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387A - 클럭 생성회로 - Google Patents

클럭 생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387A
KR19980086387A KR1019970050806A KR19970050806A KR19980086387A KR 19980086387 A KR19980086387 A KR 19980086387A KR 1019970050806 A KR1019970050806 A KR 1019970050806A KR 19970050806 A KR19970050806 A KR 19970050806A KR 19980086387 A KR19980086387 A KR 19980086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elay
counter
clock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722B1 (ko
Inventor
코우이치 이시미
Original Assignee
기다오까 다까시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다오까 다까시,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다오까 다까시
Publication of KR1998008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0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the loop being adapte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and to synchronisation
    • H03L2207/10Indirect frequency synthesis using a frequency multiplier in the phase-locked loop or in the reference signal path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Pulse Circuit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체배회로에서 정확한 체배클럭이 출력되지 않고, 온도 등의 변동에 대한 보정 능력이 저하하여 록(lock)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입력된 입력 클럭의 소정 체배수의 출력클럭을 공급하는 체배회로40 내에서, 외부로부터 리셋신호가 입력되던가, 또는 입력 클럭의 1주기 내에 클럭 생성회로20의 출력클럭의 펄스수가 소정 체배수 미만일 때, 카운터52를 초기화하여 디지털 지연라인56의 지연 동작을 초기화하여 초기화 직후의 지연 시간을 최소 값으로 설정하고, 서서히 지연시간을 증가하여 원하는 체배수의 출력클럭을 생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럭 생성회로
본 발명은 저 전압 하에서도 제어가능한, 노이즈에 대한 영향이 적은 정확하고 확실히 동작 가능한 클럭 생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위상 동기 루프(PLL= Phase Locked Loop)는 종래 부터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입력 클럭에 동기한 주기 또는 체배(遞培)클럭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최근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 주파수는 높고, 예를 들면, 수백MHz의 고속 클럭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PLL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하는 것은 불가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PLL은 전압제어 발신기(VCO=Voltage Contro1 Oscillator)의 제어 전압을 유지하는 커패시터의 전압을 챠지 펌프에 의해 제어하여 발신 주파수를 제어하는 아날로그형PLL 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아날로그형PLL은 저 전압 하에서의 제어가 곤란했으며, 노이즈에 약하고 또한 동작이 안정하기까지의 록 시간이 길어 입력 클럭의 공급이 정지하면 PLL의 발신이 정지하여 다시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 긴 시간이 요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 기재하는 문헌1의 종래 기술에서는 디지털 지연라인을 사용한 주파수 체배회로를 개시(開示)하고 있다.
문헌1 : 「디지털스탠더드 셀을 사용한 휴대 체배 클럭 생성기, Michel Comber 외 2명,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 제 31권, 제7호, 1996년 7월(A Portable Clock Multiplier Generator Using Digital CMOS Standard Cells, Michel Comber 외 2명,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1. 31, No. 7, Jul. 1996)」.
도 8은 종래의 주파수 체배회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면에서, 1은 플립플롭회로(Flip-F1op), 2는 분주기(Divider), 3은 컴패레이터, 4는 제어회로, 6 및 7은 각각 지연회로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주파수 체배회로(周波數遞培回路)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다음,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주파수 체배회로10의 동작에 서, 디지털 지연라인인 지연회로6,7의 지연시간의 초기 상태에 의해서는, 도 9의 타이밍 차트내의 타이밍 T1으로부터 타이밍 T2의 사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립플롭회로1로부터 펄스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로 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입력 클럭의 상승 엣지(타이밍 T1)부터, 분주기2의 출력신호M을 니게이트(negate)하기까지의 지연시간과, 플립플롭회로1의 출력신호A 로서의 체배 클럭출력신호의 4펄스 째의 하강 시각(타이밍 T1 )부터 출력신호M을 어서트하기 까지의 지연시간의 차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타이밍 T1으로부터 타이밍 T2까지와 같이 입력 클럭의 1주기의 사이, 출력신호M이 어서트를 계속하여 정확한 체배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인 문헌1에 개시된 주파수 체배회로10에서는 입력 클럭과 분주기2의 출력신호M과의 사이의 위상 동기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언급되어 있지 않고 이 때문에 PLL의 기능으로서는 불충분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지연라인을 사용한 위상 동기회로와 디지털 지연라인을 사용한 도 8에 나타낸 주파수 체배회로10을 조합한 것이 있다.
