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519B1 -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519B1
KR100686519B1 KR1020050094753A KR20050094753A KR100686519B1 KR 100686519 B1 KR100686519 B1 KR 100686519B1 KR 1020050094753 A KR1020050094753 A KR 1020050094753A KR 20050094753 A KR20050094753 A KR 20050094753A KR 100686519 B1 KR100686519 B1 KR 100686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mode
ev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도학만
Original Assignee
노하우뱅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하우뱅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하우뱅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에 의하면; 동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는 단말기(10)를 크래들 어셈블리의 거치대(21)에 거치한 후 이와 접속하는 것만으로 단말기(10)는 설정시간을 주기로 동영상 촬영모드로 자동 진입하여 주변 상황을 촬영한다. 또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모드 신호를 출력하여 단말기(10)에서는 촬영된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자동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에 거치된 단말기(10)에서는 자동 촬영모드로 전환되며 이벤트발생 시 촬영 영상을 자동 저장하여 증거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명령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지 않아도 촬영모드가 자동 실행되므로 사용 편의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CRADLE ASSEMBLY FOR CELLULAR PHONE AND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에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단말기 11..인터페이스
20..본체 21..거치대
22..전원 입력부 24..접속부
30..제어부 40..이벤트 신호 입력부
50..타임설정부 60..재시작 입력부
본 발명은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단말기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동영상 촬영모드를 일정한 루틴(routine)으로 반복 수행시키며 이벤트 발생 시 촬영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 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은 물론이며 영상을 촬영 기록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갖추고 있다. 즉,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는 카메라를 통해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고 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어서, 영상기록 기능도 병행하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자체에 구비된 메모리 용량만큼 촬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카메라를 갖춘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촬영을 위해 키패드를 다수번 조작하여 촬영 명령을 입력해야만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용량만큼의 촬영 후에는 기존 촬영된 이미지를 삭제하여야만 추가로 촬영 저장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단순 촬영만을 수행할 뿐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를 지원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한편,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크래들(cradle;거치대)에 올려놓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 크래들은 단말기를 단순히 고정시키는 용도로만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 처리 프로세서가 탑재된 단말기가 거치되며 이것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만으로 동영상 촬영모드를 일정한 루틴으로 반복 수행시킬 수 있고, 이벤트 발생 시 촬영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 처리 프로세서가 탑재된 단말기와 접속된 후 동영상 촬영모드를 일정한 루틴으로 반복 수행시키며 이벤트 발생 시 촬영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게 할 수 있는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촬영모드와 저장모드 및 모드종료 신호를 입력받아 동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는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외부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부와;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을 감지하며 상기 단말기가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도록 촬영모드 신호, 저장모드 신호, 모드종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모드와 저장모드 및 모드종료 신호를 입력받아 동영상 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는 단말기를 크래들 어셈블리를 통해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의 접속부와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접속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접속감지과정과;
상기 접속감지과정에서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와 상기 단말기가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가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도록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촬영모드신호 출력과정과;
상기 촬영모드신호 출력과정 이후에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임 카운팅과정과;
상기 타임 카운팅과정이 실행된 후 모드종료 및 초기화를 위해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기를 카메라 및 동영상 처리 프로세서가 탑재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 및 충전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마련된 일명 카메라 휴대폰인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는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아 각종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키패드 입력부와,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과,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을 제 어하기 위한 동영상 처리 프로세서 등)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를 갖추고 있다.
또한, 단말기에는 외부전원(충전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외부기기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기기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되는 모드가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통상 24PIN 시스템 커넥터를 통해 연계되어 있는데, 현재 대한민국의 단말기에 적용되는 시스템 커넥터는 표준화되어 있다.
