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429Y1 -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429Y1
KR200238429Y1 KR2020010009095U KR20010009095U KR200238429Y1 KR 200238429 Y1 KR200238429 Y1 KR 200238429Y1 KR 2020010009095 U KR2020010009095 U KR 2020010009095U KR 20010009095 U KR20010009095 U KR 20010009095U KR 200238429 Y1 KR200238429 Y1 KR 200238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ands
free
mobile phon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웅구
Original Assignee
강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웅구 filed Critical 강웅구
Priority to KR2020010009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429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핸즈프리 본체가 2군데에서 볼과 홈간 미끄럼 접촉에 의해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 핸즈프리 본체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정하기 위한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대쉬보드에 양면테이프 또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과, 지지판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상단 중앙부에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된 반구형의 홈을 갖고 측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홀더와, 상면에는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위와 다수의 기능 조작버튼이 위치하고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된 후크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핸즈프리 본체와, 상면이 핸즈프리 본체의 양 후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하단면 중앙부에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된 반구형의 홈을 갖고 측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홀더와,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의 각 반구형 홈에 각각 끼워져 회전되는 2개의 작동볼이 양쪽에 대칭으로 구비되고 작동볼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대에 의해 작동볼의 사이가 연결된 아령형상의 작동구와, 작동볼과 연결대의 중간 직경의 홀을 통해 상시 작동구의 연결대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고 내측에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의 수나사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암나사 부위가 각각 외측을 향하게 위치된 2개의 홀더 체결스크류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Stand hanger of handphone to use both hands freely i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즈프리 본체가 2군데에서 볼과 홈간 미끄럼 접촉에 의해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 핸즈프리 본체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를 운전할 때 휴대폰이 걸려오게 되면 한 손으로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휴대폰을 들고 통화할 수밖에 없으므로 우발적인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되어 교통사고의 발생확률이 높게 되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운전 중 휴대폰 사용을 금하는 문제가 법제화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종의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 중 일 예를 들면 자동차의 대쉬보드에 홀더를 포함한 지지판이 고정되고, 홀더에는 핸즈프리 본체가 상하, 좌우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핸즈프리 본체의 휴대폰 거치부분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고, 휴대폰의 후면에도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휴대폰을 자력에 의해 거치시킬 수 있으며, 홀더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하, 좌우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핸즈프리 본체의 후면과 홀더는 다수의 부분에서 스크류 체결되어 견고히 고정되며, 시거 전원플러그가 인가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핸즈프리 본체와 휴대폰의 이어폰 소켓 사이에는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케이블이 연결되며,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잭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핸즈프리 본체는 다수의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코브라 방식으로 형성된 외장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여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어마이크를 꽂고 비밀통화버튼을 눌러 비밀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는 실질적인 휴대폰 거치부위를 이루는 핸즈프리 본체가 체결홀더와 다수의 부분에서 스크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므로 지지판이 자동차에 고정되고 그 홀더에 핸즈프리 본체가 일단 체결되고 나면 스크류를 빼내는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핸즈프리 본체를 떼어내어 다른 곳에 이동시켜 사용할 수 없고 오로지 자동차용으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핸즈프리 본체도 상하, 좌우의 제한된 영역내에서만 조정 가능하여 그 각도 조정이 불편하고 그 조정범위에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핸즈프리 본체와 지지판의 사이에 아령형상의 작동구를 개재하여 작동구의 구형면을 통해 핸즈프리 본체를 소정의 범위에서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핸즈프리 본체를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의 결합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판 및 하부홀더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본체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홀더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홀더체결스크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판 11 : 양면테이프 20 : 하부홀더
