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212A -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212A
KR19980079212A KR1019970017342A KR19970017342A KR19980079212A KR 19980079212 A KR19980079212 A KR 19980079212A KR 1019970017342 A KR1019970017342 A KR 1019970017342A KR 19970017342 A KR19970017342 A KR 19970017342A KR 19980079212 A KR19980079212 A KR 1998007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main control
control valve
dump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선
Original Assignee
토니 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 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 헬샴
Priority to KR101997001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9212A/ko
Publication of KR1998007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212A/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작동스트록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이고,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제조원가의 절감 뿐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는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의 실현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밸브바디(124)에 붐실린더(114) 및 덤프실린더(116)의 관로로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리프트레버(132)와 덤프레버(134)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포트에 스풀(128)이 각각 내장되고, 밸브바디(124)로부터 돌출된 상기 다수의 스풀(128)의 각 양단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 밸브캡(C)에 내장된 스프링(S)의 탄력으로 상기 스풀(128)의 리턴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S)이 보다 촘촘한 피치를 갖도록 와인딩된 제1구간(2)과, 이 제1구간(2)에 연장되는 상태하에서 제1구간(2)의 피치보다 큰 피치로 와인딩된 제2구간(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본 발명은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펌프로부터 펌핑되는 작동오일의 공급유로를, 리프트레버 및 덤프레버의 조작에 따라 절환시켜 작업장치를 조정하는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로 토사를 퍼내는 작업을 하는 로다는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으로 유압장치를 구동시키고, 이 유압장치를 제어함에 따라 각 작업장치를 조정하여 작업장치로 하여금 작업자의 의도대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압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을 소정압력으로 펌핑,공급하는 유압펌프(102)가 관로에 의해 작업장치(112)와 연결되고, 상기 관로에 작업장치(112)로 유통되는 작동오일의 유통경로를 절환시키기 위한 메인컨트롤밸브(123)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컨트롤밸브(123)가 리프트레버(132) 및 덤프레버(134) 등과 같은 조작수단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인컨트롤밸브(123)는 작업장치(112)를 이루는 붐실린더(114)와 덤프실린더(116)에 연결되어 있어 리프트레버(132)나 덤프레버(134)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붐실린더(114) 및 덤프실린더(116)로 소정의 유압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게 되며, 그 구성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밸브바디(124)에 상기 붐실린더(114) 및 덤프실린더(116)의 관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이러한 포트에 스풀(126)이 각각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내장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스풀(126)은 상기한 리프트레버(132)와 덤프레버(134)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도1 참조)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의 스풀(126)들은 각 양단이 밸브바디(124)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풀(126)들의 양단은 상기 밸브바디(124)에 결합되는 밸브캡(C)으로 밀폐되며, 그 일측의 밸브캡(C)에 내장되는 다수의 스프링(S1)(S2)에 의해 리턴작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다수의 스프링(S1)(S2)은 스풀(126)의 단부로 형성되는 다수개소의 턱에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리테이너(R)를 탄지토록 되어 있으며, 각각 그 고유의 탄성력이 고르게 발휘될 수 있는 단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메인컨트롤밸브(123)는 리프트레버(132) 및 덤프레버(134)의 조작에 따라 연통되는 각 포트를 통하여 유압펌프(102)로부터 펌핑, 공급되는 작동유가 각 실린더로 압송됨으로써, 붐실린더(114) 및 덤프실린더(116)를 작동시켜 버켓(B)을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인컨트롤밸브(123)의 각 스풀(126)들은 레버들(132)(134)에의 조작력 제거시 작용되는 스프링(S1)(S2)의 탄력으로 리턴되어, 유압력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됨과 아울러, 응답성이 좋은 상태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조정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도1 참조)
이때, 상기한 스프링(S1)(S2)은 작용초기점에서와 작용초기를 지난 제어기점에서 다른 탄력의 증가율을 보인다.
