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4679A -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679A
KR19980084679A KR1019970020525A KR19970020525A KR19980084679A KR 19980084679 A KR19980084679 A KR 19980084679A KR 1019970020525 A KR1019970020525 A KR 1019970020525A KR 19970020525 A KR19970020525 A KR 19970020525A KR 19980084679 A KR19980084679 A KR 19980084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support frame
ready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957B1 (ko
Inventor
윤승규
Original Assignee
이계은
주식회사 성호철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은, 주식회사 성호철관 filed Critical 이계은
Priority to KR101997002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95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겔상태의 용융띠를 공급하여 압착하면서 감겨지도록 하여서 보다 견실한 플랜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플랜지 성형을 위한 작업상의 제반여건을 개선하여 주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 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길게 조립된 길이방향으로 안내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안내지지틀(100)과,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며 기성합성수지관(1)의 일측을 결착하여서 회전시켜주는 관체회동부(2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의 선단측에 배치되어서 기성합성수지관(1)을 회동가능하도록 보지하여 주는 관체고정부(3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 전방 일측에 배치되어 수급되는 합성수지 원료를 융해시켜 겔상태의 용융띠(2)로서 공급하여 주는 용융수지공급부(400)와,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 직하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용융띠(2)를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감겨지게 하면서 압착하여주는 압착성형부(500)로 구성하여서 된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 용융수지 덧입힘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 용융수지 덧입힘장치의 전체 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 관체회동부를 예시한 것으로써,
(가)는 기성합성수지관을 결착하여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나)는 관체회동부의 호울더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 일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 관체고정부의 변형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써,
(가)는 구동치차 전면에 구비된 회전판에 배설된 호울더를 나타낸 일측면도
(나)는 회전판에 호울더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 정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관체고정부를 예시한 것으로써, 기성합성수지관을 보지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제 6 도의 (가)는 용융수지공급부와 압착성형부를 예시한 정면도
(나)는 용융수지공급부와 압착성형부로서 기성합성수지관에 용융수지를 덧입히는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다)는 성형로울러로서 기성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용융수지를 압착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써,
(가)는 기성합성수지관의 선단부에 끝부분과 내외면에 용융띠로서 감싸지도록 한 용융수지공급부와 압착성형부를 나타난 요부발췌 사시도
(나)는 기성합성수지관의 선단부에 끝부분과 내외면에 용융띠로서 감싸지도록 한 용융수지공급부와 압착성형부를 나타낸 일측면도
(다)는 기성합성수지관의 선단부에 끝부분과 내외면에 용융띠로서 감싸지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써, 기성합성수지관의 중간부를 받쳐주면서 방향을 바꾸어주도록 구성된 부가 받침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성합성수지관2 : 용융띠
100 : 안내지지틀110 : 횡측앵글
120 : 종측앵글200 : 관체회동부
210 : 이송베드211 : 바퀴
212 : 주행모터220 : 함체
221 : 기어드모터222 : 축봉
223 : 평기어224 : 구동치차
230 : 호울더231 : 고정철물
232 : 안내가이드233 : 실린더
234 : 슬라이드판235 : 클립
236 : 회전판237 : 클램프
300 : 관체고정부310 : 고정베드
320 : 받침로울러321 : 신축잭
322 : 작동실린더323 : 버팀대
330 : 접지로울러331 : 수직기둥
332 : 굴절기둥333 : 신축실린더
400 : 용융수지공급부410 : 기틀
420 : 가열부430 : 공급관
440 : 공급노즐441 : 연결고정구
442 : 외측배출구443 : 내측배출구
450 : 가열히이터500 : 압착성형부
510 : 지주511 : 수직단판
520 : 성형로울러520a : 절곡요입부
521 : 브라켓522 : 고정봉
523 : 조작핸들524 : 로울러받이
525 : 연결봉530 : 보조 성형로울러
531 : 로울러받이540 : 냉각판
600 : 부가 관체받침611 : 버팀대
612 : 연결링크610 : 받침로울러
