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930A - 방전관 - Google Patents

방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930A
KR19980080930A KR1019980011235A KR19980011235A KR19980080930A KR 19980080930 A KR19980080930 A KR 19980080930A KR 1019980011235 A KR1019980011235 A KR 1019980011235A KR 19980011235 A KR19980011235 A KR 19980011235A KR 19980080930 A KR19980080930 A KR 1998008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rigger wire
inn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wal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732B1 (ko
Inventor
마찌다까즈히꼬
Original Assignee
모기쥰이찌
신꼬오덴기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기쥰이찌, 신꼬오덴기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기쥰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8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0Cold-cathode tubes with one cathode and one anode, e.g. glow tubes, tuning-indicator glow tubes, voltage-stabiliser tubes, voltage-indicator tubes
    • H01J17/44Cold-cathode tubes with one cathode and one anode, e.g. glow tubes, tuning-indicator glow tubes, voltage-stabiliser tubes, voltage-indicator tubes having one or more control electrodes
    • H01J17/46Cold-cathode tubes with one cathode and one anode, e.g. glow tubes, tuning-indicator glow tubes, voltage-stabiliser tubes, voltage-indicator tubes having one or more control electrodes for preventing and then permitting ignition but thereafter having no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30Igni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20Means for starting arc or facilitating ignition of spark g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 H01T4/12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hermetically sealed

Landscapes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Lase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방전 전극 및 하부 방전 전극에서 방전시에 발생되는 스퍼터(sputter)물질에 의해서, 방전 트리거선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하지 않는 방전관을 얻음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은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상부 방전 전극 및 하부 방전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 상태에서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에서 방전시에 발생되는 스퍼터 물질(40)이 부착될 염려가 없는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부와 그 하부에,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30a)과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30a)을 형성한다. 그리고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거쳐서,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전기적으로 접근 시킨 상태로 한다. 그리고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선단과 그 가까이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조기에 안정시켜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방전관
본 발명은 절연체로 되는 기밀통내의 축방향에 한쌍의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이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방전관에 관한 것이다.
메탈 할라이드 램프 점등용의 스위칭·스파크·갭(Switching Spark Gap : SSG), 서지(SURGE) 전압 방지용의 어레스터(ARRESTER)등에 사용되는 방전관으로서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전관이 있다.
이 방전관은 세라믹등의 절연체로 형성된 기밀통(10) 내의 축방향으로 42 합금(철-니켈 합금)등의 금속으로 되는 원주상을 한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이 상하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이 대향하는 선단면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는 소정 폭의 공극으로 되는 방전 갭이 형성되어 있다.
기밀통(10)의 상하 개구단은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에 형성된 42 합금등의 금속으로 되는 뚜껑(22a, 22b)으로 기밀하게 덮여져 있다. 뚜껑(22a, 22b)은 기밀통(10) 상하의 개구 단면에 형성된 메탈라이즈층(12a, 12b)에 각각 납땜(hard soldering)등에 의해서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기밀통(10) 내주벽에는 기밀통(10)의 축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카본으로 된 가는 띠상의 복수개의 방전 트리거선(30a, 30b)이 소정 피치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5에 그 전개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밀통(10)의 내주벽 상부에, 상부 방전 전극(20a)에 메탈라이즈층(12a)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30a)이 있고, 그 하단은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중앙부를 횡단하는 방전 트리거선(30a)이 복수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기밀통(10)의 내주벽의 하부에 하부 방전 전극(20b)에 메탈라이즈층(12b)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30b)이 있고, 그 상단은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중앙부를 횡단하는 방전 트리거선(30b)이 복수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 되어 있다. 방전 트리거선(30a, 30b)은 기밀통(10)의 내주벽의 횡방향으로 교호로 복수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14 및 도15에 나타낸 방전관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방전관에 서는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에 형성된 뚜껑(22a, 22b) 사이에 소정치 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에는 기밀통(10)의 내주벽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조기에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 그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에 발생시킨 초기 방전에 의해서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 선단면 사이에 방전 응답 속도를 빠르게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전관에서는 그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킬 때에 상부 방전 전극(20a) 및 하부 방전 전극(20b)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의 일부가 분말상의 스퍼터 물질(40)로 되어, 그 주위로 비산되었다. 그리고 그 스퍼터 물질(40)이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밀통(10)의 내주벽 중앙부의 횡방향으로 띠상으로 부착되었다. 그리고 그 스퍼터 물질(40)을 거쳐서 기밀통(10)의 내주벽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30a, 30b)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되어 버린다. 그리고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장기에 걸쳐서 확실하게 발생시킬수 없게 된다.
