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421A - 쌍드럼식연속주조방법 - Google Patents

쌍드럼식연속주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421A
KR19980080421A KR1019980009241A KR19980009241A KR19980080421A KR 19980080421 A KR19980080421 A KR 19980080421A KR 1019980009241 A KR1019980009241 A KR 1019980009241A KR 19980009241 A KR19980009241 A KR 19980009241A KR 19980080421 A KR19980080421 A KR 19980080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oling
continuous casting
shot
cast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184B1 (ko
Inventor
타나카키사부로
야마모토케이이치
와키야마요이치
Original Assignee
마스다노부유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노부유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8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65Accessories therefor for treating the casting surfaces, e.g. calibrating, cleaning, dressing, preheating
    • B22D11/0674Accessories therefor for treating the casting surfaces, e.g. calibrating, cleaning, dressing, preheating for mach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냉각드럼의 사이에 용탕저류(溶湯貯溜)부를 형성하고, 하부쪽에서부터 주철편을 배출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주철편표면의 온도분포를 검지하거나, 냉각드럼표면에 대한 숏입자분사위치의 위치를 제어를 하는 일없이 주조중에 냉각드럼표면에 딤플을 형성시켜 주조되는 금속박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냉각드럼(1),(1')의 외주면(2)에 전체의 폭면에 적어도 2개소로부터 숏입자(30)를 분사하는 숏입자분사장치(15)를 배설하고, 드럼(1),(1')의 외주면(2)에 숏입자에 의해서 딤플을 형성시켜서 주철편(40)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또, 상기 숏입자분사장치(15)의 냉각드럼(1),(1')의 회전방향의 상류쪽 및/또는 하류쪽에 냉각드럼(1),(1')의 외주면(2)에 맞닿는 브러시장치(5)를 배설해서 냉각드럼(1),(1')의 외주면(2)을 청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쌍드럼식연속주조방법
본 발명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냉각드럼의 사이에 용탕저류(溶湯貯溜)부를 형성하고, 아래쪽으로부터 금속박판을 배출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쌍드럼식박판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되어 있는 1쌍의 냉각(주조)드럼이, 주철편의 두께에 대응하는 주조간격을 유지해서 평행이 되도록, 프레임에 지지된 베어링에 의해서 수평으로 축받침되어 있다. 냉각드럼의 주조간격의 상부에는, 턴디시로부터 노즐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금속의 용탕의 공급을 받는 용탕저류부가 형성된다.
이 용탕저류부내의 금속용탕이 냉각드럼의 표면에 접촉되어서 냉각됨으로써 형성되는 응고된 셀이, 냉각드럼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구동됨으로써, 냉각드럼의 주조간격으로부터 냉각 응고된 얇은 띠판형상의 주철편으로 되어서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주철편을 주조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식에 의해서 표면에 벌어짐(미세한 균열)등의 결함이 없고, 성질과 상태가 뛰어난 양질의 주철편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속주조장치의 냉각드럼의 원통면에, 숏블라스트법, 포토에칭법, 방전가공법, 전자빔가공법, 그외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깊이가 5∼100㎛, 직경이 0.1∼1.2㎜정도의 원형 또는 장원형 등의 다수의 미소한 딤플(움푹팸)을, 균등 또는 랜덤으로 형서한 것이 유효하다는 것이, 일본국 특개소 60-184449호 공보, 동 특개소 62-254953호 공보, 동 특개소 64-83342호 공보 등의 기재에 의해서 알려져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06-39501호 공보에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주사해서 주철편(40)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장치(113),(114)와 이 주철편온도검출장치(113),(114)의 검출치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12)와 제어장치(112)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냉각드럼(1),(1')의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냉각드럼(1),(1')의 원통면에 대해서 숏블라스트를 행하는 숏블라스트장치(115),(116)를 구비하고 있는 쌍드럼식 박판연속주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 (110),(111)은 드럼청소용의 브러시를 표시하고 있다.
