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472A - 하우스 유닛 및 하우스 유닛용 프레임 구조체 - Google Patents
하우스 유닛 및 하우스 유닛용 프레임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79472A KR19980079472A KR1019970060984A KR19970060984A KR19980079472A KR 19980079472 A KR19980079472 A KR 19980079472A KR 1019970060984 A KR1019970060984 A KR 1019970060984A KR 19970060984 A KR19970060984 A KR 19970060984A KR 19980079472 A KR19980079472 A KR 199800794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structure
- frame
- wall panel
- wall
- join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간단히 분해할 수 있고, 다른 구조체로서 간단하게 재설치 가능하며, 또 재배치 전후의 구조 모두 보안성이 확보된 하우스 유닛을 제공한다. 직방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111)의 각 측면에 다른 프레임 구조체(113)나 외벽 패널(121) 등이 선택적으로 접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증·개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외벽 패널(121) 등은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나 외벽 패널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거된 외벽 패널 등은 재이용할 수 있다. 또, 외벽 패널은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의 작업에 의해서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복합 하우스 유닛 내부는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스 유닛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철거 및 설치 가능한 간이형 하우스 유닛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6-280405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평3-159510호 공보와 같이 종래부터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을 경감하기 위해 미리 프레임 구조체에 내벽 패널 등을 부착하거나 전기 배선을 실시하는 수법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하우스 유닛은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을 경감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계되어 있으며, 이미 프레임 구조체에 내벽 패널 등을 부착하거나 전기 배선을 실시하는 수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하우스 유닛은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을 경감하는 것만을 상정하여 설계되고, 설치한 하우스 유닛의 증·개축이나 철거 후에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재이용하는 것은 상정하여 설계되지 않았었다. 이로 인해, 이들 하우스 유닛에서 사용한 벽 패널 등을 프레임의 다른 면이나 다른 프레임에 있어서 재이용할 수 없었다.
즉, 업무의 확대·축소나 업무 내용의 변경에 따라서, 하우스 유닛의 증·개축이나 일부 철거 등을 설치 장소에서 행할 경우, 불필요한 벽 등을 파괴하고, 새로운 벽이나 유닛의 추가가 필요했다. 또, 일단 설치한 하우스 유닛을 철거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재이용하는 경우, 기존 장소와 이전 장소의 토지 면적이나 형상에 의해 설치할 수 있는 건물의 구조는 한정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이전 장소로의 재설치를 단념하고, 새로운 하우스 유닛을 설치하고 있었다. 이전 가능한 경우라도 기존 장소와 이전 장소의 토지에 인접하는 도로나 건물의 환경이 다르므로, 이전 장소에 있어서는 사용 편의성이 나쁜 건물이 되어 버리는 상황도 존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관련하여 현재 몇 가지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3-115634호 공보에는 패널에 의해 3차원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유닛에 의해 바닥 면적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하우스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구성 단위가 되는 유닛이 3장 이상의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구조 변화의 다양성이 결핍되어 있다. 또, 바닥 면적을 변경할 때는 양단부에 위치하는 유닛 중 어느 한 쪽을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발생한 간극에 새로운 유닛을 삽입할 필요가 있으며, 작업에 큰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 바닥 면적은 직선 방향으로만 변경 가능하며, 외벽 하나를 출입구로 변경하는 등 벽의 모양 변경도 할 수 없다는 불이익이 있었다. 또, 전선 등의 복수 유닛에 걸쳐진 배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새롭게 배선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 특허 공고 평7-35674호 공보는 하우스 유닛의 개구부에 연결하는 접속부에 의해 복수의 하우스 유닛을 연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벽이 지붕 부분이나 다른 벽과 나무 나사로 접합되어 있으며, 벽을 제거하여 개구부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지붕 방향으로부터의 나무 나사의 제거 등,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 나무 나사 제거에 의해 벽 등에 구멍이 남아 버리므로, 다시 재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였다. 또, 전선 등의 복수 유닛에 걸칠 배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이 배선을 다시 부설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하우스 유닛이 간이 사무실이나 금융 기관의 CD(현금 자동 지급기) 코너로서 이용되는 경우, 소망의 상황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침입할 수 없는 보안성이 높은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보안성을 유지한 구조를 실현할 경우는 하우스 유닛의 벽 등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구조로 하고, 레이아웃 변경이나 증·개축할 때 하우스 유닛에서 사용한 벽 등을 재이용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설치시에 있어서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이전이나 증·개축할 때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고, 이전 장소 등에서 다른 구조체로서 재설치 가능하며, 또 재배치된 구조도 보안성이 확보되어 있는 하우스 유닛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 업무의 성질상, 복합 하우스 유닛 내에 있어서도 비교적 높은 보안성이 요망되는 유닛과 특히 보안성을 희망하지 않는 유닛이 존재할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복합 하우스 유닛 내에 있어서, 보안성이 낮은 유닛으로부터 보안성이 높은 유닛으로 용이하게 침입할 수 없는 구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이나 증·개축할 때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는 하우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아웃 변경이 용이한 하우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전 장소에서 다른 구조체로서 재설치 가능한 하우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전이나 증·개축할 때 배선의 부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하우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시 및 재설치시 중 어느 상황에 있어서도 보안성을 확보하는 하우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 하우스 유닛 내에서, 보안성이 낮은 유닛으로부터 보안성이 높은 유닛으로 용이하게 침입할 수 없는 보안성이 높은 복합 하우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합 하우스 유닛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합 하우스 유닛의 개관도.
