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234B1 -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234B1
KR100201234B1 KR1019970020526A KR19970020526A KR100201234B1 KR 100201234 B1 KR100201234 B1 KR 100201234B1 KR 1019970020526 A KR1019970020526 A KR 1019970020526A KR 19970020526 A KR19970020526 A KR 19970020526A KR 100201234 B1 KR100201234 B1 KR 100201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flange
resin pipe
pip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680A (ko
Inventor
윤승규
Original Assignee
이계은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은, 주식회사성호철관 filed Critical 이계은
Priority to KR101997002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2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26D3/166Trimming tube-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3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the work being tubes, rods or lo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54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partially cutting through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합성수지관에 플랜지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플랜지성형을 위하여 합성수지관 외면에 덧입혀진 용착수지를 절삭 가공하여서, 보다 정밀한 형태의 외형을 가지는 플랜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발명은 길게 조립된 길이방향으로 안내 이송이 가능하도록 저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안내 지지틀(100)과,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의 하부를 받쳐서 위치 이동시켜 주는 관체받침부(200)와, 상기 관체받침부(200) 전방측의 안내지지틀(100) 상에 가로질러서 수직으로 세워진 중앙부에 삽입되는 기성합성수지관(1)을 고정하여 주는 관체고정부(3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 최선단에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에 접합 형성된 융착수지(2)를 절삭 가공하여서 예정된 형태의 플랜지로 가공하여 주는 절삭가공부(400)로서 구성된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제1도는 본발명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의 전체 정면도.
제3도는 본발명 관체받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본발명 관체고정부를 나타낸 일측면도.
제5도는 본발명 관체고정부의 요부발췌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일부절결 평면도.
제7도는 본발명 절삭가공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제8도의 (a)(b)는 본발명 절삭가공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성합성수지관 2 : 용착수지
100 : 안내지지틀 110 : 횡측앵글
120 : 종측앵글 130 : 보강앵글
200 : 관체받침부 210 : 이송틀
210a : 전, 후방측 바퀴 210b : 주행모터
211 : 하부원판 212 : 안내로울러
213 : 작동실린더 214 : 랙기어
220 : 고정틀 221 : 상부원판
222 : 구름로울러 223 : 축봉
224 : 피니언기어 230 : 받침로울러
231 :연결링크 232 : 버팀대
300 : 관체고정부 310 : 수직고정판
311 : 고정철물 312 : 대접로울러
320 : 주행체인 321 : 피동스프로켓
330 : 정역구동모터 331 : 구동스프로켓
340 : 고정척 341 : 누름고정구
342 : 슬라이드 343 : 작동간
344 : 베벨기어체 345 : 회동축
346 : 연동스프로켓 400 : 절삭가공부
410 : 하부함체 410a : 안내레일
411 : 조작핸들 412 : 조작봉
412a, 413a : 웜기어 413 : 수직작동봉
420 : 상부함체 420a : 가이드
421 : 기어드모터 421a : 구동기어
422 : 구동치차 423 : 회전지지체
423a : 안내판 423b : 작동봉
424 : 구동모터 425 : 브라켓
425a : 구름로울러 426 : 외경절삭날
427 : 단부절삭날 428 : 결착판
429 : 수평작동봉 429a : 웜기어
[산업상이용분야]
본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합성수지관에 플랜지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플랜지성형을 위하여 합성수지관 외면에 덧입혀진 용착수지를 절삭 가공하여서, 보다 정밀한 형태의 외형을 가지는 플랜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또는 하수를 배수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조의 합성수지관이 개발되어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수지관 중에는 연결 배관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양측단 외면에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합성수지관이 알려진 바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에 플랜지를 일체로 부착하기 위한 합성수지관의 플랜지 성형장치와 관련하여 선출원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공개공보 제95-19344호에는, 합성수지파이프의 하부를 받쳐주는 파이프안치대와, 상기 파이프안치대의 끝부분 중앙에 설치되는 숫금형실린더의 끝단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합성수지 파이프 끝의 내부로 끼워지는 윈통형의 끼움돌출부와 그 끼움돌출부의 끝에 보다 큰직경을 가지는 원판부로 이루어지는 숫금형부와, 상기 숫금형부의 일측에서 일측 실린더에 고정되며 내부면에 반원형의 일측 플랜지홈이 형성되는 일측 암금형부와, 상기 숫금형부의 타측에서 타측 실린더에 고정되어 이동되며 내부면에 반원형의 타측 플랜지홈이 형성되는 타측 암금형부로 구성된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가 선출원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로서 수행되는 플랜지 성형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합성수지파이프의 끝부분이 좌우방향으로 동작되는 일측 및 타측 