도 5에 표시한 상기 종래의 쌍드럼식 연속주조장치에서는, 주철편(40)의 온도를 검출해서 허용온도이상으로 온도가 낮은 영역을 검지하고, 제어장치(112)는 이 영역에 대응하는 냉각드럼의 원통면위치에 숏블라스트장치(115),(116)의 노즐을 이동시켜 숏블라스트를 개시시킨다. 또, 건너뛰어 딤플마멸개소가 나타나더라도 제어장치(112)에 의해서, 그들의 개소에 표적을 정해서 숏을 행하는 것은 용이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드럼표면의 냉각효과가 충분한 드럼을 채용하면, 표면딤플의 마멸은 전체가 거의 똑같이 마멸되게되고 상기와 같은 부분적인 주철편온도저하를 검지하는 시기에는 여러곳에 표면온도저하부분을 발생시키고 개개의 온도저하부분의 검지, 숏위치에의 노즐이동의 제어로서는 대응할 수 없게 되는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의 쌍드럼식 연속주조장치가 가지는 결점에 비추어, 주철편표면의 온도분포를 검지하거나, 냉각드럼표면에 대한 숏입자분사위치를 제어하거나 하는 일없이 주조중에 냉각드럼표면에 딤플을 형성시켜 주조되는 금속박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가능한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형태에 관한 쌍드럼식연속주조방법에 사용하는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시시단면도
도 3은 실시의 제 1형태의 숏입자에 의한 딤플의 형성상항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쌍드럼식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의 숏입자살포의 분포상항을 표시한 설명도
도 5는 종래의 쌍드럼식 연속주조장치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냉각드럼 2: 냉각드럼의 외주면
3, 3': 브러시휠 4: 지지재
4a: 지지암 5: 브러시장치
10: 숏입자공급콘딧 10a, 10b: 분사용 임펠러
15: 숏입자분사장치 20: 커버
21: 숏입자회수노즐 25: 내마모재
30: 숏입자 40: 주철편
50: 용탕저류부 51: 탕주입노즐
D: 딤플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드럼표면의 냉각효과를 충분히 가진 드럼장치를 채용해서 행하는 쌍드럼식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주철편의 벌어짐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각드럼의 외주면에 숏입자에 의해서 형성되는 딤플의 면적율을 낮게하고, 또한 똑같이 분사하고 그리고 종전의 딤플의 형상 및 면적율을 급변시키는 일없이 복원을 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냉각드럼의 사이에 형성된 용탕저류부에 용탕을 주입하고, 하부쪽으로부터 금속박판을 배출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드럼의 전체의 폭면에 적어도 2개소로부터 숏입자를 연속적으로 분사하면서 주조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숏입자를, 분사밀도가 0.05∼10%에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 당초 냉각드럼의 외주면에 미리 딤플(움푹팸)을 해두고, 숏입자의 분사밀도를 0.05%로 함으로써, 당초의 딤플의 보충이 가능하게 되고, 200분의 주조에 있어서도 주철편균열을 발생하는 일은 없었다. 또, 숏입자의 분사밀도를 10%로 했을 경우, 연속분사를 실시해도 냉각드럼외주면의 손모는 작고 연속사용에 견딜 수 있다. 이 경우, 분사밀도란, 1패스, 즉 냉각드럼을 회전시키면서 그 외주면에 연속분사를 행할 경우는 그 1회전의 분사가 완료했을때에 드럼표면에 생긴 딤플(움푹팸)부의 냉각드럼표면적에 대한 비율을 말하고, 다음의 수식①에 의해 표시한다.
분사밀도를 0.05%미만으로 하면 마모속도에 대해서 새로운 딤플의 보수속도를 따라 붙지못하고 딤플의 효과를 서서히 저하시키는 결과가 되고, 연속주조시간을 단축해서 주철편벌어짐으로 도달한다. 한편, 분사밀도를 초기부터 10%초과하면, 딤플밀도가 인접한 개소에서 극단적으로 차가 크게되고, 주철편의 벌어짐을 발생시키는 불편이 있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서히 분사속도를 증가시킬 경우는, 상기 불편을 발생하는 일은 없음으로, 분사밀도를 10%초과하더라도 된다.
