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085A -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085A
KR19980086085A KR1019970022332A KR19970022332A KR19980086085A KR 19980086085 A KR19980086085 A KR 19980086085A KR 1019970022332 A KR1019970022332 A KR 1019970022332A KR 19970022332 A KR19970022332 A KR 19970022332A KR 19980086085 A KR19980086085 A KR 1998008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at
bus
movab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2630B1 (ko
Inventor
손종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2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630B1/ko
Publication of KR1998008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는 버스 내부의 창측에 설치되는 고정시트(20)의 저면에 결합공(24)과 끼움공(26)이 형성된 고정부재(22)를 설치하고, 이동시트(3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부재(22)의 결합공(24)에 삽입되고 고정공(34)이 형성된 이동부재(32)를 설치하며, 이동시트(30)의 다리(36)는 버스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홈(4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시켜, 이동시트(30)가 좌.우측으로 이동될 때 이동된 이동시트(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60)을 고정시트(20)의 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시트(20)와 이동시트(30)의 내측면에 접철 가능하도록 팔걸이(50A,50B)를 설치한 것으로, 승객이 옆시트와의 간격을 조정할 경우에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이동시트(30)의 고정을 해제하고 이동시트(30)를 버스의 중앙통로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옆시트 즉, 고정시트(20)에 앉은 승객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호 편안하고 안락한 여행을 할 수 있고, 고정시트(20)와 이동시트(30)의 내측면에 설치된 팔걸이(50A,50B)를 펼쳐, 그 상면에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본 발명은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버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창측시트와 내측시트에 상호 삽입되는 부재와 고정수단이 설치되고, 팔걸이가 힌지에 의해 접철되게 결합되며, 버스의 바닥면에 이동홈이 형성되어 이동되는 시트의 다리가 슬라이딩되게 결합됨으로써, 시트와 시트 간격을 승객의 취향대로 조정하여 승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접철가능한 팔걸이를 이용하여 소지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내부에는 두 개가 1조가 된 시트가 중앙통로를 중심으로 좌.우양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버스의 시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성인의 체격에 맞도록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다.
즉, 창측에 설치된 시트와 내측에 설치된 시트가 각각 독립적인 시트이나 양 측면이 상호 고정된 구조였던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버스용 시트는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바다면(a)에 창측시트(b)와 내측시트(c)의 양측면이 상호 결합되어 있었고, 창측시트(b)와 내측시트(c)의 접촉면에는 한 개의 중앙팔걸이(d)가 설치되어 있고, 창측시트(b)의 외측에는 외측팔걸이(e)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시트(c)의 내측에는 내측팔걸이(f)가 설치되어 있었으며, 상기 중앙팔걸이(d)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버스도 있었다.
상기와 같이 창측시트(b)와 내측시트(c)가 상호 접촉되어 고정설치된 종래의 시트는 승객이 창측시트(b)와 내측시트(c)에 앉을 경우에, 공간이 협소하여 두 승객은 상호 접촉하게 되고 서로 모르는 사이일 경우에는 불쾌감을 주는 일이 종종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창측시트(b)와 내측시트(c)의 사이에 하나의 중앙팔걸이(d)가 설치된 관계로 승객서로가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고,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소지품은 앞좌석의 배면에 설치된 그물망에 보관하고 있었으나, 그물망의 용량이 적어 많은 물건을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시트와 이동시트가 서로 분리되어 이동시트가 통로측으로 이동되고, 팔걸이가 접철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고정시트와 이동시트 사이를 조정할 수 있어, 상기 시트에 각각 앉은 승객이 상호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승차감을 즐길 수 있고, 접철가능하게 설치된 팔걸이를 이용하여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는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 내부의 창측에 설치되고 측면 중간부에 고정수단이 설치되며 그 저면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시트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끼움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이동부재가 그 저면부에 설치되고 버스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홈에 끼워지는 다리를 구비한 이동시트와, 상기 고정시트의 내측과 이동시트의 외측에 힌지 결합되는 팔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손잡이가 형성된 회동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시트의 측면 중간부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팔걸이는 그 내측면에 돌설된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시트와 이동시트의 등받이부 측면에 형성되고 누름편을 구비한 고정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의한 버스용 시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의 팔걸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고정시트