암금형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안치하고, 합성수지파이프 끝단의 외주면 둘레에 용융수지를 수작업으로 감싸지도록 한 후에, 그 합성수지파이프 끝단의 용융수지를 일측 및 타측 암금형부와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는 숫금형부로서 압착하면서 찍어내듯이 플랜지를 성형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는, 암금형부와 숫금형부가 상호 유기적으로 동작되면서 1회작동으로 합성수지파이프에 플랜지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는, 용착수지가 합성수지파이프 외면에 뭉쳐져서 감겨진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 암금형부와 숫금형부로서 압출성형하듯이 일시에 찍어서 플랜지를 성형하게 됨으로써, 일단 성형된 플랜지는 경화되는 과정에서 합성수지 특유의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자중에 의한 늘어짐 또는 수축력에 의한 뒤틀림등의 변형이 발생됨에 따라, 완성된 플랜지의 전체적인 외형이 심하게 왜곡된 형태로서 성형되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얻어진 플랜지는 그 자체의 외형이 심하게 왜곡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파이프 상호간이 플랜지로서 연결 접속된 부위의 틈새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됨으로써, 오히려 합성수지파이프의 수밀성있는 연결 배관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파이프의 실사용상의 가치가 저하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는 일측 및 타측 암금형부와 숫금형부의 직경 크기에 의하여 플랜지성형을 위한 합성수지관의 규격이 제한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다양한 규격의 합성수지파이프의 관경 크기에 맞추어 융통성 있는 플랜지의 성형작업이 불가능함으로써, 규격별로 합성수지파이프의 플랜지 부착장치를 설비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발명은 플랜지성형을 위하여 합성수지관 외면에 일체로 부착 형성된 용착수지를 절삭 가공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플랜지성형에 다른 제반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커서 보다 정밀한 플랜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질적향상을 꾀하여 주며,
둘째, 합성수지관의 관경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플랜지로서 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서 플랜지성형상의 융통성을 부여하여 주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기술적 구성]
본발명의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길게 조립된 길이방향으로 안내 이송이 가능하도록 저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안내지지틀(100)과,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의 하부를 받쳐서 위치 이동시켜 주는 관체받침부(200)와, 상기 관체받침부(200) 전방측의 안내지지틀(100) 상에 가로질러서 수직으로 세워진 중앙부에 삽입되는 기성합성수지관(1)을 고정하여 주는 관체고정부(3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 최선단에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에 접합 형성된 융착수지(2)를 절삭 가공하여서 예정된 형태의 플랜지로 가공하여 주는 절삭가공부(400)로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는 상기 관체받침부(200)로서 플랜지 성형을 위한 용착수지(2)가 일체로 접합 형성된 기성합성수지관(1)을 받쳐서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주도록 하고, 위치이동된 기성합성수지관(1)을 관체 고정부(300)로서 결착 고정하여서 셋팅시킨 상태에서, 그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의 융착수지(2)를 절삭가공부(400)로서 절삭 가공하게 됨으로써, 기성합성수지관(1)에 보다 정밀한 단면구조를 가지는 플랜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면서도, 기성합성수지관(1)의 관경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규격과 형태로서 융통성있게 플랜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각 구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내지지틀(100)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도록 조립되어서 전체를 지탱하여 주면서도 관체받침부(200)를 좌우방향으로 안내 이송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안내지지틀(100)은 일정간격을 두고 길게 대향되는 한쌍의 횡측앵글(110)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 고정되는 종측앵글(120)들로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조립 형성되어지며, 상기 횡측앵글(110) 상부면을 따라 상기 관체받침부(2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지지틀(100)은 그 횡측앵글(110)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수개의 보강앵글(130)들을 등간격으로 배치 고정하여서, 보다 견고한 상태로서 전체를 유지 지탱하려 줄 수 있도록 조립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관체받침부(200)는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의 하부를 받쳐주는 동시에, 그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의 용착수지(2)를 절삭 가공을 위한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관체받침부(200)는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지지틀(100)의 횡측앵글(11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굴대 설치된 전, 후방측의 바퀴(210a)들 중 어느 일측의 바퀴(210a)들을 주행모터(210b)로서 구동되도록 연결하여서 된 이송틀(21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틀(210)의 상부에 고정틀(220)를 일체로 고정 설치하되, 그 고정틀(220)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향되게 축설되어 각기 연결링크(231)로서 연결 단속되는 양측의 버팀대(232)들의 상부에 한쌍의 받침로울러(230)를 각기 착설하여서 된다.
