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635A -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 - Google Patents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635A
KR19980080635A KR1019980010269A KR19980010269A KR19980080635A KR 19980080635 A KR19980080635 A KR 19980080635A KR 1019980010269 A KR1019980010269 A KR 1019980010269A KR 19980010269 A KR19980010269 A KR 19980010269A KR 19980080635 A KR19980080635 A KR 19980080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layer
ink
layer
printing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818B1 (ko
Inventor
세오게이지
스다미쓰노부
오쿠무라다까시
스기야마고오지
Original Assignee
시미즈다모쓰
부라자고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78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727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7966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72823A/ja
Application filed by 시미즈다모쓰, 부라자고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미즈다모쓰
Publication of KR19980080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 B41K1/50Stamping surfaces impregnated with ink, or made of material leaving a mark after stamping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055Therm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printing formes, e.g. with a thermal print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DAPPARATUS FOR THE MECHANICAL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FOR STEREOTYPE PRINTING; SHAPING ELASTIC OR DEFORMABLE MATERIAL TO FORM PRINTING SURFACES
    • B41D7/00Shaping elastic or deformable material, e.g. rubber, plastics material, to form prin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4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for multicolour st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스탬프에 사용하는 프린팅 시트는, 잉크가 함침 가능한 다공성층 및 이 다공성층쪽에 패턴에 대향하여 배설된 섬유층을 포함한다. 다공성층은 잉크의 침투를 차단하는 비프린트부 및 잉크의 침투를 허용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패턴을 그 표면상에 지지한다. 섬유층은 다공성층의 변형을 방지하고, 잉크가 그 안에 함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
본 발명은 스탬프에 사용하는 프린팅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평 제 8(1996)-118771호 및 제 8(1996)-207409호의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탬프는 잉크가 함침 가능한 다공성 프린팅 시트를 사용하는 타입이다. 프린팅 시트의 표면상에는 잉크의 침투를 허용하는 프린트부 및 잉크의 침투를 차단하는 비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패턴이 형성된다.
스탬프의 사용시에, 사용자는 스탬프를 잡고 이 스탬프를 종이와 같은 매체에 힘을 가하므로써 프린팅 시트의 표면이 매체에 대하여 눌러진다. 이렇게 하여, 프린팅 시트에 함침되어 있는 잉크가 프린팅 시트의 프린트부를 통하여 침투하여 매체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프린팅 시트에 잉크를 공급하지 않고 수차례 반복하여 상을 매체상에 프린트할 수 있다.
프린팅 시트의 제조비용을 저감하기 위하여, 종래의 프린팅 시트는 얇게 제조하였다. 따라서, 프린팅 시트에 잉크가 함침될 때, 프린팅 시트가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프린팅 시트의 표면이 변형될 수 있어서 프린트된 상이 흐려지게 된다.
또한, 프린팅 시트가 얇게 제조되기 때문에, 프린팅 시트내에 함침될 잉크량이 비교적 적다. 따라서, 스폰지형 부재를 스탬프에 더 배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로써, 스탬프의 부품 개수가 증가되고, 그 제조비용 또한 증가된다. 프린팅 시트내에 함침될 잉크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그 대안으로서 프린팅 시트를 보다 두껍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프린팅 시트의 기공은 일반적으로 미세하기 때문에, 프린팅 시트가 두꺼워질수록 잉크가 프린팅 시트내에 충분하게 함침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더 길어진다.
