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613B1 - 휴대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613B1
KR100370613B1 KR10-2000-0057029A KR20000057029A KR100370613B1 KR 100370613 B1 KR100370613 B1 KR 100370613B1 KR 20000057029 A KR20000057029 A KR 20000057029A KR 100370613 B1 KR100370613 B1 KR 10037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oor
cradle
groove
phon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326A (ko
Inventor
김기일
Original Assignee
김기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일 filed Critical 김기일
Priority to KR10-2000-005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6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대시 보드 상단에 수납홈(250)을 형성하고, 그 수납홈(250)은 힌지(242)를 매개로 한 도어(240)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240)의 내측에는 충전 또는/및 핸즈 프리 통화를 위한 거치대(21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수납홈에 이를 수납시킴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대시 보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외관상 미려하다.
2) 휴대폰 거치대를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향후 IMT 2000 단말기의 사용시에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촬영이 용이하다.
3) 또한, IMT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단말기의 거치 형태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 전방부를 촬영할 수 있게되어 차량 주변의 상황을 녹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 장치{Mobile Phone Hold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휴대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납함과 아울러 도어를 구비하고, 그 도어에 휴대폰 거치대를 부착함으로써 미관상 유리하도록 한 휴대폰의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차량에 핸즈프리 키트 즉, 휴대폰의 충전 및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전화 통화를 위한 거치대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보통 차량의 대시 보드 중앙부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 부근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드라이버로 스크류를 조여 고정시켜야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위치의 대시 보드가 손상되어 미관상 보기 흉하다.
그리고, 거치대의 전원은 거의 대부분이 시거 잭으로부터 공급받으므로 그 전원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친다.
또한, 이러한 거치대는 대시 보드에 돌출되어 장착되므로 차량 내부의 더욱 해치며, 그 거치대는 항상 고정되어 있게되어 향후 IMT 2000 단말기에 의한 화상 통화 시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상하 좌우로의 각도 변화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자동차의 대시 보드의 상부에 수납홈과 이의 수납홈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형성하고, 그 도어의 내측에 충전 및 핸즈프리 통화를 위한 거치대를 부착하여 미관상 미려하며, 거치대의 상하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시 보드 상부에 거치대 삽입홈을 형성하여 그 거치대가 삽입홈에 회동 및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한 휴대폰 거치 장치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
도 2 는 도 1 의 휴대폰 수납 거치 장치의 미사용 상태를 보인 도.
도 3 은 휴대폰 거치 장치 부분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
도 4 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
도 6 은 도 5 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대시 보드 200 : 휴대폰 수납 장치
210 : 거치대 220 : 휴대폰
230 : 회동구 231 : 스테이
232 : 스테이구 240 : 도어
241 : 손잡이 250 : 수납홈
250 : 도어 열림각 조절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휴대폰 거치 장치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대시 보드 상단에 수납홈(250)을 형성하고, 그 수납홈(250)은 힌지(242)를 매개로 한 도어(240)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240)의 내측에는 충전 또는/및 핸즈 프리 통화를 위한 거치대(210)가 회동 수단(23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 수단은 스테이(stay)(231) 및 스테이구(232)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240)는 개방 시 그 개방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어 열림각 조절구(2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하여 휴대폰의 거치 장치가 구비된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로서, 수납 장치(200)는 차량 내부의 대시 보드(100)의 상단 중앙부에 구비되고, 바람직하게는 운전자가 쉽게 수납 장치(200)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가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 장치(200)는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며, 그 도어는 힌지를 매개로 한 도어로 구성하되, 수동적인 개폐 또는 전자적으로 개폐가 가능토록 한 도어 등 다양한 형태의 도어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수납 거치 장치의 미사용 상태를 보인 도로서, 수납홈(250)이 대시 보드(100)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그 수납홈(250)은 힌지(242)를 매개로 한 도어(240)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240)의 내측면에는 휴대폰의 충전 및 핸즈 프리 통화가 가능토록 하는 거치대(210)가 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거치대(210)는 스테이(231)와 스테이구(232)로 구성된 회동구(230)에 의하여 도어(240)에 부착됨으로써 그 거치대(210)는 상하 좌우 회동이 자유스럽게 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10)는 휴드폰이 거치되어 충전 및/또는 통화시 손이 자유로운 상태 즉, 핸즈 프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전원은 그 수납홈(250) 내부에서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은 휴대폰 거치 장치 부분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로서, 사용자가 휴대폰(220)을 거치대(210)에 거치시켜 충전 또는/및 핸즈 프리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240)에 구비된 손잡이(241)를 이용하여 도어(240)를 연 다음 휴대폰(220)을 거치대(210)에 거치시킨다.