즉, 상기 관체받침부(200)는 고정틀(220) 상에 연결링크(231)로서 단속되게 지지되는 한쌍의 버팀대(232)에 각기 착설된 한쌍의 받침로울러(230)들로서 기성합성수지관(1) 하부를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고정틀(220)은 기성합성수지관(1)을 받친상태에서 상기 이송틀(210)이 주행모터(210b)의 작동으로 전, 후방측의 바퀴(210a)들이 상기 안내지지틀(100)의 횡측앵글(110) 상부면을 따라 구름운동됨에 따라 위치이동되어,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의 용착수지(2)를 가공하기 위한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체받침부(200)는 그 고정틀(220)의 중앙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원판(221) 하단부 외주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구름로울러(222)들을 굴대설치하여서 상기 이송틀(210) 중앙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원판(211) 상에 접동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틀(220)의 상부원판(221) 중앙으로부터 상기 이송틀(210)의 하부원판(211)을 관통하여서 축설된 끝단에 피니언기어(224)를 가지는 축봉(223)이, 상기 이송틀(210)에 설치된 수개의 안내로울러(212)를 따라 수평하게 안내되어 작동실린더(213)로서 좌우동작되는 랙기어(214)와 맞물려져서 회동되도록 하여서, 상기 이송틀(210) 상부에 얹혀지는 고정틀(220)이 자유롭게 방향 선회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틀(210)에 얹혀져서 접동되는 구름로울러(222)들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틀(220)이, 상기 이송틀(210)의 작동실린더(213)로서 좌우방향으로 동작되는 랙기어(214)에 치합된 피니언기어(224)와 일체로서 회동되는 축봉(223)에 의하여 방향이 선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틀(220) 상부의 받침로울러(230)로서 받쳐져서 일측 선단의 용착수지(2)를 절삭 절삭가공한 이후의 기성합성수지관(1)의 방향을 바꾸어 타측의 용착수지(2)를 절삭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관체고정부(300)는 상기 관체받침부(200) 전방측의 안내지지틀(100) 상에 설치되어서, 상기 관체받침부(200)로서 받쳐진 기성합성수지관(1)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착 고정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관체고정부(300)는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지지틀(100) 상에 가로질러서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세워지며 중앙부가 트여지는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고정철물(311)들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고정판(310)들과, 상기 수직 고정판(310)들 중 어느 일측의 수직고정판(310) 전면에 축설된 다수개의 피동스프로켓(321)들을 환상으로 연결하여서 일정한 사이클을 이루면서 주행하는 주행체인(320)과, 상기 주행체인(320)이 동작되도록 상기 수직고정판(310) 하부에 축설된 구동스프로켓(331)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주는 정역구동모터(330)와, 상기 수직고정판(310)의 고정철물(311)에 각기 착설하여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지며 상기 주행체인(320)로서 연결되어 상기 수직고정판(3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일시에 진퇴동작되는 수개의 고정척(340)들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체고정부(300)로서 수평하게 받쳐진 기성합성수지관(1)이 수직고정판(310)의 중앙부로 삽입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정역구동모터(330)의 동작으로 주행하는 주행체인(320)에 의하여 상기 수직고정판(310)에 방사형으로 배설된 각각의 고정척(340)들이 중심부를 향하여 일시에 동작됨으로써, 기성합성수지관(1)의 외면을 압착하면서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척(340)들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기 그 선단의 누름고정구(341) 후방 양측단에 착설되는 슬라이드(342)를 상기 수직고정판(310)들의 고정철물(311)에 이동가능하게 삽설하며, 그 슬라이드(342) 사이의 누름고정구(341) 후방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작동간(343)을 각기 베벨기어체(344)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철물(311) 상에 결착시키고, 상기 작동간(343)의 베벨기어체(344)를 직각으로 연결하여 상기 수직고정판(310)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동축(345) 끝단의 연동스프로켓(346)을 상기 주행체인(320)에 회동되게 연결하여서 진퇴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고정판(310)들의 내면에는 각각의 고정철물(311)들과 대응하여 