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379A -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379A
KR19980086379A KR1019970047903A KR19970047903A KR19980086379A KR 19980086379 A KR19980086379 A KR 19980086379A KR 1019970047903 A KR1019970047903 A KR 1019970047903A KR 19970047903 A KR19970047903 A KR 19970047903A KR 19980086379 A KR19980086379 A KR 1998008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locking
movable side
hold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요시 신까이
Original Assignee
다끼자와 이찌로
닛뽕 안떼나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끼자와 이찌로, 닛뽕 안떼나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끼자와 이찌로
Publication of KR1998008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37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의 휴대전화기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휴대전화기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훅 형상의 지지부(20)는 홀더 받침뚜껑(60)의 아래에서 나사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휴대전화기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가동측판(A30, B40)도 마찬가지로 나사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또, 버튼(50)을 밀어넣듯이 조작하면, 가동측판(A30)이 바깥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휴대전화기를 홀더본체(10)에 용이하게 설치하고 떼어낼 수 있다. 이 가동측판(A30)을 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로크상태로 되어 휴대전화기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휴대전화기를 자동차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휴대전화기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를 자동차 내에서 고정하도록 한 휴대전화기의 홀더가 종래부터 여러 가지 제안되어져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3004357 호, 동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3017540호, 동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3020187 호 참조).
이들 휴대전화기 홀더는, 전용 홀더로 불리는 특정의 휴대전화기에만 사용할 수 있는 홀더와, 범용 홀더로 불리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전화기용의 홀더가 있다.
전용홀더는 당해 휴대전화기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지만, 휴대전화기를 교체하면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홀더도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범용홀더는 휴대전화기를 바꿔도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홀더를 교환할 필요는 없지만, 휴대전화기의 양사이드를 일정하게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휴대전화기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상태로 된 휴대전화기를 원터치로 고정을 해제하여 휴대전화기를 취출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의 외관을 나타낸 좌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의 외관을 외관을 나타낸 우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 있어, 휴대전화기의 크기에 따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 휴대전화기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 휴대전화기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의 케이블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서의 가동측판과 홀더본체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서의 가동측판 (A) 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서의 걸림대와 버튼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서의 걸림부와 걸림대의 접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서의 가동측판과 걸림대 및 버튼의 접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서의 고정상태와 해방상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10 : 홀더본체
11 : 음량조정 볼륨 12 : 스피커 구멍
13 : 전원표시램프 14 : 규제편
15-1, 15-2 : 조정구멍 16-1, 16-2 : 위뚜껑 취부받침
17-1, 17-2 : 가이드 끼워맞춤용 오목부
20 : 지지부 30 : 가동측판 A
31 : 버튼 받침용 오목부 32 : 슬라이드부
33 : 제 3 스프링 34 : 스프링 수납홈
35 : 스프링 수납구멍 36 : 축받침홈
37 : 걸림부 수납홈 40 : 가동측판 B
41 : 완충재 42 : 슬라이드 가이드부
43 : 위뚜껑 44 : 고정나사
50 : 버튼 51 : 제 2 스프링
52 : 신장부 53 : 나사구멍
54 : 제 2 테이퍼부 55 : 선단부
60 : 홀더받침뚜껑 61 : 지지부 고정나사
62 : 조정구멍 63 : 드라이버
64, 65 : 조정구멍 66-1, 66-2 : 측판고정나사
71, 72, 73 : 잭 (jack) 80 : 걸림대
81 : 고정너트 82 : 스프링 규제편
83 : 로크부 A 84 : 로크부 B
85 : 미끄럼운동 편 86 : 절결홈
87 : 관통홈 88 : 나사
90 : 걸림편 91 : 추받침부
92 : 걸림부 93 : 제 1 스프링
94-1, 94-2 : 걸어맞춤부 95 : 제 1 테이퍼부
100 : 휴대전화기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는, 휴대전화기가 얹어 놓여지는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의 양측부에 형성된 휴대전화기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1쌍의 가동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쌍의 가동판의 상호 간격을 휴대전화기의 폭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가동측판과, 상기 가동측판에서의 휴대전화기의 고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홀더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규제부의 사이에서 휴대전화기를 지지하는 상기 홀더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와, 상기 가동측판에서의 상기 1쌍의 가동판에 의해 휴대전화기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상태를 해방상태로 되도록 해제제어하는 로크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상기 1쌍의 가동판에서의 한 쪽의 가동판(A)의 하면에서 걸림부가 돌출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진 걸림편과, 휴대전화기의 폭에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홀더본체에 고정부착된 걸림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걸림대의 상면은 상기 가동판(A)의 하면이 슬라이딩하는 면이 되고, 상기 상면에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제 1 로크부와 제 2 로크부가 상기 걸림대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격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전화기를 고정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크부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 상기 걸림대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상기 록 해제 수단에 의해 해제제어되었을 때, 상기 제 1 로크부로 부터 상기 걸림부가 해제되고 상기 제 2 로크수단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 상기의 해방상태로 되도록, 상기 가동판(A)이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서, 상기 제 1 로크부보다 제 2 로크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로크해제수단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었을 때, 상기 로크해제수단에 형성된 테이퍼부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눌려 제 1 로크부에 걸린 상기 걸림부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가 휴대전화기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측판과, 휴대전화기의 길이방향의 측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기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좌우 및 상하방향에서 휴대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휴대전화기를 고정할 수 있다.