그리고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Cradle Assembly)는 차량의 시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것으로, 단말기(10)를 거치하여 충전하는 것은 물론이며 동영상 촬영모드를 일정한 루틴으로 반복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는 차량의 시거 전원 및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11)와 각각 접속되면 단말기(1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모드를 일정한 루틴으로 반복 수행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운행 중 교통사고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에는 촬영 데이터를 단말기(10)의 메모리에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는 본체(20)의 일측에 마련되며 단말기(1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21)와, 외부전원 즉 자동차 시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부(22)와,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11)와 시스템 케이블(23)을 통해 접속되어 단말기(10)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며 단말기(10)의 제어부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부(24)와, 단말기(10)의 배터리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회로부(25)와, 단말기(10)가 동영상 촬영모드를 일정한 루틴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크래들 어셈블리의 본체(20)는 자동차 실내의 센터페시아(일명, 데시보드)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의 상부에 거치대(21)가 마련된다. 거치대(21)는 단말기(10)의 카메라(미도시)가 차량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단말기(10)를 견실하게 고정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촬영 방향이 주행방향을 향하도록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치대(21)를 틸팅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카메라 위치가 다른 다양한 단말기(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원 입력부(22)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 실내의 시거잭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전원 입력부(22)는 충전회로부(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전원 입력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 전원은 충전회로부(25)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배터리측으로 직접 공급되기도 하며, 레귤레이터(26)를 경유하여 크래들 어셈블리 내부에 탑재된 각종 전자부품에 공급된다.
그리고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어부(30)는 단말기(10)에 접속되면 충전과 함께 설정시간을 주기로 동영상 촬영모드를 반복 실행시키기 위해 각 모드에 해당되는 전기적 신호(명령어)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의 출력측에는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24)가 연계되며, 제어부(30)의 입력측에는 이벤트키(41)와 충격센서(42)를 구비하는 이벤트 신호 입력부(40)와, 설정시간 즉 동영상 촬영주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셋팅할 수 있는 타임설정부(50)와, 사용자가 촬영중지 신호를 임의로 입력할 수 있는 재시작 입력부(60) 등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부(30)에는 단말기(10)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도록 단말기(10)에 촬영모드 신호와, 설정시간이 지난 후 단말기(10)에 모드종료 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30) 출력측의 접속부(24)는 시스템 케이블(23)을 통해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11)에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30)에서는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토콜 또는 UART(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각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단말기(10) 측으로 출력할 수 있는데, 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UART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어부(30)와 단말기(10)의 제어부가 연결되면(접속부(24)와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연결) 즉시 상호 송수신을 하여 단말기(10)의 UART가 초기화되는 것은 물론이며, 단말기(10)의 모델(버전넘버)을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국,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어부(30)에서는 초기에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기(10)와 접속되었는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어부(30)에서는 접속이 유지되는 동안 단말기(10)의 현재 상태, 예를 들면 유휴상태, 아이 들상태, 트래픽(traffic)상태[콜(call),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인터넷사용, 통화중 등의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 입력측의 이벤트 신호 입력부(40)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 입력부로,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되는 푸시버튼 타입의 이벤트 키(41)와, 설정 값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센서(42)로 구별된다. 따라서 제어부(30)에서는 이벤트 키(41) 또는 충격센서(42)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10)측으로 저장모드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로 인해 단말기(10)에서는 촬영된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30) 입력측의 타임설정부(50)는 제어부(30)에서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한 후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설정시간"을 임의로 셋팅하기 위한 것이다. 즉, 타임설정부(50)를 통해 동영상 촬영모드 반복주기를 5분, 10분, 15분 단위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10분으로 설정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30) 입력측의 재시작 입력부(60)는 단말기(10)로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한 후 설정시간이 지나기 전에 사용자의 조작으로 단말기(10)에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재시작 입력부(60) 역시 푸시버튼 형태의 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재시작 입력부(60)를 임의로 동작시키게 되면, 제어부(30)에서는 단말기(10)측으로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제어동작 설명에서 상술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가 자동차 실내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어동작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 장착된 크레들 어셈블리 본체(20)의 거치대(21)에 단말기(10)를 고정시킨다. 이 때, 단말기(10)의 카메라가 자동차 주행방향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거치대(21)를 조정한다. 그리고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원 입력부(22)를 자동차 시거잭에 접속시키고, 접속부(24)와 연계된 시스템 케이블(23)을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11)에 접속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 시동을 온 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어부(30)에서는 전원이 온 되며, 단말기(10)와 UART 프로토콜을 통해 송수신하여 접속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00). [한편, 크래들 어셈블리에 전원이 온(ON) 되면 단말기(10)의 배터리에는 충전이 자동 진행된다.]