연계되는 위치의 상하부에 착설되는 수개의 대접로울러(312)들로서, 상기 고정철뭍(311)에 배설되어 진퇴동작되는 고정척(340)의 슬라이드(342)가 대접 안내되도록 하여서, 상기 고정척(340)이 유동됨이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절삭가공부(400)는 상기 관체고겅부(300)로서 고정된 상태인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의 용착수지(2)를 절삭 가공하여서 예정된 형태의 플랜지로 절삭 가공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절삭가공부(400)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고정부(300) 전방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안내지지틀(100) 최선단에 하부함체(41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하부함체(410)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부함체(420)를 설치하되, 그 상부함체(420)에는 내설된 기어드모터(421)로부터 연장되어 외측으로 노출된 축봉(421a) 끝단에 착설된 구동기어(421b)와 맞물려져서 연동되는 구동치차(422)를 축설하고, 상기 구동치차(422)와 일체로 회동되도록 그 전면 중앙을 가로질러 길게 연장되는 회전지지체(42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기 구동모터(424)를 내장한 한쌍의 브라켓(425)을 착설하며, 그 양측의 브라켓(425)에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의 용착수지(2)를 향하여 각각의 구동모터(424)로서 회전동작되도록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이 설치되도록 구성하여서 된다.
즉, 상기 절삭가공부(400)는 그 하부함체(410) 상부에서 좌우이동되는 상부함체 (420)에 구동모터(424)를 동작시켜서 연동되는 구동치차(422)와 일체로서 회전지지체(423)가 회동되면, 그 회전지지체(423) 양측의 브라켓(425) 상에 각기 설치된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들이 위치 고정된 상태의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의 용착수지(2) 외주변 둘레를 따라 회전되고, 그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들이 각각의 구동모터(424)에 의하여 자전하면서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에 부착된 용착수지(2)를 절삭 가공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외경절삭날 (426)은 용착수지(2)의 외주면을 절삭가공하여 주게 되는 것이고, 단부절삭날 (427)은 용착수지(2)의 최선단 끝단부을 절삭 가공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함체(420)에 착설되는 회전지지체(423)는 전면의 트여진 양측단에 안내판(423a)들을 각기 수평하게 부착 고정하며, 상기 회전지지체(423) 상에 배설되는 양측의 브라켓(425)들은 각기 그 양측단에 수개의 구름로울러(425a)들을 착설하여서 상기 안내판(423a)을 따라 동작되도록 하고, 양측의 브라켓(425) 들이 상기 회전지지체(423)의 양측단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는 작동봉(423b)들로서 각기 진퇴동작되도록 결착하여서, 그 각각의 브라켓(425)에 착설된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들의 기성합성수지판(1) 외면에 덧입혀진 용착수지(2)의 중심측을 향하여 위치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경절삭날(426)은 기성합성수지관(1)의 용착수지(2)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회전하면서 그 용착수지(2) 외경을 절삭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단부절삭날(427)은 기성합성수지관(1)의 용착수지(2) 끝단부에 대하여 측방향에서 회전하면서 그 용착수지(2)의 단부를 절삭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함체(420)는 그 하부 사방의 부착 고정된 가이드(420a)들을 상기 하부함체(410) 상부면 양측에 길게 부착 고정된 한쌍의 안내레일(410a)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착시키고, 상기 상부함체(420)에는 하부 일정위치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결착판(428)에 결착되어 연장되는 자유 끝단에 웜기어(429a)를 착설하여서 된 수평작동봉(429)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함체(410)에는 그 전면의 조작핸들(411)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함체(420)의 수평작동봉(429) 직하부로 연장되는 자유 끝단에 웜기어(412a)를 착설하여서 된 조작봉(412)을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상부함체(420)의 수평작동봉(429)과 하부함체(410)의 조작봉(412)각각의 웜기어(412a) (429a)와 직교로 맞물려지도록 상하 끝부분에 웜기어(413a)를 착설하 여서 된 수직작동봉(413)으로서 연결하여서, 상기 상부함체(420)가 하부함체(410)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함체(410)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상부함체(420) 상의 회전지지체(423)에 브라켓(425)으로서 착설된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들이 위치 고정된 기성합성수지관(1) 외주면의 용착수지(2) 길이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위치 이동되면서 절삭 가공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발명은 동일자로 출원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용융수지 덧입힘장치에 의하여 기성합성수지관의 외면에 감겨진 융융수지를 절삭가공하여 주는 데에 가장 적합한 것임을 밝혀 둔다. 