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63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632A
KR19980086632A KR1019980014287A KR19980014287A KR19980086632A KR 19980086632 A KR19980086632 A KR 19980086632A KR 1019980014287 A KR1019980014287 A KR 1019980014287A KR 19980014287 A KR19980014287 A KR 19980014287A KR 19980086632 A KR19980086632 A KR 1998008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frigerator
switching chamber
ambient temperatur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340B1 (ko
Inventor
도모야스 사에키
시게루 니키
가즈히사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026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322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26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1038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다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8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식품의 보존에 적합한 냉동온도로부터 통상의 식품의 보존에 적합한 냉장온도의 온도대로 설정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로서, 설정온도로 신속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저면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작동시키고 전환실의 온도 센서(60)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양 히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의 온도대로 설정 온도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실, 냉동실 및 야채실 등의 특정온도에 냉장고내 온도를 유지하는 방을 구비할 뿐이었지만, 최근의 냉장고에서는 이 방 외에 상기 냉장고내 온도를 냉장 온도에서 냉동 온도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을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 전환실의 냉장고내 온도를 설정온도로 온도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전환실 전용의 댐퍼를 설치하고 이것을 폐쇄함으로써 냉기의 유입을 차단시켜 온도 제어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전환실에서는, 그 설정온도를 전환한 경우에, 그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설정 온도를 냉동 온도로부터 냉장온도로 전환한 경우에는, 냉장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5시간 이상 걸렸다.
또한, 냉장고가 놓여져 있는 주위의 온도(이하, 주위온도라고 함)가 낮은 때에는, 설정온도를 냉동 온도에서 냉장온도로 전환한 경우에는 설정의 냉장온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환실을 설정온도에 신속히 도달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전환실의 정면도,
도 2는 전환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냉장고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냉장고의 중단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냉장고의 블럭도,
도 7은 전환실의 설정온도의 표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설정온도를 높게 한 경우의 제 1 제어방법의 가열 정지 온도를 기재한 표,
도 9 제 2 제어방법에서의 가열 정지 시간을 기재한 표,
도 10은 제 3 제어방법에서의 가열 정지 온도를 기재한 표,
도 11은 제 3 제어방법의 플로우 챠트,
도 12는 제 4 제어방법의 가열 정지 시간을 기재한 표,
도 13은 제 4 제어방법의 플로우 챠트,
도 14는 냉장고내 온도를 낮게 설정한 경우에서의 제 1 제어방법의 냉각 정지 온도를 기재한 표,
도 15는 냉장고내 온도를 낮게 설정한 경우에서의 제 2 제어방법의 냉각 정지 시간을 기재한 표,
도 16은 히터의 강도와 주위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7은 설정온도를 적합한 경우의 각 히터의 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주위온도와 냉장고내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및
도 19는 냉장고내 온도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장고 18: 전환실
32: 댐퍼 장치 62: 저면 히터
66: 측면 히터 68: 알루미늄 테이프
80: 주위온도 센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동식품의 보존에 적합한 냉동온도로부터 통상의 식품의 보존에 적합한 냉장온도의 온도대로 설정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벽면에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시키는 제 1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의 온도대로 설정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벽면에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 장치의 열용량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 장치의 열용량을 작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을 구비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제 1 제어 수단이 가열장치를 작동시켜 전환실의 내부를 가열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설정온도에 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제 1 제어수단이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가열장치의 열용량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여, 냉장고내 온도가 그 목적으로 하는 높은 설정온도로 상승하기 쉽도록 한다. 또한, 반대로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경우에는 가열장치의 열용량을 작게 하도록 제어하여, 냉장고내 온도가 내려가기 쉽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냉장고(10) 전체의 구조를 도 3에서부터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냉장고(10)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냉장고(10)의 중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냉장고(10)의 캐비넷(12)의 최상단에는 냉장실(14), 그 아래쪽에는 제빙실(16)과 전환실(18), 그 아래쪽에는 냉동실(20), 최하단에는 야채실(22)이 설치된다.