도 10은 디지털 지연라인을 사용한 위상 동기회로와 디지털 지연라인을 사용한 도 8에 나타낸 주파수 체배회로10을 조합한 종래의 클럭 생성회로15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면서, 10은 도 8에 나타낸 주파수 체배회로, 11은 위상 동기회로, 12는 위상 동기회로11을 구성하는 디지털 지연라인, 13은 디지털 카운터, 그리고 14는 컴패레이터이다.
다음에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주파수 체배회로10으로부터 출력되는 체배클럭 출력신호(출력클럭)는 위상 동기회로11내의 디지털 지연라인12에 입력되어 디지털 지연라인12으로부터 외부에 PLL 출력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컴패레이터14는 이 PLL 출력신호의 위상과 입력 클럭와의 위상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디지털 지연라인12에 피드백 하여 입력 클럭과 PLL 출력신호와의 사이의 지연을 조정하여 양자의 위상을 일치시키고 있다.
그러나 도 10에 나타내는 종래의 클럭 생성회로15의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지연라인12의 지연시간이 입력 클럭의 주기보다 길게 되면, 주파수 체배회로10내의 컴패레이터3, 또는 위상 동기회로11내의 컴패래이터14에서의 비교 결과에 의해 실시되는 주기 또는 위상의 보정이 PLL 출력신호에 반영될 때까지 많은 시간이 걸려, 이 때문에, 전압 값, 온도 값 등에 의한 PLL 출력신호의 어긋나는 것에 대한 보정 능력이 나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클럭 생성회로15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의 타이밍 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동기회로11내의 디지털 지연라인12에서의 지연시간이 입력 클럭의 2배의 지연시간으로 록 하는 경우 타이밍 T4로 주파수 체배회로10내의 컴패레이터3으로부터 출력된 비교결과가 PLL 출력신호로서 위상 동기회로11로부터 출력되는 것은 타이밍 T4으로부터 카운트하여 입력 클럭의 2주기후 가된다. 이 경우, 보정능력은 저할 뿐만 아니라 타이밍 T5 에서의 부정확한 PLL 출력신호에 의해 부정확한 지연보정 연산처리가 행하여져 정확하게 록 할 수 없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도 12는 종래의 디지털 지연라인12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면에서, 17은 디지털 지연라인12를 구성하는 복수의 지연소자, 18은 복수의 지연소자의 중에서 한 개를 선택하는 셀렉터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문헌1과 문헌2「Multifrequency Zero-Jitter Delay-Locked Loop(Avener Efendovich 외 3명: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l.29, N0.1, JAN.1994)」에 개시한 종래의 디지털 지연라인12에서는, 셀렉터18이 지연소자17내의 한 개를 선택하여 지연시간을 조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지연라인의 구성에서는 디지털 지연라인의 지연이 짧은 경우에 있어서도, 모든 지연소자17을 스위치할 필요가 있어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도 13은 종래의 다른 디지털 지연라인을 나타내는 구성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디지털지연 라인의 구성에서는 소비전력을 억제하기 때문에 입력 혼잡 위치를 제어신호a,b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각 지연소자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원하는 지연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의 다른 디지털 지연라인의 구성에서는 클럭 생성회로의 동작중에 카운터값이 변화할경우, 예를 들면, 도 13내의 노드 a에서 노드 b로 입력 위치가 쉬프트했을 경우, 도 14에 나타내는 디지털 지연라인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내에 나타내는 타이밍 T8 에서의 출력a에 부정(不定)한 전위가 가해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상기한바와 같이, 종래의 클럭 생성회로에서는 디지털 지연라인을 사용한 디지털 PLL에서, 디지털 지연라인의 초기 상태에서는, 주파수 체배회로10의 출력신호인 체배 클럭출력신호가 정확하게 출력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위상 동기회로11내의 디지털 지연라인12의 초기 상태에 의해서는 주파수 체배회로10 또는 위상 동기회로11내의 컴패레이터3 및 14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계산된 디지털 지연라인의 지연시간의 변화가 PLL 출력 신호에 반영되기 이전에, 다음 위상 비교를 실행하여, 온도와 전압의 변동에 대한 보정 능력이 저하하여, 위상 록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디지털 지연라인 내의 모든 소자를 스위칭 하면, 쓸데없는 전력을 소비하여 또는 이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방지하기 때문에, 디지털 지연라인의 입력 혼잡 위치를 제어하여 지연시간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하면 동작 중에 카운터값이 변화하는 경우에 디지털 지연라인의 출력에 해저드(hazard)가 가하여져 정확히 위상 록 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클럭 생성회로에서 저 전압이라도 용이하게 제어 가능한, 노이즈에 대한 영향이 적고 록 시간도 짧게 입력 클럭의 공급이 정지했을 경우라도 필요한 클럭을 생성 가능한 디지털 PLL을 정확히 동작시키고, 또 지터(jitter)와 정밀도 등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클럭 생성회로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기재의 발명에 관한 클럭 생성회로는 체배회로가 입력된 클럭신호(이하, 입력 클럭이라함)의 소정 체배수의 클럭신호를 출력하여(이하, 체배회로에서 출력된 클럭신호를 출력클럭이라함), 리셋신호가 입력되든지, 또는 입력 클럭의 1주기의 사이에 상기 출력클럭의 펄스수가 소정 체배수 미만의 경우에, 체배회로의 동작을 초기화하여 저 전압 하에서도 확실히 원하는 체배수의 출력클럭을 록 하고, 또 카운터의 초기 상태가 어떠한 값 일지라도 원하는 체배수의 출력클럭을 고 정밀도로 또한 확실히 얻을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2기재의 발명에 관한 클럭 생성회로는 체배회로가 출력클럭의 주기 또는 위상을 단계적으로 지연하는 제 1의 지연회로 및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1의 카운터를 구비하며, 클럭 생성회로의 동작 개시 때 또는 리셋신호가 입력될 때에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최소 값이 되도록 제 1의 카운터내의 카운터값을 설정하여 원하는 체배수의 출력클럭을 고 정밀도로 또한 확실히 구하는것이다.
