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531A -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531A
KR19980079531A KR1019970070196A KR19970070196A KR19980079531A KR 19980079531 A KR19980079531 A KR 19980079531A KR 1019970070196 A KR1019970070196 A KR 1019970070196A KR 19970070196 A KR19970070196 A KR 19970070196A KR 19980079531 A KR19980079531 A KR 1998007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nerator
fluidized bed
heat
heat transfer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625B1 (ko
Inventor
사도시 마쓰이
도시히코 이와사키
다카시 요코야마
마사노부 기무라
야스오 스즈키
하지메 아키야마
다카시 노도
Original Assignee
야마오카 요지로
엔케이케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카 요지로, 엔케이케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야마오카 요지로
Publication of KR1998007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7/00Arrangement of devices for supplying chemicals to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30Halogen; Compounds thereof
    • F23J2215/301Dioxins; Fur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아래의 스텝으로 된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가) 유동층을 가진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 각각 두개의 수직관부 및 만곡관부로 된 복수개의 U자형의 전열관을 만곡관부가 유동층내에 침지되도록 소각로의 벽부분으로부터 소각로 속으로 수직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배설하고,
(나) 수열매체를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의 각각의 한쪽의 수직관부, 만곡관부 및 다른쪽의 수직관부를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수열매체를 통하여 유동층내의 폐기물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열을 회수한다.

Description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불연성(不燃性) 물질을 함유하는 도시 쓰레기, 폐플라스틱 및 산업 폐기물 등의 가연성(可燃性) 폐기물을 유동상식 소각로(fluid-bed type incinerator)에서 소각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소각로에서 배출된 연소 폐가스중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알고 있는 한에 있어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 문헌은 다음과 같다.
(1) 1993년 4월 2일자로 출원공고된 일본국 특허공고 공보 제JP-B-5-23,321호,
(2) 1996년 7월 23일자로 출원공개된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JP-A-8-189, 627호,
(3) 1994년 3월 8일자로 출원공개된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JP-A-6-66,417호, 및
(4) 1986년 6월 11일자로 출원공고된 일본국 특허공고 공보 제JP-B-61-24, 606호.
위에 나온 선행기술 문헌에 개시된 선행기술의 내용은 아래에 나오는 본 발명의 배경에서 관련된 선행기술의 논평에서 논평하기로 한다.
〔관련된 선행기술의 논평〕
일반적으로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 소각로내의 아래부분에 유동매체로서 모래 입자 등의 유동층이 형성되어 있다. 소각로내에 투입된 가연성 물질은 유동층내에서 소정 온도까지 미리 가열된 모래 입자 등과 함께 유동화되면서 연소된다.
유동상식 소각로의 바닥부에는 공기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기로부터 공기실내로 취입된 공기는 다공판 등의 공기 분산판을 통해 공기실로부터 윗쪽을 향해 소각로속으로 분출되고, 이렇게 하여 분출된 공기는 모래입자 등의 유동매체를 유동화함으로써 유동층을 형성한다. 유동층에서는 유동매체가 상하로 이동하여 유동상태를 형성한다. 한편,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 폐가스는 연도(煙道)를 통하여 집진기속으로 유도되어 여기서 연소 폐가스속에 함유된 더스트(dust)가 포집된다.
유동상식 소각로에서 가연성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유동층내에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고 공보 제5-23,321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 개시된 장치 및 일본국 특허공보 제8-189,627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 개시된 또 다른 장치가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 1에서의 종래의 전형적인 열회수 방법의 한가지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온 종래의 장치에서는 도시 쓰레기 및 산업 폐기물 등의 가연성 물질이 유동상식 소각로(1)의 윗부분에 설치된 폐기물 투입구(도면에 나와 있지 않음)로부터 투입되어 균일한 온도로 유지된 유동층(2)속으로 들어간다. 투입된 폐기물은 유동층(2)내에서 유동매체인 모래입자와 함께 유동화되면서 연소된다.
소각되는 폐기물중에 함유되어 있는 불연성 물질은 소각로(1)의 바닥부에 설치된 불연성 물질 배출구(도면에 없음)를 통해 소각로 밖으로 반출된다. 복수의 작은 셀(cell)로 구획된 공기실(4)중의 소각로 측벽에 인접하여 위치한 공기실(4)의 위쪽에는 경사 칸막이벽(5)이 설치되어 있다. 유동매체를 유동화시키는 공기는 경사 칸막이벽(5)에 의해 소각로(1)의 중앙부를 향해 반사된다. 그 결과 도 5에 큰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동매체의 유동층에 선회류(rotary flow)(3)가 생기게 된다. 경사 칸막이벽(5)과 소각로 측벽 사이에는 이들에 의해 구획된 열회수실(6)이 형성되어 있고, 열회수실(6)내에는 소각로 측벽으로부터 경사 칸막이벽(5)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의 전열관(傳熱管)(7)이 삽입되어 있다.
유동층(2)를 형성하는 유동매체의 일부는 경사 칸막이벽(5)의 상단을 지나 열회수실(6)로 들어간다. 유동매체가 열회수실(6)내에서 침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열관(7)에 의해 유동매체의 열이 회수된다. 열이 회수된 유동매체는 다시 소각로(1)의 중앙부로 환류하여 선회류(3)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선행기술 1에서의 도 6에 나온 다른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직선상의 전열관(7)이 유동상식 소각로(1)의 측벽을 따라 거의 수직으로 소각로(1)의 열회수실(6)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전열관(7)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부 워터 체임버(water chamber)(9) 및 하부 워터 체임버(10)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워터 체임버(9), 전열관(7) 및 하부 워터 체임버(10)는 서로 통해 있다.