또한, 프린팅 시트를 얇게 제조하는 경우, 그 탄성이 비교적 저하된다. 따라서, 프린팅 시트를 매체상에 누를 때, 프린팅 시트의 압력분포가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이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쿠션부재를 스탬프에 더 배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고, 그 제조비용 또한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프린팅 시트 표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고, 제2의 목적은 부품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프린팅 시트내에 함침되는 잉크량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제3의 목적은 프린팅 시트의 압력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1) 잉크가 함침 가능한 다공성층 및 (2) 섬유로 제조된 섬유층을 포함하는 프린팅 시트를 제공한다. 섬유층은 다공성층의 한 쪽에 배설되고, 다공성층은 그 표면상에 패턴을 지지한다. 패턴은 잉크의 침투를 차단하는 비프린트부 및 잉크의 침투를 허용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린팅 시트를 사용하여 상을 형성하려고 할 때, 프린팅 시트를 스탬프에 부착한다. 사용자는 스탬프를 쥐고 이 스탬프를 종이와 같은 매체에 힘을 가하고, 이로써 다공성층의 표면이 매체의 표면에 대하여 눌려진다. 잉크(최소한 다공성층에 함침된)가 다공성층의 프린트부에 침투하여 매체상으로 전달된다. 이로써 매체상에 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섬유층은 다공성층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로서, 프린팅 시트가 부풀어 오르더라도, 프린팅 시트의 표면은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프린트된 상(매체상에)이 흐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섬유층은 잉크가 그 안에 함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로서, 스폰지형 부재 등을 배설하지 않고 프린팅 시트내에 함침될 잉크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시트를 더 이상 두껍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함침될 잉크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잉크가 프린팅 시트 전체에 걸쳐 충분하게 침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섬유층은 특정의 탄성을 가진다. 이러한 배열로서, 프린팅 시트의 압력분포(프린팅 시트를 매체상에 누를 때)는, 다공성층이 비교적 얇아도, 균일하게 된다.
섬유층은 부직포 및 보풀섬유로 된 직물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층이 발포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다공성층의 발포수지와 섬유층의 섬유가 서로 엉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잉크가 함침 가능한 다공성층 및 섬유로 제조된 섬유층을 포함하는 베이스시트(프린팅 시트의 제조에 사용하는)를 제공한다. 원하는 상에 따라서 표면을 가열함으로써, 다공성층의 표면상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시트의 베이스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및 2b 는 프린팅 시트를 제조하는 스탬프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2a 및 2b 의 스탬프제조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a 및 2b 의 스탬프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5b 및 5c 는 프린팅 시트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프린팅 시트의 사시도.
도 7은 스탬프의 단면도.
도 8a 및 8b 는 스탬프 섬유부의 단면확대도.
도 1a 및 1b는 프린팅 시트 실시예의 베이스시트(12)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베이스시트(12)는 다공성층(12a) 및 이 다공성층(12a)의 하측에 일체로 배설된 섬유층(12b)을 포함한다. 다공성층(12a)은 잉크가 침투될 수 있는 다공성재료로 제조된다. 예를들면, 다공성층(12a)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폴리비닐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와 같은 발포수지로 제조된다. 다공성층(12a)은 특정의 가요성 및 유연성을 가지고, 약 0.2mm 내지 0.8mm 의 대체로 균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
다공성층(12a)은 탄소입자가 그 안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베이스시트(12)의 표면을 가열할 때, 가열된 표면이 녹아서 그 표면에 근접한 개구가 밀봉된다. 따라서, 원하는 상에 따라서, 다공성층(12a)을 적외선과 같은 전자기파에 선택적으로 노출할 때, 다공성층(12a)의 가열된 표면은 잉크의 침투를 차단하는 비프린트부가 되고, 한 편 다른 부분은 잉크의 침투를 허용하는 프린트부가 된다. 다공성층(12a)에는 탄소입자가 0.01 내지 15중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서, 다공성층(12a)은 회색이고, 가열하면 흑색으로 변한다. 이로써, 다공성층(12a)내에 함침된 각종 색의 잉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소가 0.01중량% 이상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다공성층(12a)은 표준 플래시벌브에 의하여 용이하게 가열(그 표면의 개구가 밀봉되도록)된다.
섬유층(12b)은 섬유를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적으로 접착 또는 엉키게 하여 제조된 부직포로 제조한다. 예를들면, 섬유층(12b)은 나일론섬유, 폴리에스터섬유 또는 폴리올레핀섬유로 제조된 펠트로 제조한다. 또한, 섬유층(12b)은 직물에 보풀을 일으켜 제조된 보풀섬유로 제조할 수 있다. 다공성층(12a) 및 섬유층(12b)은 서로 고착되어, 이로써 다공성층(12a)의 발포수지재가 섬유층(12b)의 섬유와 엉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다공성층(12a)과 섬유층(12b)이 일체로 되어 베이스시트(12)를 구성한다.