이와 같이 숏입자의 분사밀도를 비조밀에서 조밀로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원심식숏입자분사장치가 유효하였다. 분사밀도의 제어는, 원심임펠러의 숏입자공급부에 스크류식공급장치의 회전속도를 증감해서 행할 수 있다. 그외에 공기압식분사장치도 마찬가지의 기구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 유용하다. 드럼의 전체폭의 분사를 행하려면 장치를 오실레이트시키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는, 숏입자를 서로 맞간섭하지 않도록 숏입자분사를 냉각드럼의 회전방향으로 벗어나게해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분사되는 숏입자가 서로 맞간섭하지 않도록 분사방향을 회전방향으로 벗어나게해서 배치하는 동시에, 분사량에 대해서는 중앙부에서의 최대의 분사밀도가 10%이하가 되도록 공급량을 제한하는 동시에, 드럼단부 및 중앙부에서 최대밀도의 1/3이상이 되도록 숏장치의 위치를 조정해서,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체의 폭면에서의 숏입자살포분포가 똑같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냉각드럼의 사이에 형성된 용탕저류부에 용탕을 주입하고, 하부쪽으로부터 금속박판을 배출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드럼의 전체의 표면에 적어도 2개소로부터 숏입자를 간헐적으로 분사하면서 주조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간헐적으로 숏입자를 분사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행할 수 있다. 즉, 미리 딤플을 형성한 냉각롤을 사용해서 주조를 스타트하고, 주조 스타트후 60분이내에 분사를 개시하고, 숏입자의 분사의 시초는, 0.05%내지 0.5%의 분사밀도로하고, 최대는 5%내지 10%의 분사밀도로서 수회전내지 수 10회전의 분사를 행한다.
그위에 슬로프다운해서 0.05%내지 0.5%로 한 후 중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냉각드럼외주면의 딤플의 밀도분포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주조를 중지하는 일없이 연속해서 주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숏입자의 밀도를 올려서 보수를 행할 경우는, 주조스타트후 60분이내에 5%내지 10%의 분사밀도에서 보수를 개시하고 이어서 더 분사밀도를 올려서 보수를 실시하고 보수종료시에는 스타트시의 조건에서 종료해도 된다. 2회째이후의 보수사이클은, 전회의 분사조건을 사용해서 다음 수식②에 의해서 개시시간을 결정한다.
중지기간T(분)
≤2.3×log{1+∑(분사밀도(%)×회전수/100)}100-40 …②
단 중지기간의 최대는 딤플손모를 발생하는 기간으로서 60분으로 한다. 즉, 어느 분사밀도에서 가산적으로 딤플을 겹치게 되면, 전번 발생한 딤플부분에 다시 딤플을 발생하게 되어 헛된일이 생기나 누적딤플밀도는 하기의 수식③에 의해 거의 유사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의 수식③에 의해서 표시되는 누적딤플밀도 1회에서 딤플을 형성하는 경우는 30%에서 벌어짐방지가능하나, 즉시 보수효과가 상실됨으로, 누적딤플밀도가 40%를 초과해서 비로서 보수효과에 여유가 생겨서, 분사보수의 중지가 가능하게 된다.
누적딤플밀도(%)
=2.3×log{1+∑(분사밀도(%)×회전수/100)}100 …③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의 실시의 형태를 도 1∼도 4를 사용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의 제 1형태)
먼저, 도 1∼도 3에 의해 실시의 제 1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있어서, (1),(1')은 내부에 냉각수통로를 가지고 직경 1200㎜, 폭 800㎜의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수냉식의 냉각드럼이고, 한쪽의 드럼(1')은 다른쪽의 드럼(1)에 대해서 양드럼(1),(1')의 축을 잇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드럼이다. 상기 양냉각드럼(1),(1')은, 도 1중에 표시한 화살표시의 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양냉각드럼(1),(1')의 사이에는 용탕저류부(50)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 용탕저류부(50)에 탕주입노즐(51)로부터 공급되는 용융금속을 연속적으로 응고해서, 용탕저류부(50)의 하부쪽으로부터 금속박판의 주철편(40)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각드럼(1),(1')의 외주면(2)에는, 포토에칭법에 의해, 직경이 0.3∼0.6㎜, 깊이가 0.05∼0.15㎜의 다수의 초기딤플(D)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딤플(D)의 면적율은 30%로 하고 있다. 즉, 딤플(D)의 면적이 30%미만에서는 주철편에 벌어짐을 발생하고 30%이상에서는 주철편에 벌어짐이 없이 주조가 가능하게 되고 100%에서도 벌어짐을 볼 수 없다.