따라서 이 장치에 의하면 소각로(1)의 주연소실 위쪽의 프리 보오드부(free board section) 및 열회수실(6)의 주위에 거의 수직으로 복수개의 직선상의 전열관(7)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소각로(1)를 컴팩트(compact)하게 할 수 있다.
선행기술 2는 선행기술 1의 도 5에 나온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전열관이 소각로 측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각로속에 삽입된 열회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위에 나온 선행기술 1 및 2의 종래의 장치는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1) 도 5에 나온 바와 같이 각각 그 중앙에 수평관부를 가지며 열회수실(6)내에 삽입된 복수개의 전열관(7)을 구비한 종래의 열회수장치에서는 비교적 부피비중이 적고 유동매체와 동일한 거동을 하는 가느다란 침금(針金 : fine wire) 등의 불연성 물질이 열회수실(6)내에 침입하여 전열관(7)에 달라붙어 전열관(7) 사이의 공간에 퇴적함으로써 전열관(7)의 사이의 공간을 폐색할 우려가 있다.
불연성 물질에 의한 전열관(7) 사이의 공간의 폐색은 유동층(2)내의 유동매체의 흐름을 혼란시켜 양호한 유동층(2)의 형성 및 원활한 열회수를 방해한다. 더욱이 전열관(7)을 교환할 때에 전열관(7)에 달라붙은 불연성 물질로 인하여 소각로(1) 밖으로부터 전열관(7)을 간단히 당겨 뽑을 수가 없고 소각로(1)내에 들어가서 달라붙은 불연성 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2) 소각로 측벽에 삽입된 복수개의 전열관(7)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관(7)과 이 전열관(7)을 위해 소각로 측벽에 형성한 구멍과의 사이에 유동매체가 충전되어 있어 교환을 위해 전열관(7)을 뽑아내고 새로운 전열관을 소각로(1)속에 삽입하는 등의 작업이 아주 번거로운 작업으로 된다.
(3) 복수개의 전열관(7)은 유동매체의 유동층(2)내에 침지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관(7)의 교환도중에 고온의 유동매체가 유동층(2)으로부터 소각로(1) 밖으로 비산하여 일어나는 화상 및 기타의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소각로(1)내의 유동매체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유동매체를 소각로(1) 밖으로 배출하는 작업에 의해 유동매체는 그 축적된 열량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소각로(1)내에서는 다시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해서는 소각로(1)가 냉각상태로부터 소각로(1)의 시동작업을 할 필요가 있어 많은 시간을 소요한다.
(4) 복수개의 전열관(7)이 수직방향으로 배설된 도 6에 나온 열회수 장치에서는 불연성 물질에 의한 위에서 나온 바와 같은 트러블은 감소하지만, 전열관(7)의 교환작업에서는 위에 나온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다. 즉, 유동층(2)으로부터 소각로(1) 밖으로 고온의 유동매체가 비산함으로 인한 화상 및 기타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각로(1)내의 고온의 유동매체를 소각로(1) 밖으로 배출할 필요가 있고, 또한 소각로 몸체를 컴팩트하게 하였기 때문에 전열관(7)의 교환작업은 많은 시간과 경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손모(損耗) 및 점검으로 인해 종래의 유동상식 소각로(1)의 전열관(7)을 교환할 경우에는 안전을 확보하면서 불연성 물질에서 기인하는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소각로(1)의 조업을 장시간 정지해야 한다.
한편, 산업 폐기물 및 일반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한 소각로에 있어서 폐기물의 소각시에 발생하는 연소 폐가스는 연도를 통해 집진기속으로 유도되어 더스트류가 포집된후 대기중으로 방산된다.
소각로에서의 폐기물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연소 폐가스는 폴리염화 디벤조-p-다이옥신, 폴리염화 디벤조푸란등의 미량이지만 강한 독성을 가진 다이옥신류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들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큰 문제로 되어 있다.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알려져 있다.
(1) 소각로에 있어서 폐기물을 소각할 때에 일본국 후생성이 정한 가이드 라인에 기재되어 있는 연소 온도, 가스 체류시간 및 연소시에 있어서의 가스의 난류조건으로 된 연소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소각로내에서의 다이옥신류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방법(이하, 선행기술 3이 라함).
(2)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JP-A-6-66,417호는 아래의 스텝으로 된 소각로내에서의 다이옥신류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수산화 칼슘, 산화 칼슘, 탄산 칼슘 등의 칼슘 화합물을 폐기물과 함께 소각로내에 투입하고, 이것들을 연소로내에서 연소시켜 다이옥신류의 발생원인인 염화수소 가스와 반응시킴으로써 소각로 출구에서의 염화수소 농도를 일정치 이하로 유지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소각로내에서의 다이옥신류의 발생을 억제한다.(이하, 선행기술 4라 함).
더욱이 일본국 특허공보 제JP-B-61-24,606호는 아래의 스텝으로된, 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연소 폐가스중에 함유되어 있는 염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소각로내에 불활성 입자로 된 유동층을 형성하고, 그 중에서 폐기물을 소각할 때에 약 2∼5mm의 입경(粒徑)을 가진 입자들을 약 8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입자상 돌로마이트를 소각로내에 첨가하여 소각로로부터의 연소 폐사스중의 염화수소를 제거하는 방법(이하, 선행기술 5라 함).