또한, 냉장실(14)에는 힌지식(hinge)의 문(14a)이 설치되고, 제빙실(16), 전환실(18), 냉동실(20) 및 야채실에는 각각 서랍식의 문(16a,18a,20a,22a)이 설치되어 있다.
제빙실(16) 및 냉동실(20)의 배면에는, 냉각기 커버(cover)와 캐비넷(12)의 내부상자로 구성되는 냉각공간(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부에는 냉각기(26)가 설치되고 그 위쪽에는 냉각팬(fan)(28)이 설치되며, 냉각기(26)의 아래쪽에는 성에 제거용 히터(heater)(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실(18)의 배면에는 냉각팬(28)으로부터의 냉기를 냉장실(14) 및 전환실(18)로 보내기 위한 댐퍼장치(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장치(32)의 좌측면에는 냉각팬(28)으로부터의 냉기의 흡입구(34)가 설치되고 상부면에는 냉장실(14)로 냉기를 보내기 위한 덕트(duct)(36)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전환실(18)로 냉기를 보내기 위한 배출구(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댐퍼장치(32)의 내부에는 냉장실(14) 및 전환실(18)로 각각 냉기를 보내기 위한 전환실용 댐퍼(40) 및 냉장실용 댐퍼(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22)의 배면에는 기계실(44)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컴프레서(46)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전환실(18)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환실(18)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면(48), 좌측면(50), 우측면(52), 저면(54)을 구성하는 상자체(55)가, 댐퍼장치(32)의 위치에 있는 캐비넷(12)의 내부상자(13)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자체(55)와 댐퍼장치(32) 사이에는 배면판(5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판(56)이 전환실(18)의 배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자체(55)의 전면에는 테두리체(57)가 부착된다. 또한, 댐퍼장치(32)는 커버(32a)와 본체(32b)로 이루어진다.
배면판(56)에는 냉기의 분출구인 개구부(58)가 개구하고, 이 위치는 댐퍼장치(32)의 분출구(38)의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58)의 우측에는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환실용 온도센서(60)가 설치되어 있다.
상자체(55)는 그 둘레에 발포스티롤(styrene)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면(54)의 이면에는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저면히터(62)가 설치되고 상기 저면 히터(62)를 알루미늄 테이프(aluminum tape)(64)로 덮고 있다. 또한, 좌측면(50)의 이면에도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측면히터(66)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 히터(66)를 알루미늄 테이프(68)가 덮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6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판(56)의 위치까지 연장되고, 측면 히터(66)의 열이 알루미늄(68)을 통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배면판(56)에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배면판(56)에 특별히 히터를 설치하지 않고 배면으로부터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환실(18)은 저면, 좌측면, 배면의 세방면으로부터 가열되어 냉장고내 온도를 안정시켜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저면 히터(62)는 측면 히터(66) 보다도 가열량을 많게 할 수 있도록 최대열용량이 큰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저면 히터(62)는 전환실(18)의 온도상승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6에 기초하여 상기 냉장고의 전기계통의 구조를 설명한다.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로 이루어진 제어장치(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4)의 배면측 상부의 기판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는 냉각팬(28)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72)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구동장치(74), 냉장실용 댐퍼(42), 전환실용 댐퍼(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댐퍼용 모터(motor)(76), 전환실용 온도 센서(60), 전환실(18)의 측면 히터(66), 전환실(18)의 저면 히터(62), 성에 제거용 히터(30), 및 컴프레서(4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10)의 주위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주위온도 센서(80)가 접속되고, 또한 각 방의 설정온도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82)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조작반(82)에서는 전환실(18)의 온도를 야채실 온도, 냉장실 온도, 칠드(chilled)온도, 부분(partial)온도의 온도대의 사이에서 연속하여 전환 가능하고, 또한 냉동온도(약,통상,강)의 온도대의 사이에서 연속하여 전환 가능하다. 또한, 냉장실 온도, 야채실 온도, 칠드온도, 부분온도, 냉동온도(약,통상,강)의 목표 온도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음에, 본 발명의 냉장고(10)의 전환실(18)의 설정온도를 전환한 경우에 대해서,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그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전환실(18)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보다 높게 설정한 경우의 제어전환실(18)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보다 높게 설정한 경우의 제어방법은 4종류 있고, 각각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해 간다.
