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75B1 -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75B1
KR101229675B1 KR1020110060054A KR20110060054A KR101229675B1 KR 101229675 B1 KR101229675 B1 KR 101229675B1 KR 1020110060054 A KR1020110060054 A KR 1020110060054A KR 20110060054 A KR20110060054 A KR 20110060054A KR 101229675 B1 KR101229675 B1 KR 101229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link
fixing
multimedia termi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40363A (ko
Inventor
최경수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6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4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62J17/04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7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부품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홀딩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에 고정부재를 통해 회전판이 결합되므로 프런트 차체의 형태에 맞게 회전판을 프런트 차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회전판이 커플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부품에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I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과거에 휴대전화에 국한되었던 휴대용 단말기에서 벗어나 휴대폰은 물론 DMB수신기, 내비게이션, PMP, MP3플레이어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이 개발되었고, 최근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이나 태플릿컴퓨터와 같이 여러 기능을 통합하여 즐길 수 있는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출시되어 현대인들은 이러한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휴대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즐기고 있다.
또한, 근래에 모터사이클을 이용하여 배달이나 영업활동을 하는 인구가 증가함은 물론, 레저활동이 활성화되면서 자전거나 모터사이클을 즐기는 레저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모터사이클에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모터사이클은 거치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프런트 차체의 부품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바, 프런트 차체의 형태에 맞게 거치장치가 장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모터사이클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주행함으로써 주행에 의해 풍압이 가해지므로 거치장치가 견고하게 프런트 차체에 고정되어야 하며, 주행후에 거치장치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한편,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화면에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가 수직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도 제공되므로 단말기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시킬 수 있어야 하며, 운전자의 시야각도에 맞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모터사이클에 장착되는 거치장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한 손으로 거치시킬 수 있어야 함은 물론, 한 손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에 따라 유동적으로 모터사이클에 탈부착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시야각도에 맞게 각도조절을 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거치된 단말기를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부품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홀딩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일부분이 걸리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기 회전판에 홀딩시키고, 홀딩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후방을 가압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이젝트시키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는,
상기 회전판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일부분에 걸리는 걸림홈을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홀딩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후방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상기 일단부가 편축회전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후방을 가압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기 회전판의 외측으로 푸시하는 푸시판;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시 푸시판의 일단부를 편축회전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상기 푸시판을 상기 회전판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의하면,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에 고정부재를 통해 회전판이 결합되므로 프런트 차체의 형태에 맞게 회전판을 프런트 차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회전판이 커플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이젝터에 의해 단말기를 원터치식으로 회전판에 홀딩되거나 회전판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젝터를 구성하는 푸시판이 단말기를 홀딩하는 동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편축회전하면서 단말기를 회전판의 외측으로 푸시하여 분리시키므로, 푸시판을 통해 단말기를 회전판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치장치가 모터사이클의 핸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장치가 모터사이클의 계기박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젝터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젝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 회전판(20) 및 커플러(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10)는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부품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부재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프런트 차체에 후술되는 회전판(20)을 부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여기서, 프런트 차체는 모터사이클의 전방차륜 쪽의 차체를 일컫는 것으로 운전자의 전방에 마련되는 핸들, 윈드실드와 같은 스크린, 계기판이 내장된 계기박스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사이클의 스크린(SC)에 고정되는 고정판(11)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판(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스크린(SC)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타측면에 후술되는 커플러(30)에 의해 회전판(20)이 부착된다.
여기서, 고정판(11)은 접착이나 볼팅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스크린(SC)에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스크린(SC)에 부착되는 미도시된 벨크로패스너나 스냅단추를 매개로 하여 스크린(SC)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판(11)은 스크린(SC)에 금속프레임이 설치된 경우, 금속프레임에 볼팅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판(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편(11a) 및 연결핀(11b)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편(1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며, 순차적으로 배열되면서 스크린(SC)에 면접촉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편(11a)은 도 2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배열될 수 있으며, 정면도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핀(11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고정편(11a)을 제각기 연결함으로써, 고정편(11a)들을 회전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킨다. 여기서, 연결핀(11b)은 고정편(11a)들이 서로 중첩상태로 배열된 경우 중첩된 부위를 관통하면서 고정편(11a)들을 연결하고, 고정편(11a)들이 독립된 상태로 배열된 경우 '∩'형태로 형성되어 인접된 고정편(11a)들을 연결한다.