도3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체에 설치된 커넥터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체간의 접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체간의 통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체간의 접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외벽 패널 및 장식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외벽 패널 및 장식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외벽 패널 및 장식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20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21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22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24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25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우스 유닛의 증·개축 태양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합 하우스 유닛
110, 120 : 하우스 유닛
111, 113 : 프레임 구조체
125, 127 : 외벽 패널
121, 123 : 출입구(개구부)
131, 133, 135, 137 : 외벽 패널
145, 155 : 내벽 패널
190 : 지붕 모듈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레임 구조체의 측면에 다른 프레임 구조체와 외벽 패널 등 모두가 접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소망 구조의 복합 하우스 유닛을 구축할 수 있다. 외벽 패널 등은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나 외벽 패널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레이아웃 변경이나 증·개축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제거된 외벽 패널 등은 재이용할 수도 있다. 또, 외벽 패널은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의 작업에 의해서만 제거 가능하므로, 복합 하우스 유닛 내부는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주요한 배선이 프레임 내에 부설되고 벽 패널에는 실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레이아웃 변경을 해도 재차 배선을 다시 부설하는 수고를 상당히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다른 구조체와 접합하기 위한 제1 접합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을 갖는 입체 구조의 제1 프레임 구조체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제1 프레임 구조체의 제1 접합면과 접합하는 제2 접합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을 갖는 입체 구조의 제2 프레임 구조체와, 제1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제1 접합면에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제1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제2 프레임 구조체로의 출입구가 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식 벽 패널과, 제2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제2 접합면을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제2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도어식 벽 패널의 도어에 대응된 위치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벽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본원 명세서의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접합면은 다른 프레임 구조체의 접합면과 접합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고, 접합면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평면뿐만이 아니라 곡면 등이라도 좋다. 또, 본원 명세서의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파괴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라 함은 프레임 구조체나 벽 패널 등의 주요한 부분을 재이용할 수 있으면 충분한 것이며, 다소의 부속 부품의 용접 제거 등은 파괴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 본원 명세서의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접합은 직접 접합하는 개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Z 클립이나 부착 보조 부재 등의 부재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접합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본원 명세서의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도어식 벽 패널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기재된 도어 패널만이 아니라, 셔터 패널, 자동 도어 패널 등 하우스 유닛간의 왕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본원 명세서의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하우스 유닛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기재된 인간용 하우스 유닛만이 아니라, 가축 등의 동물용 건조물, 각종 식물의 재배용 건조물, 모형이나 완구 등도 대상으로 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구조체와 접합하기 위한 제1 접합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을 갖는 입체 구조의 구조체로서, 내부에 통선을 갖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구조체와, 제1 프레임 구조체의 제1 접합면과 접합하는 제2 접합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을 갖는 입체 구조의 구조체로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프레임 구조체와, 제1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제1 접합면에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제1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제2 프레임 구조체로의 출입구가 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식 벽 패널과, 제2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제2 접합면을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제2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도어식 벽 패널의 도어에 대응된 