즉, 도3에서와 같이 작용 초기구간 2a 2에서 발휘되는 탄력(Force)의 증가에 대한 기울기가, 작용 초기구간 2a 2를 지난 제어구간 2b 2에서 발휘되는 탄력의 증가에 대한 기울기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두 개의 스프링(S1)(S2)은 스풀(126)의 리턴작동행정거리를 증가시켜 정확하고도 확실한 리턴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는 적당한 작동스트록을 얻기 위해 다수개의 스프링을 사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그 만큼 부품수를 늘리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와 조립작업시간을 늘리게 되어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됨과 아울러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작동스트록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이고,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제조원가의 절감 뿐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는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중장비용 유압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 2는 종래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메인컨트롤밸브에 작용되는 리턴 탄력의 증가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선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4 : 붐실린더116 : 덤프실린더
124 : 밸브바디132 : 리프트레버
134 : 덤프레버128 : 스풀
C : 밸브캡S : 스프링
2 : 제1구간12 : 제2구간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밸브바디에 붐실린더 및 덤프실린더의 관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리프트레버와 덤프레버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포트에 스풀이 각각 내장되고, 밸브바디로부터 돌출된 상기 다수의 스풀의 각 양단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 밸브캡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력으로 리턴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이 보다 촘촘한 피치를 갖도록 와인딩된 제1구간과, 이 제1구간에 연장되는 상태하에서 제1구간의 피치보다 큰 피치로 와인딩된 제2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메인컨트롤밸브는 리프트레버 및 덤프레버의 조작에 따라 연통되는 각 포트를 통하여 유압펌프로부터 펌핑, 공급되는 작동유가 각 실린더로 압송되게 함으로써, 붐실린더 및 덤프실린더를 작동시켜 버켓을 움직이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인컨트롤밸브의 각 스풀들은, 레버들에의 조작력 제거시 작용되는 스프링의 탄력으로 리턴되어 유압력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됨과 아울러, 이와 같은 일련의 조정작용에 있어서 좋은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스프링은 제1구간에서 일차적인 탄력의 작용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2구간에서의 탄력보다 제2구간에서 더 큰 탄력이 발휘됨과 아울러, 탄력의 증가율이 증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를 소정압력으로 펌핑,공급하는 유압펌프(102)가 관로에 의해 작업장치(112)에 연결되고, 상기 관로에 작업장치(112)로 유통되는 작동오일의 유통경로를 절환시키기 위한 메인컨트롤밸브(123)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컨트롤밸브(123)가 리프트레버(132) 및 덤프레버(134) 등과 같은 조작수단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장비용 유압장치에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인컨트롤밸브(123)는 작업장치(112)를 이루는 붐실린더(114)와 덤프실린더(116)에 연결되어 있어 리프트레버(132)나 덤프레버(134)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붐실린더(114) 및 덤프실린더(116)로 소정의 유압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게 되며, 그 구성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밸브바디(124)에 상기 붐실린더(114) 및 덤프실린더(116)의 관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이러한 포트에 스풀(128)이 각각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내장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스풀(128)은 상기한 리프트레버(132)와 덤프레버(134)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도1 참조)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의 스풀(128)들은 각 양단이 밸브바디(124)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스풀(128)들의 양단은 상기 밸브바디(124)에 결합되는 밸브캡(C)으로 밀폐되며, 그 일측의 밸브캡(C)에 내장되는 스프링(S)에 의해 리턴작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다수의 스프링(S)은 스풀(128)의 단부로 형성되는 다수개소의 턱에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리테이너(R)를 탄지토록 되어 있으며, 각각 그 고유의 탄성력이 단계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단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S)은 보다 촘촘한 피치를 갖도록 와인딩된 제1구간(2)과, 이 제1구간(2)에 연장되는 상태하에서 제1구간(2)의 피치보다 큰 피치로 와인딩된 제2구간(12)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구간(2)에서 발휘되는 탄력보다 큰 탄력이 제2구간(12)에서 발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메인컨트롤밸브(123)는 리프트레버(132) 및 덤프레버(134)의 조작에 따라 연통되는 각 포트를 통하여 유압펌프(102)로부터 펌핑, 공급되는 작동유가 각 실린더로 압송됨으로써, 붐실린더(114) 및 덤프실린더(116)를 작동시켜 버켓(B)을 움직이는 소정의 작업을 행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인컨트롤밸브(123)의 각 스풀(128)들은 레버들(132)(134)에의 조작력 제거시 작용되는 스프링(S1)(S2)의 탄력으로 리턴되어 유압력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됨과 아울러, 이와 같은 일련의 조정작용에 있어서 좋은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스프링(S1)(S2)은 작용초기점에서와 작용초기를 지난 제어기점에서 다른 탄력의 증가율을 보인다.
