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3886A -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3886A
KR19980083886A KR1019970019370A KR19970019370A KR19980083886A KR 19980083886 A KR19980083886 A KR 19980083886A KR 1019970019370 A KR1019970019370 A KR 1019970019370A KR 19970019370 A KR19970019370 A KR 19970019370A KR 19980083886 A KR19980083886 A KR 1998008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speed
motor
rea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9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3886A/ko
Priority to CN98108400A priority patent/CN1201320A/zh
Priority to JP10138087A priority patent/JP3017713B2/ja
Priority to EP98304023A priority patent/EP0880270A3/en
Publication of KR1998008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88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49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alternate storage in and retrieval from two parallel memories, e.g. using ping-pong buff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87Storage of at least one complete document page or image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9Storage of less than a complete document page or image frame
    • H04N2201/3294Storage of less than a complete document page or image frame of several complete lines, e.g. a band of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취부와 레이저 인쇄부를 갖춘 복합기에서 상기 독취부와 상기 레이저 인쇄부를 동시에 구동하여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여 복사를 수행하고, 상기 독취부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원고 확대/축소 복사를 지원하는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고의 이송을 위해 독취 모터를 포함한 독취부와, 인쇄 용지의 이송을 위한 엔진 모터를 포함한 레이저 인쇄부를 갖춘 복합기에서 상기 레이저 인쇄부를 기동하는 단계와; 상기 레이저 인쇄부로부터 인쇄 준비완료 신호를 받은 경우 독취 및 인쇄를 위한 다수의 밴드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소정 모드에 따라 상기 독취 모터의 수행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결정 단계와;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소정 크기만큼 상기 다수의 밴드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밴드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인쇄를 위해 상기 레이저 인쇄부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쇄하는 복사 단계와; 상기 원고의 한 페이지에 대한 복사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본 발명은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취부와 레이저 인쇄부를 갖춘 복합기에서 상기 독취부와 상기 레이저 인쇄부를 동시에 구동하여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여 복사를 수행하고, 상기 독취부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원고 확대/축소 복사를 지원하는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프린터, 독취장치(scanner) 및 팩스 등과 같은 사무 자동화(OA) 기기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각각의 사무 자동화 기기들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고가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한편,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각각의 사무 자동화 기기를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기를 일반적으로 복합기라고 한다.
도 1은 디지털 복사기능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복합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 데이터를 독취하는 독취부(11)와, 상기 독취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레이저 엔진(12)과, 상기 독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인쇄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 엔진(12)으로 전송하는 콘트롤러부(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부(13)는 상기 독취부(11)로부터 독취된 데이터를 전송받는 독취부 인터페이스(14)와, 상기 독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16)과, 상기 램에 저장된 독취 데이터를 레이저 엔진(12)으로 전송하는 엔진 인터페이스(15)와, 상기 장치들을 제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롬(17)과, 상기 롬(17)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8)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기에서 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독취부(11)에 의해 한 페이지의 원고를 독취한 후, 독취된 한 페이지의 데이터를 메모리(즉, 램(16))에 저장한 다음 레이저 엔진(12)을 구동시켜 상기 저장된 독취 데이터를 인쇄하므로 원고 복사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레이저 엔진 및 독취부의 해상도가 증가됨에 따라, 원고 한 페이지에 해당하는 데이터 량이 증가하므로 원고를 복사하는데 요구되는 메모리 용량도 증가한다. 이는 복합기의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취부와 레이저 인쇄부를 동시에 구동하여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여 원고 복사를 가능케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고의 확대 및 축소 복사를 가능케 하는데 있다.