즉, 복수의 고정편(11a)은 연결핀(11b)에 의해 통상의 시계줄과 같은 구조로 만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판(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SC)이 만곡상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스크린(SC)의 곡면에 면접촉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회전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커플러(30)에 의해 고정부재(10)에 결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이하 "단말기(SP)"라 한다)가 탈착가능하게 홀딩되며, 홀딩된 단말기(SP)와 함께 회전하는 부재로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컴퓨터, PND, 핸드폰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SP)가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판(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단말기(SP)가 삽입되어 파지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홀더(21)가 형성된다. 즉, 단말기(SP)는 회전판(20)의 홀더(21)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된다.
또한, 회전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2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을 개폐할 수 있다.
보호커버(25)는 우천시나 운행시에 회전판(20)을 차폐하여 회전판(20)에 거치된 단말기(SP)를 보호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단말기(SP)의 화면을 운전자에 투과시킨다. 이러한 보호커버(25)는 미도시된 스피커가 마련되어 단말기(SP)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SP)의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커버(25)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마련된 패킹(25a)이 회전판(20)에 형성된 패킹홈(20a)에 끼워지면서 회전판(20)을 수밀상태로 밀폐하며, 미도시된 잠금부재가 마련되어 회전판(20)을 차폐한 상태로 로킹될 수도 있다.
한편, 회전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의 하단에 접속단자(27)가 마련되어 단말기(SP)에 모터사이클의 전원을 공급하여 단말기(SP)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미도시된 스피커로 음향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커플러(30)는 회전판(20)을 전술한 고정부재(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 가압콜렛(33) 및 가압나사(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결합돌기(31)는 회전판(20)이 결합되는 부재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球)형태로 돌출되어 전술한 고정부재(10)를 구성하는 고정판(1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돌기(31)는 고정부재(10)의 일측에 볼팅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고정부재(10)와 동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압콜렛(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단부가 분할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선이 형성된 나사축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31)에 끼워지고, 후술되는 가압나사(35)에 의해 결합돌기(31)의 외측면을 가압한다.
가압나사(3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콜렛(33)에 나사결합되어 가압콜렛(33)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콜렛(33)의 내경을 축소시킨다. 즉, 가압나사(35)는 분할 형성된 가압콜렛(33)의 단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압콜렛(33)의 분할된 단부의 내경을 축소시킨다.
따라서, 가압콜렛(33)은 가압나사(35)의 이동을 통해 결합돌기(31)를 가압하면서 결합돌기(31)에 고정되므로 회전판(20)이 고정부재(1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31)는 구 형태로 형성되므로 가압콜렛(33)이 자유로이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판(20)은 수직 또는 수평의 거치방향은 물론 운전자를 향한 거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고정부재(1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3) 및 고정나사(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클램프(13)는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핸들(HD)에 회전판(20)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태로 이루어져서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13a)를 통해 핸들(HD)에 끼워져서 걸리며, 일측에 전술한 커플러(30)의 결합돌기(31)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고정나사(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3)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개방구(13a)를 가압하면서 클램프(13)를 핸들(HD)에 고정한다.
즉, 클램프(13)는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에 전술한 스크린(SC)의 구성이 없을 경우 고정나사(14)에 의해 핸들(HD)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에 마련된 결합돌기(31)를 통해 회전판(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른 한편, 고정부재(10)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계기박스(PB)에 결합되는 고정커버(17)로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커버(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사이클의 계기판이 내장되는 계기박스(PB)의 일측에 결합되며, 회전축(17a)에 의해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17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계기박스(PB)를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것으로, 내측면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전술한 결합돌기(31)에 의해 회전판(20)이 부착된다.
여기서, 고정커버(17)는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의 구성이 전술한 스크린(SC)이 없거나 핸들(HD)이 짧게 구성되고, 스쿠터와 같이 편평한 형태의 계기박스(PB)로 구성된 경우에 계기박스(PB)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커버(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로 회전판(20)이 커플러(30)를 통해 부착되어 사용되며, 운행 후에 회전판(20)이 분리되거나 계기박스(PB)를 차폐한 상태로 회전되어 회전판(20)을 외부와 격리시킨다. 또한, 고정커버(17)는 일측에 미도시된 잠금부재가 마련되어 계기박스(PB)를 차폐한 상태로 록킹될 수 있다.