또, 로크해제수단을 조작하면 가동측판이 고정상태로 부터 해제되어 해방상태로 되기 때문에, 원터치로 휴대전화기를 홀더로 부터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 1 및 도 2 에,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 의해 휴대전화기를 고정할 때의 크기조정 방법을 도 3 에,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에 휴대전화기를 부착하는 방법을 도 4 및 도 5 에,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의 케이블 접속방법을 도 6에 나타냈고, 이들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의 개요를 아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본체(10)와, 홀더본체(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홀더본체(10)상에 휴대전화기가 놓여진 때, 그 머리부를 지지하는 훅형상의 지지부(20)와 홀더본체(10)상에 휴대전화기가 놓여진 때에, 그 양측부를 고정하는 1쌍의 가동측판(A30, B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동측판(A30, B40)은 홀더본체(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가동측판(A30)은 버튼(50)을 조작했을 때에, 바깥방향으로 이동하여 휴대전화기를 고정상태에서 해방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홀더본체(10)의 하면에는 홀더 받침뚜껑(60)이 부착되어 있으며, 홀더본체(10)내에는, 예를 들면, 저주파 앰프나 스피커로 이루어진 한즈프리유니트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홀더본체(10)의 상면에는 스피커로 부터의 소리를 방음(放音)하는 스피커 구멍(12)이나 전원표시램프(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 홀더본체(10)의 측면에는 스피커에서 방음되는 음량을 조정하는 음량조정볼륨(11)이 설치되어 음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홀더본체(10)상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2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받침뚜껑(60)의 하면에서 홀더본체(10)를 관통하여 지지부 고정나사(61)가 나사결합되므로써, 홀더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 고정나사(61)가 긴 구멍 형상의 조정구멍(62)에 결합되어 있어, 지지부 고정나사(61)를 드라이버(63)로 느슨하게 하면, 지지부(20)를 조정구멍(62)을 따라 슬라이드 할 수 있다. 이로써, 홀더본체(10)상에 놓여진 휴대전화기의 길이에 따라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정한 후는, 드라이버(63)로 지지부 고정나사(61)를 조여 지지부(20)를 홀더본체(10)에 고정한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판(A30)은 홀더 받침뚜껑(60)의 하면에서 관통된 측판고정나사(66-1)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긴 구멍 형상의 조정구멍(6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가동측판(B40)은 홀더 받침뚜껑(60)의 하면으로 부터 관통된 고정나사(66-2)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긴구멍 형상의 조정구멍(65)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측판(A, B)의 슬라이드 방향은 지지부(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홀더본체(10)상에 놓여진 휴대전화기의 폭에 따라, 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휴대전화기(100)의 설치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처음에 휴대전화기(100)를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에 부착할 때에는, 미리 지지부 고정나사(61), 측판 고정나사(66-1, 66-2)를 느슨하게 해 둔다. 그리고, 휴대전화기(100)의 머리부를 지지부(20)에 걸어 맞추면서 홀더본체(10)상에 휴대전화기(100)을 얹어 놓는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00)의 길이에 따라 지지부(20)를 슬라이드시켜, 지지부(20)에 휴대전화기(100)의 머리부가 닿도록 하여, 지지부 고정나사(61)를 조인다.