도 2a 및 2b는 프린팅 시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스탬프제조장치(1)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스탬프제조장치(1)는 플래시벌브(6)를 수용하는 유닛보디(3) 및 이 유닛보디(3)에 탈착가능하게 배설된 트레이(2)를 포함한다.
도 3은 트레이(2)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유닛보디(3) 및 트레이(2)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트레이(2)는 트레이보디(2a) 및 이 트레이보디(2a)에 스윙 가능하게 배설된 투명커버(2b)를 포함한다. 트레이보디(2a)의 중앙부에는 장방형의 요홈(2d)을 배설하여, 베이스시트(12) 및 다른 2매의 시트(원고시트(11) 및 중간시트(13))를 그 위에 위치시킨다. 투명커버(2b)는 트레이보디(2a)의 한 쪽에 배설된 핀(2g)에 의하여 피봇되고, 이로써 투명커버(2b)가 개폐될 수 있다. 투명커버(2b)를 폐쇄상태로 로크하기 위하여, 트레이보디(2a)의 핀(2g)에 대향하는 쪽에 로크레버(2c)를 배설한다. 투명커버(2b)의 선단에는 결합부(2f)가 배설된다. 로크레버(2c)를 스윙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울 때, 로크레버(2c)는 투명커버(2b)의 결합부(2f)를 지지한다. 로크레버(2c)를 스윙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눕힐 때, 로크레버(2c)는 결합부(2f)를 릴리스하여 투명커버(2b)가 개방될 수 있다. 투명커버(2b)는 투명한 아크릴수지 등으로 제조된다. 투명커버(2b)의 저면에는 투명한 압착부(2e)가 배설되고, 이것이 베이스시트(12), 원고시트(11) 및 중간시트(13)를 요홈(2d)의 저면에 대하여 누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닛보디(3)는 상자형 케이스(4)를 포함한다. 이 케이스(4) 전면벽의 하측부에는 삽입개구(4a)가 배설된다. 트레이(2)는 삽입개구(4a)를 통하여 유닛보디(3)내에 삽입될 수 있다. 끝이 잘린 피라미드형 체임버(5)가 케이스(4)의 상측부에 형성된다. 체임버(5)의 내측면은 반사성이 큰 알루미늄호일과 같은 필름으로 피복된다. 도 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시벌브(6)는 체임버(5)의 한쪽 벽에 형성된 장착부(5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배터리(8)를 케이스(4)에 배설하여, 플래시벌브(6)에 파워를 공급한다. 배터리(8)는 그들 사이에 배설된 콘택트부재(7)를 통하여 플래시벌브(6)에 연결된다. 스위치(9)를 케이스(4)의 내벽 근처에 배설한다. 트레이(2)가 삽입개구(4a)를 통하여 삽입되어 유닛보디(3)에 수용될 때, 스위치(9)가 트레이(2)의 충동으로 온으로 되어 파워가 배터리(8)로부터 플래시벌브(6)에 공급되고, 이로써 플래시벌브(6)가 발광한다.
프린팅 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5b 및 5c는 프린팅 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원하는 상을 가진 원고시트(11)를 설명한다.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시트(11)는 투명시트(11a) 및 이 투명 베이스시트(11a)의 하측면에 형성된 광크롬층(11b)을 포함한다. 투명시트(11a)의 두께는 대략 균일하고,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염화폴리비닐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투명시트(11a)의 융점은 베이스시트(12)의 융점 보다 높다. 특히, 투명시트(11a)를 PET로 제조하면, 그 융점은 대략 230℃ 이다. 이에 비하여, 베이스시트(12)의 융점은 대략 120℃(베이스시트(12)를 가소화 된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제조한 경우) 또는 대략 70℃(베이스시트(12)를 가소화 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제조한 경우)이다. 따라서, 원고시트(11)와 베이스시트(12)를 적층하여 가열할 때, 베이스시트(12)는 녹고 원고시트(11)는 녹지 않는다.