청구항3기재의 발명에 관한 클럭 생성회로는 체배회로가 입력된 클럭신호의 소정 체배수의 클럭신호를 출력하여 (이하, 출력클럭이라함), 출력클럭의 주기 또는 위상을 단계적으로 지연하는 제 1의 지연회로및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1의 카운터를 가지며 위상 동기회로가 체배회로내의 제 1의 지연회로에서 출력된 출력클럭을 입력하여, 출력 클럭을 소정 시간지연시키는 제 2의 지연회로 및 제 2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2의 카운터를 가진다. 체배회로는 초기값이 제 1의 값이며 제 1의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일정 시간 이내로 변화하지않은 경우에 제 2의 값이 설정되는 제 3의 카운터(1비트의 플립플롭)을 또한 가진다. 제 3의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제 1의 값으로부터 제 2의 값으로 변화할 때, 제 2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같거나 또는 약간 긴 지연시간이 되도록 제 2의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설정하여 체배회로가 록 한 후에 위상 동기회로에서의 초기 상태를 체배회로의 1주기분인가 그것보다 약간 크게하여 록 의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다.
청구항4기재의 발명에 관한 클럭 생성회로는 제 1의 지연회로 및 제 2의 지연회로의 각각이 서로 직렬로 접속된 여러 개의 지연소자로부터 구성되어, 제 1의 지연회로 또는 제 2의 지연회로에 대응한 제 1의 카운터 또는 제 2의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터 값의 값에 따라서 복수의 지연소자중 어느 지연소자가 선택되어, 선택된 지연소자및 이에 인접하는 지연소자에 의해 지연시간이 설정되어 제어된 오동작을 방지하고 또 이 지연회로를 사용한 클럭 생성회로와 DLL(Dleay Locked Loop)의 소비전력을 감소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의한 클럭 생성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클럭 생성회로 내의 PLL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PLL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지연미조정회로(遲延微調整回路)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면.
도 5는 체배부 내의 카운터의 하위3비트 값, 각 제어신호 및 지연미조정회로에서 출력되는 4체배출력의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 6은 위상 동기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7은 디지털 지연라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면.
도 8은 종래의 주파수 체배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주파수 체배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0은 디지털 지연라인을 사용한 위상 동기회로와 디지털 지연라인을 사용한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주파수 체배회로를 조합한 종래의 클럭 생성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종래의 클럭 생성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2는 종래의 디지털 지연라인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종래의 다른 디지털 지연라인을 나타내는 구성도면.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의 디지털 지연라인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클럭 생성회로 40 : 체배부(체배회로)
41 : 위상 동기부(위상 동기회로) 52 : 카운터(제 1의 카운터)
56 : 디지털 지연라인(제 1의 지연회로)
59 : 지연미조정회로(제 1의 지연회로)
60 : 록 검출회로(제 3의 카운터) 65 : 카운터(제 2의 카운터)
69, 71 : 디지털 지연라인(제 2의 지연회로)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의한 클럭 생성회로2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면에서, 21은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이라 함), 22는 2상 클럭 생성회로, 23, 24 및 37은 인버터, 27은 게이트 제어의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클럭 드라이버, 34, 35, 36은 이 실시의 형태1의 클럭 생성회로20으로 생성된 클럭신호를 공급되는 외부회로이다. 클럭 생성회로20은, PLL21, 2상 클럭 생성회로22, 인버터23, 24및 클럭 드라이버27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의 클럭 생성회로20내의 PLL21은, 입력된 클럭신호(이하, 입력 클럭이라 함)의 4체배의 클럭신호로서의 PLL 출력신호(이하, PLL 출력이라 함)를 출력한다. 이 PLL 출력신호는 2상 클럭 생성회로22로 2상 논오버랩신호PlG, P2G가 된다. 이 2상 논오버랩신호PlG, P2G는 각 블록의 클럭 드라이버27을 통해 외부회로34,35,36에 공급된다. 클럭 드라이버27의 출력신호PlC, P2C는 외부회로34로 출력되고 클럭 드라이버27의 출력신호PlB, P2B는 외부회로35에 출력되어, 그리고 클럭 드라이버27의 출력신호PlA, P2A는 외부회로36에 출력된다.