이와같은 방전 트리거선(30a, 30b) 사이의 전기적 절연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단에 가깝게, 상부 방전 전극(2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30a)을, 또 기밀통(10)의 내주벽의 하단에 가깝게 하부 방전 전극(2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30b)을 짧은 길이로 형성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부 방전 전극(20a) 및 하부 방전 전극(20b)으로부터 비산하는 스퍼터 물질(40)이 부착하는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중앙부로부터 벗어난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단과, 그 하단 가깝게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밀통(10)의 내주벽 중앙부의 횡방향으로 띠상으로 부착되는 스퍼터 물질(40)에 의해서 방전 트리거선(30a, 30b)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그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조기에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서 된 것으로 상부 및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에 방전을 응답 속도를 빠르게 발생시킬 수 있고, 또 방전 트리거선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하지 않는 방전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2는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3은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4는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5는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6은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7은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8은 본 발명의 방전관의 정면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10은 본 발명의 방전관의 실험 데이터도.
도11은 방전관의 실험 데이터도.
도12는 본 발명의 방전관의 정면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방전관의 기밀통 내주벽 전개도.
도14는 종래의 방전관의 정면 단면도.
도15는 종래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도16은 종래의 방전관의 기밀통의 내주벽 전개도.
※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기밀통 12a, 12b : 메탈라이즈 층
20a : 상부 방전 전극 20b : 하부 방전 전극
22a, 22b : 뚜껑 30a, 30b : 방전 트리거선
40 : 스퍼터 물질 50 : 서브 방전 트리거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전관은 절연체로 되는 기밀통내의 축 방향으로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이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에 형성된 뚜껑에 의해서 상기 기밀통의 상단과 그 하단의 개구부가 기밀하게 덮이고, 상기 기밀통의 내주벽에 방전 트리거선이 형성되는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기밀통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상기 상부 방전 전극 및 하부 방전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형성하는 동시에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에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또 기밀통의 내주벽의 하부에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이들의 각 방전 트리거선과 그 가까이의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 사이의 거리가 균등하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방전관에 있어서는, 상부 방전 전극 및 하부 방전 전극으로부터 방전시에 발생되는 스퍼터 물질이 부착되기 어렵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는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와 그 하부에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과,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 방전 전극 및 하부 방전 전극으부터 방전시에 발생되고, 기밀통의 내주벽 중앙부의 횡방향으로 띠상으로 부착되는 스퍼터 물질에 의해서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와 그 하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의 열화가 어렵다던지 그 방전 트리거선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되는등 하지 않는다.
또 기밀통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거쳐서,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전기적으로 접근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서브 방전 트리거선과 그 가까이의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이 조기에 안정되어 발생한다. 그리고 그 초기 방전으로 촉발되어,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에 방전이 응답 속도 빠르게 확실히 유발된다.