위치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벽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에 접합되는 다른 프레임 구조체를 다른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 및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도록 일면에 설치된 프레임 접합부와, 외벽을 내부로부터 외벽의 주요부 및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는 일면에 설치된 외벽 접합부와, 내벽 패널을 내부로부터 내벽 패널의 주요부 및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는 일면에 설치된 내벽 패널 접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원 명세서의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은 통상의 벽을 형성하는 패널뿐 아니라 도어 패널이나 개구 패널, 장식 패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로서,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에 접합되는 다른 프레임 구조체를 다른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 및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도록 일면에 설치된 프레임 접합부와, 외벽을 내부로부터 외벽 주요부 및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도록 일면에 설치된 외벽 접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와,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일면과 다른 타면에도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할 수 있는 외벽 패널과,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일면과 다른 타면에도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할 수 있는 내벽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직방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와,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일면의 대칭면에도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할 수 있는 외벽 패널과,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일면의 대칭면에도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할 수 있는 내벽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제1 프레임 구조체와, 제1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접합할 수 있는 일면을 갖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제2 프레임 구조체와, 제1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과 상이한 또 다른 일면과는 제2 프레임 부재의 일면과 상이한 다른 일면 중 어느 한 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접합할 수 있는 복수의 외벽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 구조체에는 통선이 실시되어 있으며, 제1 면은 제1 내벽 패널 접속부를 갖고, 제2 면은 제2 내벽 패널 접속부를 갖고 있으며, 내벽 패널은 내벽 패널과 프레임 구조체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제1 내벽 패널 접속부와 제2 내벽 패널 접속부에 선택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 복수의 내벽 패널과,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스 유닛을 포함하는 복합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면은 제1 벽 패널 접속부를 갖고, 제2 면은 제2 벽 패널 접속부를 갖고 있으며, 벽 패널은 벽 패널과 프레임 구조체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제1 벽 패널 접속부와 제2 벽 패널 접속부에 선택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 복수의 벽 패널과,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합 하우스 유닛(1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스 유닛(110)은 금융 기관의 무인 간이 점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하우스 유닛(120)은 부속 사무실(satellite office)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우스 유닛(110)에는 ATM(현금 자동 지급기)(173)이나 소비자 금융용 무인 계약기(175), 슈레더(shredder, 177), 의자(171)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스 유닛(120)에는 붙박이 테이블(181, 183)이나 의자(191 내지 197)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내용물은 공장에서 출하하는 시점에서 설치해 둘 수도 있고 현지에서 복합 하우스 유닛을 설치한 후에 반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설 현장에서의 작업을 가능한 한 삭감하기 위해 테이블(181, 183)은 공장에서 제작되지만, ATM(173)이나 소비자 금융용 무인 계약기(175), 슈레더(177) 등의 전기 기기는 하우스 유닛 설치시의 충격에 의한 고장을 고려하여 복합 하우스 유닛을 설치한 후에 반입하여 설치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합 하우스 유닛의 개관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합 하우스 유닛은 프레임 구조체(111, 113)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스 유닛(110, 120)과 지붕 모듈(1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우스 유닛(110)은 출입구용 개구(121)를 갖고, 하우스 유닛(120)은 외벽 패널(163)을 갖고 있다.
이 복합 하우스 유닛(100)에는 도3에 도시한 프레임 구조체(111)가 2개 사용되고 있으며, 복합 하우스 유닛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 구조체는 폭이 약 2,400 ㎜, 길이 4,800 ㎜, 높이 약 2,500 ㎜이며, 트럭에 의한 수송에 적합한 크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3에 도시한 프레임 구조체는 강철제이며, □형상의 프레임과, □형상의 프레임을 2개 조합시킨 사다리형 프레임을 각각 2개씩 용접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 내는 중공이며, 전원용 전선이나 각종 통신 회선 등을 부설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형상 프레임과 사다리 형상 프레임은 통선용 코너 커버(communication line corner cover, 201) 내부에 설치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인접하는 □형(또는 사다리형) 프레임 내의 전선이나 통신 회선 등과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선용 코너 커버(201)에는 다른 프레임 내의 전선 등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각종 커넥터 단자가 노출되어 있다.