(1) 제 1 제어방법
제 1 제어방법을 도 8의 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표에서 세로란은 전환전의 냉장고내 온도를 나타내고 가로란은 설정온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에 나타낸 숫자는 전환실 온도 센서(60)가 검지하는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의 가열정지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내용은 제어장치(70)의 메모리(memory)에 기억시켜 둔다.
제 1 제어방법의 내용은 전환실(18)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보다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작동시키고 전환실(18) 내부를 강제적으로 가열하여 그 설정온도에 빠르게 도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정지시키는 타이밍(timing)으로서 전환실 온도 센서(60)가 검지한 온도가 가열정지온도에 도달했을 때 정지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가 냉동온도에서 설정온도를 냉장온도로 한 경우에는,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작동시키고 그 내부를 강제적으로 가열하여, 전환실 온도 센서(60)가 검지한 온도가 가열 정지 온도 6℃가 된 시점에서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일찍 설정온도로 냉장고내 온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전환실(18)의 내부가 가열되는 일이 없다.
(2) 제 2 제어방법
제 2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9의 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세로란이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를 나타내고 가로란이 설정온도를 나타내며, 그 안의 숫자가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정지시키는 가열정지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내용은 제어장치(70)의 메모리에 기억시켜 둔다.
제 2 제어방법은, 전환실(18)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했을 때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작동시키고 소정의 가열 정지 시간 후에 이 히터를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가 냉동온도이고 설정온도가 냉장온도인 경우에는 가열 정지 시간인 30분후에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가 보다 빠르게 설정온도까지 상승함과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그 냉장고내 온도가 상승하는 일이 없다.
(3) 제 3 제어방법
제 3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10의 표 및 도 11의 플로우 챠트(flowchart)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3 제어방법은 제 1 제어방법에 더욱 개량을 가한 것이고, 제 1의 제어방법에 서의 가열정지온도를 주위온도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이다. 도 10은 세로란이 주위 온도를 나타내고 가로란이 설정온도의 전환 상태를 나타내며, 그 중의 숫자는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정지시키는 가열정지온도를 나태내고 있다. 또한, 상기 내용은 제어장치(70)의 메모리에 기억시켜 둔다.
상기 제어방법을 도 11의 플로우 챠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텝(step)1에서 조작반(82)에 의해서 설정온도를 전환한다.
스텝2에서, 주위 온도 센서(80)에 의해서 주위 온도를 검지한다.
스텝3에서, 주위온도가 3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30℃ 이상이면 스텝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이면 스텝5로 진행한다.
스텝4에서 주위온도 30℃ 이상의 가열정지온도를 메모리로부터 불러 낸다. 여기서, A는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로 전환한 경우의 가열정지온도를 나타내고 B는 냉동온도로부터 야채실 온도로 전환한 경우의 가열 정지 온도를 나타내며, C는 냉장온도로부터 야채실 온도로 전환한 경우의 가열 정지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스텝에서 A, B, C도 동일하다. 그리고, 스텝8로 진행한다.
스텝5에서 주위온도가 10℃∼3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사이이면 스텝6으로 진행하고 그 이하, 즉 10℃ 이하이면 스텝7로 진행한다.
스텝6에서 가열 정지 온도를 A=7℃, B=9℃, C=8℃로 하고 스텝8로 진행한다.
스텝7에서 주위온도가 10℃ 이하이므로 가열 정지 온도를 A= 8℃, B=10℃, C=9℃로 하고 스텝8으로 진행한다.
스텝8에서 스텝1에서 전환된 설정온도가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인 경우에는, 스텝9로 진행하고 그 이외이면 스텝10으로 진행한다.