선행기술 3에서의 연소조건의 제어 및 선행기술 4에서의 소각로내로의 칼슘 화합물의 투입에 의하면 소각로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에서의 연소 폐가스중의 다이옥신류의 함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선행기술 3과 4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소각로내에서의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하더라도 소각로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연소 폐가스가 연도를 통해 집진기내로 도입되어 집진될 때에 연도속에서 연소 폐가스중에 잔존하는 염소(Cl), 염화수소(HCl) 등에 의해 다이옥신류가 재합성되어 다이옥신류의 농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더욱이 선행기술 5는 입경 약 2∼5mm의 입경을 가진 입자들을 함유하는 입자상 돌로마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연소 폐가스중의 염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다이옥신류의 생성의 억제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가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나온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폐기물중의 불연성 물질이 복수개의 전열관에 달라붙는 일이 없고 전열관의 교환작업을 안전하게 단시간내에 실시할 수 있으며, 산업 폐기물 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유동상식 소각로내에서 소각할 때에 소각로내에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소각로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연소 폐가스가 연도를 통해 집진기에 도입되어 집진되는 동안에 소각로로부터 집진기에 이르는 연도속에서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의 제1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의 제2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의 제3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의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종래 장치의 한가지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6은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종래 장치의 다른 한가지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라 아래의 스텝으로 된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유동층을 가진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 각각 두개의 수직관부 및 만곡관부로된 복수개의 U자형의 전열관을 상기 만곡관부가 상기 유동층내로 침지되도록 소각로 벽부분으로 부터 상기 소각로속으로 수직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배설하고, 수열(受熱)매체를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의 각각 한쪽의 상기 수직관부, 상기 만곡관부 및 다른쪽의 상기 수직관부를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수열 매체를 통해 상기 유동층내의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을 회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가지 특징에 따라 아래와 같이 된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유동상식 소각내의 유동층의 주변부에 복수개의 전열관을 배설하고, 상기 유동층내의 피소각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속을 흐르는 수열매체를 통해 회수하는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장치로서, 아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 각각은 두개의 수직관부와 그 양단이 상기 수직관부에 각각 서로 통하는 만곡관부를 가진 U자형 전열관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은 수직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그 소각로 벽부분으로부터 상기 소각로내에 배설되어 있다.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개의 전열관은 유니트(unit)화된 전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가지 특징에 따라 아래의 스텝으로 된,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즉 유동층을 가진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 각각 두개의 수직관부와 만곡관부로 된 복수개의 U자형 전열관을 상기 만곡부가 상기 유동층속에 침지되도록 소각로의 벽부분으로부터 상기 소각로속에 수직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배설하고;
수열매체를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 각각의 한쪽의 상기 수직관부 및 다른쪽의 상기 수직관부 속을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수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유동층내의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을 회수하고;
상기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폐가스를 연도를 통해 집진기속에 도입하여 상기 연소 폐가스중의 더스트를 포집할 때에 있어서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칼슘 화합물을 상기 소각로내에 공급하여 상기 소각로로부터 상기 집진기까지에 이르는 연도속에서 상기 소각로로부터 배출된 연소 폐가스와 상기 칼슘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연도를 흐르는 연소 폐가스내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자들은 위에서 설명한 관점으로부터 폐기물중의 불연성 물질이 복수개의 전열관에 달라붙는 일이 없이 전열관의 교환작업을 안전하게 단시간내에 할 수 있고, 산업 폐기물 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유동상식 소각로내에서 소각할 때에 소각로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소각로내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연소 폐가스가 연도를 통해 집진기속으로 도입되어 제진(除塵)되는 동안에 소각로로부터 집진기까지에 이르는 연도속에서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철저한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유동상식 소각로의 유동층의 주변부에 각각 두개의 수직관부와 만곡관부로 된 복수개의 U자형 전열관을 상기 만곡관부와 유동층속으로 침지되고 수직관부가 소각로 벽부분에 탈착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설함으로써 양호한 유동층을 유지하면서 유동층으로부터 열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불연성 물질을 함유한 유동층과 접촉하는 전열관 각각에는 전열관 하부의 만곡관부 이외에 수평부분이 없기 때문에 오로지 상하운동을 하는 유동매체의 운동방향과 전열관의 축선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전열관에 불연성 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칼슘 화합물을 소각로내에 공급하면 공급된 칼슘 화합물은 소각로로부터 집진기까지에 이르는 연도속에서 소각로에서 배출된 연소 폐가스와 반응하여 연도를 흐르는 연소 폐가스중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발견에 근거하여 된 것으로서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아래스텝으로 되어 있다.
즉, 유동층을 가진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 각각 두개의 수직관부 및 만곡관부로 된 복수개의 U자형의 전열관을 상기 만곡관부가 상기 유동층내로 침지되도록 소각로 벽부분으로 부터 상기 소각로속에 수직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배설하고 수열(受熱)매체를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의 각각 한쪽의 상기 수직관부, 상기 만곡관부 및 다른쪽의 상기 수직관부를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수열 매체를 통해 상기 유동층내의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을 회수한다.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아래와 같이 되어 있다.
유동상식 소각내의 유동층의 주변부에 복수개의 전열관을 배설하고, 상기 유동층내의 피소각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을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속을 흐르는 수열매체를 통해 회수하는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장치로서, 아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 각각은 두개의 수직관부와, 그 양단이 상기 수직관부에 각각 서로 통하는 만곡관부를 가진 U자형 전열관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은 수직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그 소각로벽 부분으로부터 상기 소각로내에 배설되어 있다.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개의 전열관은 유니트(unit)화된 전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아래의 스텝으로 되어 있다.