코너 커버에는 연결부용 코너 커버와 모퉁이용 코너 커버 2종류가 있다. 다른 프레임 구조체와 통선의 접속을 행할 경우, 연결부용 코너 커버가 이용되고, 2개의 프레임 구조체의 접속된 커넥터를 보호한다. 모퉁이용 코너 커버는 복합 하우스 유닛의 각진 부분에 위치하고, 동일 프레임 구조체의 프레임간의 통선 접속을 보호한다. 또, 프레임 내에 비 등에 의해 침입하는 물방울을 피할 수 있다. 연결부용 코너 커버, 모퉁이용 코너 커버 모두 자물쇠 잠금에 의해 쉽게 제거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체의 프레임은 모두 100 ㎜ × 200 ㎜의 중공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형상 프레임 및 사다리 형상 프레임의 개구(벽 패널이 장착되는 부분)는 모두 1800 ㎜ × 2100 ㎜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사다리형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던 내벽 패널을 □형 프레임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분할한 벽 패널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개구를 분할한 벽 패널 크기의 정수배 크기로 설계해도 좋다. 프레임의 단면 형상은 하우스 유닛이 사용되는 업무 형태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큰 통신 회선을 사용하는 업무인 경우는 큰 단면 형상으로 하거나 적은 통신 회선이 필요한 업무인 경우에는 작은 단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어 불필요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단면 형상도 곡선을 포함하는 형상이나 복수 공간을 갖도록 프레임 내를 분할해도 좋다.
프레임 구조체(111, 113)는 그 네 귀퉁이에 앵커 고정부(203)를 갖고 있으며 앵커 고정부의 개구에 앵커링함으로써 지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체(111, 113)는 다른 프레임 구조체와 접속하기 위해 통선의 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점검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점검구에는 플라스틱제의 점검구 커버(205)가 장착된다. 하우스 유닛의 이용 태양에 의해 이 소망의 점검구로부터 전원이나 통신케이블 등을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할 수도 있다. 이 점검구는 하우스 유닛 설치시에 있어서, 크레인으로 달아 올릴 때 와이어를 가설하는 장소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점검구는 프레임의 들보가 아닌 기둥부 등 프레임 구조체 중 어느 곳에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체(111, 113)는 도4에 도시한 커넥터 패널(810)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패널(810)에는 전원용 콘센트(801, 803), 동축 케이블용 콘센트(805, 807), 전화용 모듈 잭(809)이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 패널(810)의 하방에는 통선 취출용 개구부(813)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케이블, 전선 등은 땅속에서 프레임 내로 들어간다. 바닥에 배선을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닥 부재에 바닥 하부 점검용 해치(hatch)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해치로 땅속으로부터 노출된 각종 커넥터와 프레임으로부터 노출된 커넥터를 접속하는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신 케이블 등이 옥외로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며,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8은 프레임 구조체간의 접속 및 지붕 부재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111)와 프레임 구조체(113)는 볼트(251)와 너트(25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볼트(251)와 너트(253)에 의한 접속은 점검구 부분에 있어서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붕 모듈(115)은 하우스 유닛(110, 120) 단위로 분할되어 있으며, 하우스 유닛(110, 120) 단위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일부 하우스 유닛만을 철거할 경우, 모든 하우스 유닛의 지붕을 제거해야만 한다면 작업에 노력이 들기 때문이다.
지붕 모듈(115)에는 ㄷ자형 연결용 부재(241)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프레임 구조체와 볼트 등에 의해 접속된다. 지붕 모듈(115)도 프레임 구조체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은 경우, 인접하는 하우스 유닛의 보안 상황, 공조 설비의 상황 등에 따라서 인접하는 하우스 유닛에 대해 벽면으로 구획하느냐 또는 개방하느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ㄷ자를 90도 기울인 프레임을 4개 용접하여 형성한 다리가 4개인 프레임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다.
또, 2종류의 점검구를 구비하여 도5에 있어서 설명한 다른 프레임과 접속하는 볼트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 외에,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타 프레임의 통선용 개구(231)를 마련해도 좋다. 이 개구(231)에 의해 배선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5에서 도시한 볼트용 개구와 도6에서 도시한 통선용 개구는 기타 프레임과 분리된 경우, 옥외로 노출되고, 빗물의 프레임 내로의 유입의 원인이 되므로, 전용 플라스틱제의 커버가 장전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 점검구 커버는 부주의하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 불특정자가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물쇠로 잠가서 관리할 수 있다.
