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962Y1 -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962Y1
KR200210962Y1 KR2020000023945U KR20000023945U KR200210962Y1 KR 200210962 Y1 KR200210962 Y1 KR 200210962Y1 KR 2020000023945 U KR2020000023945 U KR 2020000023945U KR 20000023945 U KR20000023945 U KR 20000023945U KR 200210962 Y1 KR200210962 Y1 KR 200210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obile phone
hemispherical
main bod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식
Original Assignee
박은식
이태용
강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식, 이태용, 강웅구 filed Critical 박은식
Priority to KR2020000023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9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962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홀더를 볼타입으로 구성하여 거치대 본체의 각도조정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거치대 본체와 홀더를 하나의 큰 스크류로 결합되게 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자동차 이외의 가정이나 작업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거치대 본체에 수신/발신음량조절 기능과 외부통화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거치대 본체를 체결하는 홀더의 상부 내부에는 수평홈 및 이와 직각방향인 2개의 수직홈을 형성하며,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회전지지대를 수직홈에 끼우고 수평홈을 통해 홀더핸들을 회전지지대 선단의 통공을 관통하게 끼워 고정하여 홀더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며, 홀더의 하부에는 후면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반구형홈을 형성하고, 반구형홈 내부에는 중앙부가 관통된 반구형회전체를 삽입하며, 볼핸들을 반구형홈의 통공을 통해 반구형회전체의 중앙부를 관통하게 끼우고 거치대 본체의 후면을 체결하여 거치대 본체가 360°방향으로 조정되게 하고, 거치대 본체에는 수신음량조절부와, 발신음량조절부와, 외부통화제어부와, 내장마이크를 내부의 회로기판과 연계 작동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Stand hanger of handphone to use both hands freely i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 본체를 체결하는 홀더의 구조를 볼타입으로 구성하여 거치대 본체의 각도조정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거치대 본체와 그 홀더를 하나의 큰 스크류로 결합되게 하여 체결작업을 간단하게 하면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 이외의 가정이나 작업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거치대 본체에 수신/발신음량조절 기능과 외부통화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를 운전할 때 휴대폰이 걸려오게 되면 한 손으로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휴대폰을 들고 통화할 수밖에 없으므로 우발적인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되어 교통사고의 발생확률이 높게 되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운전중 휴대폰 사용을 금하는 문제가 법제화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종의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 중 일 예를 들면 자동차의 대쉬보드에 홀더를 포함한 베이스판이 고정되고, 홀더에는 거치대 본체가 상하, 좌우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거치대 본체의 휴대폰 거치부분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고, 휴대폰의 후면에도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휴대폰을 자력에 의해 거치시킬 수 있으며, 홀더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하, 좌우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거치대 본체의 후면과 홀더는 다수의 부분에서 스크류 체결되어 견고히 고정되며, 시거 전원플러그가 인가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거치대 본체와 휴대폰의 이어폰 소켓 사이에는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케이블이 연결되며,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잭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 본체는 다수의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코브라 방식으로 형성된 외장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여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어마이크를 꽂고 비밀통화버튼을 눌러 비밀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는 실질적인 휴대폰 거치부위를 이루는 거치대 본체가 체결홀더와 다수의 부분에서 스크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므로 베이스판이 자동차에 고정되고 그 홀더에 거치대 본체가 일단 체결되고 나면 스크류를 빼내는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거치대 본체를 떼어내어 다른 곳에 이동시켜 사용할 수 없고 오로지 자동차용으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거치대 본체도 상하, 좌우의 제한된 영역내에서만 조정 가능하여 거치대 본체의 각도를 조정하기에 불편하고 그 조정범위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거치대 본체의 기능도 제한적이었던 바, 예를 들면 폴더형과 일부 플립형 휴대폰의 경우 외부에서 버튼을 눌러 통화할 수 없는 기종이 있으며, 이런 기종의 휴대폰을 거치대에 거치하였을 경우 거치대 본체에 폴더 또는 플립을 열지않고 외부에서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휴대폰을 받기 위해 폴더를 펴거나 플립을 열어 통화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자동차의 이동 장소에 따라 휴대폰의 수신 또는 발신 전파가 미약하게 되며, 이럴 경우 휴대폰의 수신음 또는 발신음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있으면 편리할 것이나 거치대 본체에 휴대폰의 수신음 또는 발신음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잘 들리지 않거나 끊기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으며, 코브라 방식의 외장마이크는 성능은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거치대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거추장스럽고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거치대 본체를 볼타입의 홀더에 하나의 스크류로 간단히 체결되게 하여 그 체결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거치대 본체가 볼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각도로도 조정가능하게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하고, 거치대 본체를 쉽게 탈부착하여 자동차 이외의 가정이나 작업장에서도 사용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거치대 본체에 수신 또는 발신음량조절 기능과 외부통화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견지로는, 코브라 형상의 외장마이크 대신 거치대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내장마이크를 구성하여 사용상 거추장스럽지 않게 함은 물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도로서,
(a)는 분해사시도.
