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3002A -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3002A
KR19980083002A KR1019970018121A KR19970018121A KR19980083002A KR 19980083002 A KR19980083002 A KR 19980083002A KR 1019970018121 A KR1019970018121 A KR 1019970018121A KR 19970018121 A KR19970018121 A KR 19970018121A KR 19980083002 A KR19980083002 A KR 19980083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nse amplifier
sense amplifiers
data busline
bus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553B1 (ko
Inventor
김관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1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553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8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로벌 데이타 버스라인을 반으로 나누어 그 양측에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제 1, 제 2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 인에이블 회로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칩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킨 이중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버스 라인에 관한 배치 및 그 설계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램(DRAM)소자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램(DRAM)소자를 동작시키는 주 신호인 라스바(/RAS)신호가 엑티브(active)상태 즉, '로우(LOW)'로 변화면 로오 어드레스 버퍼(Row Address Buffer)로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때 받아들인 로오 어드레스(xadd) 신호들을 디코딩하여 셀 어레이 블럭의 워드라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로오 디코딩(Row Decoding)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런다음 선택된 워드라인(word line)에 연결되어 있는 셀들이 저장하고 있던 데이타가 비트라인(bit line)으로 실리게 되면, 비트라인 센스 앰프의 동작시점을 알리는 신호가 인에이블되어 로오 어드레스(xadd)에 의하여 선택된 셀 어레이 블럭의 비트라인 센스 앰프를 구동하게 되고 비트라인 센스 앰프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비트라인으로부터 컬럼선택에 의해 데이타 버스라인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칩이 점점 고집적하됨으로써 셀의 서브블럭(sub-block)의 수가 증가되어 한 데이타 버스라인의 길이도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한 데이타 버스라인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이에 연결된 전송트랜지스터(YI tr.)의 수도 증가하게 되어 데이타전송을 고속으로 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그로인해 칩의 동작속도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면, 종래의 데이타 버스라인 및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DB S/A)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의 배치를 도시한 메모리의 블럭구성도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DB S/A)는 그것에 연결된 글로벌 데이타 버스라인(global data bus line)이 일반적으로 비트라인 센스 앰프에서 전개된 셀의 데이타가 전송 트랜지스터인 YI tr.(비트라인의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라인으로 전달하는 트랜지스터)를 통해 데이타 버스라인에 전달되는데, 이때 칩이 점점 고집적화됨으로써 셀의 서브 블럭(sub-block)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한 데이타 버스라인의 길이도 증가해서 그 데이타 버스라인에 연결된 YI 트랜지스터의 수도 더불어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YI 트랜지스터가 턴-온된 후 진위 데이타 버스라인(DB라인)과 보수 데이타 버스라인(/DB라인)이 잡음 마진(noise margin)과 안정된 동작 마진을 포함하여 충분한 전위차를 보이며 벌어지게 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칩 전체의 동작 속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 버스라인을 반으로 나누어 그 양측에 각각 센스 앰프를 연결해 동작시킴으로써,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DB S/A)의 인에이블 시간을 앞당겨 전체적인 칩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의 배치를 도시한 메모리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의 배치를 도시한 메모리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의 인에이블 시간을 나타낸 결과 그래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의 인에이블 시간을 나타낸 결과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 및 프리차지 회로부
20 : 데이타 버스 라인
30 : 데이타 버스 라인 센스 앰프의 인에이블신호 입력 회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타 버스라인을 통해 전송할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다수개의 서브 셀 블럭과;
상기 다수개의 서브 셀 블럭 중 블럭선택 신호에 의해 하나의 서브 셀 블럭이 선택되면 그 서브셀 블럭의 데이타를 감지해 증폭하는 다수개의 비트라인 센스 앰프와;
상기 다수개의 비트라인 센스 앰프를 통해 증폭된 다수개의 데이타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글로벌 데이타 버스라인과;
상기 다수개의 글로벌 데이타 버스라인을 반으로 나누어 그 양측에 각각 배치시킨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와;
상기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된 다수개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들 중에서 제 1, 제 2 블럭 선택신호의 인가에 의해 어느 한쪽의 서브 셀이 선택되면 그 서브 셀이 속한 쪽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들만이 인에이블되고, 반대쪽이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들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 1, 제 2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 인에이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하나의 데이타 버스라인과 그 라인에 전송된 신호를 센싱해 증폭하는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DB S/A)가 할당받게 되는 서브 셀 블럭(sub cell block)의 수가 반으로 줄어서 비트라인 센스 앰프(BL S/A)에서 전개된 서브 셀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전송 트랜지스터인 YI tr. 에 의해 데이타 버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양쪽으로 나누어 배치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DB S/A)의 제 1, 제 2 인에이블 신호로는 각각 그 DB S/A에 연결된 비트라인 센스 앰프(BL S/A)를 인에이블 시킬 수 있는 어드레스(서브 셀 블럭 선택신호인 제 1, 제 2 block select)와 기존의 인에이블 신호인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 스트로브(dbsastb)신호를 사용하며 그 두신호를 논리조합하여 데이타 버스 라인 센스 앰프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동작에 의해 어느 한쪽의 비트라인 센스 앰프(BL S/A)가 인에이블되면 그 쪽에 해당되는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DB S/A)들만 인에이블이 가능하도록 하고 반대쪽에 배치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들은 어프(OFF)시켜서 동작을 제어함에 의해 불필요한 전류소모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2과 도 4는 각각 종래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회로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인에이블시키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센스 앰프 제어신호인 입력신호 ctl신호를 '하이(HIGH)'로 인가해주어 센스 앰프(S/A)를 동작모드로 만들어주면 인버터 I1에 의해 반전된 신호 '로우(LOW)'가 노드 N1을 통해 흐르게 되고 상기 노드 N1의 '로우' 전위가 인가된 엔모스 트랜지스터 MN4, MN6는 턴-오프된다.