도7은 프레임 구조체를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프레임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 연결구(250)는 힌지 접속된 4장의 금속성 평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 연결구(250)의 일단에는 훅(251)이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이 훅을 거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연결구(25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태양으로 이용된다. 즉, 프레임 구조체(111, 113)를 둘러싸도록 가설하여 개구부(253)에 훅(251)을 건 후, 볼트(259)를 볼트용 개구부(255)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개구부(253)를 갖는 프레임 연결구(250)의 평판은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로써, 훅(251)이 개구부(253)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구(250)를 이용하면 프레임 구조체가 다른 프레임 구조체와 분리된 경우, 개구부가 옥외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절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옥외 패널 및 장식 패널(decorative panel)의 부착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외벽 패널(127) 및 장식 패널(143)은 프레임 구조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체의 접합면(개구부를 포함하는 면)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평면으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접합면은 다른 프레임 구조체의 접합면과 접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며, 평면이 아닌 곡면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일 태양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체(111)에는 L형 강철제 벽 패널 접속용 보조 부재(403, 415)가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외벽 패널(127)에는 볼트(407, 409)가 매립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태양에서 외벽 패널(127)은 Z 클립(405, 413)을 사이에 끼워 너트(411, 417)를 체결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111)에 고정된다. 또, 프레임 구조체(111)와 외벽 패널(127) 사이는 발포 우레탄 등에 의해 밀봉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일 태양에 있어서의 장식 패널의 부착을 설명하기 전에, 바닥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프레임 구조체(111, 113)의 바닥 부분에 복수개의 보강 프레임(441, 443)이 소정 간격으로 □형 프레임으로 평행하게 용접되어 있다. 바닥 부재(115)는 이 보강 프레임(441, 443) 상에 부설됨으로써 걸쳐진다. 이 바닥 부재(115)와 보강 프레임(441, 443)을 접착제나 나사못 고정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바닥은 본 발명의 필요한 구성 요소는 아니므로(바닥 부재를 구획한 후에 바닥이 없는 하우스 유닛을 설치해도 본 발명은 실시 가능하므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일 태양에 있어서, 장식 패널(143)은 프레임 구조체(111)에 부착된 보조 부재(433)와 바닥에 부착된 보조 부재(401)에 나사못(431, 435) 고정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부재(483)와 바닥에 부착된 보조 부재(451)는 프레임 구조체(111)에 용접된다. 장식 패널(143)은 이 보조 부재(451, 483)에 나사못 고정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는 미관 유지 및 부주의로 장식 패널 및 외벽 패널이 제거될 수 없도록 연결 커버(473) 및 연결 커버 보조 부재(471)가 이용된다. 이 연결 커버(473)는 부착 후 자물쇠로 잠글 수 있으므로, 부주의로 장식 패널이 제거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외벽 패널도 부주의로 제거될 수 없게 된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일 태양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내벽 패널의 하나인 도어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도어 패널은 통상 내벽 패널과 나란히 사용되고, 도어를 구비한 벽을 형성한다.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예에 있어서는 프레임 구조체(601)에는 평판형의 접속 보조 부재(603)가 부착되어 있다. 도어 패널을 부착할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617)을 이 접속 보조 부재(603)에 걸어서 나사못 고정함으로써 부착된다. 또, 바닥의 내벽 삽입용의 홈에 도어 프레임(617)을 삽입하고, 나사못 고정함으로써 바닥에 고정된다. 통상의 내벽 패널도 바닥에 나사못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내벽 패널을 철거하고, 인접하는 하우스 유닛의 왕래를 자유로이 할 경우에는 바닥에 형성된 홈에는 바닥 부재와 마찬가지의 재질로 된 것이 보충된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이른바「슬라이딩식」에 의해 부착된다. 부착 보조 부재(711)는 미리 프레임 구조체(701)에 고정되어 있다. 또, 바닥측에는 보강 레인(719)이 프레임(703)에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 보조 부재(711)와 프레임 구조체(701)의 간극에 도어 프레임의 섹션(715)이 삽입되고, 보강 레인(719)에 도어 프레임의 섹션(727)이 삽입됨으로써 부착이 행해진다. 그리고, 섹션(715)이 나사못 고정됨으로써 도어 패널이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된다. 