이때, 상기 도어(240)는 도어 열림각 조절구(250)에 의하여 그 열리는 각이 조절되는데, 상기 도어 열림각 조절구(250)는 도어(240)에 구비되며, 그 도어(240)가 열리는 경로를 따라 다수개의 홀(251)이 형성되어 있게된다.
또한, 수납홈(250)의 내측 벽면에는 돌기(252)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 열림각 조절구(250)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251) 중 하나가 돌기(252)에 'A'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리게 되어 도어의 열렸을 때 그 열린 각도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거치대(210)에 거치된 휴대폰(220)이 바라보는 위치를 상하 조절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240)를 개방시킨 다음 사용자는 휴대폰(220)을 사용하는게 되는데, 화상 통화가 가능한 IMT 2000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가 거치대(210)를 손으로 잡고 원하는 쪽으로 각도를 변화시키면 그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스테이(231)와 스테이구(232)는 거치대(210)를 회동시켜 각도 변화를 주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IMT 2000 단말기의 경우 그 단말기의 전면부가 거치대(210)와 마주보도록 장착하게 되면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부를 촬영할 수 있게되어 자동차 사고 등의 증거물 확보에도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 는 이러한 본 발명을 사용한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로서, 대시 보드(100) 상단에 본 발명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도어(240)를 연 다음 그 도어(240)의 내측에 부착된 거치대(210)에 휴대폰(220)을 거치시켜 충전 및 화상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로서, 차량의 대시 보드 상단에 결속홈(300)을 형성하고, 충전 또는/및 핸즈 프리 통화를 위한 거치대(330)의 하부에 결속구(310)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홈(300)에 이의 결속구(310)가 삽입되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홈(300)의 내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각도 조절 홈(301)이 다수개 구비되고, 결속구(310)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각도 조절 돌기(311)가 다수게 구비되어 이의 홈(301)과 돌기(311)가 결합되어 거치대(330)의 좌우 회전각 조절 및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310)로부터 거치대(330)는 회동 수단(32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 수단은 스테이(stay)(321) 및 스테이구(322)로 구성된다.
이를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로서, 거치대(330)의 하부에 스테이(321)가 일체로 형성되어 결속구(310)의 상부에 형성된 스테이구(322)와 상하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속구(310)의 외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각도 조절 돌기(31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차량의 대시 보드(100) 상단에 결속홈(3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310)가 이에 결합되는데, 상기 결속구(310)와 결속홈(300)은 회전 가능토록 하기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사 차량의 시거 라이터와 그 잭의 형태와 유사하고, 적용의 편의성과 구성의 용이성을 위해서 시거 라이터와 잭을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거 라이터 잭은 결속홈(300)이 될 수 있고, 시거 라이터는결속구(310)가 될 수 있다.
상기 결속구(310)가 결속홈(300)에 삽입되었을 때 결속구(310)의 돌기(311)가 결속홈(300)의 각도 조절 홈(301)에 걸리게 되어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좌우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돌기(311)와 홈(301)은 다수개 구비되어 좌우 회전각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거치대(330)에 휴대폰(340)을 거치시킨 다음 충전 및/또는 핸즈프리 통화를 하게 되는데, 만일 화상 통화가 가능한 IMT 2000 단말기인 경우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가 거치대(330)를 손으로 잡고 원하는 쪽으로 각도를 변화시키면 그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스테이(321)와 스테이구(322)는 거치대(330)를 회동시켜 각도 변화를 주게된다.