그리고,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선형 합성수지관만을 대상으로 하여서 실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평활형 합성수지관이나 기타 금속재의 강관에도 훌륭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작동]
이와 같은 본발명의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의 작동관계를 제2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관체받침부(200)의 받침로울러(230)에 기성합성수지관(1)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이송틀(210)을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동작되도록 하여서 기성합 성수지관(1)을 이동시켜 준다.
이동되는 기성합성수지관(1)이 관체고정부(300)의 수직고정판(310)을 통과하여 그 기성합성수지관(1) 선단부 외면의 용착수지(2)가 절삭가공부(400)의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고정부(300)의 고정척(340)들을 방사형으로 전진동작시켜서 기성합성수지관(1)의 외면을 결착 고정한다.
이후에, 상기 절삭가공부(400)의 회전지지체(423)를 동작시키면 기성합성수지관(1)의 외주위를 따라 회동하게 되는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들을 각각의 구동모터(424)로서 회전시켜서 기성합성수지관(1)에 부착된 용착수지(2)를 예정된 형태로 절삭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발명의 합성수지관이 플랜지성형용 가공장치는,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에 형성된 용착수지(2)를 절삭가공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단면의 플랜지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효과]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발명은 플랜지성형을 위하여 합성수지관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용착수지를 절삭 가공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보다 정교한 가공작업을 통하여 정밀한 플랜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서 합성수지관을 수밀성있게 연결 배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합성수지관의 규격에 구애됨이 없이 소요 크기와 형태의 플랜지로서 가공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길게 조립된 길이방향으로 안내 이송이 가능하도록 저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안내지지틀(100)과, 상기 안내지지틀(1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의 하부를 받쳐서 위치 이동시켜 주는 관체받침부(200)와, 상기 관체받침부(200) 전방측의 안내지지틀(100) 상에 가로질러서 수직으로 세워진 중앙부에 삽입되는 기성합성수지관(1)을 고정하여 주는 관체고정부(300)와, 상기 안내지지틀(100) 최선단에 설치되어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에 접합 형성된 융착수지(2)를 절삭 가공하여서 예정된 형태의 플랜지로 가공하여 주는 절삭가공부(400)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지틀(100)은 그 횡측앵글(110)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수개의 보강앵글(130)들을 등간격으로 배치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관체받침부(200)는 상기 안내지지틀(100)의 횡측앵글(11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굴대 설치된 전, 후방측의 바퀴(210a)들 중 어느 일측의 바퀴(210a)들은 주행모터(210b)로서 구동되도록 연결하여서 된 이송틀(21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틀(210)의 상부에 고정틀(220)를 일체로 고정 설치하되, 그 고정틀(220)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향되게 축설되어 각기 연결링크(231)로서 연결 단속되는 양측의 버팀대(232)들의 상부에 한쌍의 받침로울러(230)를 각기 착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받침부(200)는 그 고정틀(220)의 중앙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원판(221) 