또, 부착 보조 부재(711)를 미리 프레임 구조체(701)에 고정시키지 않고, 나사못 고정하도록 하면, 슬라이딩식에 의해 필요해지는 내벽 패널과 프레임 구조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미리 프레임(701)에 볼트(727)가 매립되어 있으며,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내벽 패널의 부착시에 있어서는 볼트가 내벽 패널의 섹션(715)의 볼트용 개구에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내벽 패널의 부착을 행하는 방법은 외벽 패널의 부착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고, 반대로 외벽 패널의 부착에서 설명한 방법은 내벽 패널의 부착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나 너트, 나사 등의 벽 패널(내벽 패널 또는 외벽 패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연결구가 이용되고 있지만 부주의로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 승용차의 스키 캐리어 등에 이용되고 있는 자물쇠 잠금식 연결구 제거 방지 커버를 이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도17 내지 도23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벽 패널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내벽 패널은 규격화된 크기로 작성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도17의 도어 패널은 도18의 개구부를 구비한 내벽 패널과 세트로 사용된다. 이 개구부를 구비한 내벽 패널의 개구는 도어 프레임의 개구에 맞춘 크기로 되어 있다.
도19는 유리창 패널이며, 도20의 개구 패널과 세트로 사용된다. 개구 패널의 개구는 유리창 패널에 맞춘 크기로 되어 있다. 이들 내벽 패널에다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21의 자동 도어 패널, 도22의 분할형 내벽 패널, 도23의 셔터 패널 등이 준비되어 있다.
이들 패널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복합 하우스 유닛을 소망의 레이아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에 있어서, 면(121, 123)에는 도20의 패널이, 면(141, 143, 145, 163, 165, 167, 169, 168)에는 도22의 통상 내벽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또, 면(161)에는 도17의 도어 패널이, 면(155)에는 도18의 개구를 구비한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벽부(127)도 세로 방향으로 3분할되어 있으며, ATM이나 무인 계약기의 점검용으로 소망의 내벽 패널, 외벽 패널을 제거할 수 있고, 점검용 작업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업무 형태에 있어서, 금융 기관의 무인 점포측은 24시간 사용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부속 사무실측에 사원이 상주하는 것은 일정 시간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금융 기관의 무인 점포측으로부터 부속 사무실측으로 쉽게 침입할 수 없도록 할 필요가 발생하고 있다. 도어(151)는 자기 카드 리더(153)에 자기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자물쇠 잠금 해제를 행할 수 있다.
금융 기관의 무인 점포측에 도어 패널을 부착하고, 부속 사무실측에 개구를 구비한 패널을 부착하면, 도어 패널은 금융 기관의 무인 점포측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부속 사무실측에 쉽게 침입이 가능해져 버린다. 한편, 부속 사무실측에 도어 패널을 부착하면, 도어 패널은 부속 사무실측에서만 제거 가능하며, 금융 기관의 무인 점포측으로부터는 제거할 수 없으므로, 부속 사무실측은 금융 기관의 무인 점포측에 대해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24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프레임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제2 프레임 구조체는 도3의 프레임 구조체와 조합되어 사용된다. 이 2종류의 프레임 구조체의 사용예를 도25에 도시한다.
도면의 복합 하우스 유닛(500)에 있어서, 영역(501)과 영역(505)은 도3에 도시한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영역(503)과 영역(507)은 도24의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영역(501)과 영역(503)은 CD 코너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영역(505)과 영역(507)은 출입구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복합 하우스 유닛(500)은 업무 축소 등으로 CD 코너를 1개 철거할 경우, 영역(503)의 다른 하우스 유닛에 인접하는 내벽 패널을 철거하고 이어서 다른 하우스 유닛과의 접속을 해제하여 영역(503)의 하우스 유닛을 철거한다. 그리고 영역(503)으로 사용하고 있던 외벽 패널을 벗기고, 인접하는 하우스 유닛의 외벽 패널로서 부착한다. 이로 인해 다른 구조를 갖는 복합 하우스 유닛(510)으로 개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벽 패널 및 내벽 패널의 부착 및 제거, 하우스 유닛의 설치나 철거, 하우스 유닛간의 연결이나 해제에 의해 다양한 구조의 복합 하우스 유닛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이나 증·개축할 때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는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 아웃 변경이 용이한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 장소에서 다른 구조체로서 재설치 가능한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이나 증·개축할 때 배선의 부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시 및 재설치시 중 어느 상황에 있어서도 보안성을 확보하는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하우스 유닛 내에서 보안성이 낮은 유닛으로부터 보안성이 높은 유닛으로 용이하게 침입할 수 없는 보안성 높은 복합 하우스 유닛이 제공된다.