도 1은 디지털 복사기능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복합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디지털 복사기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라 한 페이지의 원고를 독취할 때 상기 원고에 해당된 가상 밴드 메모리 구조를 나타내며,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밴드 메모리를 사용한 원고 복사에 따른 두 개의 밴드 메모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복사를 위해 DMA 인터럽트를 수행하는 독취 및 인쇄 인터럽트 수행 과정을 나타내며,
도 5(a)는 독취 인터럽트 수행 과정을 나타내고,
도 5(b)는 인쇄 인터럽트 수행 과정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21 : 독취부 22 : 레이저 엔진
23 : 콘트롤러 24 : 독취부 인터페이스
25 : 엔진 인터페이스 26 : 램
27 : 롬 28 : 중앙처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고의 이송을 위해 독취 모터를 포함한 독취부와, 인쇄 용지의 이송을 위한 엔진 모터를 포함한 레이저 인쇄부를 갖춘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은 상기 레이저 인쇄부를 기동하는 단계와; 상기 레이저 인쇄부로부터 인쇄 준비완료 신호를 받은 경우 독취 및 인쇄를 위한 다수의 밴드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소정 모드에 따라 상기 독취 모터의 수행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결정 단계와;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소정 크기만큼 상기 다수의 밴드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밴드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인쇄를 위해 상기 레이저 인쇄부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쇄하는 복사 단계와; 상기 원고의 한 페이지에 대한 복사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 모드는
확대 복사와 축소 복사 및 보통 복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속도 결정 단계는 상기 소정 모드가 축소 복사 모드이면, 상기 엔진 모터의 수행 속도가 상기 독취 모터의 수행 속도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 상기 독취 모터의 속도를 늦추는 단계와; 상기 소정 모드가 확대 복사 모드이면, 상기 독취 모터의 수행 속도가 상기 엔진 모토의 수행 속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 상기 독취 모터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디지털 복사기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복합기의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롬(27)에 후술할 본 발명의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중앙처리부(28)에 의해 본 발명의 디지털 복사 방법이 수행된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라 한 페이지의 원고를 독취할 때 상기 원고에 해당된 가상 밴드 메모리 구조를 나타내며,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밴드 메모리를 사용한 원고 복사에 따른 두 개의 밴드 메모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원고의 세로 크기가 11 인치이고, 하나의 밴드가 30 라인을 저장할 수 있고, 600DPI(Dot Per Inch) 독취부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를 독취한다고 가정하고, 원고의 세로방향 길이가 10 인치(inch)라고 가정하고, 원고 세로 방향으로 1 인치당 600 도트 라인을 독취한다고 가정하면, 600 × 10 = 6000 라인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고, 하나의 밴드 메모리가 30 라인을 저장할 수 있으면 200개의 밴드 메모리가 요구된다.
전술한 종래의 원고 복사 방법을 이용한 복합기에서는 200개의 밴드를 저장할 저장공간이 요청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3(b)과 같이 두 개의 밴드 메모리를 사용하여 한 쪽 밴드 메모리에서는 독취된 하나의 밴드량만큼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밴드 메모리에 하나의 밴드량만큼의 판독 데이터가 저장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레이저 엔진(22)으로 전송하여 인쇄를 수행하고, 이때, 또 다른 밴드 메모리에 상기 원고로부터 다음 밴드량 만큼의 독취데이터를 독취하여 저장한다.
즉, 두 개의 밴드 메모리는 밴드 단위로 독취 밴드 메모리 또는 인쇄 메모리로 교대로 사용된다. 따라서, 독취부(22)에서 독취된 데이터는 밴드 단위로 레이저 엔진(22)에 전송되므로, 밴드는 독취 및 인쇄를 위한 데이터 관리의 기본단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엔진을 기동하는 단계(S21)와, 상기 레이저 엔진으로부터 인쇄 준비완료 신호를 받은 경우 독취 및 인쇄를 위한 밴드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단계(S22, S23)와, 소정 모드에 따라 독취 모터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S24)와, 상기 원고의 독취를 수행하는 단계(S25)와, 상기 독취된 원고 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S26)와, 한 페이지에 대한 복사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 모드는 확대 복사와 축소 복사 및 보통 복사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속도 결정 단계는 상기 소정 모드가 확대 복사 모드이면, 엔진 모터(미도시)의 수행 속도가 독취 모터(미도시)의 수행 속도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 상기 독취 모터의 속도를 늦추는 단계와, 상기 소정 모드가 축소 복사 모드이면, 상기 독취 모터의 수행 속도가 상기 엔진 모토의 수행 속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 상기 독취 모터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복사를 위해 DMA 인터럽트를 수행하는 독취 및 인쇄 인터럽트 수행 과정을 나타낸다.
