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6287A -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 Google Patents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6287A
KR19980076287A KR1019970012940A KR19970012940A KR19980076287A KR 19980076287 A KR19980076287 A KR 19980076287A KR 1019970012940 A KR1019970012940 A KR 1019970012940A KR 19970012940 A KR19970012940 A KR 19970012940A KR 19980076287 A KR19980076287 A KR 19980076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pedestal
seat
presen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1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6287A/ko
Publication of KR1998007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287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에 내장되어 슬라이딩식으로 인출가능한 발 받침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시트(1)의 시트 쿠션(3)의 전면부로부터 형성된 수용구(13)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그 상면부(50)에 다수개의 홈(51, 52, 53)이 형성된 안내 레일(40)과,
상기 홈(51, 52, 53)에 정합되는 볼 스프링(27, 30)을 양측 하부면에 장착하여 상기 상면부(50)상에서 슬라이딩가능한 받침대(20)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어린이가 리어 시트에 착석하면 상기 받침대를 인출하여 발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본 발명은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에 내장되어 슬라이딩식으로 인출가능한 발 받침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리어 시트(1)는 차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2)과,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3)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 쿠션(3)의 하부에는 플로어로부터 돌출된 크로스 멤버(도시 않음)가 위치한다.
따라서, 시트 쿠션(3)는 플로어로부터 A만큼의 높이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리어 시트에 어린이가 착석하는 경우에는, 어린이의 발이 플로어에 닿지 않게 되어, 어린이는 매우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에 다수개의 발 받침대 장치를 구비하여 어린이가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의 일예로서,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의 전면부로부터 형성된 수용구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그 상면부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안내 레일과,
상기 홈에 정합되는 볼 스프링을 양측 하부면에 장착하여 상기 상면부상에서 슬라이딩가능한 받침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어린이가 리어 시트에 착석하면 상기 받침대를 인출하여 발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의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의 안내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 시트 2 : 시트 백
3 : 시트 쿠션 4 : 전면부
10 : 받침대 장치 12 : 수용구
20 : 받침대 22 : 보드
24 : 손잡이 26 : 제 1 홈
27 : 볼 스프링 29 : 제 2 홈
30 : 볼 스프링 40 : 안내 레일
42 : 바디 44 : 플랜지
46 : 볼트 구멍 50 : 상면부
51, 52, 53 : 홈 55 : 스톱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10)는 리어 시트(1)의 시트 쿠션(3)의 전면부(4)에 형성된 수용구(12)에 내장된다.
어린이의 발을 지지하는 받침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드(22)와, 상기 보드(22)의 프론트에서 보드(22)를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된 손잡이(24)와, 그 양측 하부면에 형성된 홈(26, 29)에 각각 내장되는 볼 스프링(27, 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20)가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레일(40)은 시트 쿠션(3)의 전면부(4)로부터 형성된 수용구(13)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그 상면부(50)에 다수개의 반원 홈(51, 52, 53)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플랜지(44)가 연장되어, 플랜지(44)에 형성된 볼트 구멍(46)을 통하여 볼팅으로써 크로스 멤버(도시 않음)에 장착된다. 또한 상면부(50)의 리어에는 스톱퍼(55)가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대(20)가 수용구(12)에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는
볼 스프링(27)은 제 2 홈(52)에 정합되고, 볼 스프링(30)은 제 3 홈(53)에 정합된다.
이 상태에서 받침대 손잡이(24)를 당기면, 볼 스프링(27, 30)이 홈(26, 29)내로 압축되면서 운전석 쪽으로 전진된다.
그런 다음, 볼 스프링(27)은 제 1 홈(51)에 정합되고, 볼 스프링(30)은 제 2 홈(52)에 정합된다. 이상태에서 받침대(20)상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다. 이 때, 볼의 무게로 인하여 받침대가 회전되는 것은 수용구(12)의 상부면에 의해서 억제된다.
다시, 받침대(20)를 밀어 넣으면, 원래의 상태로 되고, 이 때 스톱퍼(55)에 의해서 받침대의 후진 운동은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는 어린이가 리어 시트에 착석하면 상기 받침대를 인출하여 발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어린이가 편안하게 독서 등을 즐길 수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리어 시트(1)의 시트 쿠션(3)의 전면부로부터 형성된 수용구(13)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그 상면부(50)에 다수개의 홈(51, 52, 53)이 형성된 안내 레일(40)과,
    상기 홈(51, 52, 53)에 정합되는 볼 스프링(27, 30)을 양측 하부면에 장착하여 상기 상면부(50)상에서 슬라이딩가능한 받침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KR1019970012940A 1997-04-09 1997-04-09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KR19980076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940A KR19980076287A (ko) 1997-04-09 1997-04-09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940A KR19980076287A (ko) 1997-04-09 1997-04-09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287A true KR19980076287A (ko) 1998-11-16

Family

ID=6595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940A KR19980076287A (ko) 1997-04-09 1997-04-09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62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613B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 시트
US6398302B1 (en) Adjustable child seat
DE59801137D1 (de) Kindersiiz für kraftfahrzeuge
SE0004255L (sv) Fotstöd till bilbarnstol
ATE269136T1 (de) Insassen-rückhalteelement in einer anlage für vergnügungspark
SE9802281D0 (sv) Bilbarnstol
KR19980076287A (ko) 리어 시트용 받침대 장치
KR0174417B1 (ko) 컵 홀더를 구비한 차량의 리어 아암레스트
JP200113878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0128837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KR100502144B1 (ko) 버스용 시트
KR20030097171A (ko) 시트의 발 거치대
KR100444664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쿠션의 후방 이동 장치
KR19980016595U (ko) 고속버스용 시트의 암레스트
KR200150416Y1 (ko) 시트 슬라이드 로킹장치
KR100316939B1 (ko)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JP4405228B2 (ja) 簡易便器
KR0129274Y1 (ko) 암레스트의 드링크 홀더
KR0114457Y1 (ko) 팔걸이가 장착된 시트
KR0175818B1 (ko) 다용도 받침대가 구비된 자동차의 앞좌석 등받이
JPS5847905Y2 (ja) ロツキングチエヤ−
JP4362348B2 (ja) 肘掛けの取付け構造
KR200231424Y1 (ko) 침대
JPH0679635U (ja) 自動車用シート
JPH03445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