즉, 유동층을 가진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 각각 두개의 수직관부와 만곡관부로 된 복수개의 U자형 전열관을 상기 만곡부가 상기 유동층속에 침지되도록 소각로의 벽부분으로부터 상기 소각로속으로 수직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배설하고;
수열매체를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 각각의 한쪽의 상기 수직관부와 상기 만곡관부 및 다른쪽의 상기 수직관부를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수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유동층내의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을 회수하고;
상기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폐가스를 연도를 통해 집진기속에 도입하여 상기 연소 폐가스중의 더스트를 포집할 때에 있어서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칼슘 화합물을 상기 소각로내에 공급하여 상기 소각로로부터 상기 집진기까지에 이르는 연도속에서 상기 소각로로부터 배출된 연소 폐가스와 상기 칼슘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연도를 흐르는 연소 폐가스내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류의 재합상을 억제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열관 각각은 2개의 수직관부와 그 양단이 수직관부와 각각 서로 통하는 만곡관부를 가진 U자형 전열관으로 되어 있고, 복수개의 전열관은 수직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그 소각로 벽부분으로부터 소각로속에 배설되어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전열관은 유니트화된 전열관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에 있어서 수열매체는 한쪽의 수직관부속을 소각로의 상부 로벽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유입되어 유동층내에 위치하는 만곡관부에 도달한후 다른쪽의 수직관부 속으로 위쪽으로 흐른 다음 소각로의 상부벽 위쪽에서 유출한다. 따라서 수열매체는 고온의 유동층의 열을 양호한 효율로 회수할 수가 있다. 더욱이 불연성 물질을 함유한 유동층과 접촉하는 각각의 전열관에는 전열관 하부의 만곡관부 이외에 수평부분이 없기 때문에 오로지 상하운동만을 하는 유동매체의 운동방향과 전열관의 축방향이 동일하게 되므로, 극히 희소한 불연성 물질을 제외하면 전열관에 불연성 물질이 달라붙는 일이 없이 양호한 유동층을 유지하면서 유동층으로부터 열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더욱이 전열관의 만곡관부에 극히 짧은 수평관부가 존재하지만 전열관의 아래쪽을 향한 방향의 수직관부와 위쪽을 향한 방향의 수직관부 사이의 간극(間隙)이 작기 때문에 전열관의 만곡관부가 불연성 물질로 폐색되는 일은 거의 없다.
소각로벽에 설치된 복수개의 전열관의 결합부가 유통층의 윗쪽에 있기 때문에(즉, 본 발명에서는 유동층의 위쪽에 위치하는 소각로벽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전열관이 착탈됨), 전열관의 교환작업에 있어서 소각로로부터 유동매체를 제거할 필요가 없이 단시간내에 전열관을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소각로벽으로부터 전열관을 제거할 경우라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열관의 결합부가 유동층 보다도 위쪽으로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고온의 유동매체가 소각로 밖으로 비산하지 않아 전열관의 교환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유니트화한 전열관 마다 복수개의 전열관을 교환하기 때문에 보다 양호한 효율로 전열관을 교환할 수가 있다.
전열관을 소각로벽으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유니트화한 전열관의 횡단면적에 상당하는 크기의 구멍이 소각로벽에 생긴다. 그 결과, 미리 예기하지 않았던 큰 불연성 물질이 전열관 사이의 공간을 폐색하고 있다 하더라도 소각로벽에 생긴 위에 설명한 구멍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이 구멍을 통하여 이러한 큰 불연성 물질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전열관을 교환할 때에 유동층속으로 유동화용 공기를 불어 넣어 그 부피밀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유동층속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전열관을 당겨 빼내거나 유동층속으로 전열관을 삽입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각로에서 폐기물을 소각할 때에 연소조건 즉, 일본국의 후생성이 정한 가이드 라인에 기재되어 있는 연소온도, 가스체류 시간 및 가스의 난류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소각로내에서의 다이옥신류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석회석(CaCO3), 소석회[(Ca(OH)2] 등의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칼슘 화합물을 소각로내에 공급한다.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공급된 칼슘 화합물은 연소 폐가스와 함께 소각로로부터 연도속으로 도입되고, 연도를 흐르는 연소 폐가스중에 존재하는 다이옥신류의 생성의 원인이 되는 염화수소(HCl)를 아래식에 나온 반응에 의해 무해한 염화칼슘(CaCl2)으로 변환시킨다.
CaCO3→ CaO + CO2
Ca(OH)2→ CaO + H2O
CaO + 2HCl → CaCl2+ H2O
위에 나온 반응에 의해 생성한 무해한 염화칼슘(CaCl2)은 집진기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연소 폐가스가 연도를 통해 집진기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는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이 확실히 억제된다.
소각로내에 공급되는 칼슘 화합물의 입경이 500㎛를 초과하면 공급된 칼슘 화합물 입자의 거의 대부분이 소각로내에 체류하고, 소각로로부터 집진기에 이르는 연도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연도속에서 칼슘 화합물과 연소 폐가스 사이의 위에 나온 반응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소각로내에 공급되는 칼슘 화합물의 입경은 50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제조상 또는 취급상의 관점에서 칼슘 화합물의 입경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 화합물의 공급량은 Ca/(½Cl)의 몰비로서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각되는 폐기물중에 황(S)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아래식에 나온 황과 칼슘 화합물 사이의 반응에 의해 소비되는 칼슘 화합물의 양을 고려하여 칼슘 화합물의 공급량을 Ca/(½Cl+S)의 몰비로서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CaO + SO2→ CaSO4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위에서 설명한 몰비가 너무 크면 공급하는 칼슘의 양이 너무 많아져서 비 경제인 조업으로 된다. 따라서 Ca/(½Cl)의 몰비 또는 Ca/(½Cl+S)의 몰비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 화합물은 소각되는 폐기물중에 미리 혼합하여 폐기물과 함께 소각로내에 공급하여도 좋고, 또는 폐기물과는 별개로 소각로내에 공급하여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비교예와 대비하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제1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제1실시태양의 열회수장치를 장비한 유동상식 소각로(11)를 사용하여 폐기물의 소각, 열의 회수 및 복수개의 전열관의 교환을 하였다.