또 각 방전 트리거선과 그 가까이의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사이의 거리를 균등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각 방전 트리거선과 그 가까이의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동시에 균등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밀통의 내주벽에 형성된 일부의 방전 트리거선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만 초기 방전이 발생하고, 그 일부의 방전 트리거선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이 다른 방전 트리거선이나 서브 방전 트리거선에 비해서 조기에 멸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방전 트리거선이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그 중앙 방향으로 뻗어 있고,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과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의 위치가 방전을 발생시키는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에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으로부터 떨어진 기밀통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서 초기 방전을 발생 시키는 방전관에 비해서, 그 서브 방전 트리거선과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 발생시키는 초기 방전에 의해서, 그 가까이의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에 방전을 응답 속도 빠르고 확실하게 유발시킬 수 있다.
또 선상의 방전 트리거와 선상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그 방전 트리거선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에 초기 방전을 유발하기 위한 연면 코로나 방전용의 전자를 효율 좋게 수렴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방전 트리거선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조기에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 있어서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가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방전 트리거선의 선단과 겹치도록,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전관에서는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서로 소정 폭으로 겹치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측 가장자리와 방전 트리거선의 선단측 가장자리 사이에 초기 방전을 폭이 넓게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폭이 좁은 선단 가장자리와 방전 트리거선의 폭이 좁은 선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서브 방전 트리거선과 방전 트리거선의 사이에 초기 방전을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폭이 좁은 선단 가장자리와 방전 트리거선의 폭이 좁은 선단 가장자리가 초기 방전의 영향을 받아, 조기에 멸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에 등피치로 나란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통의 내주벽 부분에 방전 트리거선을 일정한 규칙성을 갖게 형성한다던지
또는 방전 트리거선 및/또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한다던지
또는 방전 트리거선 및/또는 서브 방전 트리거를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방전관에서는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과 복수개의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에 일정한 규칙성을 갖게 하여, 기밀통의 축과 평행한 방향 또는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경사 방향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 있어서는 각 방전 트리거선을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로 형성하는 동시에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로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전관에서는 각 방전 트리거선이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를 하고 있는 동시에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이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각 방전 트리거선과 그에 가까운 각 서브 방전 트리선의 사이에 발생시키는 초기 방전에 의해서 일부의 방전 트리거선이나 서브 방전 트리거선이 다른 방전 트리거선이나 서브 방전 트리거선에 비해서 조기에 멸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서는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과,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에 교호로 나란하게 형성한다던지
또는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과,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에 대향시켜 형성한다던지 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전관에서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통의 내주벽 부분에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 또는/ 및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전 트리거선과 그 가까이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서는 기밀통의 상하 방향의 길이(A)와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의 방전 갭(B)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상단과 이것에 대향하는 기밀통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H) 및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하단과 이들에 대향하는 기밀통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H) 관계를 B/2≤H≤(A-B)/2로 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전관에서는 그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에 발생시키는 초회의 방전 개시 전압을, 동일한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에 발생시키는 다음회 이후의 방전 개시 전압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전관에서는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의 하단을,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상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과 동일 위치를 그 보다 윗쪽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기밀통의 내주벽의 하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의 상단을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과 동일한 위치를 이보다 아랫쪽으로 위치 시킨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전관에 있어서는 방전면 형성용의 도포제가 도포되는 등의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에서 방전시에 발생되는 금속등으로 되는 분말상의 스퍼터 물질이 띠상으로 부착하는 기밀통의 내주벽 부분을 피하여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퍼터 물질에 의해서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와 그 하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방전관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1 내지 도7은 기밀통의 내주벽의 전개도이다. 이하에 이 방전관을 설명한다.
도면의 방전관에서는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카본으로 되는 가는 띠상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등피치로 복수개 횡방향으로 나란히 형성하고 있다.