예를 들면, 외부회로34의 출력상태가 변화하지 않을 경우(즉, 외부회로34가 동작하지 않고 있는 경우), 클럭 드라이버의 출력신호PlC, P2C는 항상 로우 레벨(L 레벨)에 고정되어, 외부회로34에 출력된다. 또한, 외부회로35의 출력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즉, 외부회로35가 동작 않고 있는 경우),클럭 드라이버의 출력신호PlB, P2B는 항상 로우 레벨(L 레벨)에 고정되어, 외부회로35에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외부회로36의 출력 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즉, 외부회로36이 동작하지 않고 있는 경우),클럭 드라이버의 출력신호PlA, P2A는 항상 로우 레벨(L 레벨)에 고정되어 외부회로36에 출력된다. PLL21은, 클럭입력과 인버터37의 출력인 제어신호PlP와의 위상이 일치하도록, 그 출력(이하, PLL 출력이라함)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클럭 생성회로20내의 PLL2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PLL21은 체배회로40(이하, 체배부40이라 함)및 위상 동기회로41(이하, 위상 동기부41이라 함)의 2개의 부분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하, PLL21을 구성하는 체배부40 및 위상 동기부41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체배부40은, 입력 클럭의 4체배 클럭을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의 형태1에서는, 체배부40은 4체배 클럭을 생성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일없이, 예를 들면, 2체배클럭, 6체배클럭, 8체배클럭 등, 소정의 체배 클럭을 생성하는 PLL이라도 된다.
다음에 체배부4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PLL21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체배부40에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루프는 링 오실레이터100을 표시하고 있다. 체배부40은 이 굵은 선으로 표시된 링 오실레이터100으로 생성된 4체배 클럭을 위상 동기부41에 출력한다. 단지, 이 링 오실레이터100은 제어신호DL-ACT가 니게이트되고 있는 동안은 강제적으로 L 레벨로 설정되어 제어 신호DL-START가 어서트되고 있는 동안은 강제적으로 H 레벨로 설정된다.
도 3의 타이밍 차트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제어신호DL-ACT는 입력 클럭의 상승 엣지로 어서트(assert)되어 (예를 들면, 타이밍 Tl0), 4체배출력의 4펄스 째의 하강 엣지로 니게이트(negate)된다(예를 들면, 타이밍T11).
디지털 지연라인(제 1의 지연회로)56은, 96개의 지연소자(예를 들면, 셀렉터)가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고 지연 시간을 96단계로 조정가능하다. 예를 들면, 10비트의 카운터52(제 1의 카운터)의 상위 7비트로, 디지털 지연라인56의 지연시간을 제어한다. 제어신호PLL 리셋이 어서트(assert)될 때의 카운터52의 초기값은 1이고, 이것은 디지털 지연라인56의 지연시간을 최소값로 제어한다. 카운터52는 입력 클럭의 2주기 마다 1개 카운트업 된다.
입력 클럭의 상승 엣지와 타이밍 T12의 다음 입력 클럭의 상승의 타이밍이 일치한 시점에서 카운터52의 카운트 업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카운터52는 디지털 지연라인56의 지연 시간을 최소 값으로부터 서서히 크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잘 못하여 3체배와 2체배로 록 하는 일없이, 종래 예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주기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어서트되어 계속하여, 정확한 체배 출력신호가 출력할 수 없다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클럭의 상승 시에 제어신호DL-ACT가 어서트되어 계속할 경우, 입력 클럭의 1주기의 사이에 4체배 출력이 4펄스 나와 있지 않으면 체배회로40은 판단하여, 제어신호 PLL-리셋를 어서트하여, 카운터52를 리셋시킨다. 이에 따라, 전원투입 직후 등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PLL21의 동작이 불안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확실히 PLL21의 동작을 리셋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PLL-리셋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리셋신호에 의해서도, 어서트 가능하다. 이 외부 리셋신호는 칩외부의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리셋입력이든지, 전원 투입 시에 어서트되는 파워 온 리셋신호 등으로부터 생성된다.