즉, 도3에서와 같이 작용 제1구간(2) 2a 2에서 발휘되는 탄력(Force)의 증가에 대한 기울기가, 작용 초기구간 2a 2를 지난 제2구간(12) 2b 2에서 발휘되는 탄력의 증가에 대한 기울기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S)은 단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다른 탄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리턴작동행정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정확하고도 확실한 리턴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충분한 작동스트록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이고,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제조원가의 절감 뿐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밸브바디에 붐실린더 및 덤프실린더의 관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리프트레버와 덤프레버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포트에 스풀이 각각 내장되고, 밸브바디로부터 돌출된 상기 다수의 스풀의 각 양단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 밸브캡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력으로 리턴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이 보다 촘촘한 피치를 갖도록 와인딩된 제1구간과,
    이 제1구간에 연장되는 상태하에서 제1구간의 피치보다 큰 피치로 와인딩된 제2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KR1019970017342A 1997-04-30 1997-04-30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KR19980079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342A KR19980079212A (ko) 1997-04-30 1997-04-30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342A KR19980079212A (ko) 1997-04-30 1997-04-30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212A true KR19980079212A (ko) 1998-11-25

Family

ID=6598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342A KR19980079212A (ko) 1997-04-30 1997-04-30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9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85A (ko) * 2015-05-26 2016-12-07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모터용 솔레노이드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7709A (en) * 1987-09-18 1989-03-23 Mazda Motor Valve device for engine
JPH0882304A (ja) * 1994-09-12 1996-03-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流体圧パイロット弁
JPH09144918A (ja) * 1995-11-20 1997-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H09269078A (ja) * 1996-04-01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7709A (en) * 1987-09-18 1989-03-23 Mazda Motor Valve device for engine
JPH0882304A (ja) * 1994-09-12 1996-03-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流体圧パイロット弁
JPH09144918A (ja) * 1995-11-20 1997-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H09269078A (ja) * 1996-04-01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85A (ko) * 2015-05-26 2016-12-07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모터용 솔레노이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131B2 (ja) 作業機械の油圧システム
US6241212B1 (en) Hose rupture control valve unit
KR100289769B1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장치
KR19990077204A (ko) 압력 보상 유압 제어 밸브장치
US3934742A (en) Valve mechanism for automatic control of a number of fluid motors
US3980000A (en) Control system for a hydraulic clamping device
JP3549126B2 (ja) 方向制御弁
US20200072250A1 (en) Hydraulic system combining two or more hydraulic functions
KR100807242B1 (ko) 유압조작밸브
KR930008318A (ko) 유압 회로
KR100474259B1 (ko) 건설기계의작업장치용실린더를위한유압장치
JP3289852B2 (ja) 流量応援用方向制御弁
KR19980079212A (ko) 중장비용 유압장치의 메인컨트롤밸브
KR20190030160A (ko) 유압 회로
JPH01250531A (ja) 作業機の油圧制御回路
EP0704630B1 (en) Variable priorit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CN110486341B (zh) 液压控制系统以及移动式工作设备
KR100499285B1 (ko) 토목건설기계용 유압장치의 파일럿절환밸브
JP2020122537A (ja) 建設機械
CN214662227U (zh) 用于再生功能的比例阀
JP2003287002A (ja) 作業用機械における油圧回路
US4787204A (en) Common relief valve
KR200398715Y1 (ko) 중장비의 리모트 콘트롤밸브
JPS6113003A (ja) 方向切換弁
EP3205889A1 (en) Serial-parallel hydraulic valve with logic switch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