냉각드럼(1),(1')의 회전방향의 상류쪽에 숏입자분사장치(15)가 배치되어 있다(도 1에는 한쪽의 냉각드럼(1)의 숏입자분사장치만이 표시되어 있고, 다른쪽의 냉각드럼(1')의 숏입자분사장치의 도편표시는 생략되어 있다). 숏입자분사장치(15)는, 냉각드럼(1),(1')의 바로밑에서부터 냉각드럼의 회전방향으로 30°경사진 방향θ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냉각드럼(1) 또는 (1')의 외주면(2)에 수직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선단부에 분사용 임펠러(10a),(10b)를 가진 숏입자공급콘딧(10)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숏입자분사장치(15)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냉각드럼(1) 또는 (1')의 축방향에 간격을 두고 2개 배치되어 있다. 숏입자분사장치(15)와 냉각드럼(1) 또는 (1')의 사이의 공간에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냉각드럼(1) 또는 (1')의 축방향의 거의 전체길이(거의 전체폭)에 걸쳐서 냉각드럼(1) 또는 (1')의 둘레면의 일부분을 덮는 커버(20)가 설치되고, 숏입자분사장치(15)는 원심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숏입자분사장치(15)는 냉각드럼(1),(1')의 회전방향으로 벗어나게 해서 배치하고 있으나, 벗어나는 양은 숏입자분사장치(15)의 임폘러의 높이가 있으면 충분하다. 벗어나는 양의 최대는, 숏장치의 설치위치의 전후단부이며 냉각드럼의 직경 1.2m에서, 314㎜가 된다.
또 커버(20)의 안쪽에는 내마모재(25)가 라이닝되어 있다. 커버(20)와 냉각드럼(1) 또는 (1')의 간격은 1∼2㎜정도로 설정되고, 상기 커버(20)의 양단부는 냉각드럼단부로부터 1∼5㎜안쪽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20)의 아래쪽부분에는, 공기흡인식의 숏입자회수노즐(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0)는, 도시생략의 냉각드럼(1) 또는 (1')의 베어링부에 접속되고, 냉각드럼(1) 또는 (1')과의 상대변위를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냉각드럼(1),(1')의 회전방향으로 보아 숏입자분사장치(15)의 후방에는, 냉각드럼(1),(1')의 반대쪽의 옆부분에 선로대향하는 형태로, 각각 브러시장치(5)가 배설되어 있다(도 1에는 한쪽의 냉각드럼(1)의 브러시장치(5)만이 표시되어 있고, 다른쪽의 냉각드럼(1')의 브러시장치의 도면표시는 생략되어 있다.).
브러시장치(5)는, 도시생략의 냉각드럼의 베어링부에 접속된 지지재(4)와, 동지지대(4)의 선단부에 중앙부가 회동지지된 지지암(4a) 및 동지지암(4a)의 양단부에 축받침되어 냉각드럼(1),(1')의 외주면(2)에 맞닿는 브러시휠(3),(3')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숏입자분사장치(15)로부터 냉각드럼(1) 또는 (1')의 외주면(2)을 향해서 숏입자(30)가 분사되고,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냉각드럼(1) 또는 (1')의 외주면(2)에 딤플(D)이 형성된다. 이 딤플(D)는, 냉각드럼(1) 또는 (1')의 외주면에 미리 형성된 초기딤플(D)과 함께, 용탕저류부(50)에서 응고된 다음에 배출되는 주철편(40)의 벌어짐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딤플(D)은 주조중 냉각드럼(1) 또는 (1')가 회전할때에 연속해서 드럼의 외주면(2)에 형성되고, 비록 상기 초기딤플(D)의 형상이 변화하는 일이 있어도, 주철편(40)의 벌어짐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 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장시간에 걸쳐서 연속해서 주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1회의 연속주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숏입자분사장치(15)는 원심식이고, 또한, 커버(20)는 냉각드럼(1) 또는 (1')의 축방향의 거의 전체길이(전체폭)를 덮고 있기 때문에, 숏입자(30)는 드럼의 외주면(2)의 전체면에 똑같이 충돌하고, 냉각드럼의 외주면(2)의 전체면에 똑같이 딤플(D)을 형성시킬 수 있다.
숏트입자분사장치(15)로부터 분사되어 냉각드럼의 외주면(2)에 충돌한 숏입자(30)는 커버(20)내부의 하부에 퇴적하고, 이것이 숏입자회수노즐(21)로 흡인되어서 회수된다.