그리고, 가동측판(A30) 및 가동측판(B40)을 슬라이드시켜, 홀더 받침뚜껑(60)의 하면에서 측판고정나사(66-1, 66-2)를 조인다.
이로써, 휴대전화기(100)를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부착된 휴대전화기(100)를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에서 떼어낼 때에는, 버튼(50)을 밀도록 조작한다. 그러면, 후술하는 구성에 의해 가동측판(A30)이 외측으로 슬라이드되어, 휴대전화기(100)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 다시 휴대전화기(100)를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에 부착할 때에는, 미리 가동측판(A30)의 하부에 설치된 버튼(50)을 조작하여 가동측판(A30)을 외측으로 슬라이드시켜 둔다. 이 상태에서, 홀더본체(1) 상에 휴대전화기(100)를 얹어 놓아 가동측판(A30)을 누름으로써, 가동측판(A30)이 내측으로 슬라이드되어 로크된다. 이로써, 휴대전화기(100)의 양측부를 가동측판(A30, B40)으로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머리부는 지지부(20)에 고정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로의 케이블 접속방법을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데, 홀더본체(10)의 측면에는 전원 잭(71)이 취부되어 있고, 이 전원 잭(71)에 전원 케이블(130)의 선단에 설치된 플러그(132)를 접속함으로써, 시거 플러그(131) 및 전원 케이블(130)을 거쳐 자동차에서 전원을 받을 수 있다. 또, 마이크잭(72)에 플러그(122)를 접속함으로써, 자동차의 선바이저나 핸들의 기초부 등에 부착한 마이크(121)로 부터 신호를 마이크케이블(12)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플러그(73)에 플러그(111)를 접속함으로써, 휴대전화기(100)의 이어폰 단자(101)에서 출력되는 수화음을 입력할 수 있다. 이들 입력된 신호는 홀더본체(10)내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한즈프리유니트에 입력된다.
이로써, 휴대전화기(100)를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에 부착한 상태로 휴대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수화음은 홀더본체(10)에 설치된 한즈프리유니트로 앰프되어 스피커 구멍(12)에서 방음되고, 송화음은 마이크(121)로 흡수되어, 한즈프리유니트를 거쳐 휴대전화기(100)에 전달되도록 된다.
또한,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는 홀더본체(10)와 홀더 받침뚜껑(60)과의 경계에 벨트를 관통한 관통공이 2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 관통공에 벨트를 관통하여 벨트에 의해 자동차의 콘솔(console)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를 콘솔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다음에,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의 상세한 구성을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홀더본체(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동측판(A30,B40)의 상세한 구성을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본체(10)에는 휴대전화기(100)의 하단이 맞닿는 규제편(14)이 일체로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규제편(14)의 내측에 위뚜껑 취부받침(1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뚜껑 취부받침(16-1)과 대향하도록, 대략 가동측판(A30, B40)의 폭만큼 격리되어 위뚜껑 취부받침(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위뚜껑 취부받침(16-1, 16-2)에는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구멍에는 가동측판(A30)을 슬라이드 가이부(42)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위뚜껑(43)을 부착하는 4 개의 고정나사(44)가 설치된다. 또한, 1 쌍의 위뚜껑 취부받침(16-1, 16-2)에는 가이드부 끼워맞춤용 오목부(17-1, 17-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 받침뚜껑(60)에 형성된 조정구멍(65)으로 관통하고 있는 조정구멍(15-2)을 통하여, 상기의 측판고정나사(66-2)가 가동측판(B40)에 나사결합되므로써, 가동측판(B40)이 홀더본체(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홀더 받침뚜껑(60)에 형성된 조정구멍(64)에 연결되어 있는 조정구멍(15-1)을 통하여, 상기의 측판고정나사(66-1)가 걸림대(80)에 나사결합되므로써, 걸림대(80)가 홀더본체(10)의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이 걸림대(80)에는 가동측판(A30)을 로크하는 로크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상태에서는 가동측판(A30)이 걸림대(80)에 로크되어, 가동측판(A30)과 가동측판(B40)에 의해 휴대전화기(100)의 양측부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100)에 맞닿아 있는 가동측판(A30)과 가동측판(B40)의 부분에는 완충재(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버튼(50)을 조작함으로써, 가동측판(A30)이 걸림대(80)로 부터 해제되어 바깥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을 아래에 서술한다.