본 발명의 장치의 제1실시태양에서는 도 1에 나온 바와 같이 유동상식 소각로(11)의 프리 보오드(free board)(12)를 둘러싼 소각로의 벽에 구멍(도면에 없음)을 가진 수평의 소각로벽(13)이 형성되고, 수평의 소각로벽(13)을 관통하는 구멍을 통해 복수개의 U자형 전열관(14)이 소각로(11)내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다. 복수개의 전열관(14)은 각각의 전열관(14)의 만곡관부(20)가 모래입자 등의 유동매체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층(15)내에 침지되도록 소각로(11)내에 삽입되어 있다. 각각의 전열관(14)은 입구 헤더(entry header)(16) 및 출구 헤더(exit header)(17)에 각각 접속된 2개의 수평관부(18)와, 각각의 수평관부(18)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수직관부(19) 및 그 양단이 수직관부(19)와 각각 서로 통하는 U자형 만곡관부(20)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전열관(14)속을 흐르는 수열매체로서의 수증기는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 헤더(16)로부터 소각로(11)밖의 한쪽 수평관부(18)를 거쳐 소각로(11)속의 한쪽 수직관부(19)속으로 유입하여 한쪽 수직관부(19)속을 통해 아래쪽으로 흘러 최하부의 만곡관부(20)를 거쳐 다른 수직관부(19)속을 통해 위쪽으로 흐르며, 그리고 다른 수평관부(18)를 거쳐 출구 헤더(17)속으로 유출한다. 도 1에서 21은 공기 분산판, 22는 복수개의 셀(cell)로 구획된 공기실, 그리고 23은 불연성 물질 배출구를 나타낸다.
소각로(1)의 바닥에 설치된 공기 분산판(21)을 통하여 공기실(22)로부터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유동매체로서의 모래 입자를 유동화하여 유동층(1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유동층(15)속으로 도시 쓰레기, 폐플라스틱, 산업 폐기물 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투입하여 폐기물을 소각한다.
복수개의 전열관(14)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동층(15)의 위쪽의 수평의 소각로벽(13)으로부터 소각로(11)속으로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다. 수열매체로서의 수증기는 먼저 수평의 소각로벽(13)으로부터 각각의 전열관의 최하부쪽을 향해 아래로 흘러 최하부의 만곡관부(20)에 도달한후, 다시 위쪽을 향해 흘러 수평의 소각로벽(13)으로부터 유출한다. 한편, 각각의 전열관(14)이 그 속에 삽입되어 있는 유동층(15)으로서의 모래 입자는 오로지 상하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유동층(15)속에 혼입되어 있는 불연성 물질은 유동하는 모래 입자에 의해 점차로 소각로(11)의 중앙부로 운반되고, 소각로(11)의 바닥벽 중앙에 설치된 불연성 물질 배출구(23)로부터 소각로(11) 밖으로 배출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전열관(14)은 유동층(15)속에 수직방향으로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로 이동하는 유동매체로서의 모래 입자의 이동이 방해받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유동층(15)의 양호한 유동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었다. 더욱이 유동층(15)속의 불연성 물질이 전열관(14)에 달라붙는 일은 없었다.
복수개의 전열관(14)의 교환은 소각로(11)의 수평의 소각로벽(13)과 전열관(14) 사이의 접합을 해제하여 전열관(14)을 소각로(14)로부터 위쪽으로 당겨 빼고, 새로운 전열관을 소각로(11)속으로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위에 나온 제1실시태양에 의하면 소각로(11)의 유동층(15)으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가 있었다. 더욱이 복수개의 전열관(14)의 교환작업에 있어서 유동매체로서의 모래 입자를 소각로(11) 밖으로 배출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전열관(14)의 교환작업 종료후에 있어서도 유동층(15)은 가연성 폐기물을 연소하는데 필요한 온도를 충분히 유지하고 있었다. 그 결과, 전열관(14)의 교환작업 종료후에 소각로(11)의 조업을 즉시에 재개시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 2)
도 2는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제2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제2실시태양의 열회수 장치를 장비한 유동상식 소각로(11)를 사용하여 폐기물의 소각, 열의 회수 및 복수개의 전열관의 교환작업을 하였다.
본 발명의 장치의 제2실시태양에서는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이 사용된다.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은 그 내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구획된 접속기(24)와, 그 양단이 접속기(24)와 서로 통하는 복수개의 U자형 전열관(14)으로 되어 있다. 즉, 유니트화된 전열관(25)에서는 복수개의 전열관(14)은 접속기(24)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각각의 전열관(14)속을 흐르는 수열매체로서의 수증기는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기(24)로부터 소각로(11)속의 한쪽 수직관부(19)에 유입하여 한쪽 수직관부(19)속을 아래쪽을 향해 흘러 최하부의 만곡관부를 거쳐, 다른 수직관부(19)속을 위쪽을 향해 흐르며, 그리고 접속기(24)속으로 유출한다.
