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088A -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088A
KR19980086088A KR1019970022335A KR19970022335A KR19980086088A KR 19980086088 A KR19980086088 A KR 19980086088A KR 1019970022335 A KR1019970022335 A KR 1019970022335A KR 19970022335 A KR19970022335 A KR 19970022335A KR 19980086088 A KR19980086088 A KR 19980086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hole
mounting structure
bush
suspens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1177B1 (ko
Inventor
김화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2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17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2Rolling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 1,2 부시(6)(6a)의 삽입공(5)과 서스펜션 아암(3)의 체결공(4)에 끼워지는 볼트(7)가 내부에 매설된 받침대(8)와, 상기 받침대(8) 상부에 일체로 동심원을 유지하여 형성된 연결구(9)와, 상기 연결구(9) 내부에 압착 성형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10)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부시(11)와, 상기 부시(11)의 관통공(10)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져 바(12)로 구성된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여 차량의 롤링시 수직 코드에 대한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롤 제어성능이 양호하고, 구속지지점의 유동량이 적어 롤 제어가 정확하며, 스테빌라이져 바와 서스펜션 아암 사이의 구속력이 적어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서스펜션 아암은 고무재질의 제 1,2 부시 사이에 설치하고 스테빌라이져 바는 스틸재의 보강심이 내설된 합성수지 재인 연결구의 관통에 끼워 고정하여 이들을 볼트로써 체결함으로써 차량의 롤링시 수직 코드에 대한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롤 제어성능이 양호하고, 구속지지점의 유동량이 적어 롤 제어가 정확하며, 스테빌라이져 바와 서스펜션 아암 사이의 구속력이 적어 강성을 증대시키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는,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부착되는 비틀림 봉스프링(토션 바)으로서 프런트 및 리어부의 바퀴 모두에 사용되고, 토션 바의 양끝을 좌우의 서스펜션(로암)에 부착하고 좌. 우바퀴의 움직임에 차이가 있을 때만 작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차량이 코너링을 할 때 바깥쪽 바퀴가 부딪히거나 안쪽 바퀴가 튀어오르는데, 이때 좌. 우바퀴의 움직임을 같게 하는 작용을 하여 차체의 기울기를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좌. 우바퀴가 동시에 충격 또는 리바운드 할 때에는 작용 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측 바퀴(a)에 너클(b)로써 체결되는 서스펜션 아암(c)과, 상기 서스펜션 아암(c)의 좌. 우측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e)의 상. 하부에 일치되고 체결공(e)과 연통하는 삽입공(f)이 형성된 제 1, 2 부시(g)(g-1)와, 상기 제 1 부시(g) 상부에 밀착되고 관통공(h)이 형성된 스페이서(i)와, 상기 스페이서(i) 상부에 밀착되는 동시에 스페이서(i)의 관통공(h)과 연통되게 통공(j)이 형성된 제 3 부시(k)와, 상기 제 3 부시(k) 상부에 안착되고 제 3 부시(k)의 통공(j)과 연통되는 결합공(l)이 형성된 스테빌라이져 바(m)와, 상기 스테빌라이저(m)의 결합공(l)에 일치되는 통공(j)이 형성된 제 4 부시(k-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4 부시(k)(k-1)의 통공(j)과 스테빌라이져 바(m)의 결합공(l)과 스페이스(i)의 관통공(h)과 제 1, 2 부시(g)(g-1)의 삽입공(f)과 서스펜션 아암(d)의 체결공(e)을 통하여 볼트(d) 및 너트(d-1)로써 체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m)는 프런트 및 리어부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제 1,2,3,4 부시(g)(g-1)(k)(k-1)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테빌라이져 바의 마운팅구조는, 먼저 볼트(d)의 외경에 제 2 부시(g-1)의 삽입공(f)을 끼운다음, 좌. 우 바퀴(a)에 너클(b)로써 체결된 서스펜션 아암(c)의 체결공(e) 저부를 통하여 볼트(d)를 끼운 후, 볼트(d) 외경에 제 1 부시(g)의 삽입공(f)과 스페이서(i)의 관통공(h)과 제 3 부시(k)의 통공(j)과 스테빌라이져 바(m)의 결합공(l)과 제 4 부시(k-1)의 통공(j)을 순차적으로 끼운 상태에서 볼트(d) 외경에 너트(d-1)로써 조이면, 각부분품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동시에 일정형태로 굴곡된 스테빌라이져 바(m)가 서스펜션 아암(c)에 마운팅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시 코너를 선회할 때 작용하는 원심력 때문에 차체가 좌. 