도 4는 지연미조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면이고, 도면에서 59는 지연미조정회로(제 1의 지연회로), 75 및 76은 지연소자이다.
다음에, 지연미조정회로59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지연미조정회로59는, DL-CNT 생성회로5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DL-CNT이 H 레벨인 때, 지연소자75의 1단분(1段分)의 지연을 추가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지연 라인56에서의 지연시간의 미조정을 한다. DL-CNT 생성회로5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DL-CNT를 입력 클럭의 사이클 도중에서 전환하는 것으로, 동일 입력 클럭 사이클 내에서 4체배 출력의 일부의 펄스 폭을 지연소자 1단분 확대할 수 있다.
DL-CNT 생성회로57은 10비트의 카운터52의 하위3비트 값과 펄스카운터400의 출력C1∼C7의 값에 따라서 제어신호DL-CNT을 생성한다.
도 5는 체배부40내의 카운터52의 하위3비트 값, 각종의 제어신호DL-CNT, C1∼C8, DL-ACT 및 지연미조정회로59에서 출력되는 4체배 출력의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5의 타이밍 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비트의 카운터52의 하위3비트 값이 0 일 때는 지연미조정회로59로부터 출력되는 4체배출력의 모든 펄스가 동일 펄스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카운터52의 하위3비트값이, 예를 들면 1로부터 7로 증가함에 따라서, 지연미조정회로59내의 지연소자1단의 지연시간 폭을 가지는 펄스가, 지연미조정회로59로부터 4체배 출력으로서 출력된다.
카운터52의 카운터 값이 입력 클럭수로 카운트하여 20사이클 이상 정지할 경우, 록 검출회로(제 3의 카운터)60은 록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 록 검출신호가 어서트 될 경우라도, 주위의 온도, 전압, 그 밖의 요인에 의해 입력 클럭의 상승 엣지와 제어신호DL-OUT의 하강 엣지의 위상이 어긋났을 경우는 그 어긋남에 따라서 카운터52의 카운터 값을 1개마다 증가/감소시켜 위상의 어긋남을 해소한다. 단지, 일단, 록 검출신호가 어서트되면, 제어신호PLL-reset가 카운터52에 입력되지 않은 한 록 검출 신호는 니게이트(negate)되지 않는다.
다음에, PLL21 내의 위상 동기부4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위상 동기부41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위상 동기부41 내에서는 체배부40으로부터 출력된 4체배출력을, 위상 동기부41 내에 삽입된 2개의 디지털 지연라인(제 2의 지연회로)69 및 71로 소정 시간 지연시켜 입력 클럭의 위상과 제어신호PlP의 위상을 일치시키는 동작을 한다. 위상 동기부41은 리셋 직후는 동작하지 않고, 체배부40 내의 록 검출회로60으로부터 록 검출신호가 어서트 되면 그 동작을 개시한다.
위상 동기부41 내의 카운터65(제 2의 카운터)는, 상위 5비트 값으로 디지털 지연라인69를, 하위 3비트값으로 디지털 지연라인71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지털 지연라인71은 체배부40 내의 디지털 지연라인56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연소자를 8개 직렬로 접속한 구성을 가진다. 디지털 지연라인69는, 디지털 지연라인71내의 각 지연소자의 약6∼8배(이 범위는 온도, 전압, 프로세스 변동 등에 따라서 변동함)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지연소자가 32개 직렬로 접속된 구성을 가진다.
위상 동기부41로서는 디지털 지연라인69가 입력 클럭의 위상과 제어신호PlP의 위상을 대략적으로 합쳐, 다음에, 디지털 지연라인71이 양자의 위상을 상세하게 조정한다.
카운터65의 초기 값으로서, 록 검출회로60에서 출력된 록 검출신호가 어서트 될 때의 체배부40 내의 카운터52의 카운터 값이 세트된다. 입력 클럭의 상승 엣지와 제어신호PlP의 상승 엣지의 위상차에 의해, 카운터65의 카운터값을 한 개 증 가감소 시켜, 양자의 위상이 일치했을때, 카운터65의 카운트 동작은 정지한다. 단지, 일단, 카운트동작이 정지한 경우라도 온도, 전압, 그 밖의 영향으로 입력 클럭의 위상과 제어신호PlP의 위상이 어긋난 경우는, 어긋남의 크기에 따라서 카운터65의 카운터값을 1개씩 증가 감소시켜, 양자의 위상을 일치시킨다.