도 8에, 가동측판(A30)에 관한 구성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판(A30)의 고정면으로 부터 돌출되듯이, 위뚜껑(43)의 하면에 형성된 1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부(42-1, 42-2)내를 슬라이딩하는 평면형상의 슬라이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32)의 하면에는 걸림편(90)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운동축인 추받침부(91)를 수용하는 축받침 홈(36)과, 걸림편(9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부(92)가 수납되는 걸림부 수납홈(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 수납홈(37)내에는 걸림부(92)를 걸림부 수납홈(37)으로 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제 2 스프링(95)이 수납되는 스프링 수납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 3 스프링이 수납되는 스프링 수납홈(34)도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가동측판(B40)의 구성과, 걸림대(8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판(B40)의 고정면으로 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1 돌출편(43)과 제 2 돌출편(4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돌출편(43)의 상면에는 걸림대(80)로 부터 돌출 형성된 미끄럼 운동편(85)이 중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고, 제 2 돌출편(44)에는 고정너트(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너트(42)에는, 상기의 측판고정나사(66-2)가 나사결합되어, 홀더본체(10)의 소정위치에 가동측판(B40)이 고정된다.
또, 걸림대(40)의 상면에는 스프링 규제편(82)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고정너트(8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너트(81)에는, 전술한 측판고정나사(66-1)가 나사결합되어, 홀더본체(10)의 소정위치에 걸림대(80)가 고정된다. 또한, 후술하는 스프링 규제편(82)은, 상기 슬라이드부(32)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수납홈(34)내에 수용된다.
또한, 걸림대(80)의 상면에는 십자형상의 절결홈(8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홈(86)을 이용하여 로크부(A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부(A83)에는, 전술한 걸림부(9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92)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단, 로크부(A83)에 걸림부(9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는, 휴대전화기(100)가 가동측판(A30, B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 걸림대(80)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홈(86)과 버튼(5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신장부(52)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87)이, 걸림대(80)의 일단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87)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약간 높게 되어 있으며, 이 높이를 이용하여 로크부(B8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부(84)에는, 전술한 걸림편(9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92)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단, 로크부(B84)에 걸림부(9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는, 버튼(50)이 조작되어 가동판측(A3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휴대전화기(100)가 해방된 상태이다.
또, 버튼(50)으로 부터 신장된 신장부(52)의 주위에는 제 2 스프링(51)을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의 관통공(87)으로 관통된다. 그리고, 제 2 스프링(51)에 의해 가해져도 신장부(52)가 관통공(87)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나사(88)가 신장부(52)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53)에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버튼(50)은 항상 바깥을 향하여 힘이 가해지게 된다.
다음, 걸림편(90)과 걸림대(80)에 형성된 로크부(A83)와 로크부(B84)의 관계를 도 10에 나타냈다. 단, 도 10에서는 걸림편(90)이 걸림대(80)에 대하여 대략 90°회전하여 나타내져 있다. 걸림편(9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92)에는, 로크부(A83) 또는 로크부(B84)에 걸어 맞추는 1쌍의 걸어맞춤부(94-1, 94-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부(94-1, 94-2)의 사이에는 제 1 테이퍼부(93)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편(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추받침부(91)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걸림부(92)가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92)는 제 2 스프링(95)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걸림대(80)상에서 가동측판(A30)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부(32)를 중합하도록 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32)는 홀더본체(10)에 4개의 고정나사(44)로 고정된 슬라이드 가이드부(43)와, 홀더본체(10)에 측판고정나사(66-1)에 의해 고정된 걸림대(80)로 형성된 공간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이때, 걸림편(90)의 걸림부(92)가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써, 가동측판(A30)이 내측으로 슬라이드되어 걸림부(92)가 걸림대(80)에 형성된 절결홈(86)의 위치에 왔을 때에, 이 절결홈(86) 내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가동측판(A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수납구멍(34)내에 수납된 제 3 스프링에 의해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걸림부(92)의 1 쌍의 걸어맞춤부(94-1, 94-2)는 로크부(A83)에 걸어 맞춰지게 된다. 이 상태가 가동측판(A30)을 내측으로 슬라이드하여 휴대전화기(100)를 고정하도록 로크된 상태이다.