도1, 도2 또는 도7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복수개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기밀통(10)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3, 도4, 도5 또는 도6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복수개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기밀통(10)의 축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부 방전 전극(20a) 및 하부 방전 전극(20b)에서 방전시에 발생되는 스퍼터 물질(40)이 부착하기 어렵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는다.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부에는 기밀통(10) 상단의 개구 단면에 형성된 메탈라이즈층(12a)으로 이어지는 카본으로 된 가는 띠상의 트리거선(30a)을 복수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있다. 또 상부 방전 전극(20a) 및 하부 방전 전극(20b)에서 방전시에 발생되는 스퍼터 물질(40)이 부착하기 어렵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는 기밀통(10)의 내주벽의 하부에는 기밀통(10)의 하단의 개구단면에 형성된 메탈라이즈층(12b)으로 이어 지는 카본으로 되는 가는 띠상의 트리거선(30b)을 복수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있다. 복수개의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복수개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은 이들의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그 가까이의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사이의 거리가 균등하게 되도록 일정한 규칙성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교호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있다. 방전 트리거선(30a, 30b)은 서브 방전 트리거선(50)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상하로 대향시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있다. 방전 트리거선(30a, 30b)은 서브 방전 트리거선(50)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의 중간에 배치하고 있다.
도3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교호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있다. 방전 트리거선(30a, 30b)은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가까이의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에 배치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교호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있다. 방전 트리거선(30a, 30b)은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가까이의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경사져 상하로 대략 대향시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방전 트리거선(30a, 30b)은 서브 방전 트리거선(50)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의 중간에 배치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교호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있다. 방전 트리거선(30a, 30b)은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가까이의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경사 상하에 대략 대향시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방전 트리거선(30a, 30b)은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가까이의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더하여 도1 내지 도7에 나타낸 방전관에 있어서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가 기밀통(10)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선단과 소정폭으로 겹쳐지도록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기밀통(10) 내주벽의 중앙부의 상하 방향 또는 경사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동일 폭의 동일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동일폭의 동일 길이로 형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동일 형상을 동일 크기로 형성하고 있다.
그외에는 도14 내지 도15에 나타낸 방전관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방전관에 있어서는 상부 방전 전극(20a) 및 하부 방전 전극(20b)에서 방전시에 발생시켜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부착하는 스퍼터 물질(40)에 의해서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부와 그 하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30a, 30b)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하기 어렵다던지, 그 방전 트리거선(30a, 30b)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성이 열화하지 않는등 된다.
또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형성된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거쳐서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부 및 그 하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전기적으로 접근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서브 방전 트리거선(50)과 그 가까이의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이 조기에 안정하여 발생한다. 그리고 그 초기 방전으로 촉발되어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간의 방전이 응답 속도 빠르게 확실하게 유발된다.
또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50)과,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의 위치가 방전을 발생시키는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에 근접하기 때문에, 그 서브 방전 트리거선(50)과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단부 사이에 발생시키는 초기 방전에 의해서 그 가까이의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방전이 응답속도 빠르게 확실하게 유발된다.
또 가는 띠상의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그 가까이의 가는 띠상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그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에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면 코로나 방전용의 전자가 효율 좋게 수렴한다. 그리고 그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이 조기에 안정하여 발생한다.
또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그 가까이의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과의 사이의 거리가 균등하게 되도록 복수개의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복수개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그 가까이의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이 동시에 균등하게 발생하다. 그리고 기밀통(10)의 내주벽에 형성된 일부의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사이에만 초기 방전이 발생하고, 그 일부의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이 다른 방전 트리거선(30a, 30b)이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에 비해서 조기에 멸실함이 방지된다.
또 기밀통(10)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서로 소정폭으로 겹치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50) 단부측 가장자리와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선단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초기 방전이 안정되게 폭이 넓게 발생한다. 그리고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폭이 좁은 선단 가장자리와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폭이 좁은 선단 가장자리가 초기 방전의 영향을 받아, 조기에 멸실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이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를 하고 있는 동시에,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이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과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 사이에 발생하는 초기 방전에 의해서 일부의 방전 트리거선(30a, 30b)이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이 다른 방전 트리거선(30a, 30b)이나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에 비해서 조기에 멸실함이 방지된다. 그리고 방전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8과 도9는 본발명의 방전관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8은 그 정단면도이고, 도9는 그 기밀통의 내주벽의 전개도이다. 이하에 이 방전관을 설명한다.