(b)는 거치대 본체와 휴대폰 상세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 본체의 상세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판 2 : 홀더 3 : 거치대 본체
4 : 수평홈 5 : 수직홈 6 : 회전지지대
7 : 홀더핸들 8 : 반구형홈 9 : 반구형회전체
10 : 볼핸들 11 : 수신음량조절 다이얼 12 : 발신음량조절 레버
13 : 외부통화버튼 14 : 양면테이프스크류 15 : 거치부위
16,25 : 영구자석 17 : 충전상태표시램프 18 : 전원상태표시램프
19 : 비밀통화버튼 20 : 이어폰잭 21 : 내장마이크
22 : 스피커 23 : 체결돌기 24 : 태핑스크류
26 : 시거 전원플러그 27 : 충전잭 28 : 이어마이크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자동차의 대쉬보드에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판(1)과, 베이스판(1)의 전면측에 고정되는 홀더(2)와, 홀더(2)에 체결되는 거치대 본체(3)로 구별된다.
홀더(2)의 상부 내부에는 일측방향으로 개구된 수평홈(4)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수평홈(4)의 방향과 직각인 2개의 수직홈(5)이 나란히 형성되어 베이스판(1)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회전지지대(6)가 2개의 수직홈(5)에 각각 끼워지고, 수평홈(4)을 통해 볼트형인 홀더핸들(7)이 회전지지대(6) 선단부의 각 통공을 관통·고정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며, 홀더(2)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되고 그 불룩한 측에 통공(8a)이 형성되며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돌기(8b)가 돌출 형성된 반구형홈(8)이 형성되고, 반구형홈(8)의 내부에는 중앙부가 반구형홈(8)의 통공(8a)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관통된 반구형회전체(9)가 삽입되며, 볼트형의 볼핸들(10)이 반구형홈(8)의 통공(8a) 후면을 통해 반구형회전체(9)의 중앙부홀(9a)을 관통하여 전면측에서 거치대 본체(3)의 후면을 고정하여 반구형회전체(9)가 반구형홈(8) 내부에서 회전작동하면서 거치대 본체(3)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거치대 본체(3) 외부에는 수신음량조절 다이얼(11), 발신음량조절 레버(12), 외부통화버튼(13)이 각각 구비되고, 각각이 거치대 본체(3) 내부의 회로기판(도면상에 미도시)과 연결되어 수신음량조절부, 발신음량조절부, 외부통화제어부를 이루게 된다.