체배부40 내의 카운터52의 카운터 값을 초기값으로서 설정하는 의미는 위상 동기부41의 동작이 개시됐을 때, 위상을 빨리하는 (카운터값을 감산함)경우와, 위상을 느리게 하는 (카운터값을 가산함)경우의, 어느쪽의 방향에 동작 시켜도 확실히 동기하는 엣지를 얻기 때문에 미리 반주기분(半周期分)의 지연시간을 갖게 한 것이든지, 위상동기부41이 록 한 경우의 디지털 지연라인69의 지연시간을 입력 클럭의 1주기 이내에 설정시켜, 확실히 록을 행하여 높은 록 성능을 얻기 때문 이다. 가령, 위상 동기부41의 디지털 지연라인69의 지연시간이 2주기 이상으로 록 하고져 하면 체배부40 내의 카운터52 또는 위상 동기부41내의 카운터65의 값의 변화가 제어신호PlP에 실리기 전에 다음 위상 비교를 실행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록 동작이 곤란하게 되어 록 성능이 저하하게 된다.
다음에, 체배부40 내와 위상 동기부41 내에 조합되어 있는 디지털 지연라인56,69,7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디지털 지연라인56,69,71의 각각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면에서, 각 지연소자n(n=0,………y, y-1,………,1n-1, n)은, 직렬로 접속된 2개의 PMOSTr 및 직렬로 접속된 2개의 NMOSTr가 또 직렬로 접속되어 얻어지는 회로를 2조 병렬로 나란히 세운 구성을 한다. PMOSTr의 조와 NMOSTr의 조와의 직렬 접속점에 이어지는 각 PMOSTr 및 NMOSTr의 게이트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각 지연소자에는 입력으로서 입력펄스를 입력하는 입력노드가 있다. 체배부40 내의 디지털 지연라인56은 이 지연소자를 96개(즉, n=95)직접 접속한 구성을 가지며 위상 동기부41 내의 디지털 지연라인71은 지연소자를 8개(n=7)직렬로 접속한 구성을, 또 디지털 지연라인69은 지연소자를 32개(n=31)직렬로 접속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디지털 지연라인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카운터52,65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터 값에 의해, 각 디지털 지연라인56,69,71내의 소정의 지연소자가 제어신호WL(n)에 의해 선택되며, 선택된 지연소자의 입력노드 n(n=0,………y, y+1, ···, n -1, n )로부터 제어신호로서의 입력펄스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입력펄스의 입력위치를 바꾸는 것에 의해, 디지털 지연라인56,69,71의 지연시간을 조정한다. 입력 위치를 바꾸는 방식은 출력위치를 바꾸어서 디지털 지연라인의 지연시간을 변화시키는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면, 특히 고주파를 사용하는 경우에 스위칭 하는 트랜지스터 수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운터52,65의 각 카운터 값이 y의 경우, 제어신호WL(y)가 입력되는 지연소자y의 입력노드 y를 통해 입력펄스가 지연소자y 내에 입력되지만, 이 경우, 2개의 제어신호, 즉 제어신호WL(y) 및 제어신호WL(y+1)가 어서트되기 때문에, 지연소자y와 지연소자y+1과의 2개소로부터 입력펄스가 입력되기 때문에, 종래 예로 설명한 도 14의 타이밍 차트 내의 타이밍 T7로부터 타이밍 T8 사이에 나타내는 출력 a에 부정한 전위가 실리는 상태를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1에 의하면 디지털 지연라인의 지연시간을 카운터로 설정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리셋신호 또는 입력 클럭의 1주기 사이에 체배회로에서 출력되는 체배출력의 펄스수가 원하는 체배수 미만인 경우, 디지털 지연라인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카운터의 카운터 값을 리셋하여 리셋 직후의 디지털 지연라인의 지연시간이 최소값이되는 카운터값에 설정하고 그 후, 서서히 디지털 지연라인의 지연시간을 증가하기 때문에 저 전압하일지라도 제어가 용이하고 확실히 원하는 체배수로 출력클럭을 록 할 수 있게 되고, 또 카운터의 초기 상태가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확실히 정확한 체배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또, 디지털 지연라인은 카운터로 지정된 지연소자와 인접하는 지연소자의 2개소로부터 입력펄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소비전력을 감소하는 동시에 온도와 전압 등의 변동에 대한 보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체배회로는 입력된 클럭신호(입력 클럭)의 소정 체배수의 클럭신호를 출력하여 (출력클럭),리셋신호가 입력되는냐, 또는 입력 클럭의 1주기 사이에 상기 출력클럭의 펄스수가 소정 체배수 미만의 경우에 체배회로의 동작을 초기화 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저 전압하에서도 확실히 원하는 체배수의 출력클럭을 록 할 수 있으며, 또 카운터의 초기 상태가 어떠한 값이라도, 원하는 체배수의 출력클럭을 고 정밀도로 더 확실히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체배회로가 출력클럭의 주기 또는 위상을 단계적으로 지연하는 제 1의 지연회로 및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1의 카운터를 구비하며, 클럭 