22 : 고정부재 24 : 결합공
26 : 끼움공 30 : 이동시트
32 : 이동부재 34 : 고정공
36 : 다리 40 : 이동홈
50A,50B : 팔걸이 52A,52B : 힌지
60 : 고정수단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같은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시트의 팔걸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버스 내부의 창측에 설치되고 측면 중간부에 고정수단(60)이 설치되는 고정시트(20)의 저면부에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끼움공(26)이 형성된 고정부재(22)가 볼트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22)의 결합공(24)에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끼움공(26)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고정공(34)이 형성된 이동부재(32)가 이동시트(30)의 저면부에 볼트로 설치되며 상기 이동시트(30)의 다리(36)가 버스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홈(40)에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고정시트(20)의 내측과 이동시트(30)의 외측에 팔걸이(50A,50B)가 힌지(52A,52B)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60)은 일측에 끼움돌기(64)가 형성되고 손잡이(66)가 형성된 회동부재(62)가 고정볼트(68)에 의해 고정시트(20)의 측면 중간부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팔걸이(50A,50B)는 그 내측면에 돌설된 걸림돌기(55A,55B)가 상기 고정시트(20)와 이동시트(30)의 등받이부(53A,53B) 측면에 형성된 누름편(54A,54B)을 구비하고 탄성을 갖는 고정돌기(56A,56B)에 각각 결합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내부의 창측에 설치된 고정시트(20)의 측면 중간부에, 끼움돌기(64)가 형성되고 손잡이(66)가 형성된 회동부재(62)로 구성된 고정수단(60)이 고정볼트(68)에 의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저면부에는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전면에 끼움공(26)이 형성된 고정부재(22)가 볼트에 의해 설치되며, 그 등받이부(53A) 측면에 누름편(54A)을 구비한 고정돌기(56A)가 내설되고, 버스 내부의 내측에 설치된 이동시트(30)의 그 등받이부(53B) 측면에 누름편(54B)을 구비한 고정돌기(56B)가 내설되고, 저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22)의 결합공(24)에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끼움공(26)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고정공(34)이 형성된 이동부재(32)가 볼트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이동시트(30)의 다리(36)가 버스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홈(40)에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고정시트(20)의 내측과 이동시트(30)의 외측에는 걸림돌기(55A,55B)가 형성된 팔걸이(50A,50B)가 힌지(52A,52B)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접철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승객이 고정시트(20)에서 이동시트(30)를 분리하여 시트(20,30)간의 간격을 조정할 경우에 이동시트(30)에 앉은 승객이 고정시트(20)의 측면에 회동되도록 설치된 고정수단(60)의 회동부재(62) 손잡이(66)를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22)의 끼움공(26)과 상기 고정부재(22)의 결합공(24)에 삽입된 이동부재(32)의 고정공(34)에 끼워져 상기 이동시트(3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던 회동부재(62)의 일측에 돌설된 끼움돌기(64)가 빠져나오게 되고, 상기 이동부재(32)는 고정부재(22)의 결합공(24)에서 이탈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32)와 고정부재(22)를 고정하고 있던 고정수단(60)의 끼움돌기(64)가 끼움공(26)과 고정공(34)에서 이탈되어 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승객이 이동시트(30)를 버스 내부의 중앙통로측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22)의 결합공(24)에 삽입되어 있던 이동시트(30)의 이동부재(32)가 결합공(24)으로부터 이탈되고, 버스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홈(40)에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어 있던 이동시트(30)의 다리(36)가 버스의 중앙통로측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이동시트(30)는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시트(30)의 다리(36)는 버스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홈(40)에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로의 이동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시트(30)가 버스의 중앙 통로측으로 적절하게 이동되면, 승객은 고정시트(2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이동된 이동시트(3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수단(60)의 손잡이(66)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고정수단(60)의 손잡이(66)가 하방으로 회동되면, 회동부재(62)의 일측에 돌설된 끼움돌기(64)는 고정부재(20)의 끼움공(26)을 관통하여 이동부재(32)의 고정공(34)에 삽입되게 되고, 이로써 중앙 통로측으로 이동된 이동시트(30)의 위치는 고정되게 된다.