이때, 베이스판(1)의 후면에는 자동차의 대쉬보드 등에 부착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14)가 부착되며, 베이스판(1)을 스크류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판(1)의 중간부에는 스크류 체결홀(1a)이 형성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거치대 본체(3)의 일측에는 휴대폰(H)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위(15)가 마련되며 그 내부에 영구자석(16)을 내장하고 있고, 충전상태표시램프(17), 전원상태표시램프(18), 비밀통화버튼(19), 이어마이크 소켓(미도시), 충전잭 소켓(미도시), 전원소켓(미도시) 등이 각각 구비되며, 휴대폰(H)과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휴대폰(H)의 이어폰 소켓에 삽입되는 이어폰잭(20)이 인출되어 있고,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마이크 대신 본체의 전면에 내장마이크(21)가 형성되어 내부의 회로와 연결되어 있고 배면에는 스피커(22)가 각각 형성되어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홀더(2)의 볼핸들(10)과 체결되는 체결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4는 베이스판(1)을 고정하기 위한 태핑스크류이고, 25은 휴대폰(H)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이며, 26은 거치대 본체(3)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시거 전원플러그이고, 27은 거치대 본체(3)와 휴대폰(H)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휴대폰(H)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잭이며, 28은 비밀통화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이어마이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판(1)을 자동차의 대쉬보드 등에 적절히 위치시키고 후면의 양면테이프(14)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며, 더욱 견고한 부착을 원할 경우에는 태핑스크류(24)를 이용하여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판(1)을 부착한 후에는 볼핸들(10)을 이용하여 거치대 본체(3)의 후면 체결돌기(23)를 결합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거치대 본체(3)가 자동차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그 거치부위(15)에 휴대폰(H)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 본체(3)의 거치부위(15)에는 영구자석(16)이 내장되어 있고, 휴대폰(H)에는 영구자석(25)을 양면테이프로 붙일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휴대폰(H)을 거치할 때에는 별도의 거치 구조물없이 영구자석(16)(25)간의 자력에 의해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는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상하 큰각도 조정 및 360°미세각 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데, 상하 큰 각도 조정을 할 때에는 홀더핸들(7)을 풀고 거치대 본체(3)를 체결하고 있는 홀더(2)를 원하는 방향으로 놓은 후 다시 홀더핸들(7)을 잠가 그 위치를 고정하면 되고, 미세각을 조정할 때에는 볼핸들(10)을 풀고 거치대 본체(3)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다시 볼핸들(10)을 잠그면 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홀더(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볼타입으로 되어 있어 반구형홈(8)내에서 반구형회전체(9)가 미끄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거치대 본체(3)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므로 거치대 본체(3)를 원하는 각도로 자연스럽게 조정할 수 있어 그 조정작업이 편리함은 물론 조정각도의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 본체(3)는 휴대폰(P)을 거치하는 역할이외에 휴대폰(H)의 충전기능, 스피커폰 기능, 비밀통화기능, 외부통화기능, 수신 및 발신음량 조절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시거 전원플러그(26)를 거치대 본체(3)의 전원 소켓에 꽂게 되면 거치대 본체(3)에 전원이 인가되며, 이런 상태에서 충전잭(27)을 휴대폰(H)에 꽂게 되면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고, 거치대 본체(3)로부터 인출된 이어폰잭(20)을 휴대폰(H)의 이어폰 소켓에 꽂아 신호교환을 함으로써 거치대 본체(3)에 구비된 내장마이크(21)와 스피커(22)를 통해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거치대 본체(3)의 이어마이크 소켓에 이어마이크(28)를 꽂은 상태에서 비밀통화버튼(19)을 누르면 스피커(22)가 차단되어 음향이 이어마이크(28)로만 나오게 되어 비밀통화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내장마이크(21)를 구비한 것이어서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마이크와 비교할 때 거추장스럽지 않게 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폴더형과 일부 플립형 휴대폰의 경우 외부에서 버튼을 눌러 통화할 수 없는 기종이 있으며, 이런 기종의 휴대폰을 일반적인 휴대폰 거치대에 거치하였을 경우 통화를 위해 무조건 폴더 또는 플립을 열어야 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 본체(3)에는 외부통화버튼(13)이 내부의 회로와 연결되어 있어 폴더 또는 플립을 열지않고는 통화가 불가능한 휴대폰을 거치하였다 하더라도 외부통화버튼(13)만 누르면 원활히 통화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외에도 수신음량조절 다이얼(11)과 발신음량조절 레버(12)가 구비되어 휴대폰의 수신음이 잘 들리지 않거나 전화 상대방이 사용자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할 경우 그 음량을 조절하여 원활히 통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3)가 볼핸들(10) 하나에 의해서만 홀더(2)에 지지되므로 거치대 본체(3)를 탈거하기에도 용이하며, 따라서 거치대 본체(3)를 탈거하여 일반적인 가정이나 작업장에서 휴대폰 거치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시거 전원플러그 대신 별도의 아답터를 구비해야 하는데, 아답터는 AC 220V/DC 12V∼24V 중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홀더와 거치대 본체가 하나의 볼핸들에 의해서만 체결되므로 그 체결작업이 간단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자동차 이외의 일반적인 가정이나 작업장에서 휴대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홀더가 