노드 N1의 '로우' 전위가 다시한번 인버터 I2에 의해 반전된 노드 N2는 '하이' 레벨 전위가 흐르게 되어 그 전위가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MN1, MN2는 턴-온되어 '하이' 레벨의 전위가 흐르게 되지만 턴-오프된 엔모스 트랜지스터 MN4에 의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데이타 버스 라인부의 노드 N3(DBb라인)에는 '로우' 전위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데이타 버스 라인부의 노드 N4(DB라인)에는 그대로 '하이'레벨의 전위가 흐르게 된다.
데이타 버스 라인(DB Line)부의 노드 N3의 '로우' 전위와 노드 N4의 '하이' 전위가 엔모스 MN8과 MN7에 인가되므로 MN8은 턴-오프되고, MN7은 턴-온된다. 이때, 데이타 버스 센스 앰프 스트로부(dbsastb)신호와 블럭 셀랙트(block select)신호에 '하이' 전위를 인가해줌으로써 데이타 버스 센스 앰프 인에이블 회로를 동작시키면 두 신호가 앤드(AND)되어 '하이' 전위를 노드 N5에 흐르게 되어 피모스 MP2, MP5, MP6는 턴-오프되고 전원 전압(Vcc)로 인해 피모스 MP3, MP4와 엔모스 MN9, MN10는 턴-온된다. 그런데, 트랜지스터 MP3, MN9, MN7, MN12가 모두 턴-온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전압 Vcc는 접지(GND)되어 노드 N6에는 '로우' 전위가 걸리고, 트랜지스터 MN8이 턴-온되었기 때문에 노드 N7에는 '하이' 가 걸리게 된다.
각각의 노드 N6, N7의 전위는 각각의 인버터 I5, I6에 의해 반전되어 출력단자 OUT1에는 '하이' 레벨 전위가 OUT2에는 '로우' 레벨 전위가 각각 출력된다.