한편, 고정커버(17)는 서포터(40)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서포터(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커버(17)와 계기박스(PB)의 내측에 마련되어 고정커버(17)의 편축회전에 의해 절첩되면서 고정커버(17)를 지지함으로써 고정커버(17)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으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41)와 제2링크(43) 및 링크고정수단(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링크(41)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길이를 갖는 편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계기박스(P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힌지핀(42)에 의해 관통된다.
제2링크(4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4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고정커버(1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힌지핀(42)에 의해 제1링크(41)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2링크(43)는 고정커버(17)의 편축회전에 의해 상승하면서 제1링크(41)를 회전시켜서 제1링크(41)와 중첩되거나 일직선을 이룬다. 즉, 제1링크(41) 및 제2링크(43)는 고정커버(17)의 회전에 의해 절첩된다.
링크고정수단(45)은 고정커버(17)의 개방에 의해 제1링크(41)와 일직선을 이루는 제2링크(43)의 일부분을 제1링크(41)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제1링크(41) 및 제2링크(43)를 일직선상태로 고정커버(17)에 지지시켜 고정커버(17)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링크고정수단(45)은 도 4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일(45a)과 걸림편(45b) 및 걸림홀더(4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레일(45a)은 제1링크(41)를 제2링크(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4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43)에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제1링크(41)에 고정된 힌지핀(42)이 관통되며, 관통된 힌지핀(42)을 이동시킨다. 즉, 제1링크(41)는 힌지핀(42)과 함께 이동레일(45a)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4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걸림편(45b)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43)의 단부에 측방으로 돌출형성된다.
걸림홀더(45c)는 도 4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41)에 홈형태로 형성되고, 도 4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45b)이 걸리면서 제1링크(41)와 제2링크(43)를 일직선상태로 고정하는 요소로써, 이동레일(45a)을 따라 이동하는 힌지핀(42)에 의해 제2링크(43)와 일직선상태로 이동하면서 걸림편(45b)이 삽입되어 걸린다.
따라서, 제1링크(41) 및 제2링크(43)는 걸림편(45b)이 이동레일(45a)에 의해 걸림홀더(45c)에 고정되면서 도 4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태로 고정되어 고정커버(17)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걸림홀더(45c)는 걸림편(45b)이 걸린상태에서 고정커버(17)의 회전에 의해 걸림편(45b)이 빠지면서 걸림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제1링크(41) 및 제2링크(43)는 절첩되면서 고정커버(17)를 회전시켜 계기박스(PB)를 폐쇄시킨다.
한편, 서포터(40)는 양단부가 고정커버(17) 및 계기박스(PB)에 고정되어 길이가 신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쇽업쇼바형태의 에어스프링 실린더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젝터(50)는 단말기(SP)를 회전판(20)의 홀더(21)에 홀딩시키는 동시에 홀딩된 단말기(SP)의 후방을 가압하여 회전판(20)으로부터 이젝트시키는 수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판(51)과 탄성부재(53) 및 록킹수단(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푸시판(51)은 회전판(20)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말기(SP)를 홀더(21)에 홀딩시키면서 홀딩된 단말기(SP)를 푸시하는 부재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50a)을 통해 회전판(20)에 형성된 힌지공(50b)에 결합되어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피벗회전하며, 단말기(SP)의 일부분이 걸리는 걸림홈(51a)을 통해 단말기(SP)를 홀더(21)에 홀딩시킨다.
여기서, 힌지공(50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푸시판(51)의 힌지축(50a)이 후술하는 록킹수단(55)에 의해 전, 후진하기 위함이다.
또한, 푸시판(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51b)가 회전판(20)에 형성된 매립홈(50c)에 매립된 형태로 회전판(20)에 결합되어 단말기(SP)의 후방에 밀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SP)에 밀착된 일단부(51b)가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단말기(SP)의 후방을 가압하여 홀더(21)의 외측으로 단말기(SP)를 푸시한다.