하단부 외주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구름로울러(222)들을 굴대설치하여서 상기 이송틀(210) 중앙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원판(211)상에 접동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틀(220)의 상부원판(221) 중앙으로부터 상기 이송틀(210)의 하부원판(211)을 관통하여서 축설된 끝단에 피니언기어(224)를 가지는 축봉(223)이, 상기 이송틀(210)에 설치된 수개의 안내로울러(212)를 따라 수평하게 안내되어 작동실린더(213)로서 좌우동작되는 랙기어(214)와 맞물려져서 회동되도록 하여서, 상기 이송틀(210) 상부에 얹혀지는 고정틀(220)이 자유롭게 방향 선회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관체고정부(300)는 상기 안내지지틀(100) 상에 가로질러서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세워지며 중앙부가 트여지는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고정 철물(311)들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고정판(310)들과, 상기 수직고정판(310)들 중 어느 일측의 수직고정판(310) 전면에 축설된 다수개의 피동스프로켓(321)들을 환상으로 연결하여서 일정한 사이클을 이루면서 주행하는 주행체인(320)과, 상기 주행체인(320)이 동작되도록 상기 수직고정판(310) 하부에 축설된 구동스프로켓 (331)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주는 정역구동모터(330)와, 상기 수직고정판(310)의 고정철물(311)에 각기 착설하여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지며 상기 주행체인(320)로서 연결되어 상기 수직고정판(3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일시에 진퇴동작 되는 수개의 고정척(340)들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척(340)들은 각기 그 선단의 누름고정구(341) 후방 양측단에 착설되는 슬라이드(342)를 상기 수직고정판(310)들의 고정철물(311)에 이동가능하게 삽설하며, 그 슬라이드(342) 사이의 누름고정구(341) 후방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작동간(343)을 각기 베벨기어체(344)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철물(311) 상에 결착시키고 상기 작동간(343)의 베벨기어체 (344)를 직각으로 연결하여 상기 수직고정판(310)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동축(345) 끝단의 연동스프로켓(347)을 상기 주행체인(320)에 회동되게 연결하여서 진퇴동작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고정판(310)들의 내면에는 각각의 고정 철물(311)들과 대응하여 연계되는 위치의 상하부에 착설되는 수개의 대접로울러(312)들로서, 상기 고정철물(311)에 배설되어 진퇴동작되는 고정척(340)의 슬라이드(342)가 대접 안내되도록 하여서 상기 고정척(340)이 유동됨이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가공부(400)는 상기 관체고정부(300) 전방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안내지지틀(100) 최선단에 하부함체(41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하부함체(410)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부함체(420)를 설치하되, 그 상부함체(420)에는 내설된 기어드모터(421)로부더 연장되어 외측으로 노출된 축봉 (421a) 끝단에 착설된 구동기어(421b)와 맞물려져서 연동되는 구동치차(422)를 축설하고, 상기 구동치차(422)와 일체로 회동되도록 그 전면 중앙을 가로질러 길게 연장되는 회전지지체(42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기 구동모터(424)를 내장한 한쌍의 브라켓(425)을 착설하며, 그 양측의 브라켓(425)에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의 용착수지(2)를 향하여 각각의 구동모터(424)로서 회전동작되도록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이 설치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함체(420)에 착설되는 회전지지체(423)는 전면의 트여진 양측단에 안내판(423a)들을 각기 수평하게 부착 고정하며, 상기 회전지지체(473) 상에 배설되는 양측의 브라켓(425)들은 각기 그 양측단에 수개의 구름로울러(425a)들을 착설하여서 상기 안내판(423a)을 따라 동작되도록 하고, 양측의 브라켓(425)들이 상기 회전지지체(423)의 양측단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는 작동봉(423b)들로서 각기 진퇴동작되도록 결착하여서, 그 각각의 브라켓(425)에 착설된 외경 및 단부절삭날(426)(427)들의 기성합성수지관(1) 외면에 덧입혀진 용착수지(2)의 중심측을 향하여 위치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함체(420)는 그 하부 사방의 부착 고정된 가이드(420a)들을 상기 하부함체(410) 상부면 양측에 길게 부착 고정된 한쌍의 안내레일(410a)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착시키고, 상기 