도면의 방전관에서는 기밀통(10)의 상하 방향의 길이(A)와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의 방전 갭(B)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상단과 이것에 대향하는 기밀통(10)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H) 및 서브 방전 트리서선(50)의 하단과 이것에 대향하는 기밀통(10)의 하단 가장자리의 사이의 거리(H) 관계를 B/2≤H≤(A-B)/2로 하고 있다. 이 관계식은 발명자가 각종 형상의 방전관의 시작품을 사용하여 다수회 행한 실험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그 밖에는 도1 내지 도7에 나타낸 방전관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방전관에 있어서는 도10에 그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 바와같이 그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발생시키는 초회의 방전 개시 전압(V0)을 동일한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발생시키는 다음회 이후의 방전 개시 전압(V1, V2, V3 …)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방전관을 이용하여 점등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10의 방전관의 실험 데이터도에서는 그 종축이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사이에 발생하는 방전 전압(V)을 나타내고, 그 종축의 1눈금의 폭을 -200V로 하고 있다. 또 횡축은 시간(t)을 나타내고, 그 횡축의 1 눈금의 폭을 50msec로 하고 있다. 도10의 방전관의 실험 데이터를 얻을 때에는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사이에 반복해서 가하는 방전용의 인가 전압의 펄스폭을 7.5msec로 했다.
이것에 대해서 도11에 나타낸 실험 데이터에 이용하는 방전관에서는 그 기밀통(10)의 상하 방향의 길이(A)와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의 방전갭(B)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상단과 이것에 대향하는 기밀통(10)의 상단 가장자리의 사이의 거리(H) 및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하단과 이것에 대향하는 기밀통(10)의 하단 가장자리의 사이의 거리(H) 관계를 H〈B/2, 또는 H〉(A-B)/2로 했다. 도11의 방전관의 실험 데이터도에서는 그 종축이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사이에 발생하는 방전 전압(V)을 나타내고, 그 종축의 1 눈금폭을 -200V로 하고 있다. 또 그 횡축이 시간(t)을 나타내고, 그 횡축의 1 눈금폭을 50msec로 하고 있다. 도11의 방전관의 실험 데이터를 얻을 때에는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 사이에서 반복하여 가한 방전용의 인가 전압의 펄스폭을 7.5msec로 했다.
도10에 나타낸 방전관의 실험 데이터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B/2≤H≤(A-B)/2의 관계식이 성립되도록,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형성하면, 그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발생하는 초회의 방전 개시 전압(V0)를 동일한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발생하는 다음회 이후의 방전 개시 전압(V1, V2, V3 …)과 대략 동일하게 할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도11에 나타낸 방전관의 실험 데이터도에서 명백히 알수 있는 바와같이 B/2≤H≤(A-B)/2의 관계식이 성립하지 않도록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기밀통(10)의 내주벽에 형성한 경우에는, 그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발생하는 초회의 방전 개시 전압(V0)이 동일한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 사이에 발생하는 다음회 이후의 방전 개시 전압(V1, V2, V3 …)에 비해서 대폭 증대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도12와 도13은 본 발명의 방전관 중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12는 그 정면 단면도이고, 도13은 그 기밀통의 내주벽의 전개도이다. 이하에 이 방전관을 설명한다.
