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949A - 차량용 배기파이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기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949A
KR19980075949A KR1019970012372A KR19970012372A KR19980075949A KR 19980075949 A KR19980075949 A KR 19980075949A KR 1019970012372 A KR1019970012372 A KR 1019970012372A KR 19970012372 A KR19970012372 A KR 19970012372A KR 19980075949 A KR19980075949 A KR 19980075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rear exhaust
pipe
gasket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양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1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5949A/ko
Publication of KR1998007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949A/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기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리어배기파이프와 프론트배기파이프를 결합시킬 때 누기를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에 개스킷을 체결하므로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들고 개스킷이 노화될 때에는 배기가스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4 와 같이 리어배기파이프(2)의 외주면에 결합부(4)를 끼워넣어 리어배기파이프(2)의 끝단부의 일정길이가 노출하도록 삽입시킨후 결합부(4)와 접촉된 리어배기파이프의(2) 외주면에 웰딩용접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리어배기파이프(2)와 대응하여 프론트배기파이프(3)의 끝단부에는 리어배기파이프(2)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 및 외경을 일정 길이만큼 확대하여 체결관(14)을 형성하며 체결관(14)의 끝단부에 결합부(4)를 웰딩용접하여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어배기파이프와 프론트배기파이프 사이에 개스킷이 필요없게 되어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배기파이프
본 발명은 차량용 배기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스킷의 불요로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관계를 단순화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토록 한 차량용 배기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엔진(9)에 장착된 배기매니폴드(8)에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리어배기파이프(2)와 프론트배기파이프(3)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 것이다.
그리고 리어배기파이프(2)의 끝단부에는 소음기(1)가 장착되어 있고, 소음기(1)는 엔진(9)에서 연료가 연소된 후 남은 배기가스가 그대로 대기중에 방출하면 급격히 팽창하면서 격렬한 폭음을 내기 때문에 이 폭음을 감쇠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한편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인 배기파이프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리어배기파이프(2)와 프론트배기파이프(3)로 구분되어 있다.
즉, 일정한 직경의 리어배기파이프(2) 및 프론트배기파이프(3)의 끝단부에 결합부(4)가 웰딩 용접되어 있고, 결합부(4)에는 다수의 홀(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4)는 리어배기파이프(2)와 프론트배기파이프(3)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고, 개스킷(5)은 결합부(4)와 결합부(4) 사이에 끼워 넣어 프론트배기파이프(3)에서 리어배기파이프(2)로 배기 가스가 흐를 때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스킷(5)은 결합부(4)와 긴밀히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그 외형이 결합부(4)와 유사하게 형성되었다.
즉, 상기 프론트배기파이프(3)와 리어배기파이프(2)를 결합시킬 때 배기파이프(2)(3)의 결합부(4) 사이에 개스킷(5)을 놓고 결합부(4)에 형성된 홀(7)에 보울트(6)의 나사부를 끼운후 보울트(6)의 나사부에 너트(10)를 조립하여 상기 배기파이프(2)(3)를 결합시킨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리어배기파이프(2)와 프론트배기파이프(3)를 결합시킬 때 누기를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에 개스킷(5)을 체결하므로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들고 개스킷(5)이 노화될 때에는 배기가스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리어배기파이프와 프론트배기파이프의 결합 구조가 지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스킷의 불요로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관계를 단순화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토록 한 차량용 배기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배기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부를 끼워 리어배기파이프의 끝단부 일정길이를 노출하여 삽입시킨후 결합부와 접촉된 리어배기파이프의 외주면에 웰딩용접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리어배기파이프와 대응하여 프론트배기파이프의 끝단부에는 리어배기파이프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 및 외경을 일정 길이만큼 확대하여 체결관을 형성하며 체결관의 끝단부에 결합부를 웰딩용접하여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어배기파이프와 프론트배기파이프 사이에 개스킷이 필요없게 되어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배기파이프 및 소음기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종래 배기파이프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 A부를 분해한 상세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파이프의 분해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파이프의 종단면을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리어배기파이프,3 - 프론트배기파이프,
4 - 결합부,6 - 보울트,
7 - 홀,11 - 몸체,
12 - 삽입관, 14 - 체결관.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리어배기파이프(2)의 외주면에 결합부(4)를 일정 길이로 체결하여 웰딩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결합부(4)를 기준으로 리어배기파이프(2)의 끝단부는 삽입관(1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관(12)이 프론트배기파이프(3)에 삽입 및 장착되도록 프론트배기파이프(3)의 끝단부 내경 및 외경을 확대하여 체결관(14)을 형성시키고, 체결관(14)의 외주면에 결합부(4)를 웰딩 용접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 상술한 리어배기파이프(2)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리어배기파이프(2)의 외주면에 결합부(4)를 삽입 및 장착하여 리어배기파이프(2)의 끝단부 외주면이 일정 길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결합부(4)를 리어배기파이프(2)의 외주면에 웰딩용접하여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결합부(4)가 리어배기파이프(2)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부(4)를 기준하여 리어배기파이프(2)의 몸체(11)와 삽입관(12)으로 구분되는데 삽입관(12)은 도면에 도시된 바대로 리어배기파이프(2)의 몸체(11)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그 길이가 작게 차지하여 프론트배기파이프(3)에 삽입되는 것이다.