도 2에 있어서 12는 프리 보오드부, 21은 공기 분산판, 22는 복수개의 셀(cell)로 구획된 공기실, 그리고 23은 불연성 물질 배출구를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니트화된 전열관(14)은 유동층(15)속에 수직방향으로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로 이동하는 유동매체로서의 모래 입자의 운동이 방해받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유동층(15)의 양호한 유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더욱이 유동층(15)속에 불연성 물질이 전열관(14)을 폐색하는 일은 없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된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의 교환은 소각로(11)의 수평의 로벽부(13)와 유니트화된 전열관(25)과의 사이의 접합을 해제하여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을 소각로(11)로부터 위쪽으로 당겨 빼내고 새로운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을 소각로(11)속에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복수개의 전열관(14)을 일괄하여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었다.
유니트화 전열관(25)에서의 전열관(14)의 갯수는 24톤/일(日) 내지 300톤/일의 능력을 가진 소각로에 있어서 소각로(11)의 유동층(15)으로부터 회수되는 열량과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을 삽입하는 장소에 따라 2개 내지 수백개의 범위내에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위에 나온 제2실시태양에 의하면 소각로(11)의 유동층(15)으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가 있었다. 더욱이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의 교환작업시에 유동매체로서의 모래입자를 소각로(11) 밖으로 배출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의 교환작업 종료후에 있어서도 유동층(15)은 가연성 폐기물을 연소하는데 필요한 온도를 충분히 유지하고 있었다. 그결과,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의 교환작업 종료후 소각로(11)의 조업을 즉시에 재개시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 3)
도 3은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제3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제3실시태양의 열회수 장치를 장비한 유동상식 소각로(11)를 사용하여 폐기물의 소각, 열의 회수 및 전열관의 교환을 하였고 제3실시태양의 장치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2실시태양에서의 수평의 소각로벽(13) 대신에 경사 소각로벽(26)을 채용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나온 제2실시태양의 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장치의 제3실시태양에서는 도 3에 나온 바와 같이 소각로(11)의 유동층(15)의 위쪽에 경사 소각로벽(26)을 설치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유동층(15)내에서의 폐기물의 연소시에 소각로(11)내에서의 산화 분위기 또는 환원 분위기를 제어하기 위해 유동층(15)내에서 산소농도를 될 수 있는 한 가장 낮게 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연소시키면 발열량이 높은 미연소 가스가 유동층(15)으로부터 다량으로 발생한다. 유동층(15)의 위쪽에 경사 소각로벽(26)을 형성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미연소 가스가 유동층(15) 위쪽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각로(11)의 안전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경사 소각로벽(26)의 경사각도는 수평선으로부터 45도 까지의 사이에서 변화시킬 수가 있다. 경사각도가 45도를 초과하면 유동층(15)내에 삽입할 수 있는 전열관(14)의 갯수가 감소하여 유동층(15)으로부터 열을 충분히 회수하기가 곤란해진다. 그러나 열회수량이 적어도 좋을 경우에는 경사각도는 45도를 초과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장치의 제3실시태양에 있어서도 제2실시태양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이 사용된다. 즉,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은 그 내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구획된 접속기(24)와, 그 양단이 접속기(24)와 서로 통하는 복수개의 U자형 전열관(15)으로 되어 있다. 즉, 유니트화된 전열관(25)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전열관(14)은 접속기(24)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전열관(14)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U자형의 것을 설명하였으나 W자형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도 3에 있어서 12는 프리 보오드부, 21은 공기 분산판, 22는 복수개의 셀(cell)로 구획된 공기실, 그리고 23은 불연성 물질 배출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치의 위에서 설명한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의 교환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할 수가 있었다. 더욱이 소각로(11)의 유동층(15)으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가 있었다. 또한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의 교환작업시에 유동매체로서의 모래입자를 소각로(11) 밖으로 배출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의 교환작업 종료후에 있어서도 유동층(15)은 가연성 폐기물을 연소하는데, 필요한 온도를 충분히 유지하고 있었다. 그 결과, 유니트화된 전열관(25)의 교환작업 종료후에 소각로(11)를 즉시에 재개시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위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실시태양의 본 발명의 열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예에 의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유동상식 소각로에서의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유동상식 소각로(31)에 설치된 공기 분산판(32) 위에는 유동매체로서의 규사 입자가 재치되어 있다. 규사 입자는 공기 분산판(32)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소각로(31)내에 취입된 공기에 의하여 유동화한다. 도 4에 있어서 33은 소각로(31)내로의 폐기물 투입기, 그리고 34는 소각로(31)내로의 칼슘 화합물 공급기이다.
폐기물 투입기(33)에 의하여 소각로(31)내에 투입된 폐기물은 유동층내의 가열기(도면에 없음)에 의하여 소정 온도까지 미리 가열된 유동매체에 의하여 교반되고 건조되어 연소한다. 연소 폐가스는 연소 폐가스 배출구(35)로부터 연도(36)속을 배출되고, 그리고 그 폐가스 유입구(38)로부터 집진기인 백 필터(bag filter)(37)속으로 유입한다. 백 필터(37)에 의하여 제진(除塵)된 연소 폐가스는 폐기물 유출구(39)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폐기물 투입장치(33)로부터 위에서 설명한 소각로(31)속으로 폐기물을 투입하여 다이옥신류의 발생이 억제되는 앞서 설명한 연소조건에 따라 폐기물을 소각하였다. 동시에 칼슘 화합물 공급기(34)로부터 칼슘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범위내의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석회석을 Ca/(1/2Cl+S)의 몰비가 본 발명의 범위내의 5가 되는 양에서 소각로(31)속으로 공급하였다(이하, 본 발명 실시예 No. 1이라 함). 이어서 소각로(31)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35), 백 필터(37)의 폐기물 유입구(39)에서의 다이옥신류의 독성 등가(等價) 농도의 값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를 위하여 칼슘 화합물 공급기(34)로부터 칼슘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범위밖의 1,000 내지 2,000㎛의 입경을 가진 석회석을 공급했을 경우(이하, 비교용 실시예 No. 1이라 함) 및 칼슘 화합물을 공급하지 않았을 경우(이하, 비교용 실시예 No. 2라 함)에 있어서의 소각로(31)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35), 백 필터(37)의 가스 유입구(38) 및 가스 유출구(39)에 있어서의 다이옥신류의 독성 등가 농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칼슘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범위내의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석회석을 소각로(31)속에 공급한 본 발명 실시예 No. 1에 있어서는 백 필터(37)의 폐가스 유입구(38) 및 폐가스 유출구(39)에서의 다이옥신류의 독성 등가 농도는 현저하게 낮고, 소각로(31)로부터 백 필터(37)까지에 이르는 연도(36)속에서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음을 나타내었다.