620 : 고정틀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이용분야)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플랜지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겔상태의 용융띠를 공급하여 압착하면서 감겨지도록 하여서 보다 견실한 플랜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플랜지 성형을 위한 작업상의 제반여건을 개선하여 주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 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또는 하수를 배수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조의 합성수지관이 개발되어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수지관 중에는 연결 배관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양측단 외면에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합성수지관이 알려진 바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에 플랜지를 일체로 부착하기 위한 합성수지관의 플랜지 성형장치와 관련하여 선출원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공개공보 제95-19344호에는, 합성수지파이프의 하부를 받쳐주는 파이프안치대와, 상기 파이프안치대의 끝부분 중앙에 설치되는 숫금형실린더의 끝단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합성수지파이프 끝의 내부로 끼워지는 원통형의 끼움돌출부와 그 끼움돌출부의 끝에 보다 큰직경을 가지는 원판부로 이루어지는 숫금형부와, 상기 숫금형부의 일측에서 일측 실린더에 고정되며 내부면에 반원형의 일측 플랜지홈이 형성되는 일측 암금형부와, 상기 숫금형부의 타측에서 타측 실린더에 고정되어 이동되며 내부면에 반원형의 타측 플랜지홈이 형성되는 타측 암금형부로 구성된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가 선출원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로서 수행되는 플랜지 성형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합성수지파이프의 끝부분이 좌우방향으로 동작되는 일측 및 타측 암금형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안치하고, 합성수지파이프 끝단의 외주면 둘레에 용융수지를 수작업으로 감싸지도록 한 후에, 그 합성수지파이프 끝단의 용융수지를 일측 및 타측 암금형부와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는 숫금형부로서 압착하면서 찍어내듯이 플랜지를 성형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의 플랜지 부착장치는, 암금형부와 숫금형부가 상호 유기적으로 동작되면서 1회 작동으로 합성수지파이프에 플랜지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는, 첫째, 합성수지파이프에 감겨진 용융수지를 일시에 찍어내듯이 압착하여서 플랜지를 성형하게 됨으로써, 단면상 기포가 발생되거나 합성수지 분포가 저밀하여 성형된 플랜지 자체의 내압강도가 취약하였으며, 둘째, 합성수지파이프에 용융수지를 1회 동작으로 압착하여 성형하게 됨으로써, 합성수지파이프와 용융수지의 접합력이 취약하여 성형된 플랜지나 작은 충격이나 하중에 의하여 쉽게 분리 훼손될 염려가 있었으며, 셋째, 합성수지파이프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감싸지도록 하는 수단이 배려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수작업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작업여건이 극히 취약하여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플랜지성형을 위한 용융띠를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압착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적층하여서 덧입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첫째, 성형된 플랜지 자체의 합성수지 분포를 고밀하도록 성형하여서 내압강도의 증진을 통한 제품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주며, 둘째, 합성수지관과 성형된 플랜지 상호간의 접합력이 증대되도록 하여서 제품의 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켜 주며, 셋째, 수작업이 배제된 일괄적인 작업공정을 통한 플랜지 성형상의 제반여건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주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기술적 구성)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길게 조립된 길이방향으로 안내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안내지지틀(100)과,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며 기성합성수지관(1)의 일측을 결착하여서 회전시켜주는 관체회동부(2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의 선단측에 배치되어서 기성합성수지관(1)을 회동가능하도록 보지하여 주는 관체고정부(3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 전방 일측에 배치되어 수급된 합성수지 원료를 융해시켜 겔상태의 용융띠(2)로서 공급하여 주는 용융수지공급부(400)와,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 직하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용융띠(2)를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감겨지게 하면서 압착하여주는 압착성형부(500)로 구성하여서 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는, 상기 관체고정부(300)로서 회전가능하게 구속된 상태의 기성합성수지관(1)을 관체회동부(200)로서 회전시키고,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로서 겔상태의 용융띠(2)를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부에 공급하여, 공급되는 용융띠(2)를 압착성형부(500)로서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압착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적층하여서 덧입혀지도록 함으로써, 기성합성수지관(1)의 외면에 보다 견실한 플랜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플랜지성형에 