이와 함께 각도 조절 돌기(311)와 각도 조절 홈(301)에 의해서도 거치대의 회전각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310)와 결속홈(300)의 하부에는 각각 전원 공급단(312,30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거치대(33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폰(34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휴대폰의 거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수납홈에 이를 수납시킴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대시 보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외관상 미려하다.
2) 휴대폰 거치대를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향후 IMT 2000 단말기의 사용시에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촬영이 용이하다.
3) 또한, IMT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단말기의 거치 형태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 전방부를 촬영할 수 있게되어 차량 주변의 상황을 녹화할 수 있다.

Claims (8)

  1. 차량의 대시 보드 상단에 수납홈(250)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250)은 힌지(242)를 매개로 한 도어(240)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240)의 내측면에는 충전 또는 핸즈프리 통화를 위한 거치대(21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240)로부터 거치대(210)는 회동 수단(23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회동 수단은 스테이(stay)(231) 및 스테이구(2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240)는 개방 시 그 개방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어 열림각 조절구(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장치.
  5. 차량의 대시 보드 상단에 결속홈(300)을 형성하고, 충전 또는 핸즈프리 통화를 위한 거치대(330)의 하부에 탄성을 갖는 결속구(310)가 구비되어 상기 결속홈(300)에 상기 결속구(310)가 삽입될 때 상기 결속홈(300)이 상기 결속구(310)를 압박 지지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결속홈(300)의 내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각도 조절 홈(301)이 다수개 구비되고, 결속구(310)의 외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각도 조절 돌기(311)가 다수게 구비되어 이의 홈(301)과 돌기(311)가 결합되어 거치대(330)의 좌우 회전각 조절 및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결속구(310)로부터 거치대(330)는 회동 수단(32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회동 수단은 스테이(stay)(321) 및 스테이구(3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장치.
KR10-2000-0057029A 2000-09-28 2000-09-28 휴대폰 거치 장치 KR10037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29A KR100370613B1 (ko) 2000-09-28 2000-09-28 휴대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29A KR100370613B1 (ko) 2000-09-28 2000-09-28 휴대폰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26A KR20020025326A (ko) 2002-04-04
KR100370613B1 true KR100370613B1 (ko) 2003-02-05

Family

ID=3747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029A KR100370613B1 (ko) 2000-09-28 2000-09-28 휴대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19B1 (ko) * 2005-10-10 2007-02-26 노하우뱅크주식회사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KR100809047B1 (ko) * 2007-03-20 2008-03-03 류희석 휴대용 단말기 수납부가 구비된 대시보드
KR101966254B1 (ko) 2012-08-28 2019-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828A (ko) * 1995-12-29 1997-07-24 한승준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828A (ko) * 1995-12-29 1997-07-24 한승준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26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300B1 (en) Cellular phone holder with charger mounted to vehicle dashboard
JP3037217B2 (ja)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KR100768042B1 (ko) 돌출형 마이크 모듈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0079134A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기
CN108638974B (zh) 储物盒、仪表板结构和车辆
KR100370613B1 (ko) 휴대폰 거치 장치
US20020068532A1 (en) Radio handset
KR100827095B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H03227158A (ja) 車載・携帯兼用電話機の車載収納装置
US6665550B1 (en) Compact portable mobile telephone having a battery that constitutes virtual all of a flap
KR200210962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20019798A (ko) 휴대폰 거치 장치
US20060111076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0540398B1 (ko) 휴대폰 거치대
KR100430595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CN218830010U (zh) 一种摄像头支架保护壳
KR20120040824A (ko) 바타입 휴대폰의 악세사리
GB2333006A (en) A radio handset having an integral stand
CN216905267U (zh) 一种tws充电盒
CN212463285U (zh) 一种带翻转式支架的手机壳
KR20020006162A (ko) 핸드폰의 핸즈프리 키트 고정장치
CN217183331U (zh) 一种多功能手机支架补光灯
CN215773217U (zh) 一种多功能手机支架
JPH02306703A (ja) 車携帯用自動車電話機のアンテナ取付装置
CN218124747U (zh) 一种摄像头支架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