스텝9에서 설정온도가 전환됨에 따라서 실제로 가열 정지 온도로 할 온도(이하, 대응정지온도(X)라고 함)에 A의 값, 즉 6℃를 대입하여 스텝15로 진행한다.
스텝10에서 냉동온도로부터 야채온도로 전환되어 있으면 스텝11로 진행하고, 그 이외이면 스텝12로 진행한다.
스텝11에서 대응정지온도(X)에 B값을 대입하여 스텝15로 진행한다.
스텝12에서 냉장 온도에서 야채실 온도로 전환되어 있으면 스텝13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이면 스텝14에서 종료한다.
스텝13에서 대응정지온도에 C의 값을 대입하여 스텝15로 진행한다.
스텝15에서 저면 히터(62)와 측면 히터(66)를 작동시켜 스텝16으로 진행한다.
스텝16에서, 전환실 온도센서(60)로 검지한 측정온도(Y)를 판독하여, 스텝17로 진행한다.
스텝17에서 측정온도(Y)와 대응정지온도(X)를 비교하고 측정온도가 대응정지온도(X)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 스텝16로 되돌아가고, 도달해 있으면 스텝18로 진행한다.
스텝18에서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였으므로,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정지시킨다.
이상의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주위 온도에 따라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를 정지시키므로, 필요 이상으로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가 가열되지 않고, 보다 빠르게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4) 제 4 제어방법
제 4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12의 표 및 도 13의 플로우 챠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4 제어방법은 제 2 제어방법을 개량한 것이고 가열정지시간을 주위온도에 맞추어 변경시키는 것이다. 상기 변경하는 가열정지시간을 나타낸 것이 도 12이고, 이 내용은 제어장치(70)의 메모리에 기억시켜 둔다.
이하, 이 제 4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13의 플로우 챠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텝1에서, 조작반(82)에 의해 설정온도를 전환한다.
스텝2에서, 주위온도 센서(80)에 의해서 주위온도를 검지한다.
스텝3에서, 스텝2에서 검지한 주위온도가 30℃ 이상이면 스텝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이면 스텝5로 진행한다.
스텝4에서, 메모리로부터 가열정지온도를 불러 낸다. 그리고, A에는 냉동온도에서 냉장온도로 전환한 경우의 가열정지시간 30분을 대입하고, B에는 냉동온도에서 야채온도로 전환한 경우의 가열정지시간 35분을 대입하며, C에는 냉장온도로부터 야채온도로 전환한 경우의 가열정지시간 15분을 대입한다. 또한, 이하의 스텝에서의 A∼C도 동일하다. 그리고 스텝8로 진행한다.
스텝5에서, 주위온도가 10℃∼30℃인 경우에는 스텝6으로 진행하며, 10℃ 이하이면 스텝7로 진행한다.
스텝6에서, 주위온도가 10°℃∼30℃이므로 A= 25℃로 하고 B= 30℃로 하며, C= 12℃로 하여 스텝8로 진행한다.
스텝7에서, 주위온도가 10℃ 이하이므로 표 4로부터 A= 20℃로 하고 B= 25℃로 하며, C= 10℃로 하여 스텝8으로 진행한다.
스텝8에서,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9로 진행하고, 그 이외이면 스텝10으로 진행한다.
스텝9에서, 설정온도의 전환에 따라 실제로 가열정지시간으로 할 시간(이하, 대응정지시간(X)라고 함)에 B의 값을 대입하여 스텝15로 진행한다.
스텝10에서, 냉동온도로부터 야채실 온도로 전환되어 있으면 스텝11로 진행하고, 그 이외이면 스텝12로 진행한다.
스텝11에서, 대응정지시간(X)에 B의 값을 대입하고 스텝15로 진행한다.
스텝12에서, 냉장실 온도에서 야채실 온도로 전환되어 있으면 스텝13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이면 스텝14로 진행하여 종료한다.
