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4404A -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4404A
KR19980074404A KR1019970010196A KR19970010196A KR19980074404A KR 19980074404 A KR19980074404 A KR 19980074404A KR 1019970010196 A KR1019970010196 A KR 1019970010196A KR 19970010196 A KR19970010196 A KR 19970010196A KR 19980074404 A KR19980074404 A KR 19980074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ont seat
cushion
seatba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1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4404A/ko
Publication of KR1998007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404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시트에 탑승한 승객과 마주보면서 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론트 시트백을 전방으로 제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킨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에 관한 것으로, 승객이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30)과, 시트쿠션(30)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백(2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프론트 시트는 시트쿠션(30)의 측면에 부착되며, 지지대(34)가 형성된 연장부(32a)를 지닌 쿠션 플레이트(32)와, 시트백(20)의 측면에 부착되며 베어링 캡(24)이 고정되어 있는 백 플레이트(22)와, 일단은 체결수단에 의해 연장부(32a)의 지지대(34)에 결합되며, 타단은 베어링(28)을 개재하여 시트백(20)의 베어링 캡(2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38)를 포함하는 구성을 지닌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시트에 탑승한 승객과 마주보면서 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론트 시트백을 전방으로 제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킨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프론트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백의 각도 및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의 내측 패널에는 프론트 시트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한쪽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아암레스트(armrest)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어 시트의 경우에는 시트백의 중앙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이식 아암레스트가 장착되어 있어,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 프론트 시트쿠션(2)과 프론트 시트백(4)으로 구성된 차량의 프론트 시트에는 탑승자가 머리를 기대거나, 충돌시에 머리와 목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헤드레스트(6)가 설치되어 있다. 동일한 목적을 위해, 리어 시트쿠션(12)과 리어 시트백(14)으로 구성된 차량의 접이식 리어 시트에도 헤드레스트(1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프론트 시트에 설치된 헤드레스트(6)의 경우에는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론트 시트백(4)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성하는 한편, 리어 시트에 설치된 헤드레스트(16)의 경우에는 리어 시트백(14)에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에서 프론트 시트는 항상 전방을 주시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앞좌석 승객이 뒷좌석 승객과 대화를 나누거나 게임 등을 즐기는데 불편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에 프론트 시트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제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의 배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시트백22:백 플레이트
24:베어링 캡28:베어링
30:시트쿠션32:쿠션 플레이트
32a:연장부34:지지대
36:관통공38:링크
38a:나사부40:너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과, 시트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에 있어서, 시트쿠션의 측면에 부착되며, 지지대가 형성된 연장부를 지닌 쿠션 플레이트와, 시트백의 측면에 부착되며 베어링 캡이 고정되어 있는 백 플레이트와, 일단은 체결수단에 의해 연장부의 지지대에 결합되며, 타단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시트백의 베어링 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시에 프론트 시트백을 전방으로 제쳐 배치함으로써, 앞좌석 승객이 뒷좌석 승객과 보다 편리한 자세로 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시트에서는 시트백(20)을 전방으로 제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쿠션(30)과 시트백(20)의 측면에 각각 플레이트(22), (32)를 부착하였으며, 이들 플레이트(22), (32)는 서로 링크(38)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시트쿠션(30)상에서 시트백(20)을 전, 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시트쿠션(30)의 측면에 부착된 쿠션 플레이트(32)의 중앙 하단에는 연장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32a)상에는 관통공(36)을 지닌 지지대(34)를 형성하였다. 또, 시트백(20)의 측면에 부착된 백 플레이트(22)의 하부에는 베어링(28)이 끼워지는 수납홈(26)을 지닌 베어링 캡(24)이 부착되어 있다.
조립시에, 링크(38)의 상단에는 베어링(28)을 압입한 상태에서 베어링(28)을 다시 베어링 캡(24)의 수납홈(26)에 끼운다. 다음,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38a)를 지지대(34)의 관통공(36)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40)를 결합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시트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20)이 시트쿠션(30)의 후방에 안착된 상태에서 탑승자는 종래의 시트와 마찬가지로 전방을 주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앞좌석 승객이 뒷좌석 승객과 대화하는 경우에는 시트백(20)을 전방으로 제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20)을 시트쿠션(30)의 전방에 안착시킨다. 이때, 시트백(20)은 링크(38)에 의해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시에 프론트 시트백을 전방으로 제쳐 배치함으로써, 앞좌석 승객이 뒷좌석 승객과 보다 편리한 자세로 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승객이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30)과, 상기 시트쿠션(30)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백(20)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30)의 측면에 부착되며, 지지대(34)가 형성된 연장부(32a)를 지닌 쿠션 플레이트(32)와,
    상기 시트백(20)의 측면에 부착되며 베어링 캡(24)이 고정되어 있는 백 플레이트(22)와,
    일단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연장부(32a)의 지지대(34)에 결합되며, 타단은 베어링(28)을 개재하여 상기 시트백(20)의 베어링 캡(2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1019970010196A 1997-03-25 1997-03-25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19980074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196A KR19980074404A (ko) 1997-03-25 1997-03-25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196A KR19980074404A (ko) 1997-03-25 1997-03-25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404A true KR19980074404A (ko) 1998-11-05

Family

ID=6595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196A KR19980074404A (ko) 1997-03-25 1997-03-25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44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70243A1 (en) Front seat assembly for a vehicle
KR19980074404A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JP3738102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0136144Y1 (ko) 자동차 뒷 좌석 센터 헤드 레스트 취부 구조
KR0116345Y1 (ko) 자동차의 시트 가이드레일 취부구조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100292865B1 (ko) 자동차용리어시트의쿠션조절장치
KR19990034168A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레일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48118U (ko) 자동차용 시트
KR0137521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쿠션
KR0124111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백 구조
KR19980074403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012007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0120326Y1 (ko) 차량용 시이트의 머리받침대 구조
KR20030004632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KR20090114099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9980046634U (ko) 자동차 시트백의 요추받침구조
KR19990018586A (ko) 목 받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장치
KR19980045236U (ko) 버스의 암레스트
KR19980054287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31261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구조
KR19980031709U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