광크롬층(11b)의 두께는 대략 균일하다. 광크롬층(11b)상에는 원하는 상에 따라서 차광부(11c)가 형성된다.
차광부(11c)는 프린팅 시트(14)를 제조하기 전에 미리 형성되어 있지만, 차광부(11c)의 제조프로세스를 간단히 설명한다. 광크롬층(11b)은 투명시트(11a)의 표면상에 유기광크롬 잉크(Teikoku Ink Kabushiki Kaisha 제품)를 가하여(즉, 함침) 형성한다. 광크롬층(11b)은 일반적으로 무색이고 투명하지만, 자외선을 포함하는 전자기파에 노출될 때는 청색 및 불투명으로 변하게 된다. 광크롬층(11b)은 그 위에 네거티브필름을 배설하여 자외선을 포함하는 전자기파에 선택적으로 노출한다. 이렇게 하여, 광크롬층(11b)의 노출된 부분이 청색 및 불투명으로 변한다. 따라서, 원하는 상에 따라서 차광부(11c)가 광크롬층(11b)상에 형성된다. 또한, 광크롬층(11b)은 이 광크롬층(11b)이 소정시간동안 자외선으로부터 차단될 때 무색 및 투명으로 복귀된다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원고시트(11)는 신규의 원고시트로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가 그 위에 새로운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원고시트(11)는 광크롬잉크가 열화되지 않는 한 수차례 재사용 가능하다.
베이스시트(12)와 원고시트(11) 사이에 중간시트(13)를 배설한다. 중간시트(13)는 투명하고, 그 두께는 대략 0.025mm 내지 0.2mm 이다. 중간시트(13)는 PET로 제조되고, 그 융점은 대략 230℃ 이고, 이것은 베이스시트(12)의 융점 보다 높다. 따라서, 중간시트(13)와 베이스시트(12)를 적층하여 가열할 때, 베이스시트(12)는 가열로 인하여 녹게되고, 중간시트(3)는 녹지 않는다.
프린팅 시트를 제조하기 전에, 트레이(2)를 유닛보디(3)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트레이(2)의 투명커버(2b)를 개방하고(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레버(2c)를 조작하여 결합부(2f)를 릴리스한 후, 베이스시트(12), 중간시트(13) 및 원고시트(11)를 트레이(2)의 요홈(2d)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층(12b)은 하측으로 면하고, 중간시트(13)가 베이스시트(12)의 다공성층(12a)을 피복하도록 베이스시트(12)를 위치시킨다. 원고시트(11)가 중간시트(13)를 피복하고, 이로써 원고시트(11)의 광크롬층(11b)이 중간시트(13)와 접한다.
베이스시트(12), 중간시트(13) 및 원고시트(11)를 트레이(2)에 위치시킨 후, 투명커버(2b)를 폐쇄한다. 투명커버(2b)는 로크레버(2c)와 결합부(2f)의 결합에 의하여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 투명커버(2b)의 압착부(2e)가 원고시트(11)를 베이스시트(12)에 대하여 누른다. 그 후, 트레이(2)가 삽입개구(4a)(도 2B)를 통하여 유닛보디(3)내에 삽입된다. 트레이(2)가 유닛보디(3)내에 삽입될 때, 스위치(9)가 온으로 되어, 이로써 파워가 배터리(8)로부터 플래시벌브(6)에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플래시벌브가 적외선 R 을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조사한다.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시벌브(6)가 발광할 때, 적외선 R이 투명커버(2b), 압착부(2e) 및 원고시트(11)의 투명시트(11a)를 투과하여 광크롬층(11b)상에 조사된다. 광크롬층(11b)의 차광부(11c)는 적외선(도 5b 에서의 R1)을 차단하고, 광크롬층(11b)의 다른 부분은 적외선(도 5b 에서의 R2)을 투과시킨다. 광크롬층(11b)을 투과한 적외선은 다공성층(12a)에 도달하고, 이것이 다공성층(12a)을 가열함으로써 그 개구가 녹아서 밀봉된다. 따라서, 비프린트부(12c)가 다공성층(12a)상에 형성되어 잉크의 침투를 차단한다. 한편, 차광부(11c)에 의하여 차단된 적외선 R1 은 다공성층(12a)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프린트부(12d)가 다공성 수지층(12a)상에 형성되어 잉크의 침투를 허용한다. 도 5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성층(12a)(프린트부(12d) 및 비프린트부(12c)를 포함) 및 섬유층(12b)이 프린팅 시트(14)를 구성한다. 도 6 은 프린팅 시트(14)의 사시도이다. 프린트부(12d) 및 비프린트부(12c)는 원하는 패턴, 예를들면 E에 따라서 다공성층(12d)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패턴(프린트부(12d) 및 비프린트부(12c) )을 지지하는 다공성층(12a) 및 섬유층(12b)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팅 시트(14)가 전술한 프로세스에 의하여 형성된다.