이는 이동부재(32)의 전면에 고정공(34)이 다수개 형성된 관계로 승객이 이동시트(30)를 원하는 간격만큼만 이동시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버스의 중앙 통로측으로 이동된 이동시트(30)에 앉은 승객의 소지품은, 고정시트(20)의 외측면과 이동시트(30)의 내측면에 접철가능하도록 각각 힌지(52A,52B) 결합된 팔걸이(50A,50B)를 펼쳐 그 상면에 보관할 수 있다.
즉, 이동시트(30)가 이동되면 고정시트(20)와 이동시트(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때, 승객이 이동시트(30)의 등받이부(53B) 내측면에 내설되고 탄성을 갖는 고정돌기(56B)로부터 팔걸이(50B)의 걸림돌기(55B)를 고정 해제하기 위해 고정돌기(56B) 상부에 돌설된 누름편(54B)을 누르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56B)가 일측으로 휘게 되어 상기 팔걸이(50B)의 걸림돌기(55B)는 고정돌기(56B)로부터 이탈되고, 팔걸이(50B)는 힌지(52B)를 중심으로 해서 하방으로 회동되며, 회동되는 팔걸이(50B)의 하단면이 이동시트(30)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팔걸이(50B)는 더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팔걸이(50B)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그 하단면이 이동시트(30)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팔걸이(50B)의 상면에 승객의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다.
승객이 팔걸이(50B)에 소지품을 보관하지 않고 단순히 팔걸이(50B)의 기능만을 원한다면, 승객은 팔걸이(50B)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팔걸이(50B)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돌기(55B)가 고정돌기(56B)에 걸리도록 팔걸이(50B)의 상면을 이동시트(30)의 등받이부(53B)에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5B)의 경사진 끝단이 고정돌기(56B)의 경사진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상기 팔걸이(50B)는 등받이부(53B)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시트(20)의 측면에 설치된 팔걸이(50A)의 작동과정은 상기 이동시트(30)의 팔걸이(50B)가 작동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팔걸이(50B)가 등받이부(53B)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된 이동시트(30)를 고정시트(20)와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수단(60)의 손잡이(66)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66)의 회동으로 고정부재(22)의 끼움공(26)과 이동부재(32)의 고정공(34)에 삽입되어 있던 회동부재(62)의 끼움돌기(64)가 끼움공(36)과 고정공(34)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로써, 이동시트(30)는 고정이 해제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승객이 이동시트(30)를 고정시트(20)측으로 밀게되면, 이동시트(30)의 이동부재(32)는 고정부재(22)이 결합공(24)에 삽입되고, 이동시트(30)의 다리(36) 끝단부는 버스 바닥면의 이동홈(40)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시트(30)가 고정시트(20) 측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고정수단(60)의 손잡이(66)를 회동시켜 회동부재(62)의 끼움돌기(64)가 고정부재(22)의 끼움공(26)을 관통하여 이동부재(32)의 고정공(34)에 끼우지도록 하게 되면 이동시트(30)의 좌.우 이동은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는 버스 내부의 창측에 설치되는 고정시트의 저면에 결합공과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이동시트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고 고정공이 형성된 이동부재를 설치하며, 이동시트의 다리는 버스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시켜, 이동시트가 좌.우측으로 이동될 때 이동된 이동시트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고정시트의 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시트와 이동시트의 내측면에 접철가능하도록 팔걸이를 설치한 것으로, 승객이 옆시트와의 간격을 조정할 경우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시트의 고정을 해제하고 이동시트를 버스의 중앙 통로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옆시트 즉, 고정시트에 앉은 승객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호 편안하고 안락한 여행을 할 수 있고, 고정시트와 이동시트의 내측면에 설치된 팔걸이를 펼쳐, 그 상면에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3)