따른 제반 작업여건을 개선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내지지틀(100)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도록 조립되어서 관체고정부(300)를 지탱하여 주면서 관체회동부(20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안내지지틀(100)은 일정간격을 두고 길게 대향되는 한쌍의 횡측앵글(110)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 고정되는 종측앵글(120)들로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조립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지지틀(100)의 선단측에는 관체고정부(300)가 배치되도록 하여서 횡측앵글(110)에 지지되어 질 수 있도록 하고, 그 안내지지틀(100)의 후단측에는 관체회동부(200)가 횡측앵글(110)을 따라 수평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지지틀(100)은 그 횡측앵글(110)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수개의 보강앵글(130)들을 등간격으로 배치 고정하여서, 보다 견고한 상태로서 전체를 유지 지탱하여 줄 수 있도록 조립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관체회동부(200)는 기성합성수지관(1)의 후단부를 결착하여서 그 기성합성수지관(1) 전체를 회전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측이 압착성형부(500)을 향하도록 위치 이동시켜주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관체회동부(200)는 제 3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굴대 설치된 전, 후방측 바퀴(211)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바퀴(211)들을 주행모터(212)로서 구동되도록 연결하여서 된 이송베드(210)와, 상기 이송베드(210) 상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그 상부 내측에 내설된 기어드모터(2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축봉(222) 끝단의 평기어(223)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구동치차(234)를 축설하여서 된 함체(200)와, 상기 함체(200)의 구동치차(234) 전면에 일체로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의 후단부를 결착하여 주는 호울더(230)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관체회동부(200)는 상기 호울더(230)로서 기성합성수지관(1) 후단부를 결착한 상태에서 이송베드(210)가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되어서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부를 용융수지 덧입힘 성형을 위한 작업위치로 셋팅시켜 주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함체(200)에 축설된 구동치차(234)를 기어드모터(221)로서 구동시켜서 그 구동치차(234)와 일체로 회동되는 호울더(230)에 의하여 결착된 상태인 기성합성수지관(1)을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유기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호울더(230)는 상기 함체(200)의 구동치차(234) 전면에 방사형으로 조립되어지는 고정철물(231)들 내부에 중심안쪽을 향하도록 실린더(233)를 각기 내설하고, 그 각각의 고정철물(231) 전면 양측의 안내가이드(232)를 따라 동작되도록 결착된 슬라이드판(234)의 내측 끝단에 클립(235)을 각기 설치하며, 상기 클립(235)들이 고정철물(231) 내부에서 신축동작되는 각각의 실린더(233)로서 일시에 확개되거나 축소되도록 연결하여서, 기성합성수지관(1) 후단부 내측을 결착 고정하여주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제 4 도는 상기 호울더(230)의 변형예를 예시한 것으로써, 상기 함체(200)의 구동치차(234) 전면에 일체로 회전되는 별도의 회전판(23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236) 상에 복수개를 한조로서 방사형으로 배설된 각각의 안내가이드(232)들의 일측에 중심안쪽을 향하여 실린더(233)를 각기 평행하게 설치하며, 상기 안내가이드(232) 상에 동작되도록 결착된 슬라이드판(234) 각각의 내측 끝단에 클립(235)을 설치하여, 상기 클립(235)들이 회전판(236)에 축지된 클램프(237)를 통하여 각각의 실린더(233)로서 일시에 확개되거나 축소되도록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호울더(230)는 각각의 실린더(233)들로서 동작되는 클립(235)들이 최대한 중심안쪽으로 모아져서 신축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직경의 기성합성수지관(1)을 결착 고정하여서 회전시켜 주는 데에 적합한 잇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관체고정부(300)는 상기 안내지지틀(100) 전방측에 배치되어서 관체회동부(200)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 일측을 보지하여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속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관체고정부(300)는 제 5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지지틀(100) 선단측 일정위치 상부에 고정베드(310)를 설치하며, 그 고정베드(310)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각각의 작동실린더(322)로서 작동되는 신축잭(321)에 의하여 가변되도록 연결된 버팀대(323) 상부에 한쌍의 받침로울러(320)들을 각각 굴대설치하고, 상기 고정베드(310) 일측의 안내지지틀(100)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기둥(331) 상부에 힌지고정되어 신축실린더(333)로서 굴절동작되는 굴절기둥(332)을 설치하며, 그 굴절기둥(332)의 자유 끝단 하부에 접지로울러(33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관체고정부(300)는 그 양측의 신축잭(321)에 의하여 