Claims (9)
-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다른 구조체와 접합하기 위한 제1 접합면을 포함하는 복수면을 갖는 입체 구조의 제1 프레임 구조체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의 상기 제1 접합면과 접합하는 제2 접합면을 포함하는 복수면을 갖는 입체 구조의 제2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1 접합면에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로의 출입구가 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식 벽 패널과,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접합면에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상기 도어식 벽 패널의 도어에 대응된 위치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벽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하우스 유닛.
- 다른 구조체와 접합하기 위한 제1 접합면을 포함하는 복수면을 갖는 입체 구조의 구조체로서, 내부에 통선을 갖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의 상기 제1 접합면과 접합하는 제2 접합면을 포함하는 복수면을 갖는 입체 구조의 구조체로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1 접합면에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로의 출입구가 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식 벽 패널과,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접합면에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상기 도어식 벽 패널의 도어에 대응된 위치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벽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스 유닛.
-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로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에 접합되는 다른 프레임 구조체를 상기 다른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기 위한 상기 일면에 설치된 프레임 접합부와, 외벽을 내부로부터 상기 외벽의 주요부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는 상기 일면에 설치된 외벽 접합부와, 내벽 패널을 내부로부터 상기 내벽 패널의 주요부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는 상기 일면에 설치된 내벽 패널 접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로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에 접합되는 다른 프레임 구조체를 상기 다른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기 위한 상기 일면에 설치된 프레임 접합부와, 외벽을 내부로부터 상기 외벽의 주요부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주요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하는 상기 일면에 설치된 외벽 접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프레임 구조체 일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상기 일면과 다른 타면에도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할 수 있는 외벽 패널과, 상기 프레임 구조체 일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상기 일면과 다른 타면에도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할 수 있는 내벽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스 유닛.
-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직방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프레임 구조체 일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상기 일면의 대칭면에도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할 수 있는 외벽 패널과,상기 프레임 구조체 일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되고, 상기 일면의 대칭면에도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접합할 수 있는 내벽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스 유닛.
-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제1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의 일면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접합할 수 있는 일면을 갖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제2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의 상기 일면과 상이한 또 다른 일면과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의 상기 일면과 상이한 다른 일면 중 어느 한 면의 내부로부터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접합할 수 있는 복수의 외벽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하우스 유닛.
- 복수의 내벽 패널과,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스 유닛으로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는 통선이 실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면은 제1 내벽 패널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2 면은 제2 내벽 패널 접속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내벽 패널은 상기 내벽 패널과 상기 프레임 구조체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 내벽 패널 접속부와 상기 제2 내벽 패널 접속부에 선택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 하우스 유닛.