도 5(a)는 독취 인터럽트 수행 과정을 나타내며, 먼저, 현재 독취된 원고의 밴드 카운트 값을 1만큼 증가하는 단계와, 독취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 DMA를 세팅하는 단계와, 인터럽트 수행을 마치고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b)는 인쇄 인터럽트 수행 과정을 나타내며, 먼저, 현재 인쇄한 밴드 데이터의 밴드 카운트 값을 1만큼 증가하는 단계와, 인쇄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 DMA를 세팅하는 단계와, 인터럽트 수행을 마치고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DMA는 직접 기억장소 접근, Direct Memory Access의 머릿글자를 딴 말로서 중앙처리장치의 처리를 거치지 않고 주변 기억장치와 주기억장치간에 자료를 바로 주고받는 방식. 이는 중앙처리장치의 처리량을 줄이고 자료의 입출력이 일어나고 있는 중에도 다른 처리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컴퓨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를 하기 위해 레이저 엔진을 기동시켜 종이를 픽업한다(단계 : S21).
상기 종이를 픽업하여 상기 레이저 엔진이 인쇄 준비를 완료하였는지 판단한다(단계 : S22). 즉, 상기 레이저 엔진에 의해 종이가 VSYNC 영역에 도착하면 인쇄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콘트롤러(23)에 전송하고, 콘트롤러(23)가 이를 판단한다.
상기 레이저 엔진이 인쇄 준비를 완료하였으면 독취 및 인쇄를 위한 밴드 메모리를 초기화한다(단계: S23).
밴드 메모리를 초기화시킨 후, 소정 모드에 따라 독취 모터 속도를 결정하여 원고 독취를 시작한다(단계 : S24, S2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VSYNC부터 엔진 탑 마진(engine top margin)까지는 항상 진행 시간이 일정하므로 이 시간을 기준으로 독취 시작 시점을 계산하여 독취 모터(미도시)를 시작시키고 독취를 시작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독취률(scanning rate)과 레이저 엔진 속도를 고정시켜 놓고, 상기 독취 모터(미도시)의 속도를 가변하여 수직으로 축소 혹은 확대 복사 가능하도록 한다.
즉, 독취 모터의 속도를 늦추면, 레이저 엔진 속도가 독취 속도보다 빠르므로 원고를 확대 복사하는 경우가 되고, 반대로 독취 모터의 속도를 빨리하면 원고 공급이 레이저 엔진에 의해 인쇄할 때 인쇄용지의 공급속도보다 빠르므로 원고를 축소하는 경우가 된다.
이어, 상기 독취된 원고 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단계: S2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계 S25, 단계 S26에서와 같이 원고 독취 및 이를 인쇄할 때, DMA 방식을 사용하여 밴드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때,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도 5에 도시된 DMA 인터럽트에 따른 독취 및 인쇄 인터럽트를 수행한다. 즉, 밴드 카운트 값을 증가시켜 현재 처리된 데이터 량을 카운트한다. 따라서, 현재 독취된 밴드가 원고의 몇 번째 밴드인지를 알 수 있고, 한편, 현재 인쇄된 밴드가 몇 번째 밴드인지 알 수 있다.