생성회로의 동작 개시할 때에 또는 리셋신호가 입력 됐을 때에,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최소 값이 되도록 제 1의 카운터 내의 카운터 값을 설정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원하는 체배수의 출력클럭을 고 정밀도로 더 확실히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체배회로가 입력된 클럭신호의 소정 체배수의 클럭신호를 출력하여 (이하, 출력클럭이라 함)출력 클럭의 주기 또는 위상을 단계적으로 지연하는 제 1의 지연회로 및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1의 카운터를 가지며 위상 동기회로가 체배회로 내의 제 1의 지연회로에서 출력된 출력클럭을 입력하여, 출력클럭을 소정 시간지연시키는 제 2의 지연회로 및 제 2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2의 카운터를 가지며, 체배회로는 초기 값이 제 1의 값이고 제 1의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일정 시간 이내로 변화하지않은 경우에 제 2의 값이 설정되는 제 3의 카운터(1비트의 플립플롭)을 더 가지며, 제 3의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제 1의 값으로부터 제 2의 값으로 변화했을 때, 제 2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과 같거나 또는 약간 긴 지연시간이 되도록 제 2의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설정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체배회로가 록 한 후에 위상 동기 회로에서의 초기 상태를 체배회로의 1주기분인가 그것보다도 약간 크게하여 록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1의 지연회로 및 제 2의 지연회로에서 구성되어 제 1의 지연회로 및 제 2의 지연회로의 각각은 서로 직렬로 접속된 여러 개의 지연소자로 구성되어 제 1의 지연회로 또는 제 2의 지연회로에 대응한 제 1의 카운터 또는 제 2의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카운터 값의 값에 따라서 복수의 지연소자중 어느 지연소자가 선택되어 선택된 지연소자 및 이에 인접하는 지연소자에 의해 지연시간이 설정되어 제어 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이것을 조합한 클럭 생성회로와 DLL(Delay Locked Loop)의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입력된 클럭신호(이하, 입력 클럭이라함)의 소정 체배수의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체배회로(이하, 체배회로에서 출력된 클럭신호를 출력클럭이라 함)를 가지며 외부에서 리셋신호가 입력되든지, 또는 상기 입력 클럭의 1주기 사이에 상기 출력클럭의 펄스수가 상기 소정 체배수 미만의 경우에 상기 체배회로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생성회로.
  2. 입력된 클럭신호(이하, 입력 클럭이라 함)의 소정 체배수의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체배회로(이하, 체배회로에서 출력된 클럭신호를 출력클럭이라 함)를 가지며, 상기 체배회로는, 상기 출력클럭의 주기 또는 위상을 단계적으로 지연하는 제 1의 지연회로 및 상기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1의 카운터를 구비하고, 클럭 생성회로의 동작 개시할 또는 외부에서 리셋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l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최소 값이 되도록 상기 제 1의 카운터내의 카운터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생성회로.
  3. 입력된 클럭신호(이하, 입력 클럭이라 함)의 소정 체배수의 클럭신호를 출력하고(이하, 출력된 소정 체배수의 클럭신호를 출력클럭이라 함), 상기 출력클럭의 주기 또는 위상을 단계적으로 지연하는 제 1의 지연회로 및 상기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1의 카운터를 가지는 체배회로와,
    상기 체배회로 내의 제 1의 지연회로에서 출력된 상기 출력클럭을 입력하며, 상기 출력클럭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 2의 지연회로 및 상기 제 2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 2의 카운터를 가지는 위상 동기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체배회로는 초기 값이 제 1의 값이며 제 1의 카운터의 카운터 값이 일정시간 이내에서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 제 2의 값이 설정되는 제 3의 카운터를 더 가지며, 상기 제 3의 카운터의 카운터 값이 상기 제 1의 값으로부터 상기 제 2의 값으로 변화했을 때, 상기 제 2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상기 제 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과 같거나 혹은 약간 긴 지연시간이 되도록 상기 제 2의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생성회로.