- 복수의 벽 패널과,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복수면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스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면은 제1 벽 패널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2 면은 제2 벽 패널 접속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벽 패널은 상기 벽 패널과 상기 프레임 구조체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거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 벽 패널 접속부와 상기 제2 벽 패널 접속부에 선택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 하우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5010897A JP3232257B2 (ja) | 1997-03-05 | 1997-03-05 | ハウスユニット、複合ハウスユニット及び、複合ハウスユニットの改築方法 |
JP97-50108 | 1997-03-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9472A true KR19980079472A (ko) | 1998-11-25 |
KR100247715B1 KR100247715B1 (ko) | 2000-03-15 |
Family
ID=1284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0984A KR100247715B1 (ko) | 1997-03-05 | 1997-11-19 | 하우스 유닛 및 하우스 유닛용 프레임 구조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0863267A3 (ko) |
JP (1) | JP3232257B2 (ko) |
KR (1) | KR100247715B1 (ko) |
CN (1) | CN1111232C (ko) |
TW (1) | TW34913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6360A (ko) * | 2000-04-18 | 2001-11-07 | 이수행 | 조립식의 환경친화적 및 마을공동체적인 아파트 등 빌딩형건축물의 설계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09469A (en) * | 2003-12-15 | 2005-06-29 | Spaceover Ltd | A flat wall frame comprising perimetral frame members |
DE102004029262A1 (de) * | 2004-06-17 | 2006-01-12 | Royal Wave Holdings Ltd., St. Helier | Haus aus modularen Bauelementen sowie Verbund aus mehreren derartigen Häusern |
DE202005008592U1 (de) * | 2005-06-02 | 2006-10-12 | Drehtainer Gmbh Spezial Container- Und Fahrzeugbau | Aus Modulen zusammensetzbares Bauwerk |
DE102011001199B4 (de) * | 2011-03-10 | 2014-05-28 | Ralf Hoge | Objekt mit einem statisch tragenden Rahmensystem |
DE102013207392A1 (de) * | 2013-04-24 | 2014-11-13 | Harald Martin | Raumsystem |
JP6367629B2 (ja) * | 2014-07-16 | 2018-08-01 | 不二サッシ株式会社 | 折り畳み式組立家屋 |
CN105839782B (zh) * | 2016-05-13 | 2019-01-08 | 上海莫欧实业有限公司 | 模块化房屋 |
JP2020007803A (ja) * | 2018-07-10 | 2020-01-1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ブースおよびそのキ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282395A (en) * | 1993-08-12 | 1995-04-05 | Optima Building Systems Intern | Building system |
IT239434Y1 (it) * | 1994-10-11 | 2001-02-26 | F A E Ind Alloggi Prefabricati | Monoblocco prefabricato ad uso abitativo |
-
1997
- 1997-03-05 JP JP05010897A patent/JP323225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9-26 TW TW086114066A patent/TW349139B/zh active
- 1997-11-19 KR KR1019970060984A patent/KR1002477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
- 1998-02-04 CN CN98103725A patent/CN111123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2-13 EP EP98301054A patent/EP0863267A3/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6360A (ko) * | 2000-04-18 | 2001-11-07 | 이수행 | 조립식의 환경친화적 및 마을공동체적인 아파트 등 빌딩형건축물의 설계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1232C (zh) | 2003-06-11 |
JPH10245891A (ja) | 1998-09-14 |
EP0863267A2 (en) | 1998-09-09 |
TW349139B (en) | 1999-01-01 |
JP3232257B2 (ja) | 2001-11-26 |
CN1195733A (zh) | 1998-10-14 |
KR100247715B1 (ko) | 2000-03-15 |
EP0863267A3 (en) | 1999-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13174A (en) | Closet vault | |
US11118344B2 (en) | Foldable building structures with utility channels and laminate enclosures | |
JP3827065B2 (ja) | 建築構造基礎部材、及び建築構造のための基礎 | |
EP1444407B1 (en) | Demountable building | |
US20110162293A1 (en) | Modular Housing | |
US8001740B2 (en) | Ballistic and forced entry resistant construction | |
US8413404B2 (en) | Underground utility vault replacement system | |
US20080236056A1 (en) | Modular buildings | |
KR100247715B1 (ko) | 하우스 유닛 및 하우스 유닛용 프레임 구조체 | |
WO1999010609A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temporary structures | |
KR101901549B1 (ko) | 버스승강장의 설치방법 | |
KR101086059B1 (ko) | 조립식 건축용 모듈의 체결구조 | |
EP0972117A1 (en) | Portable flat-pack building | |
CZ291223B6 (cs) | Chodbový kontejner | |
EP0793756B1 (en) | Modular building | |
TWM645601U (zh) | 組合屋 | |
JP6992971B2 (ja) | 着脱可能な増設部屋 | |
JP3044171B2 (ja) | ゲート | |
JP2002266462A (ja) | 多機能天井ラン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建築構造 | |
JP3248736B2 (ja) | ユニット住宅 | |
JPH0559764A (ja) | ユニツト住宅 | |
JP2618569B2 (ja) | ユニット建物の小屋裏の設置方法 | |
JPH06346517A (ja) | ユニット式建物 | |
JPH11172776A (ja) | 建物ユニットの天井構造 | |
JPH07180222A (ja) | ユニット式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