원고 독취 및 이를 인쇄하는 동안, 한 페이지에 대한 복사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단계 : S2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밴드 번호가 200번이면 한 페이지에 대한 원고의 독취가 종료하게 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독취부와 레이저 인쇄부를 동시에 구동하여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여 원고 복사를 가능케 하고, 원고의 확대 및 축소 복사를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4)

  1. 원고의 이송을 위해 독취 모터를 포함한 독취부와, 인쇄 용지의 이송을 위한 엔진 모터를 포함한 레이저 인쇄부를 갖춘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인쇄부를 기동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인쇄부로부터 인쇄 준비완료 신호를 받은 경우 독취 및 인쇄를 위한 다수의 밴드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단계;
    소정 모드에 따라 상기 독취 모터의 수행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결정 단계;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소정 크기만큼 상기 다수의 밴드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밴드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인쇄를 위해 상기 레이저 인쇄부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쇄하는 복사 단계;
    상기 원고의 한 페이지에 대한 복사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모드는,
    확대 복사와 축소 복사 및 보통 복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결정 단계는,
    상기 소정 모드가 확대 복사 모드이면, 상기 엔진 모터의 수행 속도가 상기 독취 모터의 수행 속도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 상기 독취 모터의 속도를 늦추는 단계와;
    상기 소정 모드가 축소 복사 모드이면, 상기 독취 모터의 수행 속도가 상기 엔진 모토의 수행 속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 상기 독취 모터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밴드 메모리의 개수는,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KR1019970019370A 1997-05-20 1997-05-20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KR19980083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370A KR19980083886A (ko) 1997-05-20 1997-05-20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CN98108400A CN1201320A (zh) 1997-05-20 1998-05-20 多功能机中的数字化复制方法
JP10138087A JP3017713B2 (ja) 1997-05-20 1998-05-20 ディジタル複写方法
EP98304023A EP0880270A3 (en) 1997-05-20 1998-05-20 Digital copy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370A KR19980083886A (ko) 1997-05-20 1997-05-20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886A true KR19980083886A (ko) 1998-12-05

Family

ID=1950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370A KR19980083886A (ko) 1997-05-20 1997-05-20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80270A3 (ko)
JP (1) JP3017713B2 (ko)
KR (1) KR19980083886A (ko)
CN (1) CN12013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5013B1 (en) 1999-05-14 2004-08-31 Ricoh Company, Ltd. System for capturing images from a peripheral unit and transferring the captured images to an image management server
CN101207691B (zh) * 2006-12-18 2011-09-28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扫描装置控制器
JP2014168151A (ja) * 2013-02-28 2014-09-11 Brother Ind Ltd 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176A (ja) * 1984-08-29 1986-03-2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倍率可変制御方法
JP2692797B2 (ja) * 1986-09-02 1997-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5267056A (en) * 1991-01-03 1993-11-30 Xerox Corporation Right reading image for read/write components co-mounted on a single X-Y carriage
US5311259A (en) * 1992-06-19 1994-05-1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776737B2 (ja) * 1993-12-22 1998-07-16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41323A (ja) 1998-12-22
EP0880270A2 (en) 1998-11-25
CN1201320A (zh) 1998-12-09
EP0880270A3 (en) 2000-04-19
JP3017713B2 (ja) 200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86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US6381031B1 (en) Compression and expansion apparatus
EP0465943B1 (en) Tex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18166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9980083886A (ko) 복합기에서의 디지털 복사 방법
JPH11136459A (ja) 画像入出力装置及び方法
JP2009055226A (ja) 画像制御装置
EP1355263A1 (en) Printing apparatus, printer driver, and buffer management method
JPH10210251A (ja) 画像メモリアクセス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記憶装置、アドレス発生方法、及びアドレス発生装置
JP2002199152A (ja) 複数の画像形成装置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7310221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5563265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10858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4024073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forming
KR20000059460A (ko) 복합기의 축소 복사 방법
JP2002271605A (ja) 画像形成装置
JPH03213370A (ja) ページプリンタ
KR100294217B1 (ko) 복합기의이중작업처리방법
JP2020010253A (ja) 複合機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1013641A (ja) 画像処理装置
JPH1029350A (ja) 画像形成装置
JPH1023213A (ja) 複合機
JP2019161339A (ja) 情報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533628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330308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