스텝13에서, 대응정지시간(X)에 C의 값을 대입하여 스텝15로 진행한다.
스텝15에서, 저면 히터(62)과 측면 히터(66)를 작동시켜 스텝(16)으로 진행한다.
스텝16에서, 마이크로 컴퓨터인 제어장치(7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타이머(timer)를 스타트(start)시킨다.
스텝17에서, 타이머에서 계측시간(Y)를 계측한다.
스텝18에서, 타이머의 계측시간(Y)과 대응정지시간(X)을 비교하고, 대응정지시간(X)에 계측시간(Y)이 도달해 있지 않으면 스텝17으로 되돌아가며, 도달해 있으면 스텝19으로 진행한다.
스텝19에서, 저면 히터(62)와 측면 히터(66)를 정지시켜 종료한다.
이 제어방법이면, 설정온도에 보다 빠르게 도달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주위온도에 맞추어 그 가열정지시간을 변경하고 있으므로,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도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높아지는 일이 없다.
2. 전환실(18)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경우의 제어 전환실(18)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경우의 제어방법도 4종류 있는데, 이하 차례로 설명해간다.
(1) 제 1 제어방법
제 1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14의 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제어방법은, 설정온도를 전환한 경우에 컴프레서(46)를 강제적으로 작동시킴 과 동시에, 댐퍼장치(32)의 전환실용 댐퍼(40)를 개구시키고 강제적으로 냉기를 보내주며,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를 낮추어 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컴프레서(46)의 정지를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에 따라 대응시켜 정지시킨다. 상기 정지시키는 온도인 냉각 정지 온도를 나타낸 것이 도 14이고, 예를 들어 냉장 온도에서 냉동온도로 전환한 경우에는 냉각정지온도를 -28℃로 하고, 상기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컴프레서(46)를 정지시킨다. 또한, 강제적으로 컴프레서(46)를 작동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전환실용 댐퍼(40) 이외의 냉장실 댐퍼 등의 다른 방에 냉기를 보내는 댐퍼는 강제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해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른 방이 필요 이상으로 냉각되는 일이 없다.
상기 제어방법이면 강제적으로 냉기를 보내주므로, 보다 빠르게 설정온도로 도달함과 동시에 필요이상으로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가 내려 가는 일이 없다. (2) 제 2 제어방법
제 2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15의 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2 제어방법은, 제 1 제어방법과 동일하게 컴프레서(46)를 강제적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그 정지 타이밍을 소정 시간(이하, 냉각정지온도라고 함)후에 정지시킨다. 상기 냉각정지온도를 나타낸 것이 표 6이고, 예를 들어 냉장온도로부터 냉동온도로 전환한 경우에는 60분후에 컴프레서(46)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방법에 있어서도,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가 보다 일찍 설정 온도에 도달함과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냉장고내 온도가 내려가는 일이 없다.
(3)제 3 제어방법
제 3 제어방법은, 제 1 제어방법을 개량한 것이고, 그 다른 점은 냉각정지온도를 주위온도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위온도가 낮을수록 냉각정지온도를 높게 설정한다.
상기 제어방법이면, 주위온도가 낮은 경우라도 필요 이상으로 냉장고내 온도가 내려가는 일이 없다.
(4) 제 4 제어방법
제 4 제어방법은, 제 2 제어방법을 개량한 것이고 주위온도에 따라서 냉각정지온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위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컴프레서(46)를 작동시키는 시간(냉각정지시간)을 짧게 하고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내려 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냉장고이면,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가열장치를 작동시켜 강제적으로 전환실 내부의 온도를 높이므로, 보다 빠르게 설정온도에 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경우에, 제 2 제어수단이 컴프레서를 강제적으로 작동시켜 냉기를 보내므로, 신속하게 설정온도에 도달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냉장고(10)에서 그 제 2 실시예로서, 저면 히터(62)와 측면 히터(66)를 사용하여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하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가지가 있는데, 이하 차례로 설명해간다.