21,41 : 반구형 홈 22,42 : 수나사 23,43 : 보강리브
30 : 핸즈프리 본체 31 : 거치부위 32,32' : 후크
40 : 상부홀더 50 : 작동구 51,51' : 작동볼
52 : 연결대 60,60' : 홀더체결스크류 61,61' : 홀
62,62' : 암나사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판 및 하부홀더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본체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홀더 상세도이고, 도 5는 본고안에 따른 홀더체결스크류 상세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는 자동차의 대쉬보드(D)에 양면테이프(11)또는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10)과, 지지판(10)의 상부에 결합고정되며 상단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21)을 갖고 측면에는 수나사(2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홀더(20)와, 상면에는 휴대폰(H)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위(31)와 다수의 기능 조작버튼이 위치하고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된 후크(32)(32')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핸즈프리 본체(30)와, 상면이 핸즈프리 본체(30)의 양 후크(32)(3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하단면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홈(41)을 갖고 측면에는 수나사(4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홀더(40)와, 상부홀더(40) 및 하부홀더(20)의 각 반구형 홈(21)(41)에 각각 끼워져 회전되는 2개의 작동볼(51)(51')이 양쪽에 대칭으로 구비되고 작동볼(51)(51')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대(52)에 의해 작동볼(51)(51')의 사이가 연결된 아령형상의 작동구(50)와, 작동볼(51)(51')과 연결대(52)의 중간 직경의 홀(61)(61')을 통해 상시 작동구(50)의 연결대(52)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고 내측에는 상부홀더(40) 또는 하부홀더(20)의 각 수나사(22)(42)에 대응되는 암나사(62)(62')가 형성되며 그 암나사(62)(62') 부위가 각각 외측을 향하게 위치된 2개의 홀더 체결스크류(60)(6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부홀더(40) 및 하부홀더(20)의 각 반구형 홈(21)(41)에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그 면을 따라 다수의 보강리브(23)(4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판(10)을 자동차의 대쉬보드(D) 상면에 적절히 위치시키고 양면테이프(11)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며, 더욱 견고한 부착을 원할 경우에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판(10)에는 하부홀더(20)가 결합 고정되어 있고, 하부홀더(20)의 상단면 중앙에는 다수의 보강리브(23)를 갖는 반구형 홈(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판(10)을 부착한 후에는 작동구(50)의 일측 작동볼(51)이 하부홀더(20)의 반구형 홈(21)에 삽입되게 위치시키고 하나의 홀더체결스크류(60)를 이용하여 하부홀더(20)를 체결하여 주면 각 나사(22)(62) 부위가 결합되어 지지판(10)에 작동구(5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작동구(50)는 아령형상으로 되어 있어 하부홀더(20) 체결부위 반대편에도 동일한 작동볼(51')이 위치하므로 이 작동볼(51')에 상부홀더(40)의 반구형 홈(41)이 위치되게 한 후 다른 홀더체결스크류(60')를 이용하여 상부홀더(40)를 체결하여 주면 각 나사(42)(62') 부위가 결합되어 작동구(50)에 상부홀더(40)가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상부홀더(40)의 상면이 핸즈프리 본체(30) 하면의 후크(32)(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핸즈프리 본체(30)를 끼우면 핸즈프리 본체(30)도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자동차에 핸즈프리 본체(30)가 고정된 상태가 되어 핸즈프리 본체(30)의 거치부위(31)에 휴대폰(H)을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 핸즈프리 본체(30)의 거치부위에 영구자석(M)을 내장하고, 휴대폰(H)의 후면에도 영구자석(미도시)을 구비하면 각 영구자석간 자력에 의해 휴대폰(H)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매직테이프(미도시) 등을 이용하면 손쉽게 휴대폰(H)을 거치할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는 각도조정이 이루어지는 부위, 즉 작동구(50)와 각 홀더(20)(40)의 접촉부위가 모두 구형상으로 되어 있어 작동구(50)의 연결대(52)와 홀더체결스크류(60)(60')의 홀(61)(61') 사이 차이만큼의 범위내에서 어떠한 각도로도 조정이 가능한데,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핸즈프리 본체(30)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핸즈프리 본체(30)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꺾을 수 있으며, 핸즈프리 본체(30)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 