가변조절되는 버팀대(323)에 각기 굴대설치되어 회동되는 받침로울러(320)들로서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측 하부가 받쳐지도록 하고, 상기 받침로울러(320)으로서 받쳐진 기성합성수지관(1)의 상부는 상기 수직기둥(331)에 힌지고정되어 신축실린더(333)로서 굴절동작되는 굴절기둥(332)에 굴대설치되어 회동되는 접지로울러(330)으로서 압압하여서, 상기 관체회동부(200)에 의하여 회동되는 기성합성수지관(1)을 보지하여 줌으로써, 그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에 용융수지 덧입힘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용융수지공급부(400)는 상기 안내지지틀(100) 선단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료를 가열 융해시켜서 겔상태의 용융띠(2) 형태로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용융수지공급부(400)는 제 6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부를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를 지탱하여 주는 기틀(410)과, 상기 기틀(410) 상부에 길게 설치되어 수급된 합성수지 원료를 적정온도로 가열하여서 용융시키는 가열부(420)와, 상기 가열부(420)로부터 연결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부를 향하도록 지향된 공급관(430)과, 상기 공급관(430) 끝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그 공급관(430)을 따라 공급된 용융수지를 융해시켜 용융띠(2) 형태로 공급하여 주는 공급노즐(440)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노즐(440)은 상기 공급관(430)에 부착되는 연결고정구(441)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을 향하여 용융띠(2)를 배출하는 배출공(441a)를 가지는 외측배출구(442)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급노즐(440) 상부에는 별도의 열에너지를 공급받아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열히이터(450)를 가지도록 하여서,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감겨지는 용융띠(2)를 가열 경화시켜 주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압착성형부(500)는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로부터 배출 공급되는 용융띠(2)를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압착시키면서 감겨지도록 하여서 반복적으로 적층하여서 덧입혀지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압착성형부(500)는 제 6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 전방에 부착 고정되어 그 용융수지공급부(400)의 공급노즐(440) 직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끝단 일측에 수직단판(511)이 결착된 지주(51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단판(511)에 직각방향으로 배설되어서 그 하단의 수평한 고정봉(522)을 관통하여 진퇴작동되도록 결착된 조작핸들(523)을 가지는 브라켓(521)을 설치하되, 그 브라켓(521) 전방 내측에 축설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로울러받이(524) 상단에 성형로울러(52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회동로울러(520)는 그 로울러받이(524) 하단에 가로질러 결착되는 연결봉(525)에 상기 조작핸들(523)을 연결하여서 가변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로울러받이(52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성형로울러(520)는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을 향하여 평행하게 배설된 상태가 되고, 이때 조작핸들(523)을 조작함에 따라 동작되는 로울러받이(524)에 설치된 성형로울러(520)가 기성합성수지관(1)의 외면을 향하여 가변됨으로써,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어 감겨지는 용융띠(2)를 기성합성수지관(1)의 외면에 압착시켜 덧입혀지도록 성형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성형로울러(520)는 그 선단 끝부분의 관경이 작아지는 절곡요입부(520a)를 형성하여서, 상기 성형로울러(520)로서 압착되어지는 용융띠(2)가 기성합성수지관(1)의 끝단으로부터 대경을 이루면서 후측으로 단차지는 형상으로서 덧입혀지게 하여서, 보다 견실한 단면구조의 플랜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의 공급노즐(440)은 그 연결고정구(441) 양측단에서 직각으로 연결되는 내, 외측배출구(442)(443)들로서 끼움공간(440a)이 확보되도록 하되, 그 연결고정구(441) 및 내, 외측배출구(442)(443)에는 각각의 배출공(441a)(442a)(443a)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압착성형부(500)의 성형로울러(520)와 대향되는 위치의 수직단판(511) 상에 착설된 로울러받이(531)로서 회동가능하도록 보조 성형로울러(530)를 설치하며, 상기 성형로울러(520)와 보조 성형로울러(530) 사이의 수직단판(522) 상에 별도의 냉각판(540)을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급노즐(440)의 끼움공간(440a) 내에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고정구(441) 및, 내, 외측배출구(442)(443) 각각의 배출공(441a)(442a)(443a)으로부터 압출되는 용융띠(2)로서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끝부분과 내외면이 감싸지도록 하면서, 상기 압착성형부(500)의 성형로울러(520)와 보조 성형로울러(530) 및 냉각판(540)으로서 압착시켜주도록 함으로써,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를 용융띠(2)로서 완전하게 감싸는 형태로서 덧입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관체회동부(200)와 