탄성부재(53)는 회전판(20)에 설치되어 푸시판(5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푸시판(51)의 일단부(51b)를 편축회전시키는 부재로써,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3)는 'ㄷ'자 형태로 절곡형성되며 일측이 회전판(20)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로 타측이 회전판(20)을 관통하여 푸시판(51)의 일단부(51b)를 지지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판(51)의 일단부(51b)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푸시판(5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탄성부재(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판(51)의 타측에 결합되는 캡(53a)을 통해 푸시판(51)의 일단부(51b)를 지지한다.
록킹수단(55)은 탄성부재(53)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푸시판(51)을 회전판(20)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뭉치(56) 및 파지돌기(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킹뭉치(56)는 푸시판(51)에 내장되고, 가압에 의해 교번적으로 출몰하는 파지집게(56a)를 통해 푸시판(51)을 회전판(20)에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부재로써, 파지집게(56a)가 가압에 의해 인출되면서 벌어지며 재가압에 의해 인입되면서 오므려지는 통상의 록킹부재이다. 즉, 록킹뭉치(56)는 푸시판(51)에 내장된 상태로 파지집게(56a)가 출몰하면서 푸시판(51)을 전, 후진시킨다.
파지돌기(58)는 회전판(20)에 설치되어 록킹뭉치(56)의 파지집게(56a)가 걸려서 고정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의 후면에 고정되어 회전판(20)을 관통하여 푸시판(51)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작동을 설명한다.
회전판(20)은 모터사이클의 형태에 따라 고정판(11)이나 클램프(13) 또는 고정커버(17)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결합돌기(31)에 가압콜렛(33) 및 가압나사(3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회전판(20)은 구 형태의 결합돌기(31)에 의해 단말기(SP)의 방향 및 각도를 운전자에 맞게 조절된 상태로 가압나사(35)의 조임을 통해 고정된다.
단말기(SP)를 회전판(20)에 거치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SP)를 회전판(20)의 홀더(21)에 삽입하면서 회전판(20)에 홀딩시킨다.
이때, 푸시판(51)은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3)에 의해 홀더(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단말기(SP)에 의해 가압되면서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51a)을 통해 단말기(SP)를 홀더(21)에 홀딩시킨 상태로 록킹뭉치(56)의 파지집게(56a)가 파지돌기(58)에 걸려서 고정된다. 여기서, 파지집게(56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돌기(58)를 감싼 상태로 푸시판(51)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오므려져서 록킹뭉치(56)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푸시판(51)은 단말기(SP)를 홀더(21)에 홀딩시킨 상태로 회전판(20)에 고정되며, 탄성부재(53)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회전판(20)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단말기(SP)를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변경시키거나 단말기(SP)의 각도를 변경할 경우, 사용자는 가압나사(35)를 회전시켜 가압콜렛(33)의 고정을 약간 해제시킨 후 회전판(20)의 방향이나 각도를 조절하고, 가압나사(35)를 조여서 회전판(20)을 고정한다.
단말기(SP)를 회전판(20)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사용자는 푸시판(51)을 가압하여 후진시킨다. 이때, 푸시판(51)은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50a)이 장공으로 형성된 힌지공(50b)을 따라 후진하면서 록킹뭉치(56)의 파지집게(56a)를 언록킹시킨다.
파지집게(56a)는 록킹뭉치(56)가 언록킹됨에 따라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판(51)을 회전판(2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푸시판(51)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에 따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파지돌기(58)로부터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푸시판(51)은 회전판(20)으로부터 언록킹된다.
탄성부재(53)는 언록킹된 푸시판(51)의 일단부(51b)를 가압하여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푸시판(51)은 일단부(51b)가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단말기(SP)를 홀더(21)의 외측으로 푸시하여 배출한다.
따라서, 단말기(SP)는 푸시판(51)을 가압하는 원터치에 의해 회전판(20)으로부터 배출된다.
모터사이클의 운행 종료에 따라 회전판(20)을 모터사이클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사용자는 가압나사(35)의 회전을 통해 가압콜렛(33)의 고정을 해제시켜서 회전판(20)을 결합돌기(31)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고정부재(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박스(PB)에 고정된 고정커버(17)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SP)를 거치하기 위하여 고정커버(17)를 회전시켜서 계기박스(PB)의 상부를 개방하여 회전판(20)에 단말기(SP)를 거치한다. 이때, 제1링크(41) 및 제2링크(43)는 고정커버(17)의 회전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펴지면서 일직선상태를 이룬다.