전술한 프로세스에 있어서, 광크롬층(11)의 차광부(11c)는 적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가열되지만, 이 열은 중간시트(13)(이것은 광크롬층(11)의 표면과 접한다)를 거쳐 릴리스된다. 따라서, 프린트부(12c)(차광부(11c)에 대응하는)로 될 다공성층(12a)의 부분이 무의식중에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프린팅 시트(14)를 사용하는 스탬프(20)구조의 단면도이다. 스탬프(20)는 사용자가 잡는 핸들(24) 및 이 핸들(24)의 하측 단부에 배설된 스탬프보디(21)를 포함한다. 스탬프보디(21)는 스탬프보디(21)의 저면단부에 개방된 리세스(22)를 가지고, 이로써 프린팅 시트(14)가 리세스(22)내에 끼워진다. 스탬프보디(21)는 플라스틱, 메탈 등으로 제조된다. 섬유부(23)는 리세스(22)의 상측부에 배설되어 프린팅 시트(14)를 지지한다. 도 8a 는 섬유부(23)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부(23)는 리세스(22)의 상측벽에 깔려서 그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다수의 섬유(23a)를 포함한다. 섬유(23a)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된다. 각각의 섬유(23a)는 그 하측단부에 갈고리형상 만곡부(23b)를 가진다. 또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섬유(23a)는 화살촉형상 촉을 가질 수 있다.
핸들(24)은 스탬프보디(21)에 탈착가능하게 배설된다. 스탬프보디(21)는 핸들(24) 하측에 잉크공급포트(25)가 배설되어, 리세스(22)의 상측벽으로 하향하여 연장된다. 핸들(24)을 스탬프보디(21)로부터 탈착할 때, 잉크공급포트(25)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잉크공급포트(25)를 통하여 잉크를 잉크시트(14)에 공급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팅 시트(14)는, 프린팅 시트(14)의 섬유층(12b)의 부직포(또는 보풀섬유)가 섬유부(23)의 섬유(23a)의 갈고리형상(또는 화살촉형상) 하측 단부와 엉키도록 리세스(22)내에 부착된다. 따라서, 프린팅 시트(14)는, 이 프린팅 시트(14)를 섬유부(23)에 대하여 간단하게 누름으로써 스탬프보디(21)에 부착될 수 있다.
스탬프(20)의 사용시, 사용자는 핸들(24)을 쥐고, 스탬프를 종이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매체에 누르고, 이로써 프린팅 시트(14)의 하측면(프린팅면)이 매체에 대하여 눌려진다. 이렇게 하여, 섬유층(12b)에 함침되어 있는 잉크가 프린팅 시트(12)의 프린트부(12c)를 통하여 매체상으로 침투한다. 섬유층(12b)의 탄성 때문에, 프린팅 시트(14)의 압력분포는 다공성층(12a)이 부풀어 오르더라도 균일하다.