(1) 제 1 온도제어
상기 제 1 온도제어는, 냉장고(10)가 놓여져 있는 주위온도에 맞추어 저면 히터(62)와 측면 히터(66)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것을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히터의 강도와 주위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세로축이 히터의 강도를 나타내고 횡축이 주위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주위온도가 낮을 때,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도 낮아진다. 그 때문에, 주위온도가 T1(예컨대 15℃) 이하일 때에는 히터의 강도를「강」으로 하고, T1에서 T 2(예를 들어 30℃)일 때는 히터의 강도를 「중」으로 하고, T1 이상의 주위온도에서는 히터의 강도를 「약」 또는 OFF로 한다.
(2) 제 2 온도제어
제 2 온도제어로서는, 설정온도를 전환된 경우에 기초하여 저면 히터(62) 및 측면 히터(66)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것을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설정온도를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 또는 냉장온도로부터 냉동온도로 전환한 경우의 저면 히터(62)와 측면 히터(66)의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로 전환했을 때는, 히터의 강도를 통상의 강도 보다도 높게(H)하여 작동시킨다. 반대로, 냉장온도로부터 냉동온도로 전환했을 때는 통상의 강도 보다도 낮게(L) 하여 작동하거나, 또는 OFF로 한다.
(3) 상기 2개의 온도제어에 의한 효과
상기 2개의 온도제어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 도 18 및 도 1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와 주위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실선이 본 제어를 실시한 경우이고, 점선이 본 제어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인 종래의 것이다.
도 19는 전환실(18)의 냉장고내 온도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고 0시간일 때에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로 설정을 전환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실선이 본 제어를 실시한 경우이고 점선이 본 제어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인 종래의 것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주위온도가 낮으면(15℃) 설정온도를 냉장온도(3℃)로 설정해도, 냉장고내 온도는 0℃까지 밖에 도달하지 않고 원하는 설정온도에 도달할 수 없다. 이에 비하여, 본 제어의 경우에는 주위온도가 15℃이어도 그 설정온도인 3℃에 도달할 수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경우에는 주위온도가 15℃에서 30℃로 변화되면 그 주위온도에 맞추어 냉장고내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제어의 경우에는 냉장고내 온도는 3℃로 일정하다. 이것은 제 1 온도제어에 의해서, 주위온도에 맞추어 전환실(18) 내부를 가열하고 있으므로 주위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어의 경우에는 냉장온도인 3℃에 약 3시간에 도달하는 데 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약 5시간 걸리고 있다. 즉, 본 제어를 실시한 경우에는 신속히 원하는 냉장온도에 도달하게 할 수가 있다. 이것은, 제 2 온도제어에 의해서, 전환실(18)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히터(62,66)의 열용량을 크게 하여 강제적으로 냉장고내를 가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대의 경우에는 히터(62,66)의 열용량을 작게 하거나 OFF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의 냉장고이면,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가열장치의 열용량을 크게 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가열장치의 열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원하는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위온도가 낮을수록 가열장치의 열용량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주위온도가 낮은 경우에 있어 설정온도를 냉장온도로부터 냉동온도로 설정해도, 확실히 냉장온도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 및 주위 온도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전환실의 온도를 설정온도에 신속히 도달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5)

  1.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의 온도대로 설정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벽면에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시키는 제 1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냉장고내 온도를 검지하는 전환실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시킨 후 상기 전환실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소정의 가열정지온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가열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주위온도를 검지하는 주위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주위 온도 센서가 측정한 주위 온도가 낮아질수록 상기 가열 정지 온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시킨 후, 소정의 가열 정지 시간 후에 상기 가열 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주위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주위 온도 센서가 측정한 주위 온도가 낮아질수록 상기 가열 정지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컴프레서, 냉각기 등으로 이루어진 냉동 사이클을 구비함과 동시에, 냉동식품의 보존에 적합한 냉동온도로부터 통상의 식품의 보존에 적합한 냉장온도의 온도대로 설정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설정 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컴프레서를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2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냉장고내 온도를 검지하는 전환실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컴프레서를 동작시킨 후, 상기 전환실 온도 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소정의 냉각 정지 온도에 도달했을 때 