페드의 한쪽은 그 쪽이 용융기 고온 롤과 접촉하도록 전자사진 장치의 와이퍼 하우징에 위치된다. 상기 용융기 고온 롤은 200℃로 지지된다. 이 온도는 와이퍼를 통하여 항상 왁스를 용융시키며, 왁스가 정상적인 윤활성으로 유동되게 한다.
상기 성분은 전자사진 처리에서 용융기 롤에 사용될 때 토너 입자가 용융기 롤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시 용융기 롤을 윤활하며, 프린트된 페이지에 선을 형성하거나 기타 다른 프린트 품질 결함을 유발하지 않는다.
실시예 3
단계 1
밀봉제로서 사용가능한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다음과 같이 합성된다.
온도계, 콘덴서, 기계적 교반기, 및 스펙트럼을 갖춘 4지(four-neck)의 10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 213,05g 의 D4 와, 1,93g 의 PMHS 와, 0,62g 의 건조한 벤토나이트(100 ℃, 4시간동안 F-20X)와, 0,744g 의 HMDS(967㎕)를 첨가한다. 반응 플라스크를 질소로 채운다. 혼합물을 500 RPM 으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열한다. 90 ℃에서 18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하지 않은 D4를 제거하기 위해, 혼합물을 고진공하에서 125 ℃로 가열한다. 재료의 점도는 5,000 cps 가 되어야 한다. 공중합체의 수산화물 내용은 양자 NMR 에 의해 측정되어 약 1 몰%가 되었다.
단계 2
반응 플라스크를 단계 1 로부터 실온으로 냉각한다. 그후, 트리아콘텐(예를 들어, 60%이상의 알파-올레핀 내용을 갖는 알켄 재료의 혼합물로서 약 36 의 평균 체인 길이를 갖는, 쉐브론사에 의해 판매되는 굴프텐 30+)의 26,5g 과, 400㎖의 톨루엔[분자 시스(siever)로 건조]를 단계 1 의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충진한다. 75℃로 가열하고, 용액 분취량의 IR을 측정하고, PC072(백금, 1,3-디에틸1-1,1,3,3-테트라메필디실록산 복합물)의 50㎕를 첨가한다(시간=0 분). 20분 후에 PC072의 50 ㎕를 첨가하고 IR 로 수산화물 내용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매 20분 마다 50㎕를 첨가하고 H%가 IR(40min 이하 첨가, 60 min 첨가)에 의해 본래(시간=0분)의 완전 수산화물의 25 내지 30%에 도달될 때까지 분취량의 IR을 취한다. H%가 오리지날의 25내지 30% 에 도달되었을 때, 50 ㎖의 헥센과 50㎕의 PC072를 첨가한다(억제시간=0). 30분후, 다시 50㎕의 PC072를 추가한다. H%가 10%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관찰한다(일반적으로, 1시간).
산화방지제 첨가 절차
단계 2에서 3%의 Cyanox STDP와, 0,6%의 Irganox 1010과, 왁스의 양(만일 241,3g 의 왁스가 생산된다면, 7,24g 의 STDP, 1010 1,45g, 2112 2,17g)에 따라 0,9%의 Mark 2112를 첨가하고, 100℃로 가열하여 혼합될 때가지 교반한다(1시간). 접시에 붓고, 폭발방지 오븐(∼75℃)에서 밤새도록 건조한다.
상술한 바에 의해 합성된 소량의 재료는 프린팅 카트릿지 전개부분의 전개기 롤의 단부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밀봉 동작은 토너가 카트릿지의 이송부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재료는 사용자가 접촉할 수 없는 카트릿지 내부에 있으므로, 프린팅 처리중 누설되지 않는다.
상기 재료를 사용하기 위하여, 카트릿지 조립체 사용자는 평탄한 스큐류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단부에 소량(약 10 mg)의 재료를 취한후 이를 전개기 롤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시킨다. 그후, 상기 롤은 회전하여 상기 재료를 롤의 주위에 분포시켜 얇은 층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롤의 단부가 밀봉되어 토너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20)

  1. C15-C601-알켄을 촉매환경하에서 메틸하이드로실록산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촉매의 전체 양을 반응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백금, 팔라듐,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집단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백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알켄은 약 30 내지 45 탄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는 PDM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중합체는 PDMS 및 PMH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알켄은 트리아콘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DMS:PMHS 의 비율은 32: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희망의 1-알켄은 적어도 상기 희망의 1-알켄의 적어도 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 반응의 말기에 반응 혼합물은 C2-C14의 짧은 체인 1-알켄으로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체인 알켄은 1-헥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중합체는 주기적 실록산과 실리콘 수산화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를 형성하는 반응은 벤토나이트의 존재하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의 분자량을 제어하기 위해 반응 혼합물에 체인 스토퍼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의 분자량을 제어하기 위해 반응 혼합물에 체인 스토퍼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스토퍼는 HMD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실록산은 D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산화물은 PMH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를 형성하는 반응은 벤토나이트의 존재하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의 분자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반응 혼합물에 HMDS 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방법.
KR1019980017047A 1997-05-13 1998-05-12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 방법 KR19980086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55,179 US5783719A (en) 1997-05-13 1997-05-13 Method for making silicone copolymers
US8/855,179 1997-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976A true KR19980086976A (ko) 1998-12-05

