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361A -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361A
KR19980085361A KR1019970021419A KR19970021419A KR19980085361A KR 19980085361 A KR19980085361 A KR 19980085361A KR 1019970021419 A KR1019970021419 A KR 1019970021419A KR 19970021419 A KR19970021419 A KR 19970021419A KR 19980085361 A KR19980085361 A KR 19980085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able terminal
vehic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익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5361A/ko
Publication of KR1998008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361A/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터미널에 케이블 단자를 연결 접속시킬 때 종래에는 터미널의 옆에서 조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음으로서 터미널 옆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 에어 툴(Air Tool)을 사용하지 못함으로 고정 상태가 약하고,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터미널에 케이블 단자를 고정할 때 위에서 조여 주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며 탈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터미널에 케이블 단자를 연결 접속시킬 때 케이블 단자를 위에서 조여 주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며 탈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각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는 전원에는 배터리(Battery)와 충전장치의 계통이 있다.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충전장치가 각 전장 품의 전원으로서 작동하지만 엔진이 정지중이거나 시동할 때는 충전장치의 전력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전원은 배터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배터리는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 충전장치의 출력부족이나 전압의 변동을 보상하고 안정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차량의 엔진실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한 배터리에는 터미널이 형성되어 있고, 이 터미널에 케이블 단자를 고장시켜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이와같이 배터리의 터미널에 고정되는 종래의 케이블 단자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터리(1)의 상면에 양극과 음극으로 각각 구분되어 돌출 형성된 터미널(1')에 끼워지는 공간부(23)를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이 공간부(23)의 개방된 부분에 각각 돌출부A,B(21)(22)를 형성하되, 상기한 돌출부A(21)에는 통공(21')을 형성하고, 돌출부B(22)에는 나사공(22')을 형성하여 상기한 통공(21')을 통해 나사공(22')에 결합되도록 볼트(3)를 설치하고, 이 볼트(3)는 너트(4)로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배터리(1)의 터미널(1')에 케이블 단자(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볼트(3)에 너트(4)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한 돌출부A,B(21)(22)의 간격이 좁혀 지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볼트(3)와 너트(4)를 터미널(1')의 측면에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터미널의 옆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 에어 툴(Air Tool)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고정 상태가 약하고, 차량의 진동시에 유동되어 고정상태가 분리되는 등의 이유로 불량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배터리 터미널에 케이블 단자를 고정시킬 때 케이블 단자를 조여주는 방향을 상부로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며 배터리 터미널의 탈 장착이 용이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케이블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블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블 단자의 고정볼트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터리1' - 터미널
2 - 케이블 단자21,22 - 돌출부A,B
23 - 공간부5 - 래크기어
6 - 피니언기어7 - 고정볼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블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조는 배터리(1)의 상면에 양극과 음극으로 각각 구분되어 돌출 형성된 터미널(1')에 고정되는 케이블 단자(2)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블 단자(2)는 상기 터미널(1')에 끼워지는 공간부(23)를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이 공간부(23)의 개방된 부분에 각각 돌출부A,B(21)(22)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A(21)에는 래크기어(5)를 설치하고, 이 래크기어(5)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가 형성된 고정볼트(7)를 돌출부B(22)에 세워서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터리(1)의 터미널(1')에 케이블 단자(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고정볼트(7)를 일방향으로 회저시키면 고정볼트(7)에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기어(6)가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6)의 회전에 의해 래크기어(5)가 맞물려 작동되어 돌출부A,B(21)(22)의 간격이 좁혀 지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터리(1)의 상부는 허공이기 때문에 상기한 고정볼트(7)를 회전시키기 위한 에어 툴(Air Tool)의 사용이 편리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에 의하면, 배터리 터미널에 케이블 단자를 고정시킬 때 케이블 단자를 조여주는 방향을 상부로 함으로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며 배터리 터미널의 탈 장착이 용이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1)의 상면에 양극과 음극으로 각각 구분되어 돌출 형성된 터미널(1')에 고정되는 케이블 단자(2)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블 단자(2)에는 상기 터미널(1')에 끼워지는 공간부(23)를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이 공간부(23)의 개방된 부분에 각각 돌출부A,B(21)(22)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A(21)에는 래크기어(5)를 설치하고, 이 래크기어(5)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가 형성된 고정볼트(7)를 돌출부B(22)에 세워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KR1019970021419A 1997-05-28 1997-05-28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KR19980085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419A KR19980085361A (ko) 1997-05-28 1997-05-28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419A KR19980085361A (ko) 1997-05-28 1997-05-28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361A true KR19980085361A (ko) 1998-12-05

Family

ID=6598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419A KR19980085361A (ko) 1997-05-28 1997-05-28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53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89429A (ja) 組電池の電源制御装置
JP2009289428A (ja) 組電池の電源制御装置
JP2018063888A (ja) 組電池
JP6307144B1 (ja) 組電池
KR19980085361A (ko)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 단자 구조
JP3966967B2 (ja) 電気自動車の電池管理装置
KR200194107Y1 (ko) 자동차 밧데리의 클램핑 장치
JP6324480B1 (ja) 組電池
KR200181196Y1 (ko) 매몰형 터미널 포스트를 갖는 배터리
KR100231663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 접속장치
KR0124370Y1 (ko) 자동차 밧데리의 단자연결장치
KR200144462Y1 (ko) 차량용 배터리의 터미널 연결구조
KR200180572Y1 (ko) 차량용 배터리와 케이블 결합구조
KR19990027827A (ko) 자동차용 축전지 케이블의 접속장치
KR200177929Y1 (ko) 자동차 밧데리의 케이블 구조
KR200429701Y1 (ko) 퓨즈박스터미널의 고정구조
KR0114129Y1 (ko) 자동차용 축전지(battery) 터미널 접속구조
KR19980013786A (ko)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축전지 단자 취부구조
KR200146886Y1 (ko)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 연결 구조
KR19980078374A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단자 연결 구조
KR100290948B1 (ko) 자동차용배터리구조
KR200194108Y1 (ko) 밧데리 접속구
KR19990024970U (ko) 배터리 케이블 장착구조
KR19980036205U (ko) 배터리 단자 연결장치
JPS6160322A (ja) 脱着式ル−フの電気接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