즉, 리어배기파이프(2)의 몸체(11)와 삽입관(12)은 그 외경 및 내경이 서로 동일하다.
한편 삽입관(12)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프론트배기파이프(3)의 체결관(14)은 기존 프론트배기파이프(3)의 끝단부중 내경 및 외경을 확대하여 삽입관(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삽입관(12)은 리어배기파이프(2)와 프론트배기파이프(3)를 연결하여 리어배기파이프(2)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된 개스킷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관(12)이 체결관(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관(12)의 외주면과 체결관(14)의 내주면 간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리어배기파이프(2)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틈새로 역류하는 양을 최소화한다.
즉, 체결관(14)의 내경의 크기는 삽입관(12)을 삽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최소로 형성한다.
한편 프론트배기파이프(3)의 체결관(14)의 끝단부에 용접되는 결합부(4)는 리어배기파이프(2)에 용접된 결합부(4)와 접하여 프론트배기파이프(3)와 리어배기파이프(2)를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보울트(6)가 삽입 체결되는 홀(7)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리어배기파이프(2)와 프론트배기파이프(3)는 그에 용접 고정된 결합부(4) 끼리 접촉하여 홀(7)에 보울트(6)를 삽입하여 결합시켜 형성한 것이고, 배기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즉 개스킷 기능을 하는 삽입관(12)이 리어배기파이프(2)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리어배기파이프에 결합부를 용접하여 개스킷 기능을 하는 삽입관을 리어배기파이프의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삽입관을 삽입 및 장착시킬 수 있도록 프론트배기파이프의 내경 및 외경을 확대하여 체결관을 형성하며 체결관의 끝단부에 결합부를 용접하여 형성하므로 별도로 개스킷이 불용하여 부품을 관리하는데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어배기파이프(2)의 외주면에 결합부(4)를 일정 길이로 체결하여 웰딩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결합부(4)를 기준으로 리어배기파이프(2)의 끝단부는 삽입관(1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관(12)이 프론트배기파이프(3)에 삽입 및 장착되도록 프론트배기파이프(3)의 끝단부 내경 및 외경을 확대하여 체결관(14)을 형성시키고, 체결관(14)의 외주면에 결합부(4)를 웰딩 용접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배기파이프.
KR1019970012372A 1997-04-03 1997-04-03 차량용 배기파이프 KR19980075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372A KR19980075949A (ko) 1997-04-03 1997-04-03 차량용 배기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372A KR19980075949A (ko) 1997-04-03 1997-04-03 차량용 배기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949A true KR19980075949A (ko) 1998-11-16

Family

ID=6595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372A KR19980075949A (ko) 1997-04-03 1997-04-03 차량용 배기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59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69527A (ja) コモンレール
KR19980075949A (ko) 차량용 배기파이프
JP2001263054A (ja) 排気管
US20210148275A1 (en) Exhaust pipe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ehicle
US6874487B2 (en) Dual seal EGR tube assembly
JPH07293276A (ja) 燃焼器のスプリングクリップ構造
KR20210066259A (ko) 배기 파이프용 클램프 및 이를 갖는 배기 파이프 구조물
KR200149116Y1 (ko) 자동차의 배기 파이프와 주소음기의 연결부
KR19980040683U (ko) 배기 파이프와 배기 매니폴드의 연결구조
KR100508161B1 (ko) 배기파이프의 클램프 구조
KR100598529B1 (ko) 배기계 플랜지부의 결합 구조
KR200211675Y1 (ko) 차량용 소음기
KR19990003251U (ko) 차량용 배기 파이프의 연결 구조
JP3008065B2 (ja) 火花点火式エンジンの排気マフラ
KR200249207Y1 (ko) 배기관과 머플러의 접속 구조
JP3250370B2 (ja) 自動車の排気系の構造。
JPS6115210Y2 (ko)
KR200153520Y1 (ko) 배기계 파이프의 플랜지 용접구조
KR19990005664U (ko) 사일런서와 배기 파이프의 결합구조
KR970000526Y1 (ko) 배기파이프 고정용 이음체
JPH0953777A (ja) ホース接続口金具
KR100290166B1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 연결장치
JP3077226B2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KR0138434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의 배기측 연결구 코킹구조
KR19980075947A (ko) 자동차용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