관체고정부(300) 사이의 안내지지틀(100) 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틀(620)을 가지며, 그 고정틀(620) 상부에 대향되게 축설되어 각기 연결링크(612)로서 연결 단속되는 양측의 버팀대(611)들의 상부에 받침로울러(610)를 각기 회동가능하게 착설하여서 된 부가 관체받침(6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가 관체받침(600)은 고정틀(620) 상부의 버팀대(611)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된 받침로울러(610)으로서 기성합성수지관(1) 길이방향 중간 하부를 받쳐줌으로써, 기성합성수지관(1)이 자중에 의하여 휘거나 뒤틀림 등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부가 관체받침(600)은 그 고정틀(620)이 별도의 받침틀(630)에 얹혀지도록 하여서 안내지지틀(100) 상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틀(620) 중앙 하부에 형성된 상부원판(621)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구름로울러(622)들을 굴대설치하여서 상기 받침틀(630) 중앙 상부에 형성된 하부원판(631)상에 접동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틀(620)의 상부원판(621) 중앙에 부착 고정되는 축봉(623)은 상기 받침틀(630)의 하부원판(631)을 관통하여서 축설되도록 하며, 그 축봉(623) 하부 끝단에 피니언기어(624)를 결착시켜서 상기 받침틀(630)에 설치된 수개의 안내로울러(632)를 따라 수평하게 안내되어 작동실린더(633)로서 좌우동작되는 랙기어(634)와 치합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받침틀(630) 상부에 얹혀지는 고정틀(620)이 자유롭게 방향 선회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이는 상기 받침틀(630) 상부에 얹혀지는 고정틀(620)이 자유롭게 방향을 선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성합성수지관(1) 일측단에 용융수지 덧입힘작업을 완료한 후에, 상기 고정틀(620)을 선회시켜서 방향이 바꾸어진 기성합성수지관(1)의 타측단에 용융수지 덧입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는 본 발명에서 나선형 합성수지관만을 적용 대상으로 하여서 실시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평활형 합성수지관이나 기타 금속재의 강관에도 훌륭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작동)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의 작동관계를 제 1 도 및 제 2 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관체회동부(200)의 호울더(230)로서 기성합성수지관(1)의 후단부 내측을 결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송베드(210)를 동작시켜서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부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그 기성합성수지관(1)의 선단측 상하부를 상기 관체고정부(300)의 받침로울러(320)와 접지로울러(330)로서 보지하여서 기성합성수지관(1)을 작업위치에 셋팅한다.
이후에, 상기 관체회동부(200)의 기어드모터(221)를 작동시키면 연동되는 구동치차(234)에 의하여 호울더(230)에 결착 고정된 상태의 기성합성수지관(1)이 회전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회전되는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을 향하여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의 공급노즐(440)로부터 용융띠(2)가 배출 공급되면서 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감겨지는 용융띠(2)는 그 기성합성수지관(1)이 계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압착성형부(500)의 성형로울러(520)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성형로울러(520)는 기성합성수지관(1)에 감겨지는 용융띠(2)를 압착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 용융띠(2)를 반복하여 적층되게 덧입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공급되는 용융띠(2)를 압착하면서 기성합성수지관(1)의 외면에 덧입혀지도록 하여서, 보다 견실한 플랜지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효과)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즉, 본 발명은 기성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용융띠를 공급하여서 압착시키면서 중첩되게 덧입혀지도록 함으로써, 첫째, 기성합성수지관에 용융수지를 덧입히는 작업시 수작업을 배제한 일괄적인 작업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서 플랜지 성형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켜주며, 둘째, 압착성형되는 플랜지의 단면상 기포가 발생됨이 방지하여 주는 동시에, 원재료인 합성수지가 고밀하게 응집되어 보다 견고한 플랜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셋째, 성형된 플랜지와 기성합성수지관 상호간이 더욱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하여서 이후에 플랜지가 기성합성수지관으로부터 분리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3)