  4. 제 1의 지연회로 및 제 2의 지연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1의 지연회로 및 상기 제 2의 지연회로의 각각은, 서로 직렬로 접속된 복수개의 지연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의 지연회로 또는 상기 제 2의 지연회로에 대응한, 제 1의 플립플롭 또는 제 2의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터 값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지연소자중 어느 지연소자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지연소자 및 이에 인접하는 1개의 지연소자에 의해 지연 시간이 설정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생성회로.
KR1019970050806A 1997-05-23 1997-10-01 클럭 생성회로 KR100262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4188 1997-05-23
JP13418897 199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387A true KR19980086387A (ko) 1998-12-05
KR100262722B1 KR100262722B1 (ko) 2000-08-01

Family

ID=1512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806A KR100262722B1 (ko) 1997-05-23 1997-10-01 클럭 생성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00755B2 (ko)
KR (1) KR100262722B1 (ko)
CN (1) CN1144116C (ko)
TW (1) TW3599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0380B2 (ja) * 2005-08-09 2010-08-04 株式会社リコー クロック生成回路
KR100911190B1 (ko) 2007-06-11 2009-08-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클럭 드라이버 회로
CN102073033B (zh) * 2009-11-25 2013-03-20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可动态校准的高精度步进延迟产生方法
CN102109875B (zh) * 2009-12-28 2015-05-20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具有脉冲信号产生功能的信号发生器和脉冲信号产生方法
TWI520495B (zh) 2013-06-06 2016-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非石英時脈產生器及其運作方法
US10056899B1 (en) * 2017-06-21 2018-08-21 Silicon Laboratories Inc. Signal gating circuit for use in digital circuits and method therefor
US10516383B1 (en) 2018-08-24 2019-12-24 Groq,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rocessor circuit
CN111865300B (zh) * 2020-07-08 2022-05-17 福州大学 应用于双环路延迟锁相环的可编程数字控制延迟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7770A (ja) * 1985-10-01 1987-04-09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ビデオ信号のサンプリングクロツク発生回路
JPH05199498A (ja) * 1992-01-21 1993-08-06 Sony Corp クロツク発生回路
JPH08274600A (ja) *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Cmos型可変遅延回路
JP3561792B2 (ja) * 1995-09-06 2004-09-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クロック発生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2722B1 (ko) 2000-08-01
JP4700755B2 (ja) 2011-06-15
JP2010233226A (ja) 2010-10-14
CN1144116C (zh) 2004-03-31
TW359936B (en) 1999-06-01
CN1200504A (zh) 1998-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0755B2 (ja) クロック生成回路
EP0711472B1 (en) Clock phase shifting method and apparatus
US8471614B2 (en) Digital phase locked loop system and method
KR100303804B1 (ko) 클럭지연회로와이를이용한발진회로및위상동기회로
US5506878A (en) Programmable clock having programmable delay and duty cycle based on a user-supplied reference clock
US6366150B1 (en) Digital delay line
US62401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frequency modes in a phase locked loop system
KR100251263B1 (ko) 주파수 체배 회로
JP2001007698A (ja) データpll回路
US81252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low and high frequency reference clock to PLL and minimizing PLL output frequency changes
US6049238A (en) Clock generator and clock generating method capable of varying clock frequency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delay elements
US7323942B2 (en) Dual loop PLL, and multiplication clock generator using dual loop PLL
US60140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 rotation in a phase locked loop
US6859106B2 (en) PLL circuit and phase difference detecting circuit that can reduce phase pull-in time and adjust a skew at a higher precision
US5945856A (en) Digital phase locked circuit with shortened lock time
EP0757445A2 (en) Phase-locked loop frequency synthesizer
US6445232B1 (en) Digital clock multiplier and divider with output waveform shaping
US6967536B2 (en) Phase-locked loop circuit reducing steady state phase error
KR20010014543A (ko) 위상 동기 루프 회로
JP4463298B2 (ja) クロック生成回路
KR950001441B1 (ko) 자동 주파수 제어회로
KR20000044595A (ko) 레지스터 제어 디지털 디디엘에 있어서의 언록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언록 보상회로를 갖는 디디엘 클럭 발생기
US7453301B1 (en) Method of and circuit for phase shifting a clock signal
US7498887B1 (en) High frequency digital oscillator-on-demand with synchronization
JP4033962B2 (ja) クロック生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