제2링크(4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41)와 일직선상태에서 걸림편(45b)이 이동레일(45a)에 의해 제1링크(41)의 걸림홀더(45c)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고정되어 고정커버(17)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고정커버(17)는 모터사이클의 주행에 의한 풍압에 의해서도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 단말기(SP)가 거치된 회전판(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의하면,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에 고정부재(10)를 통해 회전판(20)이 결합되므로 프런트 차체의 형태에 맞게 회전판(20)을 프런트 차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회전판(20)이 커플러(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0)가 클램프(13) 및 고정나사(14)로 구성될 경우, 모터사이클의 핸들(HD)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고정부재(10)를 모터사이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 고정부재(10)가 고정판(11)으로 구성될 경우, 고정판(11)이 모터사이클의 스크린(SC)에 면접촉하면서 고정되므로 회전판(20)이 견고하게 스크린(SC)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판(11)이 복수의 고정편(11a) 및 연결핀(11b)으로 구성되어 만곡될 수 있으므로 곡면을 갖는 스크린(SC)에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부재(10)가 고정커버(17)로 구성되어 모터사이클의 계기박스(P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모터사이클에 스크린(SC)이 없거나 핸들(HD)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회전판(20)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고정커버(17)가 서포터(40)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모터사이클의 주행에 의한 풍압에 의해서도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 단말기(SP)가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40)를 구성하는 제1링크(41) 및 제2링크(43)가 고정커버(17)의 개방에 의해 절첩되면서 링크고정수단(45)을 통해 일직선상태로 고정되므로 고정커버(17)를 개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이동레일(45a)을 따라 이동하는 힌지핀(42)의 이동에 의해 제2링크(43)에 돌출된 걸림편(45b)이 제1링크(41)의 걸림홀더(45c)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제1링크(41)와 제2링크(43)가 일직선상태로 고정되므로, 고정커버(17)를 개방하는 동작만으로 제1링크(41)와 제2링크(43)를 일직선 상태로 걸어서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구 형태의 결합돌기(31)가 가압나사(35)의 조임에 의해 가압콜렛(33)에 고정되므로 회전판(20)의 방향전환은 물론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회전판(20)을 고정부재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젝터(50)에 의해 단말기(SP)를 원터치식으로 회전판(20)에 홀딩되거나 회전판(20)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젝터(50)를 구성하는 푸시판(51)이 단말기(SP)를 홀딩하는 동시에 탄성부재(53)에 의해 편축회전하면서 단말기(SP)를 회전판(20)의 외측으로 푸시하여 분리시키므로, 푸시판(51)을 통해 단말기(SP)를 회전판(20)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탄성부재(53)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일측이 회전판(20)에 고정된 상태로 타측이 푸시판(51)을 지지하므로 푸시판(51)에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푸시판(51)이 록킹수단(55)을 구성하는 록킹뭉치(56) 및 파지돌기(58)에 의해 회전판(20)에 교번적으로 록킹되거나 언록킹되므로 푸시판(51)의 원터치를 통해 단말기(SP)를 홀딩하거나 이젝트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호커버(25)에 의해 회전판(20)의 전방이 커버링되므로 우천시에도 단말기(SP)를 거치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단말기(SP)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고정부재 11 : 고정판
11a : 고정편 11b : 연결핀
13 : 클램프 14 : 고정나사
17 : 고정커버 20 : 회전판
21 : 홀더 25 : 보호커버
30 : 커플러 31 : 결합돌기
33 : 가압콜렛 35 : 가압나사
40 : 서포터 41 : 제1링크
43 : 제2링크 45 : 링크고정수단
50 : 이젝터 51 : 푸시판
53 : 탄성부재 55 : 록킹수단

Claims (14)

  1. 모터사이클의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부품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홀딩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일부분이 걸리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기 회전판에 홀딩시키고, 홀딩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후방을 가압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이젝트시키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는,
    상기 회전판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일부분에 걸리는 걸림홈을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홀딩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후방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상기 일단부가 편축회전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후방을 가압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기 회전판의 외측으로 푸시하는 푸시판;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시 푸시판의 일단부를 편축회전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상기 푸시판을 상기 회전판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핸들에 끼워져서 상기 핸들에 걸리며,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타측에 부착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구를 가압하면서 상기 클램프를 상기 핸들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스크린에 일측면이 면접촉하면서 상기 스크린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타측면에 부착되는 고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스크린에 면접촉하면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편; 및