숏입자회수노즐(21)에 회수되지 않았던 숏입자, 주조에 의해서 냉각드럼의 외주면(2)에 생긴 산화막 및 숏입자(30)의 분사에 의해서 냉각드럼의 외주면(2)에 부착한 입자등은, 냉각드럼(1) 또는 (1')의 회전에 수반해서 하류쪽의 브러시장치(5)에 이르고, 여기서 브러시휠(3),(3')에 의해서 드럼의 외주면(2)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이들 부착물 등이 용탕저류부(50)속의 용융금속에 혼입하는 일이 없이, 주철편(40)에 벌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본실시의 제 1형태에서는, 숏입자분사장치(15)에의 숏입자(30)의 공급량을 예를 들면 스크류피이더의 회전수를 변화함으로써 임의로 부여함으로써, 숏입자의 분사밀도를 용이하게 제어해서 딤플(D)의 면적율을 변화시킬 수 있고, 또, 주조속도에 대응해서 숏입자의 분사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제 1형태에 있어서, 주조속도 60m/분으로하고, 0.8㎜의 평균직경의 숏입자(30)의 분사량을 250g/분으로해서 주조를 행한바, 주조개시후 180분을 경과해도 주철편(40)에 벌어짐을 발생하는 일이없고,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에 숏입자(30)의 분사에 의해서 발생한 딤플(D)의 면적율은 0.05%였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의 조건에서 숏입자(30)의 분사량을 250g/분에서부터 50㎏/분으로 변경한 경우에 있어서도, 주조개시후 180분을 경과해도 주철편(40)에 벌어짐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의 숏입자(30)의 분사에 의해서 발생한 딤플(D)의 면적율은 10%였다.
또, 본실시의 제 1형태에 있어서, 주조개시후 60분에서, 숏입자(30)의 분사량을 250g/분으로해서 분사를 개시하고 250g/초의 증가속도에서 분사량을 증가하고 최종적으로 50㎏/분으로해서 17회전분사후 마찬가지 250g/초의 감소속도에서 분사량을 감소하고 2500g/분의 분사량으로 된 부분에서 중지했다.
계속해서 주조를 행하면서, 60분후에 숏입자(30)의 분사량을 2500g/분으로해서 분사를 개시하고 최대 70㎏/분의 분사를 행한 후 분사량 2500g/분까지 감량한 후 중지했다. 이 조작을 3회 반복해서 주조를 행하였던바, 양호한 주철편을 얻었다. 숏분사개시시의 숏입자분사량을 50㎏/분으로하더라도, 중지전의 분사량을 50㎏/분으로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양호한 주철편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의 제 2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형태는, 상기한 실시의 제 1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나, 다만, 초기 딤플(D)을 실시의 제 1형태에 있어서와 같은 포토에칭법에 의해서 형성한 냉각드럼(1),(1')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숏입자분사장치(15)에 의해 분사되는 숏입자(30)에 의해서 면적율(30%)의 초기딤플(D)를 형성한 냉각드럼(1),(1')을 사용한다.
이후 행하여지는 주조중에 상기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숏입자분사장치(15)로부터 분사되는 숏입자(30)에 의해서 딤플(D)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의 제 2형태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의 제 1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이루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제 1형태 및 본실시의 제 2형태에서는, 냉각드럼(1),(1')의 외주면(2)에 초기딤플을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초기딤플을 형성하지 않고 주조중 숏입자분사장치로부터 분사되는 숏입자에 의해서 형성되는 딤플만을 냉각드럼(1),(1')의 외주면에 형성시키도록 할수도 있다.
본실시의 제 2형태에 있어서, 주조속도 60m/분으로하고, 0.8㎜의 평균직경의 숏입자(30)의 분사량을 50㎏/분으로해서 주조를 행하였던바, 주조개시후 180분을 경과해도 주철편(40)에 벌어짐을 발생하는 일이없고,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에 숏입자(30)의 분사에 의해서 생긴 딤플(3)의 면적율은 10%였다.