그리고 접속감지과정(S100)에서 크래들 어셈블리와 단말기(10)가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어부(30)에서는 단말기(10)의 모델넘버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S110). 이러한 모델넘버 확인과정(S110)은 대부분의 단말기(10)가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면 자체의 모델넘버 정보를 외부로 내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어부(30)에서는 접속된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는 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모델넘버 확인과정(S110)은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어부(30)에 다양한 모델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경우에 필요한 과정이며, 단일 기종의 단말기를 제 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경우에는 모델넘버 확인과정(S110)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계속하여, 모델넘버 확인과정(S110)에서 단말기(10)의 모델넘버를 확인 한 후에는 단말기(10)를 유휴상태로 초기화하기 위해 단말기(10)측으로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한다(S120).
즉,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S120)에서는 단말기(10) 키패드에서 모드종료 키[일명, 엔드 키(END KEY)]를 동작시켜 이의 제어부로 입력되는 신호와 동일한 명령 신호를 내보내는 과정이다. 따라서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S120)을 거치면, 단말기(10)는 초기화 상태(유휴상태)로 유지된다.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S120) 이후에는 동영상촬영신호를 출력한다(S130). 즉, 동영상촬영신호 출력과정(S130)에서는 단말기(10)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영상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동영상촬영신호 출력과정(S130)이 실행되면, 단말기(10)에서는 동영상촬영 및 촬영시작 모드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카메라를 동작 동영상 촬영이 시작되며, 이로 인해 자동차 주행상황이 촬영되어 단말기(10)의 메모리(미도시)에 임시 저장된다.
이와 같이, 동영상촬영신호 출력과정(S130) 이후에는 동영상 촬영 경과시간을 카운팅한다(S140). 이러한 타임카운팅 과정(S140)은 동영상 촬영을 설정시간을 주기로 반복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타임카운팅 과정(S14)이 시작된 이후에는 단말기(10)가 아이들 상태인가를 1차 판단한다(S150). 1차 아이들 판단과정(S150)에서 아이들 상태로 판 단되면 계속하여 촬영 경과시간을 카운팅하고, 아이들 상태가 아니면 단말기(10)가 트래픽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90).
트래픽상태 판단과정(S190)에서는 동영상 촬영을 시작한 이후에 단말기(10)에 콜(call),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인터넷사용, 통화중 등과 같이 트래픽이 걸린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트래픽 상태 지속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며 트래픽 상태가 종료되면 단말기(10)에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S12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1차 아이들 판단과정(S150)에서 아이들 상태로 판단되어 촬영 경과시간을 카운팅하는 도중에 재시작신호 입력부(60)를 통한 재시작신호가 미입력되는 가를 판단한다(S160). 재시작신호 입력 판단과정(S160)에서 재시작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단말기(10)가 트래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90)으로 되돌아가고 계속하여 트래픽 상태가 아니면 단말기(10)에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S120)으로 리턴한다.
한편, 재시작신호 입력 판단과정(S160)에서 재시작신호가 미입력되면, 계속적으로 타임 카운팅을 실행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S170).