Family

ID=2532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047A KR19980086976A (ko) 1997-05-13 1998-05-12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5783719A (ko)
EP (1) EP0878498B1 (ko)
JP (1) JPH1180366A (ko)
KR (1) KR19980086976A (ko)
CN (1) CN1221591C (ko)
DE (1) DE69817072T2 (ko)
TW (1) TW4778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257B1 (ko) * 1997-05-13 2006-04-28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전자사진공정용이형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244A (en) * 1997-05-13 1999-03-09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ant materials for toner cartridges
US5783719A (en) * 1997-05-13 1998-07-21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making silicone copolymers
GB2368068B (en) * 2000-10-20 2003-05-21 Reckitt Benckis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sitions
US6458461B1 (en) 2000-12-06 2002-10-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lease agent composition
JP3598068B2 (ja) 2001-02-06 2004-1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0296506T5 (de) * 2001-03-15 2004-04-22 Nippon Unicar Co. Ltd. Wachsartiges Organopolysiloxan und dieses enthaltende Tonerzusammensetzung
US6492083B1 (en) 2001-05-11 2002-12-10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omprising wax and functionalized enhancing agent
US6743560B2 (en) 2002-03-28 2004-06-0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Tre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oner fusing in electrostatographic reproduction
US7084202B2 (en) * 2002-06-05 2006-08-01 Eastman Kodak Company Molecular complexes and release agents
US6894137B2 (en) * 2002-06-05 2005-05-17 Easman Kodak Company Block polyorganosiloxane block organomer polymers and release agents
KR20050089147A (ko) * 2002-09-18 2005-09-07 후지필름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스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알킬-수소 실록산 분해 방지용 첨가제
US7226502B2 (en) * 2003-04-10 2007-06-05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High softening temperature synthetic alkylsilicone wax
JP2006063117A (ja) * 2004-08-25 2006-03-09 Dow Corning Toray Co Ltd ワックス状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
US8012915B2 (en) * 2007-10-19 2011-09-06 Eastman Kodak Company Fuser fluid
US9006157B2 (en) * 2009-02-13 2015-04-14 Genesee Polymers Corp. Silicone wax emuls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1798388A (zh) * 2010-03-18 2010-08-11 山东东岳有机硅材料有限公司 一种用活性膨润土催化合成聚甲基硅氧烷的方法
CN101805449B (zh) * 2010-04-12 2012-07-11 东北林业大学 含羧基微孔纳米硅氧烷固体颗粒的制备方法
GB2524970A (en) * 2014-04-07 2015-10-14 Henkel Ag & Co Kgaa New modified silicon oil for wax-free die casting lubricants
CN108203511B (zh) * 2016-12-16 2021-07-09 上海飞凯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直链有机硅丙烯酸酯及其制备方法、应用
CN110339830A (zh) * 2019-05-22 2019-10-18 西南交通大学 氧化石墨烯海绵材料及其制备和使用方法
US20230331920A1 (en) * 2020-12-14 2023-10-19 Dow Silicones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poly(diorgano/organohydrogen)siloxane co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377A (en) * 1960-04-06 1963-03-27 Farbenfabrkien Bay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rgano-hydrogen polysiloxanes
US4185140A (en) * 1974-07-24 1980-01-22 Xerox Corporation Polymeric release agents for electroscopic thermoplastic toners
US4170957A (en) * 1976-03-01 1979-10-16 Xerox Corporation Fixing device using polyarylsiloxanes as release agents
GB8427086D0 (en) * 1984-10-26 1984-12-05 Wolfe M F Information devices
US5393521A (en) * 1989-12-21 1995-02-28 Dep Corporation Hair treatments utilizing polymethylalkylsiloxanes
US5338536A (en) * 1991-08-08 1994-08-16 General Electric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alkylsiloxane copolymers
US5616673A (en) * 1995-12-13 1997-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production of low viscosity low silanol content silicone fluids
US5783719A (en) * 1997-05-13 1998-07-21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making silicone copolym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257B1 (ko) * 1997-05-13 2006-04-28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전자사진공정용이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17072T2 (de) 2004-05-27
TW477800B (en) 2002-03-01
US5929186A (en) 1999-07-27
US5783719A (en) 1998-07-21
DE69817072D1 (de) 2003-09-18
EP0878498A1 (en) 1998-11-18
CN1211584A (zh) 1999-03-24
JPH1180366A (ja) 1999-03-26
CN1221591C (zh) 2005-10-05
EP0878498B1 (en) 200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6976A (ko) 실리콘 공중합체 제조 방법
KR100550443B1 (ko) 토너카트리지용밀봉제재료
US5157445A (en) Fixing device
KR100538257B1 (ko) 전자사진공정용이형제
EP0895139B1 (en) Heat-pressure fixing device and silicone rubber roller
JP3369008B2 (ja) 定着装置
US6458461B1 (en) Release agent composition
US4170957A (en) Fixing device using polyarylsiloxanes as release agents
US4078948A (en) Fixing method
KR100479070B1 (ko) 인쇄장치로부터토너수지를청소하기위한조립체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