상기 컴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주위 온도를 검지하는 주위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주위 온도 센서가 측정한 주위 온도가 낮아질수록, 상기 냉각정지온도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컴프레서를 작동시킨 후, 소정의 냉각 정지 시간 후에 상기 컴프레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주위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주위 온도 센서가 측정한 주위 온도가 낮아질수록, 상기 냉각 정지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컴프레서를 강제적으로 작동시키고 있을 때, 상기 전환실 이외의 수납실과 상기 냉각기가 있는 냉각공간 사이에 설치된 댐퍼를 폐쇄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냉동온도로부터 냉장온도의 온도대로 설정온도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벽면에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실의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장치의 열용량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온도를 현재의 냉장고내 온도 보다도 낮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가열 장치의 열용량을 작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상기 벽면과는 다른 벽면에 별도로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가열장치의 최대 열용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실의 배면 이외의 벽면에 설치된 상기 가열장치로부터 열 전달부재를 통하여 상기 배면에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주위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 센서로 검지한 주위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가열장치의 열용량을 작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80014287A 1997-05-29 1998-04-22 냉장고 KR100323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40264 1997-05-29
JP14026497A JPH10332241A (ja) 1997-05-29 1997-05-29 冷蔵庫
JP14026697A JP3361038B2 (ja) 1997-05-29 1997-05-29 冷蔵庫
JP9-140266 1997-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632A true KR19980086632A (ko) 1998-12-05
KR100323340B1 KR100323340B1 (ko) 2002-03-08

Family

ID=2647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287A KR100323340B1 (ko) 1997-05-29 1998-04-22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23340B1 (ko)
CN (1) CN1179176C (ko)
TW (1) TW49372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522B1 (ko) * 2007-11-05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72573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92756B2 (en) 2019-12-09 2023-07-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1395B2 (ja) * 2008-05-28 2011-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102735009B (zh) * 2011-03-31 2015-08-05 无锡松下冷机有限公司 冰箱
JP2016223752A (ja) * 2015-06-04 2016-1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2018038507A (ja) * 2016-09-06 2018-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CN106247753B (zh) * 2016-09-30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该冰箱的控制方法
KR102515626B1 (ko) * 2017-12-13 202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1473575B (zh) * 2019-01-23 2022-04-26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冰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522B1 (ko) * 2007-11-05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72573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92756B2 (en) 2019-12-09 2023-07-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3727U (en) 2002-07-01
KR100323340B1 (ko) 2002-03-08
CN1201131A (zh) 1998-12-09
CN1179176C (zh)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678B2 (en) Refrigerator with multipurpose storage cha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77506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efrigerator
US7762102B2 (en) Soft freeze assembly for a freezer storage compartment
KR100323340B1 (ko) 냉장고
US3133427A (en) Refrigerator with door mounted hydrator
JP2005172298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JP3461531B2 (ja) 冷蔵庫
JP3361038B2 (ja) 冷蔵庫
US7260957B2 (en) Damper for refrigeration apparatus
US5992166A (en) Motorized damper for refrigerator
JPH11101548A (ja) 冷蔵庫
JP2567764B2 (ja) 高湿冷却貯蔵庫
JPH10332241A (ja) 冷蔵庫
JPH11223447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JP3331305B2 (ja) 冷蔵庫
JP2584342B2 (ja) 冷凍・冷蔵庫の冷却制御装置
JPH05126458A (ja) 高湿冷却貯蔵庫
JPS60111873A (ja) 急冷解凍室付冷蔵庫
JP3533327B2 (ja) 冷蔵庫の制御方法
KR100880636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H0719699A (ja) 冷蔵庫
JPH02130381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KR100417583B1 (ko) 냉장고의 보온히터 제어 방법
JPH02126078A (ja) 冷蔵庫
JPH10339540A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