프린팅 시트(14)의 교체시, 프린팅 시트(14)는, 프린팅 시트(14)를 섬유부(23)로부터 간단하게 박리함으로써 리세스(22)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프린팅 시트(14) 섬유층(12b)의 부직포(또는 보풀섬유)가 섬유부(23)의 섬유(23a)로부터 릴리스된다. 따라서, 각종의 프린팅 시트(14)를 스탬프보디(21)에 장착하여 각종의 상을 매체상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섬유층(12b)은 잉크가 그 안에 함침되어 있더라도 부풀어 오르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다공성층(12a)은 섬유층(12b)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공성층이 부풀어 오르더라도, 다공성층(12a)의 표면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섬유층(12b)에 함침된 잉크량은 다공성층(12a)의 잉크량 보다 많다. 따라서, 프린팅 시트(14)외에 별개의 잉크함침부재(스폰지형 매트 등)를 배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섬유층(12b)의 섬유사이의 공간이 다공성층(12b)의 개구 사이의 공간보다 크기 때문에, 단시간내에 잉크가 프린팅 시트(14)내에 함침 가능하다.
또한, 섬유층(12b)이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린팅 시트(14)도 또한 탄성을 가진다. 프린팅 시트(14)의 탄성 때문에, 별개의 쿠션부재를 배설하지 않고 프린팅면을 통하여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명한 상이 매체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조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시벌브(6)는 베이스시트(12)의 다공성층(12a)을 녹이는 열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플래시벌브(6)는 크세논튜브(xenon tube)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다른 광원으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플래시벌브(6)는 서멀헤드(thermal head)와 같은 히트제너레이터(heat generator)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원고시트(11)는 트레이싱지(tracing paper) 또는 전자기파를 통과시키고, 원하는 색(예를 들어, 흑색, 백색, 금색, 및 은색)의 잉크는 차단된 상을 가지는 다른 종이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시트(12)의 다공성층(12a)은, 다공성시트로 형성될 때 가요성을 가지는 임의의 발포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층(12a)내에 분산된 탄소입자는, 전자기파가 조사될 때 가열로 인하여 열을 발생하는 임의의 물질(예를들면, 염화은 및 브롬화은과 같은 고분자물질 또는 광에너지 흡수물질)로 대체 가능하다.

Claims (22)

  1. 잉크가 함침 가능한 다공성층과;
    상기 다공성층의 한 쪽에 배설된 섬유로 제조된 섬유층과
    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층은, 상기 잉크의 침투를 차단하는 비프린트부 및 상기 잉크의 침투를 허용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패턴을 그 표면상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상기 다공성층의 변형을 방지하는 프린팅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잉크가 그 안에 함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린팅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특정의 탄성을 가지는 프린팅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부직포 및 보풀섬유로 된 직물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프린팅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발포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층의 상기 발포수지와 상기 섬유층의 상기 섬유가 서로 엉키는 프린팅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전자기파에 노출될 때 발열하는 발열재를 포함하는 프린팅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탄소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입자는 적외선에 노출될 때 열을 발생하는 프린팅 시트.
  9. 잉크가 함침 가능한 다공성층과;
    섬유로 제조된 섬유층과
    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층의 표면상에, 원하는 상에 따라서 상기 표면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잉크의 침투를 차단하는 비프린트부 및 상기 잉크의 침투를 허용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패턴의 형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베이스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상기 다공성층의 변형을 방지하는 베이스시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잉크가 그 안에 함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시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특정의 탄성을 가지는 베이스시트.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부직포 및 보풀섬유로 된 직물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시트.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발포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층의 상기 발포수지와 상기 섬유층의 상기 섬유가 서로 엉키는 베이스시트.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전자기파에 노출될 때 발열하는 발열재를 포함하는 베이스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탄소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입자는 적외선에 노출될 때 열을 발생하는 베이스시트.
  17. 잉크가 함침 가능한 다공성층과;
    상기 다공성층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재와
    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층의 표면상에, 원하는 상에 따라서 상기 표면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잉크의 침투를 차단하는 비프린트부 및 상기 잉크의 침투를 허용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패턴의 형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베이스시트.