볼타입으로 구성되어 거치대 본체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거치대 본체에 외부통화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거치대 본체에 어떤 기종의 휴대폰이 거치될 경우에도 버튼하나만 누르면 통화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수신 및 발신음량조절 다이얼이 구비되어 수신음 또는 발신음을 적정음량으로 조절하여 통화특성이 향상되고, 내장마이크를 구비한 것이므로 거추장스럽지 않고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에 고정되는 홀더를 포함한 베이스판과,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거치대 본체로 구성되는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부 내부에는 일측방향으로 개구된 수평홈을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상기 수평홈의 방향과 직각인 2개의 수직홈을 나란히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회전지지대를 상기 2개의 수직홈에 각각 끼우고, 상기 수평홈을 통해 볼트형의 홀더핸들을 상기 회전지지대 선단부의 각 통공을 관통하게 끼워 고정하여 상기 홀더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며;
    상기 홀더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되고 그 불룩한 측에 통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반구형홈을 형성하고, 상기 반구형홈 내부에는 중앙부가 상기 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관통된 반구형회전체를 삽입하며, 볼트형의 볼핸들을 상기 반구형홈의 통공 후면을 통해 상기 반구형회전체의 중앙부를 관통하게 끼우고 전면측에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후면을 체결·고정하여 상기 거치대 본체가 360°방향으로 조정되게 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에는 휴대폰의 수신음량을 조절하는 수신음량조절부와, 휴대폰의 발신음량을 조절하는 발신음량조절부와,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외부통화제어부와, 내장마이크를 내부의 회로기판과 연계 작동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20000023945U 2000-08-24 2000-08-24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210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45U KR200210962Y1 (ko) 2000-08-24 2000-08-24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45U KR200210962Y1 (ko) 2000-08-24 2000-08-24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962Y1 true KR200210962Y1 (ko) 2001-01-15

Family

ID=7305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945U KR200210962Y1 (ko) 2000-08-24 2000-08-24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96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16B1 (ko) * 2001-08-21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크레이들 장치
KR100778926B1 (ko) 2007-01-26 2007-11-22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휴대단말기의 회전 받침장치
KR200446046Y1 (ko) 2008-08-21 2009-09-21 (주)이시스디티에스 하이패스 단말기용 각도 조절장치
CN106740527A (zh) * 2016-12-12 2017-05-31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暖风口用隔热手机托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16B1 (ko) * 2001-08-21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크레이들 장치
KR100778926B1 (ko) 2007-01-26 2007-11-22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휴대단말기의 회전 받침장치
KR200446046Y1 (ko) 2008-08-21 2009-09-21 (주)이시스디티에스 하이패스 단말기용 각도 조절장치
CN106740527A (zh) * 2016-12-12 2017-05-31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暖风口用隔热手机托架
CN106740527B (zh) * 2016-12-12 2023-08-22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暖风口用隔热手机托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72555A1 (en)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JP3238569U (ja) 回転式携帯電話ホルダースタンド
AU2003251995A1 (en) Modular adaptor assembly for personal digital appliance
JPH0385949A (ja) 携帯電話機の移動体への取付構造
EP1326410A1 (en) Handsfr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handsfree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and a mobile phone
KR200210962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US4609785A (en) Universal handset mount
CN211352423U (zh) 一种具有充电结构的入耳式蓝牙耳机
KR200235239Y1 (ko)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190767Y1 (ko)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200214700Y1 (ko) 핸드폰 홀더, 스피커폰형 핸즈프리, 자동 줄감김이어폰의 일체형 핸즈프리
KR100540398B1 (ko) 휴대폰 거치대
KR100370613B1 (ko) 휴대폰 거치 장치
KR200238429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254508Y1 (ko) 자동접속 휴대용 전화기 및 핸드프리 거치대
CN211296921U (zh) 一种tws耳机
CN220673916U (zh) 一种可调节式蓝牙耳机及耳机套装
KR20021027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CN217883537U (zh) 一种车载蓝牙免提通话器
CN221043150U (zh) 一种多功能音箱
CN219458075U (zh) 一种插头翻转机构及移动电源
CN211791984U (zh) 一种带内存并可以本地播放音频且结构简单的蓝牙耳机仓
CN209964250U (zh) 一种便携式、可旋转的蓝牙耳机
CN220639717U (zh) 车载充电支架
KR200184941Y1 (ko) 차량용 휴대폰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