도면의 방전관에 있어서는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30a)의 하단을 기밀통(10)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상부 방전 전극(20a)의 선단면과 동일한 위치가 이 보다 위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와 동시에 기밀통(10)의 내주벽의 하부에 형성한 방전 트리거선(30b)의 상단을 기밀통(10)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과 동일한 위치가 이보다 아랫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 외에는 도1 내지 도7 또는 도9에 나타낸 방전관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2와 도13에 예로서 나타낸 방전관에서는 도9에 나타낸 방전관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방전관에 있어서는 방전을 조기에 안정시켜 발생시키기 위한 방전면 형성용의 도포제가 도포된 상부 방전 전극(20a)과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에서 방전시에 발생시키는 금속등으로 되는 분말상 스퍼터 물질(40)이 띠상으로 부착하는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을 피하여, 방전 트리거선(30a, 30b)을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부와 그 하부에 형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상부 방전 전극(20a)의 하단을 상기 스퍼터 물질(40)이 띠상으로 부착하는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의 상단의 경계선(10a)이고, 기밀통(10)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상부 방전 전극(20a)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는 상단의 경계선(10a)과 동일한 위치가 그 보다 윗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와 동시에 하부 방전 전극(20b)의 상단을 상기 스퍼터 물질(40)이 띠상으로 부착하는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의 하단의 경계선(10b) 이며 기밀통(10)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하부 방전 전극(20b)의 선단면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는 하단의 경계선(10b)과 동일한 위치가 이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스퍼터 물질(40)에 의해서 기밀통(10)의 내주벽의 상부와 그 하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30a, 30b)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방전관에서는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통(10)의 내주벽 부분에 방전 트리거선(30a) 또는/ 및 방전 트리거선(30b)을 2개 이상씩 나란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2개 이상씩 대향시켜 나란하게 형성하거나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와같이 해도 상술한 방전관과 동일한 방전 트리거선(30a, 30b)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열화할 우려가 없고, 방전의 응답 속도가 빠른 방전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를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로 형성하거나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을 동일 형상으로 한 동일 크기로 형성하거나 하지 않고, 이 대신에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는 각 방전 트리거선(30a, 30b)의 선단이나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50)의 단부를 조기에 멸실하지 않도록 광폭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와같이 해도 상술한 방전관과 동일한 긴수명의 방전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전관에 의하면, 초기 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 트리거선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이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으로부터 방전 시에 발생시키는 스퍼터 물질에 의해서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방전 트리거선과 그 가까이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에 초기 방전을 응답 속도 빠르게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초기 방전을 발생시킨 방전 트리거선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 사이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에 방전을 응답 속도 빠르게 안정시켜 확실하게 유발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퍼터 물질에 의해서 전기적 절연 열화가 없고, 수명이 긴 방전관이고,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에 방전을 응답 속도 빠르게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있는 방전관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절연체로 되는 기밀통내의 축방향으로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이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에 형성된 뚜껑에 의해서 상기 기밀통의 상단과 그 하단의 개구부가 기밀하게 덮이고, 상기 기밀통의 내주벽에 방전 트리거선이 형성되는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기밀통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상기 상부 방전 전극 및 하부 방전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형성하는 동시에,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에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또는 기밀통의 내주벽의 하부에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이들의 각 방전 트리거선과 그 가까이의 상기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 사이의 거리가 균등하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2. 