    상기 복수의 고정편들 중 인접한 고정편을 회전가능하게 제각기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계기박스에 일단부가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계기박스의 일부를 차폐하거나 상기 계기박스의 일부를 개방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정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커버의 편축회전에 의해 절첩되면서 상기 고정커버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커버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프런트 차체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커버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커버의 편축회전에 의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링크와 중첩되거나 상기 제1링크와 일직선을 이루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일직선을 이루는 상기 제2링크의 일부분을 상기 제1링크에 걸어서 고정하는 링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고정수단은,
    상기 제2링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는 상기 힌지핀이 관통하고, 관통된 상기 힌지핀을 상기 제2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장공형태의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이 형성된 상기 제2링크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편; 및
    상기 제1링크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어 걸리는 홈형태의 걸림홀더;를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구 형태의 결합돌기;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지고, 상기 결합돌기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콜렛; 및
    상기 가압콜렛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콜렛을 가압하는 가압나사;를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판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푸시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푸시판에 의해 탄성편형되어 상기 푸시판의 일단부를 편축회전시키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푸시판에 설치되고, 가압에 의해 교번적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푸시판을 상기 회전판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파지집게가 마련된 록킹뭉치;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뭉치의 파지집게가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형태의 파지돌기;를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의 전방을 커버링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1020110060054A 2011-06-21 2011-06-21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101229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54A KR101229675B1 (ko) 2011-06-21 2011-06-21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54A KR101229675B1 (ko) 2011-06-21 2011-06-21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363A KR20120140363A (ko) 2012-12-31
KR101229675B1 true KR101229675B1 (ko) 2013-03-07

Family

ID=4790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054A KR101229675B1 (ko) 2011-06-21 2011-06-21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89Y1 (ko) 2016-03-28 2016-12-14 윤재원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966A (ja) * 1999-09-06 2001-03-21 Honda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搭載型自動二輪車
KR200238429Y1 (ko) * 2001-03-31 2001-10-10 강웅구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418983Y1 (ko) * 2006-04-06 2006-06-14 이현승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KR20090055376A (ko) * 2007-11-28 2009-06-02 박영욱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966A (ja) * 1999-09-06 2001-03-21 Honda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搭載型自動二輪車
KR200238429Y1 (ko) * 2001-03-31 2001-10-10 강웅구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418983Y1 (ko) * 2006-04-06 2006-06-14 이현승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KR20090055376A (ko) * 2007-11-28 2009-06-02 박영욱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89Y1 (ko) 2016-03-28 2016-12-14 윤재원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363A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912B1 (en) Carrying device for belongings
KR200416386Y1 (ko) 자전거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US20160372724A1 (en) Housing structure with battery cover
KR101275281B1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229675B1 (ko) 모터사이클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20120028726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CN207530886U (zh) 可调校容纳范围及旋转角度的车载手机支架
CN101087316B (zh) 便携设备保护装置
CN206461676U (zh) 可拆卸旋转的手机通用固定装置
KR101655922B1 (ko) 손목 시계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CN201063672Y (zh) 带支架的手机
CN101090278A (zh) 便携设备保护装置
KR101260596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20190034643A (ko)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CN202765151U (zh) 机车收纳结构
KR20130002954U (ko)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KR101371132B1 (ko) 자전거용 거치장치
TWI264493B (en) Key for vehicle
CN210407440U (zh) 一种新型osmo pocket手持保护壳
KR200354503Y1 (ko) 길이가변식 볼펜
KR200481933Y1 (ko) 링끼움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70060191A (ko) 차량용 홀더 수납형 휴대폰 거치장치
US11059428B1 (en) Bike rack attached to vehicle
CN212036388U (zh) 一种手表耳机包
CN214796744U (zh) 一种用于笛子的便携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