상부함체(420)에는 하부 일정위치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결착판(428)에 결착되어 연장되는 자유 끝단에 웜기어(429a)를 착설하여서 된 수평작동봉(429)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함체(410)에는 그 전면의 조작핸들(411)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함체(420)의 수평작동봉(429) 직하부로 연장되는 자유 끝단에 웜기어(412a)를 착설하여서 된 조작봉 (412)을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상부함체(420)의 수평작동봉(429)과 하부함체 (410)의 조작봉(412) 각각의 웜기어(412a)(429a)와 직교로 맞물려지도록 상하 끝부분에 웜기어(413a)를 착설하여서 된 수직작동봉(413)으로서 연결하여서, 상기 상부함체(420)가 하부함체(410)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KR1019970020526A 1997-05-24 1997-05-24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KR10020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526A KR100201234B1 (ko) 1997-05-24 1997-05-24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526A KR100201234B1 (ko) 1997-05-24 1997-05-24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680A KR19980084680A (ko) 1998-12-05
KR100201234B1 true KR100201234B1 (ko) 1999-06-15

Family

ID=1950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526A KR100201234B1 (ko) 1997-05-24 1997-05-24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2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03A (ko) * 2002-06-03 2003-12-11 백수곤 회전 원판을 이용한 가변 직경 회전체
KR101674478B1 (ko) 2016-07-01 2016-11-09 전삼종 폴리에틸렌 파이프 이음부 가공장치
KR102033094B1 (ko) * 2018-12-18 2019-11-08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일체형 플랜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334A (zh) * 2020-03-13 2021-09-14 永康市合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缩管机
CN114407091B (zh) * 2021-11-16 2023-12-22 河北鑫鹏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pvc给水管道安装用内部撑开式截断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03A (ko) * 2002-06-03 2003-12-11 백수곤 회전 원판을 이용한 가변 직경 회전체
KR101674478B1 (ko) 2016-07-01 2016-11-09 전삼종 폴리에틸렌 파이프 이음부 가공장치
KR102033094B1 (ko) * 2018-12-18 2019-11-08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일체형 플랜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680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234B1 (ko)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성형용 절삭가공장치
CN108356386B (zh) 弯管内壁堆焊装置
CN111644783A (zh) 一种管件桁架钢结构制作对位装配机械及对位装配工艺
CN205701969U (zh) 一种稳定型弯管机
KR100662555B1 (ko) 용접포인트 조절기능을 갖는 파이프 인사이드 용접장치
CN112517778B (zh) 一种多角度液压弯管机及弯管控制方法
CN208215980U (zh) 孔网钢带增强复合管生产装置
US3789563A (en) Structural unit
CN111015233B (zh) 一种管材自动弯管切割机
JP3072015B2 (ja)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装置
CN112743418A (zh) 一种波纹膨胀节制造加工工艺
US6959747B2 (en) Machine for applying fiberglass reinforcements in disposable column forms
CN114770013B (zh) 一种合金管件桁架结构制作焊接工装夹具
CN210010338U (zh) 自动弯管系统
JPH0348392B2 (ko)
KR100490228B1 (ko) 강관의 내면접합부 용접로봇
CN211589119U (zh) 一种具有自动对正功能的钢管焊接用夹持装置
CN113523028A (zh) 一种建筑管材自动化生产加工用机械设备
KR101138918B1 (ko) 파이프 엔디 페이싱 장치
US2822599A (en) Clay pipe perforating machine
KR100882715B1 (ko)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KR200174940Y1 (ko) 판텍스 라티스 거더 자동제작 장치
CN212268694U (zh) 一种钢塑复合缠绕排水管加工用钢带输送机构
CN219673585U (zh) 一种钢带管快速连接结构
JPH057445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