본실시의 제 2형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의 제 1형태에 있어서와 동일한 드럼조건, 동일한 주조속도에서 주조를 행하였다. 숏입자(30)는 평균직경 1.0㎜로하고 50㎏/분에서 분사해서 주조를 행하였으나, 후공정에 브러시휠(3),(3')을 배설해서 냉각드럼외주면에 부착한 산화물 등을 제거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박판의 벌어짐이 충분히 방지되고 또한, 용융금속으로부터의 주철편생산량이 크게 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표시한 발명의 범위내에서, 그 구체적구조, 구성에 여러 가지의 변경을 부가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심식의 숏분사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대신해서 공기가압식블라스트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숏입자분사장치(15)를 냉각드럼의 바로밑에서부터 냉각드럼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이는 각도θ로해서 30°의 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나, 이 각도θ는, 주철편인출과 브러싱에 방해가 되지 않는, 15°∼50°가 적절하다. 또한, 15°보다 작게되면 인출주철편과의 접촉을 일으켜 불편하게 되고, 50°를 초과하면 드럼과 노즐의 틈새로부터 분사한 숏입자가 낙하하는 등 숏입자의 회수가 곤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서는, 냉각드럼의 전체의 폭면에 적어도 2개소로부터 숏입자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분사하면서 주조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주조하고 있는 주철편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고 숏입자분사장치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행할 필요없이, 낮은 밀도에서 똑같은 분포의 숏입자분사장치에 의해 주조중에 냉각드럼의 외주면에 딤플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의하면 주조되는 금속박판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1회의 주조량을 많게할 수 있다.

Claims (7)

  1.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냉각드럼의 사이에 형성된 용탕저류부에 용탕을 주입하고, 하부쪽으로부터 금속박판을 배출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드럼의 전체의 폭면에 적어도 2개소로부터 숏입자를 연속적으로 분사하면서 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
  2. 제 1항기재의 숏입자를, 분사밀도가 0.05∼10%에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
  3. 제 1항기재의 숏입자를 서로 맞간섭하지 않도록 냉각드럼의 회전방향으로 벗어나게해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
  4.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냉각드럼의 사이에 형성된 용탕저류부에 용탕을 주입하고, 하부쪽으로부터 금속박판을 배출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드럼의 전체의 폭면에 적어도 2개소로부터 숏입자를 간헐적으로 분사하면서 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드럼의 표면에 숏입자를 간헐적으로 분사하는 경우의 중지기간T를 다음식으로부터 산출되는 60분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
    T(분)≤2.3log{1+∑(분사밀도(%)×회전수)/100}×100-40
  6. 제 4항 기재의 숏입자의 분사를, 분사초기의 분사밀도가 0.05%, 최대시의 분사밀도가 10%이상, 종료기의 분사밀도가 0.05∼10%로 하고 그후 중지하는 공정을 1사이클로하는 패턴으로해서 반복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
  7. 제 6항기재의 숏입자의 분사를 1사이클의 누적분사밀도가 40%이상이 되도록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드럼식 연속주조방법.
KR1019980009241A 1997-03-18 1998-03-18 쌍드럼식연속주조방법 KR100264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64451 1997-03-18
JP97-64451 1997-03-18
JP9064451A JPH10258339A (ja) 1997-03-18 1997-03-18 双ドラム式連続鋳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421A true KR19980080421A (ko) 1998-11-25
KR100264184B1 KR100264184B1 (ko) 2000-09-01

Family

ID=1325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241A KR100264184B1 (ko) 1997-03-18 1998-03-18 쌍드럼식연속주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64277A (ko)
EP (1) EP0865850B1 (ko)
JP (1) JPH10258339A (ko)
KR (1) KR100264184B1 (ko)
CN (1) CN1072055C (ko)
DE (1) DE69801853T2 (ko)
ES (1) ES2162359T3 (ko)
TW (1) TW369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6623B2 (en) 1998-06-17 2005-05-03 Castrip Llc Strip casting apparatus
KR100490996B1 (ko) * 2000-12-22 2005-05-24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제조공정에서의 주편제조방법
US7059384B2 (en) 2001-06-15 2006-06-13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Apparatus and method for metal strip casting
KR100782689B1 (ko) * 2001-08-30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제조공정에서 품질이 우수한 주편 제조방법
US7891407B2 (en) 2004-12-13 2011-02-22 Nuc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ized control of heat flux in thin cast strip
US20060124271A1 (en) 2004-12-13 2006-06-15 Mark Schlicht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crocodile skin surface roughness on thin cast strip