우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 우 바퀴(a)가 상. 하운동을 서로 반대로 할 때 그 상. 하운동 즉, 롤링이 양 바퀴(a)에 연결된 너클(b)을 통하여 서스펜션 아암(c)에 전달되고 서스펜션 아암(c)에 제 1,2,3,4부시(g)(g-1)(k)(k-1)와 볼트(d) 및 너트(d-1)로써 체결 고정된 스테빌라이져 바(m)에 전달될 때, 스테빌라이져 바(m)가 비틀림 작용을 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스테빌라이져 바(m)의 비틀림으로써 차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는, 서스펜션 아암과 스테빌라이져 바를 상호 고정시키는 수단이 고무재질의 제 1,2,3,4 부시를 설치함으로서 자동차의 좌. 우 바퀴가 상. 하운동을 서로반대로 할 때, 즉 롤링 운동시 감각력이 늦어 원활한 롤링 제어가 어렵고, 또한 서스펜션 아암과 스테빌라이저 암 사이의 구속력이 커져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중 코너링시 좌. 우 바퀴가 상하운동을 서로반대로 할 때, 즉 롤링 운동시 구속지지점의 유동량이 적어 롤링제어가 정확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제 1,2 부시의 삽입공과 서스펜션 아암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볼트가 내부에 매설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부에 일체로 동심원을 유지하여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 내부에 압착 성형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부시와, 상기 부시의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져 바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설명〉
3 : 서스텐션 아암 4 : 체결공
5 : 삽입공 6, 6a : 제 1,2 부시
7 : 볼트 8 : 받침대
9 : 연결구 10 : 관통공
11 : 부시 12 : 스테빌라이져 바
13 : 보강심 14 : 보강리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 우측 바퀴(1)에 너클(2)로써 체결되는 서스펜션 아암(3)과, 상기 서스펜션(3)의 좌. 우측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4)의 상. 하부에 일치되고 상기 체결공(4)과 연통하는 삽입공(5)이 형성된 제 1, 2 부시(6)(6a)로 이루어진 통상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2 부시(6)(6a)의 삽입공(5)과 서스펜션 아암(3)의 체결공(4)에 끼워지는 볼트(7)가 내부에 매설된 받침대(8)와, 상기 받침대(8) 상부에 일체로 동심원을 유지하여 형성된 연결구(9)와, 상기 연결구(9) 내부에 압착 성형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10)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부시(11)와, 상기 부시(11)의 관통공(10)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져 바(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시(11)의 내부에는 스틸재질의 보강심(13)을 내설치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받침부(8) 양측에 보강리브(13)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볼트(7)에 와셔(7a)를 끼우고 너트(7b)를 체결하여 서스펜션 아암(3)에 제 1,2 부시(6)(6a)와 받침대(8)와 부시(11)가 안정되게 고정되고 부시(11)의 관통공(10)에 끼워진 스테빌라이져 바(12)가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12)는 프런트 및 리어부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좌. 우의 바퀴(1)에 너클(2)로써 체결된 서스펜션 아암(3)의 체결공(4) 상부와 하부에 제 1,2 부시(6)(6a)의 삽입공(5)을 일치시키고, 제 1,2 부시(6)(6a)의 삽입공(5)과 서스펜션 아암(3)의 체결공(4)을 통하여 받침대(8) 내부에 매설된 볼트(7)를 끼운 다음, 볼트(7) 외경에 와셔(7a)와 너트(7b)로써 체결하면, 서스펜션 아암(3) 상에 제 1,2 부시(6)(6a)와 받침대(8)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9)와 연결구(9) 내부에 압착 성형된 고무재질의 부시(11)가 고정되고, 상기 부시(11)의 관통공(10)에 일정형태로 절곡된 스테빌라이져 바(12)를 끼우면, 스테빌라이져 바(12)의 마운팅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시 코너를 선회할 때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차체가 좌. 우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 우 바퀴(1)가 상. 하운동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할 때에는 그 상. 