그 반대의 경우로 입력 신호 ctl신호에 '로우(LOW)'를 인가해 주어 대기모드(stand by mode)로 만들어 주면, 노드 N2는 '로우' 전위가 흘러 엔모스 트랜지스터 MN1, MN2는 턴-오프된다. 그리고 노드 N1은 '하이'가 되어 프리차지(Precharge) 회로를 구성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MN4, MN5, MN6 모두 턴-온되어서 데이타 버스라인부의 노드 N3, N4를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Vblp로 만든다. 그리고, 입력신호가 '로우(low)'인 대기모드시에는 센스 앰프 인에이블 신호 출력이 '로우'가 되어 엔모스 트랜지스터 MN12를 턴-오프 시키고 피모스 트랜지스터 MP2, MP5, MP6이 턴-온되어 전원전위(Vcc)를 노드 N6, N7로 각각 공급하지만 출력단자 OUT1과 OUT2는 모두 '로우'가 출력되어 센스앰프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도 5는 종래에 사용하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의 인에이블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의 인에이블 타이밍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그래프를 통해 데이타 버스라인(DB, /DB)이 일정 전위차(여기서는 0.4V로 정했다.)를 보이며 충분히 벌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종래의 2.35nS(도 5에 도시됨)에서 1.15nS(도 6에 도시됨)로 대폭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에 의하면, 데이타 버스라인을 반으로 나누고 각각 양측에 센스 앰프를 연결해서 동작시킴에 의해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 하나가 감지 증폭해야 하는 데이타 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반으로 나누어진 데이타 버스 라인에는 그에 연결된 부하의 수도 종래에 비해 반밖에 되지 않아서 데이타 버스 라인의 두 라인(DB line 과 /DB line)이 일정 전위차를 내며 벌어지는데 소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그로 인한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의 인에이블 타이밍을 줄일 수 있고 칩전체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 데이타 버스 라인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로벌 데이타 버스 라인을 반으로 나누고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앰프도 똑같이 그 양쪽으로 나누어 넣어 동작시킴으로써, 반도체 메모리칩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킨 이중 데이타 버스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타 버스라인을 통해 전송할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다수개의 서브 셀 블럭과,
    상기 다수개의 서브 셀 블럭 중 블럭선택 신호에 의해 하나의 서브 셀 블럭이 선택되면 그 서브셀 블럭의 데이타를 감지해 증폭하는 다수개의 비트라인 센스 앰프와,
    상기 다수개의 비트라인 센스 앰프를 통해 증폭된 다수개의 데이타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글로벌 데이타 버스라인과,
    상기 다수개의 글로벌 데이타 버스라인을 반으로 나누어 그 양측에 각각 배치한 다수개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와,
    상기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된 다수개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들 중에서 제 1, 제 2 블럭 선택신호의 인가에 의해 어느 한쪽의 서브 셀이 선택되면 그 서브 셀이 속한 쪽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들만이 인에이블되고, 반대쪽의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들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 1, 제 2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 인에이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 인에이블 회로는, 비트라인 센스앰프를 인에이블 시킬 수 있는 제 1, 제 2 블럭 선택신호와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 스트로브 신호가 논리조합된 출력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데이타 버스라인 센스 앰프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9970018121A 1997-05-10 1997-05-10 이중데이타버스라인센스앰프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KR100474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121A KR100474553B1 (ko) 1997-05-10 1997-05-10 이중데이타버스라인센스앰프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121A KR100474553B1 (ko) 1997-05-10 1997-05-10 이중데이타버스라인센스앰프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002A true KR19980083002A (ko) 1998-12-05
KR100474553B1 KR100474553B1 (ko) 2005-06-27

Family

ID=3730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121A KR100474553B1 (ko) 1997-05-10 1997-05-10 이중데이타버스라인센스앰프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5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901A (en) * 1987-02-23 1990-06-19 Hitachi, Ltd. Semiconductor memory with divided bit load and data bus lines
JP2845467B2 (ja) * 1989-01-09 1999-01-13 株式会社東芝 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KR940006074Y1 (ko) * 1991-12-17 1994-09-08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데이타 버스억제를 이용한 여분의 컬럼 선택회로
KR970003337B1 (ko) * 1994-07-07 1997-03-17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데이타 버스 라인 부하 감소 장치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KR100400328B1 (ko) * 1996-06-29 2003-1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페어셀과글로벌데이타버스센스앰프를포함하는메모리소자
KR100427712B1 (ko) * 1996-12-31 2004-07-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트윈컬럼디코더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4553B1 (ko) 200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7176E1 (en) Semiconductor memory
JPH0253879B2 (ko)
US553969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and writing data therein
JPS63200391A (ja) スタテイツク型半導体メモリ
KR100574181B1 (ko) 고속기입회복을갖춘메모리장치및그에관련된기입회복방법
KR100272918B1 (ko) 센스앰프와 그것을 이용한 스택이틱 랜덤 억세스 메모리와 마이크로프로세서
US5680356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H03203100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並列テスト方法及び半導体メモリ装置
US570623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redundant memory cell
US20040125683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9980041740A (ko) 스태틱형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5085454A (ja) メモリアレイを含む集積回路装置、およびセンスアンプを有するメモリを組込んだ集積回路装置においてパワーゲートするための方法
US5751642A (en) Voltage control circuit for input and output line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325875B2 (ko)
KR20040038597A (ko) 비데이터 액세스 시의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한 반도체기억 장치
US5715210A (en) Low powe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307772B1 (en) Static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lower current consumption
KR100618066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US6288573B1 (en)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operating fast with a low voltag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ring standby
US631403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reducing parasitic resistance of the I/O lines
KR100474553B1 (ko) 이중데이타버스라인센스앰프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US6058067A (en) Multi-bank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bit line pairs of each bank connected to data bus pairs
JPH11134866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03142B1 (ko) 디램
KR100535126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