US8312917B2 (en) 2004-12-13 2012-11-20 Nuc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crocodile skin surface roughness on thin cast strip
JP4713165B2 (ja) * 2005-01-19 2011-06-29 日新製鋼株式会社 ショットブラスト方法および装置
DE102006021223A1 (de) * 2006-05-06 2007-11-08 Mtu Aero Engines Gmbh Verfahren zum Oberflächenstrahlen eines Bauteils
AU2008100847A4 (en) * 2007-10-12 2008-10-09 Bluescope Steel Limited Method of forming textured casting rolls with diamond engraving
WO2010059992A2 (en) * 2008-11-20 2010-05-27 Ihi Corporation Brush roll for casting roll
US7888158B1 (en) * 2009-07-21 2011-02-15 Sears Jr James B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photovoltaic unit
DE102010036401B4 (de) 2010-07-14 2023-08-24 Vacuumschmelz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etallischen Bands
CN102764869B (zh) * 2012-07-16 2014-12-10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连铸过程中连铸坯的强化装置和强化方法
TWI696506B (zh) * 2018-10-17 2020-06-21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鑄片的製造方法
DE102020104311A1 (de) * 2020-02-19 2021-08-19 Vacuumschmelze Gmbh & Co. Kg An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ndes mit einer Rascherstarrungstechnologie sowie metallisches Ban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5803C2 (de) * 1983-07-16 1986-11-20 Dr. Johannes Heidenhain Gmbh, 8225 Traunreut Inkrementale, lichtelektrische Meßeinrichtung
JPH0724924B2 (ja) * 1984-03-05 1995-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ドラム式連鋳機
JPH0815639B2 (ja) * 1986-04-30 1996-02-21 日新製鋼株式会社 双ロ−ル式連鋳機
JPS6483342A (en) * 1987-09-24 1989-03-29 Nippon Steel Corp Cooling drum for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cast thin slab
JPS6489842A (en) * 1987-09-30 1989-04-05 Toshiba Corp Receiver
JPH0818111B2 (ja) * 1991-07-02 1996-02-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薄肉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H0639501A (ja) * 1992-02-28 1994-02-15 Nippon Steel Corp 双ドラム式薄板連続鋳造装置
JPH0639504A (ja) * 1992-07-22 1994-02-15 Sumitomo Heavy Ind Ltd タンディッシュ内溶鋼プラズマ加熱制御装置
US5651413A (en) * 1995-10-06 1997-07-29 Armco Inc. In-situ conditioning of a strip casting roll
JPH09108786A (ja) * 1995-10-18 1997-04-28 Mitsubishi Heavy Ind Ltd 双ドラム式連続鋳造装置
JP3832933B2 (ja) * 1996-07-19 2006-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62359T3 (es) 2001-12-16
CN1196985A (zh) 1998-10-28
KR100264184B1 (ko) 2000-09-01
JPH10258339A (ja) 1998-09-29
EP0865850A1 (en) 1998-09-23
DE69801853T2 (de) 2002-05-02
CN1072055C (zh) 2001-10-03
TW369447B (en) 1999-09-11
EP0865850B1 (en) 2001-10-04
DE69801853D1 (de) 2001-11-08
US5964277A (en) 199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0421A (ko) 쌍드럼식연속주조방법
US72998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ized control of heat flux in thin cast strip
CA1068066A (en) Process for cleaning the surface of continuously cast strip
EP0155791B1 (en) Making metal strip and slab from spray
US6886623B2 (en) Strip casting apparatus
JPH06269839A (ja) 鋼片のスケール除去法および圧延法
JPH0811358B2 (ja) 熱間鋼材のメカニカルデスケーリング装置
JPH09108786A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装置
JP3536513B2 (ja) 金属薄帯の製造装置
JP4263801B2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双ロール鋳造装置
US47037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thin metallic strip
JPH02229653A (ja) ビレット鋳片の表面疵防止方法
KR100490997B1 (ko) 쌍롤식 박판제조공정에서의 주편제조방법
JP3694389B2 (ja) 連続鋳造用鋳型のパウダ−付着防止方法
KR100395113B1 (ko) 쌍롤형 박판주조기의 탕면 스컴혼입 방지장치
KR200167196Y1 (ko) 열간압연강재의 표면스케일 제거장치
KR100490996B1 (ko) 쌍롤식 박판제조공정에서의 주편제조방법
JPH0661599B2 (ja) 急冷薄帯製造用冷却ロ−ルの表面清浄化装置
JPH0511003Y2 (ko)
KR20020015903A (ko) 쌍롤식 박판제조공정에서 품질이 우수한 주편의 제조방법
JPH07148515A (ja) 圧延装置
JPH069706B2 (ja) 熱間幅圧延装置のスケール剥離除去装置
JPH02263541A (ja) 水平回転連続鋳造用鋳型
JPH0818111B2 (ja) 薄肉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H03156A (ja) 鋼帯端面の潤滑剤除去用ロ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