설정시간 경과여부 판단과정(S170)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71). 그리고 이벤트신호 입력 판단과정(S171)에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타임 카운팅을 실행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예서는 아이들 상태를 판단하는 1차 아이들 상태 판단과정(S150)으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이벤트신호 입력 판단과정(S171)에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단말기(10)에 저장모드 신호를 출력한다(S171). 이러한 저장모드신호 출력과정(S172)은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기 직전까지 촬영된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단말기(10)에서는 저장모드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동안 촬영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동영상 파일로 저장한다. 이벤트 신호는 수동으로 동작되는 이벤트 키(41) 또는 충격센서(42)로부터 입력되는데, 교통사고와 같은 충격으로 충격센서(42)에 의한 입력인 경우 이벤트 영상을 자동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경미한 교통사고로 인해 충격센서(42)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키(41)를 통해 이벤트 신호를 임의로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계속하여, 저장모드신호 출력과정(S172)을 실행한 다음에는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S120)으로 되돌아가 동영상 촬영을 다시 시작한다.
또한, 설정시간 경과 판단과정(S170)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단말기(10)가 아이들 상태인가를 2차로 판단한다(S180). 2차 아이들 판단과정(S180)에서 단말기(10)의 상태가 아이들로 판단되면 즉시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S120)으로 되돌아가 동영상 촬영을 다시 시작하고, 아이들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기(10)가 트래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트래픽상태 판단과정(S190)을 경유하여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S120)으로 되돌아간다. 2차 아이들상태 판단과정(S180)은 동영상 촬영 도중에 단말기(10)를 다르게 조작(예를 들면 통화중)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설정시간이 지나는 순간에 모드종료신호를 즉시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단말기(10)가 일정한 루틴으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그때까지 촬영된 데이터는 단말기(10)의 메모리에 동영상 파일로 저장된 후 동영상 촬영이 또다시 시작된다. 그리고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그 때까지 촬영된 데이터는 소실되며 새로운 동영상 촬영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크래들 어셈블리와 단말기(10)가 접속돼있는 동안 반복 실행된다.
결국, 카메라 및 동영상 처리 프로세서가 탑재된 단말기(10)를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어셈블리와 접속되면 차량의 전방상황을 일정한 루틴으로 반복 촬영하며, 이로 인해 단말기를 블랙박스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별도 조작을 행하지 않고도 촬영 영상을 간편하게 녹화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을 증대함과 아울러 교통사고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증거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에 의하면; 크래들 어셈블리에 거치한 후 이와 접속하는 것만으로 단말기는 동영상 촬영모드로 반복 진입되어 자동으로 주변 상황을 촬영하며, 이벤트 발생 시 이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크래들 어셈블리에 거치된 단말기에서는 자동 촬영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 있어서 증거 영상을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명령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지 않아도 촬영모드가 자동 실행되므로 사용 편의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촬영모드와 저장모드 및 모드종료 신호를 입력받아 동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는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외부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부와;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와 USB 프로토콜 또는 UART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부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며 이벤트 발생 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이벤트 신호 입력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을 감지하며 상기 단말기가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도록 촬영모드 신호, 저장모드 신호, 모드종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설정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모드종료 신호를 일정 주기로 반복 출력하고, 상기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한 이후 설정시간이 지나기 전에 상기 이벤트 신호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모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시킬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모드 신호를 출력한 이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신호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되는 푸시버튼 타입의 이벤트 키,
    또는 설정 값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입력측에는 상기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설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타임설정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입력측에는 재시작 입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재시작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8. 삭제
  9. 삭제
  10. 촬영모드와 저장모드 및 모드종료 신호를 입력받아 동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는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외부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부와;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와 USB 프로토콜 또는 UART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부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며 이벤트 발생 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이벤트 신호 입력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가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도록 촬영모드 신호, 저장모드 신호, 모드종료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벤트 신호 입력부로부터 신호기 입력되면 상기 저장모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시킬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크래들 어셈블리를 통해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의 접속부와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접속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접속감지과정과;