  1. 길게 조립된 길이방향으로 안내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안내지지틀(100)과,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며 기성합성수지관(1)의 일측을 결착하여서 회전시켜주는 관체회동부(2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의 선단측에 배치되어서 기성합성수지관(1)을 회동가능하도록 보지하여 주는 관체고정부(3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 전방 일측에 배치되어 수급되는 합성수지 원료를 융해시켜 겔상태의 용융띠(2)로서 공급하여 주는 용융수지공급부(400)와,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 직하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용융띠(2)를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감겨지게 하면서 압착하여주는 압착성형부(500)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지틀(100)은 그 횡측앵글(110)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수개의 보강앵글(130)들을 등간격으로 배치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회동부(200)은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굴대 설치된 전, 후방측 바퀴(211)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바퀴(211)들을 주행모터(212)로서 구동되도록 연결하여서 된 이송베드(210)와, 상기 이송베드(210) 상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그 상부 내측에 내설된 기어드모터(2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축봉(222) 끝단의 평기어(223)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구동치차(234)를 축설하여서 된 함체(200)와, 상기 함체(200)의 구동치차(234) 전면에 일체로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의 후단부를 결착하여 주는 호울더(230)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230)는 상기 함체(200)의 구동치차(234) 전면에 방사형으로 조립되어지는 고정철물(231)들 내부에 중심안쪽을 향하도록 실린더(233)를 각기 내설하고, 그 각각의 고정철물(231) 전면 양측의 안내가이드(232)를 따라 동작되도록 결착된 슬라이드판(234)의 내측 끝단에 클립(235)을 각기 설치하며, 상기 클립(235)들이 고정철물(231) 내부에서 신축동작되는 각각의 실린더(233)로서 일시에 확개되거나 축소되도록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230)는 상기 함체(200)의 구동치차(234) 전면에 일체로 회전되는 별도의 회전판(23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236) 상에 복수개를 한조로서 방사형으로 배설된 각각의 안내가이드(232)들의 일측에 중심안쪽을 향하여 실린더(233)를 각기 평행하게 설치하며, 상기 안내가이드(232) 상에 동작되도록 결착된 슬라이드판(234) 각각의 내측 끝단에 클립(235)을 설치하여, 상기 클립(235)들이 회전판(236)에 축지된 클램프(237)를 통하여 각각의 실린더(233)로서 일시에 확개되거나 축소되도록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고정부(300)은 상기 안내지지틀(100) 선단측 일정위치 상부에 고정베드(310)를 설치하며, 그 고정베드(310)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각각의 작동실린더(322)로서 작동되는 신축잭(321)에 의하여 가변되도록 연결된 버팀대(323) 상부에 한쌍의 받침로울러(320)들을 각각 굴대설치하고, 상기 고정베드(310) 일측의 안내지지틀(100)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기둥(331) 상부에 힌지고정되어 신축실린더(333)로서 굴절동작되는 굴절기둥(332)을 설치하며, 그 굴절기둥(332)의 자유 끝단 하부에 접지로울러(33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의 공급노즐(440)은 상기 공급관(430)에 부착되는 연결고정구(441)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을 향하여 용융띠(2)를 배출하는 배출공(441a)를 가지는 외측배출구(442)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440)은 그 상부에 별도의 열에너지를 공급받아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열히이터(450)를 가지도록 하여서,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에 감겨지는 용융띠(2)를 가열 경화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압착성형부(500)는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 전방에 부착 고정되어 그 용융수지공급부(400)의 공급노즐(440) 직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끝단 일측에 수직단판(511)이 결착된 지주(51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단판(511)에 직각방향으로 배설되어서 그 하단의 수평한 고정봉(522)을 관통하여 진퇴작동되도록 결착된 조작핸들(523)을 가지는 브라켓(521)을 설치하되, 그 브라켓(521) 전방 내측에 축설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로울러받이(524) 상단에 성형로울러(52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회동로울러(520)는 그 로울러받이(524) 하단에 가로질러 결착되는 연결봉(525)에 상기 조작핸들(523)을 연결하여서 가변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로울러(520)는 그 선단 끝부분의 관경이 작아지는 절곡요입부(520a)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7 항과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수지공급부(400)의 공급노즐(440)은 그 연결고정구(441) 양측단에서 직각으로 연결되는 내, 외측배출구(442)(443)들로서 끼움공간(440a)이 확보되도록 하되, 그 연결고정구(441) 및 내, 외측배출구(442)(443)에는 각각의 배출공(441a)(442a)(443a)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압착성형부(500)의 성형로울러(520)와 대향되는 위치의 수직단판(511) 상에 착설된 로울러받이(531)로서 회동가능하도록 보조 성형로울러(530)를 설치하며, 상기 성형로울러(520)와 보조 성형로울러(530) 사이의 수직단판(522) 상에 별도의 냉각판(540)을 고정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회동부(200)와 