여기에 대하여 칼슘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범위밖의 1,000∼2,000㎛의 입경을 가진 석회석을 소각로(31)속으로 공급한 비교용 실시예 No. 1 및 칼슘 화합물을 공급하지 않았던 비교용 실시예 No. 2에 있어서는 백 필터(37)의 폐가스 유입구(38) 및 폐가스 유출구(39)에 있어서의 다이옥신류의 독성 등가 농도가 높고, 소각로(31)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35)로부터 배출된 연소 폐가스중에 소각로(31)로부터 백 필터(37)까지에 이르는 연도(36)속에서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이 발생해 있었다.
그리고 소각로(31)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35)에 있어서의 연소 폐가스중의 염화수소 농도는 본 발명의 범위밖의 1,000∼2,000㎛의 입경을 가진 석회석을 소각로(31)내에 공급한 비교용 실시예 No. 1 보다도 본 발명의 범위밖의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석회석을 공급한 본 발명 실시예 No. 1의 쪽이 높았다. 이 사실로부터 소각로(31)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35)에 있어서의 염화수소 농도와 소각로(31)로부터 집진기(37)까지에 이르는 연도(36)속에서의 다이옥신류의 농도는 반드시 상관관계로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폐기물을 유동상식 소각로에서 소각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회수할 수가 있고, 폐기물중의 불연성 물질이 전열관에 달라붙는 일이 없으며, 전열관의 교환작업을 안전하게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소각로의 연소 폐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연소 폐가스가 연도를 통하여 집진기속으로 보내져서 제진되는 동안에 소각로로부터 집진기에 이르는 연도속에서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을 억제할 수가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다이옥신류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가 있으므로 공업상 유용한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6)

  1. 아래의 스텝으로 된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가) 유동층을 가진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 각각 두개의 수직관부 및 만곡관부로 된 복수개의 U자형의 복수개의 전열관을 상기 만곡관부가 상기 유동층내에 침지되도록 소각로의 벽부분으로부터 상기 소각로 속으로 수직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배설하고,
    (나) 수열매체를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의 각각의 한쪽의 상기 수직관부, 상기 만곡관부 및 다른쪽의 상기 수직관부를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수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유동층내의 폐기물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열을 회수한다.
  2. 유동상식 소각로의 유동층의 주변부에 복수개의 전열관을 배설하고, 상기 유동층내의 피소각물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열을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속을 흐르는 수열매체를 통하여 회수하는,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의 각각은 두개의 수직관부와, 그 양단이 상기 수직관부와 각각 서로 통하는 만곡관부를 가진 U자형 전열관으로 되어 있고,
    (나)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은 수직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그 소각로의 벽부분으로부터 상기 소각로 속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은 유니트화된 전열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아래의 스텝으로 된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그리고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가) 유동층을 가진 유동상식 소각로에 있어서, 각각 두개의 수직관부 및 만곡관부로 된 복수개의 U자형의 전열관을 상기 만곡관부가 상기 유동층내에 침지되도록 소각로의 벽부분으로부터 상기 소각로 속으로 수직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배설하고,
    (나) 수열매체를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의 각각의 한쪽의 상기 수직관부, 상기 만곡관부 및 다른쪽의 상기 수직관부를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수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유동층내의 폐기물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열을 회수하고, 그리고
    (다) 상기 폐기물의 상기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연소 폐가스를 연도를 통하여 집진기 속으로 도입하여 상기 연소 폐가스중의 더스트를 포집할 때에 500㎛ 이하의 입경을 가진 칼슘 화합물을 상기 소각로 속으로 공급하고, 상기 소각로로부터 상기 집진기까지에 이르는 상기 연도속에서 상기 소각로로부터 배출된 상기 연소 폐가스와 상기 칼슘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연도를 흐르는 상기 연소 폐가스 속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류의 재합성을 억제한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칼슘 화합물은 100∼500㎛의 범위내의 입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칼슘 화합물을 Ca/(1/2Cl) 또는 Ca/(1/2Cl+S)의 몰비로서 2∼10의 범위내의 양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0196A 1997-03-18 1997-12-17 유동상식소각로로부터열을회수하기위한장치및방법과다이옥신류의생성을억제하기위한방법 KR100295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472197A JP3391211B2 (ja) 1997-03-18 1997-03-18 流動層熱回収装置
JP97-64,721 1997-03-18
JP97-064721 1997-03-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433A Division KR100338052B1 (ko) 1997-03-18 2000-10-05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과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31A true KR19980079531A (ko) 1998-11-25
KR100295625B1 KR100295625B1 (ko) 2001-08-07

Family