    상기 접속감지과정에서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와 상기 단말기가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가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도록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촬영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촬영모드신호 출력과정과;
    상기 촬영모드신호 출력과정 이후에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임 카운팅과정과;
    상기 타임 카운팅과정이 실행된 후 모드종료 및 초기화를 위해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타임 카운팅과정과 상기 설정시간경과 판단과정 사이에서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의 이벤트 신호 입력부에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신호 입력 판단과정에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저장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저장모드신호 출력과정을 거친 후 상기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감지과정과 상기 촬영모드신호 출력과정 사이에서는 상기 단말기를 초기화하기 위해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모드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을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신호 입력부에서의 이벤트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되는 푸시버튼 타입의 이벤트 키, 또는 설정 값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발생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14.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카운팅과정과 상기 설정시간경과 판단과정 사이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인가를 1차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며;
    상기 1차 아이들상태 판단과정에서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설정시간경과 판단과정을 실행하고, 아이들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가 트래픽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며;
    상기 트래픽상태 판단과정에서 트래픽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경과 판단과정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됐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인가를 2차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며;
    상기 2차 아이들상태 판단과정에서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을 즉시 실행하고, 아이들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트래픽상태 판단과정을 실행한 후 상기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카운팅과정과 설정시간경과 판단과정 사이에서는 상기 크래들 어셈블리의 재시작 입력부에서 재시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며;
    상기 재시작신호 입력 판단과정에서 재시작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모드종료신호 출력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17. 삭제
KR1020050094753A 2005-10-10 2005-10-10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KR100686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753A KR100686519B1 (ko) 2005-10-10 2005-10-10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753A KR100686519B1 (ko) 2005-10-10 2005-10-10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519B1 true KR100686519B1 (ko) 2007-02-26

Family

ID=3810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753A KR100686519B1 (ko) 2005-10-10 2005-10-10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5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326A (ko) * 2000-09-28 2002-04-04 김기일 휴대폰 거치 장치
KR100420863B1 (ko) 2003-06-23 2004-03-02 유병섭 영상기록수단을 갖춘 핸드폰
KR20050024005A (ko) * 2003-09-04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KR100502724B1 (ko) * 2004-11-24 2005-07-21 노하우뱅크(주) 자동촬영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109113A (ko) * 2004-05-13 2005-11-17 이영준 동영상 카메라폰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326A (ko) * 2000-09-28 2002-04-04 김기일 휴대폰 거치 장치
KR100420863B1 (ko) 2003-06-23 2004-03-02 유병섭 영상기록수단을 갖춘 핸드폰
KR20050024005A (ko) * 2003-09-04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장치 및 방법
KR20050109113A (ko) * 2004-05-13 2005-11-17 이영준 동영상 카메라폰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처리장치
KR100502724B1 (ko) * 2004-11-24 2005-07-21 노하우뱅크(주) 자동촬영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502724000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642B1 (ko) 외부 장치별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외부 장치 운용 시스템
US8891003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hot shoe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CN105720644A (zh) 充电控制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4111719A (zh) 控制电池与主体设备断开的方法和装置
US1188223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with function limitation, function limitation method thereof, and processing program used in same
CN105071473A (zh) Usb充电方法及装置
CN105282446A (zh) 相机管理方法及装置
CN111526289A (zh) 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100686519B1 (ko) 단말기용 크래들 어셈블리 및 이의 동영상 촬영 제어방법
KR101635107B1 (ko) 분리형 무선 카메라 시스템
JP2006527953A (ja) モバイル電子装置用の盗難防止システム
CN104967174A (zh) 充电控制方法及装置
CN106299515A (zh) 充电方法及装置
KR100420863B1 (ko) 영상기록수단을 갖춘 핸드폰
KR20070100681A (ko) 자동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0643519B1 (ko) 동영상 처리 프로세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동영상촬영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8155646B2 (en) Wireless terminal having a pre-scan during image display
CN106060251A (zh) 短信息查阅方法、装置及相关设备
KR20070058585A (ko) 자동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장치
JP4896066B2 (ja) 電子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KR100781212B1 (ko) 휴대용 영상기록시스템
KR100754998B1 (ko) 휴대용 영상기록시스템
KR101070026B1 (ko) 동영상 촬영 장치 및 동영상 촬영 방법
JP2005244633A (ja) クレー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