  18. 스탬프보디와;
    상기 스탬프보디에 장착된 프린팅 시트와
    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린팅 시트는 잉크가 함침 가능한 다공성층 및 섬유로 제조된 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층은 상기 잉크의 침투를 차단하는 비프린트부 및 상기 잉크의 침투를 허용하는 프린트부를 포함하는 패턴을 그 표면상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19. 제1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탬프보디에 배설된 섬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부에 상기 섬유층이 고정되는 스탬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특정의 탄성을 가지는 스탬프.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부직포 및 보풀섬유로 된 직물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스탬프.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층은 발포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층의 상기 발포수지와 상기 섬유층의 상기 섬유가 서로 엉키는 스탬프.
KR1019980010269A 1997-03-28 1998-03-25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 KR100511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8599 1997-03-28
JP9078599A JPH10272750A (ja) 1997-03-28 1997-03-28 製版用原稿シートの製造方法
JP97-78599 1997-03-28
JP79665 1997-03-31
JP7966597A JPH10272823A (ja) 1997-03-31 1997-03-31 スタンプ用基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635A true KR19980080635A (ko) 1998-11-25
KR100511818B1 KR100511818B1 (ko) 2006-01-27

Family

ID=2641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269A KR100511818B1 (ko) 1997-03-28 1998-03-25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67308B1 (ko)
KR (1) KR100511818B1 (ko)
AT (1) ATE214002T1 (ko)
DE (1) DE698040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E200000408A (et) * 2000-10-17 2001-04-16 Humal Leo-Henn Meetod ja seade termoplastsest mikropoorsest materjalist templite valmistamiseks, selles kasutatav termopea, abinõu eralduskile kinnitamiseks ning templitoori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254A (ja) * 1992-12-01 1994-06-14 Kaitetsuku:Kk 押し印具
US5392711A (en) * 1992-10-16 1995-02-28 Kaitec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ing plate
JP2596146Y2 (ja) * 1993-01-12 1999-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用原板
US5611279A (en) * 1993-10-02 1997-03-18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Process of producing a printing plate for a stamp
EE03228B1 (et) * 1995-01-24 1999-10-15 As Humal Elektroonika Meetod poorse termoplastse materjali pinna pooride selektiivseks sulgemiseks
JPH08216489A (ja) * 1995-02-10 1996-08-27 General Kk 印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7308B1 (en) 2002-03-06
DE69804030T2 (de) 2002-08-14
DE69804030D1 (de) 2002-04-11
KR100511818B1 (ko) 2006-01-27
EP0867308A1 (en) 1998-09-30
ATE214002T1 (de) 200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0544C (en) A stamp and a process of producing a printing plate for a stamp
EP0941842B1 (en) Stamp unit
EP1010538B1 (en) Stamp apparatus
EP1099546B1 (en) Printing stamp and method therefor
EP1020298B1 (en) Stamp member
KR100511818B1 (ko) 스탬프용 프린팅 시트
US6440549B1 (en) Printing sheet for stamp
US603074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 sheet for plate-making
JP3885277B2 (ja) スタンプ印版製造装置
EP0810100B1 (en) Printing sheet for ink stamp
JP3861933B2 (ja) スタンプの製版方法
JP3687202B2 (ja) スタンプの製版方法
JPH10272823A (ja) スタンプ用基材
JPH10147048A (ja) スタンプ装置
JPH1191063A (ja) 製版方法及び製版装置
JPH07285258A (ja) 多色スタンプ
JPH1191221A (ja) 製版用基板
JP3882861B2 (ja) 製版装置
JP3678833B2 (ja) 浸透印版の閃光製版器
JPH0952429A (ja) 孔版印刷用原板
JP2000033762A (ja) 多孔性樹脂シ―ト製印判、製版装置及び製版方法
JPH11101687A (ja) 紫外線の放射照度測定装置及び原稿シート作成装置
JP2002036689A (ja) 多孔性樹脂シート製印判、製版装置及び製版方法
JPH09327964A (ja) 製版方法および製版装置
JPH1191220A (ja) スタ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