제1항에 있어서,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단부가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방전 트리거선의 선단과 겹치도록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의 중앙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에 등피치로 나란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통의 내주벽부분에 방전 트리거선을 일정한 규칙성을 갖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방전 트리거선 및/또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방전 트리거선 및/또는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 방전 트리거선을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로 형성하는 동시에 각 서브 방전 트리거선을 동일 형상을 한 동일 크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과,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에 교호로 나란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과, 하부 방전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 트리거선을 기밀통의 내주벽에 대향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기밀통의 상하 방향의 길이(A)와, 상부 방전 전극과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 사이의 방전 갭(B)과,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상단과 이것에 대향하는 기밀통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H) 및 서브 방전 트리거선의 하단과 이것에 대향하는 기밀통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H)의 관계를, B/2≤H≤(A-B)/2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기밀통의 내주벽의 상부에 형성한 방전 트리거선의 하단을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상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과 동일한 위치를 이보다 윗쪽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기밀통의 내주벽의 하부에 형성된 방전 트리거선의 상단을 기밀통의 축에 대해서 직각인 횡방향에서 보아, 하부 방전 전극의 선단면과 동일한 위치를 이보다 아랫쪽에 위치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KR1019980011235A 1997-03-31 1998-03-31 방전관 KR100349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8259 1997-03-31
JP98259 1997-03-31
JP9825997 1997-03-31
JP362877 1997-12-12
JP9362877A JPH10335042A (ja) 1997-03-31 1997-12-12 放電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930A true KR19980080930A (ko) 1998-11-25
KR100349732B1 KR100349732B1 (ko) 2002-12-28

Family

ID=2643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235A KR100349732B1 (ko) 1997-03-31 1998-03-31 방전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25672A (ko)
EP (1) EP0869529B1 (ko)
JP (1) JPH10335042A (ko)
KR (1) KR100349732B1 (ko)
DE (1) DE6981472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32B1 (ko) * 1999-07-16 2008-03-14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트리거선을 갖는 방전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5990B2 (ja) * 2001-03-02 2006-10-18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ガス封入スイッチング放電管
JP2002270329A (ja) * 2001-03-09 2002-09-20 Shinko Electric Ind Co Ltd ガス封入スイッチング放電管
DE10140950B4 (de) * 2001-08-01 2006-10-19 Dehn + Söhne Gmbh + Co. Kg Gekapselter Überspannungsableiter auf Funkenstreckenbasis
JP2004220808A (ja) 2003-01-09 2004-08-05 Shinko Electric Ind Co Ltd 放電管及びその配設構造
JP4421191B2 (ja) * 2003-01-30 2010-02-2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放電管
JP4410527B2 (ja) * 2003-10-06 2010-02-03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放電管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8396A (ko) * 1969-02-19 1971-04-15
DE3100924A1 (de) * 1981-01-14 1982-08-0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gasentladungs-ueberspannungsableiter"
DE3113349A1 (de) * 1981-04-02 1982-10-2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Gasentladungs-ueberspannungsableiter
JPS5998488A (ja) * 1982-11-29 1984-06-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ガス入り避雷管
JP3299584B2 (ja) * 1993-03-29 2002-07-08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避雷管
JPH0729667A (ja) * 1993-07-08 1995-01-31 Mitsubishi Materials Corp 放電型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32B1 (ko) * 1999-07-16 2008-03-14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트리거선을 갖는 방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25672A (en) 2000-02-15
EP0869529A3 (en) 1999-01-20
EP0869529B1 (en) 2003-05-21
JPH10335042A (ja) 1998-12-18
KR100349732B1 (ko) 2002-12-28
DE69814728D1 (de) 2003-06-26
EP0869529A2 (en) 1998-10-07
DE69814728T2 (de)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039B1 (ko) 가스 방전관
US4493004A (en) Surge arrester with a gas-filled housing
KR19980080930A (ko) 방전관
JP3835990B2 (ja) ガス封入スイッチング放電管
JP2911156B2 (ja) 火花ギヤツプデバイス
JP2001189185A (ja) 三極放電管
JP3995339B2 (ja) 放電管
EP0466106B1 (en) A discharge tube
US4091436A (en) Knob type surge voltage arrester
JP3627909B2 (ja) 放電管
KR100813932B1 (ko) 트리거선을 갖는 방전관
JP2900505B2 (ja) サージ吸収素子
JPS6341749Y2 (ko)
US5563471A (en) Discharge tube
JPS6341748Y2 (ko)
SU1262592A1 (ru) Газонаполненный разр дник
JPH0362487A (ja) 高電圧スイッチ素子用ガス入り放電管
JPS6127862B2 (ko)
JPH0633388U (ja) 放電管
JPH01128387A (ja) ギャップスイッチ
JPH023270Y2 (ko)
JP3363619B2 (ja) マグネトロン
JPH0536460A (ja) 放電型サージ吸収素子
SU765918A1 (ru) Разр дник
JPH02207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