관체고정부(300) 사이의 안내지지틀(100) 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틀(620)을 가지며, 그 고정틀(620) 상부에 대향되게 축설되어 각기 연결링크(612)로서 연결 단속되는 양측의 버팀대(611)들의 상부에 받침로울러(610)를 각기 회동가능하게 착설하여서 된 부가 관체받침(600)을 구비하여서, 기성합성수지관(1)의 중앙 하부를 받쳐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관체받침(600)은 그 고정틀(620)이 별도의 받침틀(630)에 얹혀지도록 하여서 안내지지틀(100) 상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틀(620) 중앙 하부에 형성된 상부원판(621)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구름로울러(622)들을 굴대설치하여서 상기 받침틀(630) 중앙 상부에 형성된 하부원판(631) 상에 접동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틀(620)의 상부원판(621) 중앙에 부착 고정되는 축봉(623)은 상기 받침틀(630)의 하부원판(631)을 관통하여서 축설되도록 하며, 그 축봉(623) 하부 끝단에 피니언기어(624)를 결착시켜서 상기 받침틀(630)에 설치된 수개의 안내로울러(632)를 따라 수평하게 안내되어 작동실린더(633)로서 좌우동작되는 랙기어(634)와 치합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받침틀(630) 상부에 얹혀지는 고정틀(620)이 자유롭게 방향 선회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KR1019970020525A 1997-05-24 1997-05-24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KR100223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525A KR100223957B1 (ko) 1997-05-24 1997-05-24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525A KR100223957B1 (ko) 1997-05-24 1997-05-24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679A true KR19980084679A (ko) 1998-12-05
KR100223957B1 KR100223957B1 (ko) 1999-10-15

Family

ID=1950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525A KR100223957B1 (ko) 1997-05-24 1997-05-24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371A (ko) *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호스 피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65B1 (ko) * 2007-04-24 2007-07-23 주식회사 전남프라스틱 수지접착을 이용한 플랜지 가공용 파이프 성형장치 및 이를이용한 플랜지 가공방법
KR100912678B1 (ko) 2008-05-13 2009-08-19 주식회사성호철관 합성수지 파이프의 플랜지 성형용 예열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151B2 (ja) * 1991-07-19 2000-03-06 日本ヒューム管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管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371A (ko) *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호스 피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957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3010T3 (es) Productos en forma de espiral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CN110265917B (zh) 一种电缆快速修补器
US20080314189A1 (en) Deformable element, of a steering wheel spindle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KR19980084679A (ko)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
CN110656739A (zh) 一种建筑防水施工一体化设备
US52039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nt laminate
US4066122A (en) Multi-layer radiator of plastic material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WO2009075525A2 (en) Field-assembl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el pipes
EP25504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wall to a building structure
CN108673872A (zh) 一种防水卷材覆膜成型水冷设备
US6959747B2 (en) Machine for applying fiberglass reinforcements in disposable column forms
CN216683662U (zh) 一种用于碳纤维电热膜加工的热熔胶膜热压复合装置
KR100201234B1 (ko)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EP1046848A1 (de) Isolierelement für Rohre
CN208469052U (zh) 一种防水卷材覆膜成型水冷设备
CN102529090A (zh) 固定式塑料管材焊接支撑架
CN205238555U (zh) 一种可实现伸缩的钢圈加热装置
CN213498205U (zh) 一种内衬不锈钢管端口车削机构
CN113738077B (zh) 一种半内嵌式墙板的辅助安装设备
KR102532816B1 (ko) 권회형 합성수지관 성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장치
CN112892967B (zh) 一种漆料补喷部件及批量生产烤漆门快速喷漆设备
CN108723279B (zh) 铝车身用螺柱铆接装置
JPH0574453B2 (ko)
KR100413349B1 (ko) 저장탱크의 다층 플랜지형 원통유니트 제조장치와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층 플랜지형 원통유니트
CN106212199A (zh) 木瓜树木的v型防倒伏栽培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