하운동 즉, 롤링이 양 바퀴(1)에 연결된 너클(2)을 통하여 서스펜션 아암(3)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 전달된 롤링이 서스펜션 아암(3)이 설치된 제 1,2부시(6)(6a)와 볼트(7), 와셔(7a) 및 너트(7b)로써 체결고정된 연결구(9)와 연결구(9)의 관통공(10)에 끼워진 스테빌라이져 바(12)에 전달될 때, 스테빌라이져 바(12)가 비틀림운동을 하게 되어 차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시(11) 내부에 스틸재인 보강심(13)이 압착성형 되어 있어 전달되는 스테빌라이져 바(12)의 롤링의 제어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받침대(8)의 양측에 형성된 보강리브(14)가 받침대(8)를 고정 지지하게 스테빌이저 바(12)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서스펜션은 고무재질의 제 1,2 부시 사이에 설치하고 스테빌라이져 바는 스틸재의 보강심이 내설된 합성수지 재인 연결구의 관통공에 끼워고정하여 이들을 볼트로써 체결함으로써 차량의 롤링시 수직 코오치에 대한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롤 제어성능이 양호하고, 구속지지점의 유동량이 적어 롤 제어가 정확하며, 스테빌라이져 바와 서스펜션 아암 사이의 구속력이 적어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좌. 우측 바퀴(1)에 너클(2)로써 체결되는 서스펜션 아암(3)의 좌. 우측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4)의 상. 하부에 일치되고 체결공(4)과 연통하는 삽입공(5)이 형성된 제 1, 2 부시(6)(6a)로 이루어진 통상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2 부시(6)(6a)의 삽입공(5)과 서스펜션 아암(3)의 체결공(4)에 끼워지는 볼트(7)가 매설된 받침대(8)와, 상기 받침대(8) 상부에 일체로 동심원을 유지하여 형성된 연결구(9)와, 상기 연결구(9) 내부에 압착 성형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10)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부시(11)와, 상기 부시(11)의 관통공(10)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져 바(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11)의 내부에 스틸재질의 보강심(13)을 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8) 양측에 보강리브(1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KR1019970022335A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KR10023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335A KR100231177B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335A KR100231177B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088A true KR19980086088A (ko) 1998-12-05
KR100231177B1 KR100231177B1 (ko) 1999-11-15

Family

ID=1950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335A KR100231177B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1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1177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5251A (ja) 自動車用スタビライザーバー
US4203615A (en) Automotive vehicle suspension
JPS61122013A (ja) 自動車サスペンシヨン
KR200487124Y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JPH10157429A (ja) ねじり力ブッシング装置
KR960005902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31177B1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JP2001187528A (ja) 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JPH11321260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ロッド
KR100412858B1 (ko) 현가장치의 어퍼암
CN216708952U (zh) 后稳定杆连接杆和具有其的车辆
JP2002103941A (ja) スタビライザリンク
KR100266076B1 (ko) 트레일링 암형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부시(A suspension bush using in a trailing arm type)
KR100361296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JP2000177346A (ja)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KR100507164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암 지지구조
KR200317033Y1 (ko) 차량의수직강성제어가개선된스테빌라이저바
KR19980040190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프레스로어암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20010059832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구조
KR100231516B1 (ko) 자동차 프론트구조의 비틀림강성 증대구조
KR19980032757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20020044519A (ko) 현가 장치의 로어 아암
KR19980016103A (ko) 현가장치용 l형 로워아암의 수지형 부쉬구조
KR19980021623A (ko) 어퍼암 부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