또, 휴대전화기(100)가 고정되어 로크된 상태에서, 가동측판(A30)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버튼(50)을 제 2 스프링(51)에 맞서 밀어넣는다. 그러면, 신장부(52)로 부터 선단부(55)에 걸쳐 형성된 제 2 테이퍼부(54)가, 걸림편(90)의 걸림부(92)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테이퍼부(93)에 맞닿게 되고, 걸림부(92)가 제 2 스프링(95)에 맞서 상승되어, 걸림부 수납홈(37)내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써, 걸림편(90)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94-1,94-2)와, 걸림대(80)에 형성된 로크부(A83)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가동측판(A30)이 후술하는 스프링 수납홈(34)내에 수납된 제 3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 때에, 걸림부(92)도 함께 걸림대(80)의 상면을 슬라이드하게 되는데, 걸림부(92)가 로크부(B84)의 위치에 다다르면, 걸어맞춤부(94-1,94-2)가 제 2 로크부(84)에 걸어 맞춰지게 되어, 가동측판(A30)은 그 이상 슬라이드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측판(A30)과 가동측판(B40)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휴대전화기(100)는 해방상태로 되어,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에서 자유롭게 취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 도 11과 도 12(A)(B)를 참조하여 가동측판(A30)의 고정상태와 해방상태를 추가 설명한다. 도 11은 가동측판(A30)과, 가동측판(B40) 및 걸림대(80)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A, B)는 슬라이드부(32)의 상면판의 아래의 위치로 부터 절단한 단면을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단, 도 11에 있어서의 가동측판(A30)은 대략 90°회전하여 나타내져 있다.
이들 도면에서, 걸림대(80)위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스프링 규제편(82)은 슬라이드부(32)의 하면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홈(34)내에 수납된 제 3 스프링(33)에 의해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스프링 수납홈(34) 내에 설치된다.
도 12(A)에 홀더본체(10) 상에 놓여진 휴대전화기(1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상태를 나타냈다. 상기 고정상태에서는, 가동측판(A30)이 내측으로 슬라이드되어,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32)에 형성된 걸림부 수납홈(37)내에 수납된 걸림편(90)의 걸림부(92)가 로크부(A83)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때에는, 슬라이드부(32)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홈(34)내에 수용되어 있는 걸림대(80)의 상면에 형성된 스프링 규제편(82)에 의해, 제 3 스프링(33)이 그 가해진 힘에 맞서 압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측판(A30)과 가동측판(B40)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홀더본체(10) 상에 놓여진 휴대전화기(100)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도 12(B)에는 가동측판(A30)이 외측으로 슬라이드되어, 가동측판(A30)과 가동측판(B40) 간의 간격이 넓어져 있는 해방상태를 나타냈다. 상기 해방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12(A)에 나타낸 고정상태에서, 버튼(50)을 제 2 스프링(51)에 맞서 밀어넣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버튼(50)에 형성된 신장부(52)의 제 2 테이퍼부(54)가, 걸림편(90)에서의 걸림부(92)의 제1 테이퍼부(93)에 미끄러져 닿아, 걸림부(92)를 제 1 스프링에 맞서 걸림부 수납홈(37)내에 밀어넣는다. 이 때문에, 걸림부(92)의 걸어맞춤부(94-1, 94-2)와 로크부(A83)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가동측판(A30)은 압축상태의 제 3 스프링(33)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측판(A30)이 슬라이드되어 걸림부(92)가 걸림대(90)에 형성되어 있는 로크부(B84)의 위치에 오면, 걸어맞춤부(94-1, 94-2)가 로크부(B84)에 결합하게 된다. 이로써, 가동측판(A30)의 슬라이드가 정지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들 동작은 순간적으로 행해지고, 이 상태가 도 12(B)에 나타낸 해방상태이다. 이 때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스프링(33)이 신장되어 있어, 가동측판(A30)을 화살표로 나타낸 외측으로 슬라이드시킨 것을 알 수 있다. 또, 걸림편(90)의 걸림부(92)가 로크부(B84)에 결합되어 있다. 이 해방상태에서는, 가동측판(A30)과 가동측판(B40)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있으므로, 홀더본체(10) 상에 휴대전화기(100)를 얹어 놓아 부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전화기(100)를 취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는, 휴대전화기(100)의 머리부를 훅 형상의 지지부(20)에 결합하도록 홀더본체(10)상에 올려놓고,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측판(A30)을 내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휴대전화기(100)를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휴대전화기(100)를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1)로 부터 취출할 때는, 버튼(50)을 조작함으로써, 원터치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측판(A30)을 자동적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휴대전화기(100)가 해방상태로 되어 용이하게 휴대전화기를 홀더본체(10)로 부터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가 휴대전화기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측판과, 휴대전화기의 길이방향의 측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지지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휴대전화기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좌우 및 상하방향에서 휴대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휴대전화기를 고정할 수 있다.