거리범위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으로, 핸즈프리 본체(30)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각 홀더체결스크류(60)(60')를 약간 느슨하게 풀어놓은 상태에서 조정해야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정한 후에는 각 홀더체결스크류(60)(60')를 조여 그 조정위치를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핸즈프리 본체(30)를 자동차로부터 탈거하여 임의의 장소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핸즈프리 본체(30)의 후크(32)(32')를 상부홀더(40)로부터 빼내기만하면 되는 것이어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즈프리 본체가 아령형상의 작동구에 의해 2개의 부위에서 볼과 홈간 미끄럼 접촉에 의해 조정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핸즈프리 본체를 손쉽게 탈거하여 임의의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대쉬보드(D)에 양면테이프(11) 또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10);
    상기 지지판(10) 상부에 결합 고정되며, 상단 중앙부에는 다수의 보강리브(23)가 형성된 반구형의 홈(21)을 갖고, 측면에는 수나사(2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홀더(20);
    상면에는 휴대폰(H)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위(31)와 다수의 기능 조작버튼이 위치하고,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된 후크(32)(32')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핸즈프리 본체(30);
    상면이 상기 핸즈프리 본체(30)의 양 후크(32)(3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하단면 중앙부에는 다수의 보강리브(43)가 형성된 반구형의 홈(41)을 갖고, 측면에는 수나사(4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홀더(40);
    상기 상부홀더(40) 및 상기 하부홀더(20)의 각 반구형 홈(21)(41)에 각각 끼워져 회전되는 2개의 작동볼(51)(51')이 양쪽에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볼(51)(51')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대(52)에 의해 상기 작동볼(51)(51')의 사이가 연결된 아령형상의 작동구(50); 및
    상기 작동볼(51)(51')과 상기 연결대(52)의 중간 직경의 홀(61)(61')을 통해 상시 상기 작동구(50)의 연결대(52)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고, 내측에는 상부홀더(40)와 하부홀더(20)의 수나사(22)(42)에 대응되는 암나사(62)(62')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62)(62') 부위가 각각 외측을 향하게 위치된 2개의 홀더 체결스크류(60)(6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20010009095U 2001-03-31 2001-03-31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238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95U KR200238429Y1 (ko) 2001-03-31 2001-03-31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95U KR200238429Y1 (ko) 2001-03-31 2001-03-31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429Y1 true KR200238429Y1 (ko) 2001-10-10

Family

ID=7309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095U KR200238429Y1 (ko) 2001-03-31 2001-03-31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4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675B1 (ko) * 2011-06-21 2013-03-07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675B1 (ko) * 2011-06-21 2013-03-07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041A (en) Device for safe use of a portable cellular telephone while driving
WO2005027982A3 (en) Surgical support arm docking apparatus
US20220212608A1 (en) Retractable cup holder device mount
KR200238429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434479Y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238276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10962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US6381338B1 (en) All directionally turnable radio microphone
KR200257661Y1 (ko) 다단계 휴대폰 거치대
KR20023279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지지장치
JPH10315874A (ja) 車載用携帯電話機ホルダー
ITMI20000069A1 (it) Corredo viva voce universale per cellulare
KR100381405B1 (ko) 휴대폰 거치대
KR200166506Y1 (ko) 공기흡착구를이용한소지품부착구
KR200190767Y1 (ko)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200235701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CN216709198U (zh) 一种蓝牙控制的车载播放器
KR200253141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185643Y1 (ko) 휴대전화용 이어폰
CN210310187U (zh) 一种移动终端固定装置
KR200254508Y1 (ko) 자동접속 휴대용 전화기 및 핸드프리 거치대
CN219237242U (zh) 一种多功能手机支架
KR200233087Y1 (ko) 인형의 내부에 장착된 핸드프리장치
CN210116457U (zh) 多自由度车后枕支架
CN212909987U (zh) 具有充电座的智能蓝牙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