  1. 버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버스용 시트(10)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내부 창측에 설치되고 측면 중간부에 고정수단(60)이 설치되며 그 저면부에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끼움공(26)이 형성된 고정부재(22)가 설치되는 고정시트(20)와, 상기 고정부재(22)의 결합공(24)에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끼움공(26)과 대응되는 고정공(34)이 형성된 이동부재(32)가 그 저면부에 설치되며 버스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홈(40)에 끼워지는 다리(36)를 구비한 이동시트(30)와, 상기 고정시트(20)의 내측과 이동시트(30)의 외측에 힌지(52A,52B) 결합되는 팔걸이(50A,5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0)은 일측에 끼움돌기(64)가 형성되고 손잡이(66)가 형성된 회동부재(62)가 고정볼트(68)에 의해 고정시트(20)의 측면 중간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50A,50B)는 그 내측면에 돌설된 걸림돌기(55A,55B)가 상기 고정시트(20)와 이동시트(30)의 등받이부(53A,53B) 측면에 형성되고 누름편(54A,54B)을 구비한 고정돌기(56A,56B)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KR1019970022332A 1997-05-31 1997-05-31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KR10021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332A KR100212630B1 (ko) 1997-05-31 1997-05-31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332A KR100212630B1 (ko) 1997-05-31 1997-05-31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085A true KR19980086085A (ko) 1998-12-05
KR100212630B1 KR100212630B1 (ko) 1999-08-02

Family

ID=1950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332A KR100212630B1 (ko) 1997-05-31 1997-05-31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6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720A (ko) * 2002-11-25 2004-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버스의 시트구조
KR100499780B1 (ko) * 2002-11-25 2005-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버스의 시트구조
KR200490920Y1 (ko) 2018-11-07 2020-01-21 명보기업 주식회사 버스 승객용 좌석시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6143B2 (ja) * 2010-12-09 2015-04-2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720A (ko) * 2002-11-25 2004-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버스의 시트구조
KR100499780B1 (ko) * 2002-11-25 2005-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버스의 시트구조
KR200490920Y1 (ko) 2018-11-07 2020-01-21 명보기업 주식회사 버스 승객용 좌석시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2630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410B2 (en) Folding chair
US5277472A (en) Multi-function infant car seat including glider assembly
US5676386A (en) Stroller in combination with a safety seat assembly
JPH11291917A (ja) ベビ―カ―、その車台及び座席
JP2006528896A (ja) シート付きケース
US6679779B2 (en) Structure for an infant's rocket
KR950007778B1 (ko) 안전시트 겸용 유모차
JPS6339452B2 (ko)
US5441328A (en) Adjustable seat back for a stroller
KR100212630B1 (ko) 버스의 좌.우이동형 시트구조
US5765909A (en) Chair with self storable tray
CN215226117U (zh) 折叠椅
JPS6342848Y2 (ko)
JP3626912B2 (ja) 椅子
JP3297280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オットマン装置
CN112498394B (zh) 用于运输工具的座椅装置
JPH0115538Y2 (ko)
JPH0232509Y2 (ko)
JP3272169B2 (ja) 車輌用シート
JPS6216358Y2 (ko)
JP2595597Y2 (ja) 車輌用シート
KR920002461Y1 (ko) 차량의 폭넓힘 가능한 시트쿠숀
JP2526869Y2 (ja) 乳母車の座席
KR200346318Y1 (ko) 유아용 접이식 변기의 팔걸이 자동 절첩장치
JP3070001U (ja) 折畳み式ゆ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