ID=132663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196A KR100295625B1 (ko) 1997-03-18 1997-12-17 유동상식소각로로부터열을회수하기위한장치및방법과다이옥신류의생성을억제하기위한방법
KR1020000058433A KR100338052B1 (ko) 1997-03-18 2000-10-05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과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433A KR100338052B1 (ko) 1997-03-18 2000-10-05 유동상식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과 다이옥신류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66271B1 (ko)
JP (1) JP3391211B2 (ko)
KR (2) KR100295625B1 (ko)
DE (1) DE69713872T2 (ko)
DK (1) DK086627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556A (ja) * 1998-11-25 2000-08-02 Nobuhide Maeda ダイオキシン発生抑制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てなるダイオキシンの発生の抑制方法
WO2003090906A1 (fr) * 2002-04-24 2003-11-06 Research Center For Eco-Environmental Science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Procede d'elimination de dioxines dans des fumees d'incinerateur
JP5805360B2 (ja) * 2009-04-14 2015-11-04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気相反応方法及び気相反応装置
CN107084398B (zh) * 2017-05-19 2023-06-27 天津辰创环境工程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处理多种废气废液的两段式l型焚烧炉
DE102017122970B4 (de) * 2017-10-04 2021-10-21 FischerteC GmbH Verbrennungsof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3773A (en) * 1954-10-11 1961-12-19 Sinclair Refining Co Heat exchange apparatus
DE1245544B (de) * 1966-12-08 1967-07-27 Gi Proekt Zd Ov Osnovnoi Khim Vorrichtung zur Kuehlung der Wirbelschicht in Roestoefen mit natuerlichem Kuehlmittelumlauf
JPS55105110A (en) 1979-02-06 1980-08-12 Ebara Corp Method for removal of hydrogen chloride contained in waste gas discharged from fluidized-bed incinerator
US4380154A (en) * 1981-06-23 1983-04-19 Thermacore, Inc. Clean coal power system
DE3443722A1 (de) * 1984-11-30 1986-06-12 Foerster Guenther Verfahren zur thermischen beseitigung von halogenverbindungen, insbesondere dioxine, phosgen und polychlorierte biphenyle bildende chlorverbindungen enthaltenden abfaellen sowie wirbelschicht-reaktor zu seiner durchfuehrung
DE3523653A1 (de) * 1985-07-02 1987-02-12 Bbc Brown Boveri & Cie Wirbelschichtreaktor
US4883115A (en) * 1988-09-16 1989-11-28 Ogden Environmental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high-temperature processes
FR2668815B1 (fr) * 1990-11-02 1993-04-09 Chauffe Cie Gle Procede d'incineration de dechets urbains dans une unite comportant un foyer a lit fluidise et une chaudiere, avec epuration intrinseque des fumees.
JPH0666417A (ja) * 1992-08-13 1994-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塩素含有可燃物ダイオキシン類発生抑制燃焼法
JP2664645B2 (ja) 1995-01-12 1997-10-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流動層熱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3872D1 (de) 2002-08-14
JPH10259901A (ja) 1998-09-29
DE69713872T2 (de) 2003-03-13
DK0866271T3 (da) 2002-10-28
EP0866271A3 (en) 1999-07-21
EP0866271B1 (en) 2002-07-10
EP0866271A2 (en) 1998-09-23
JP3391211B2 (ja) 2003-03-31
KR100338052B1 (ko) 2002-05-24
KR100295625B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1449B2 (ja) 循環型流動層炉、及び循環型流動層炉の運転方法
KR101417233B1 (ko) 2 단 선회 유동층식 소각로에 의한 폐기물의 소각 처리 방법
KR101107384B1 (ko) 플라즈마 열분해 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폐기물로부터합성가스의 정제 공정 및 장치
CN106247345A (zh) 危废物焚烧系统及工艺
SI9620065A (sl) Postopek za suho razžveplanje zgorevnih dimnih plinov
US5379705A (en) Fluidized-bed incinerator
KR100295625B1 (ko) 유동상식소각로로부터열을회수하기위한장치및방법과다이옥신류의생성을억제하기위한방법
CZ259396A3 (en) Method of cooling and purification of flue gase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EP0200695B1 (en) Contact reactor
JP4116698B2 (ja) 灰熔融式焼却システム
CN1644989A (zh) 医疗垃圾循环流化床焚烧炉及其焚烧方法
JP2769964B2 (ja) 塩素含有廃棄物の焼却方法及び装置
KR100249104B1 (ko) 산업폐기물 소각방법 및 그 장치
RU2133408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городских отходов и применение образующейся при сжигании золы
JPH08110021A (ja) 廃棄物の溶融炉の発生ガス処理装置
TWI391610B (zh) 循環型流體化床爐、具備循環型流體化床爐的處理系統、及循環型流體化床爐的運轉方法
JP3757032B2 (ja) 廃棄物の熱分解溶融燃焼装置
CN2791491Y (zh) 医疗垃圾循环流化床焚烧炉
KR100686441B1 (ko) 연소로 출구 온도제어장치가 구비된 순환유동층 연소장치및 연소로 출구 온도제어방법
JP4194983B2 (ja) 廃棄物処理方法
JP2000111025A (ja) 二次燃焼炉
JP3374020B2 (ja) 廃棄物熱分解溶融システム
JP2004084965A (ja) 燃焼排ガス処理設備
JP3459758B2 (ja) 廃棄物の熱分解燃焼溶融装置
JP2671078B2 (ja) 流動床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