또, 로크해제수단을 조작하면 가동측판이 고정상태에서 해정되어 해방상태로 되기 때문에, 원터치로 휴대전화기를 홀더에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휴대전화기가 얹어 놓여지는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의 양측부에 설치된 휴대전화기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1 쌍의 가동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 쌍의 가동판의 상호 간격을 휴대전화기의 폭에 따라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 가동측판과, 상기 가동측판에서의 휴대전화기의 고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홀더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규제부와의 사이에서 휴대전화기를 지지하는 상기 홀더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와, 상기 가동측판에서의 상기 1 쌍의 가동판에 의해 휴대전화기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상태를 해방상태로 되도록 해제제어하는 로크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상기 1 쌍의 가동판에서의 한쪽의 가동판(A)의 하면에서 걸림부가 돌출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진 걸림편과, 휴대전화기의 폭에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홀더본체에 고정부착된 걸림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걸림대의 상면은 상기 가동판 (A) 의 하면이 슬라이딩하는 면이 되어, 상기 상면에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제 1 로크부와 제 2 로크부가 상기 걸림대의 슬라이드방향으로 격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전화기를 고정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로크부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 상기 걸림대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상기 로크해제수단에 의해 해제제어된 때에, 상기 제 1 로크부에서 상기 걸림부가 해제되어 상기 제 2 로크수단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 상기 해방상태로 되도록, 상기 가동판 (A) 이 스프링에 의해 힘을 받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크부보다 제 2 로크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해제수단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된 때에, 상기 로크해제수단에 형성된 테이퍼부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눌려져 제 1 로크부에 걸린 상기 걸림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KR1019970047903A 1997-05-20 1997-09-20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KR19980086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455696 1997-05-20
JP96-144556 1997-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379A true KR19980086379A (ko) 1998-12-05

Family

ID=6604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903A KR19980086379A (ko) 1997-05-20 1997-09-20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63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9150A1 (en) Electronic device latch dempening system
US5113436A (en) Telephone hang-up cup having rectractable latch member operative responsive to actuation force applied at either side thereof
US5471530A (en) Retaining rack for a cellular phone permitting handfree use of phone in driving
JPH0730626A (ja) 無線電話用取付け組立体
US6009168A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H10315874A (ja) 車載用携帯電話機ホルダー
KR19980086379A (ko) 차량용 휴대전화기 홀더
US7274788B2 (en) Mounting for electronic accessories for vehicles
US4746242A (en) Flex-lock dovetail mounting apparatus for radio transceivers and accessories
CN211500212U (zh) 一种顶门器
JPH05294190A (ja) 携帯無線電話装置の車載ホルダー
CN106686189B (zh) 一种具有智能手机控制的汽车音响
JPS63254893A (ja) 肩ベルトマイクロホンマウント
WO2003097406A3 (en) Universal accessory support assembly
KR200210962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19990032610U (ko)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US20040204156A1 (en) Mobile phone seat with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JP3028591U (ja) 携帯電話ホルダ
KR100460981B1 (ko)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JPS5919478Y2 (ja) 無線装置
CN212685434U (zh) 一种车载音响旋转手机支架
CN220199209U (zh) 一种汽车视频ai终端安装结构
KR200171305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KR200184269Y1 (ko) 자동차용 휴대폰 홀더
JPS6350236A (ja) 車携帯形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