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683A -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683A
KR19980072683A KR1019970007599A KR19970007599A KR19980072683A KR 19980072683 A KR19980072683 A KR 19980072683A KR 1019970007599 A KR1019970007599 A KR 1019970007599A KR 19970007599 A KR19970007599 A KR 19970007599A KR 19980072683 A KR19980072683 A KR 19980072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support bracket
bar
inner pan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형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0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2683A/ko
Publication of KR1998007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683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임팩트바아의 끝단부는 센타필라와 겹치는 선상에 놓여있지 않아 측면 충돌시 임팩트바아가 지지브라켓을 파손하여 침입해 들어올 경우 센타필라에 걸리지 않고 인너패널을 통해 실내로 침투하여 승객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 와 같이 임팩트바아(10)의 크기를 기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센타필라(12)와 겹치도록 설치하고, 임팩트바아(10)를 지지브라켓(18)으로 고정시키며,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 사이에는 평판형 제1보강대(20), 제2보강대(22)를 용접하거나 절곡형 지지대(26)를 용접하여 지지대(26)와 인너패널(16) 사이에 흡수용패드(24) 또는 받침대(28)를 장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면 충돌시 임팩트바아의 실내 침입을 최대한 억제하여 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실내 침입을 최대한 억제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팩트바아는 도어의 인너패널과 아웃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며, 양측단부는 이단 절곡된 지지 브라켓에 의해 인너패널의 절곡면에 접합되어 측면으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부터 차체를 보호하고, 차실내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차체의 측면 보강대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임팩트바아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첨부된 예시도면 도 1과 도 2에 설명하면, 도어(1)는 아웃패널(2)과 인너패널(3)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부에는 유리창과 유리창 승강용 레귤레이터를 비롯한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도어(1)의 내측 공간부에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 또는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종 장치들과 차실에 탑승한 운전자 및 승객을 외부 충격으로 부터 최대한 보호하기 위하여 임팩트바아(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임팩트바아(4)는 양측단부에 지지브라켓(5)이 용접되고, 지지브라켓(5)은 인너패널(3)의 내측면에 용접되어 설치된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도어(1)는 자동차(6)의 측면으로부터 충격에너지가 가해지게 되면 가해진 충격에너지는 아웃패널(2)을 밀치고 들어와 임팩트바아(4)에 전달되어 임팩트바아(4)가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이보다 큰 충격에너지일 경우 임팩트바아(4)의 양측 지지브라켓(5)을 통해 인너패널(3) 까지 충격에너지가 전달 또는 감쇄하면서 도어(1) 전체가 흡수하게 되므로 차내의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임팩트바아(4)의 끝단부는 센타필라(7)와 겹치는 선상에 놓여있지 않아 측면 충돌시 임팩트바아(4)가 지지브라켓(5)을 파손하여 침입해 들어올 경우 센타필라(7)에 걸리지 않고 인너패널(3)을 통해 실내로 침입하여 승객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임팩트바아의 크기와 임팩트바아를 용접하는 지지브라켓이 지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실내 침입을 최대한 억제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팩트바아의 크기를 기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센타필라와 겹치도록 설치하고, 임팩트바아를 고정하는 지지용브라켓을 이중 및 삼중으로 도어의 내측 공간부 부착함과 더불어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충격흡수용 패드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면 충돌시 임팩트바아의 실내 침입을 최대한 억제하여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에 임팩트바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의 A-A 선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임팩트바아의 일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임팩트바아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임팩트바아, 12 : 센타필라,
14 : 아웃패널, 16 : 인너패널,
18 : 지지브라켓, 20 : 제1보강대,
22 : 제2보강대, 24 : 흡수용패드,
26 : 지지대, 28 : 받침대.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어의 임팩트바아(10)를 센타필라(12)에 겹치도록 설치하고, 임팩트바아(10)의 끝단부에 지지브라켓(18)를 용접하여 그 지지브라켓(18)를 인너패널(16)에 용접하며,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 사이에 평판형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22)를 지지브라켓(18)과 수직방향으로 용접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 사이에는 절곡형 지지대(26)를 용접하며, 지지대(26)의 측면과 인너패널(16) 사이에 흡수용패드(24)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형 지지대(26)와 인너패널(16) 사이에는 평판형 받침대(28)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도어(30)를 밀착하여 닫은 상태에서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 임팩트바아(10)가 센타필라(12)의 일측면에 겹치도록 기존 임팩트바아(10)를 연장하여 도어(30)의 내측 공간부에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도어(3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아웃패널(14)을 밀어 젖히고, 임팩트바아(10)에 더큰 충격량이 전해지면 임팩트바아(10)는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을 밀어젖힘과 더불어 임팩터바아(10)의 끝단부가 센타필라(12)의 일측면에 걸리게 되어 실내에 승차한 승객까지 침입해 들어오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임팩트바아(10)가 실내에 승차한 승객까지 침입해 들어올려면 임팩트바아(10)가 센터필라(12)를 뚫고 들어올 정도의 충격량이 가해져야만 된다.
또한,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 사이에는 지지브라켓(18)과 수직으로 평판형의 제1보강대(20)가 용접되고, 제1보강대(20)와 이격됨과 더불어 제1보강대(20)와 인너패널(16) 사이에 제2보강대(22)가 제1보강대(20)와 평행하게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에 용접된 것이다.
즉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22) 사이 그리고 제2보강대(22)와 인너패널(16) 사이에는 폐공간이 형성되어 측면충돌시 임팩트바아(10)가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게 된다.
한편 다른 일실시예로서 예시도면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8)과 절곡형 지지대(26) 사이에 폐공간이 형성되고, 지지대(26)의 일측면과 인너패널(16) 사이에 흡수용패드(24)를 장착하여 측면충돌시 임팩트바아(10)를 지지브라켓(18)과 지지대(26) 및 상기 폐공간이 충격을 완화시키고, 그 다음에 센타필라(12)와 흡수용패드(24)가 충격을 경감시킨다.
상기 흡수용패드(24)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신축성이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시도면 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절곡형 지지대(26)와 인너패널(16) 사이에 지지대(26)의 침입을 막을 수 있도록 평판형의 받침대(28)를 지지대(26)의 일측면과 인너패널(16)에 걸쳐 용접한 것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 사이에는 상하로 폐공간이 형성되어 측면충돌시 상기 폐공간이 충격을 완화하는데 일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팩트바아를 연장하여 측면충격시 임팩트바아가 실내로 침투해 들어오더라도 지지브라켓, 제1, 2보강대, 지지대, 흡수용패드, 받침대 등에 의해 충격을 일차적으로 감쇄시키고, 또한 센타필라에 걸리게 되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의 내측에 임팩트바아(10)를 센타필라(12)에 겹치도록 설치하고, 임팩트바아(10)의 끝단부에 지지브라켓(18)를 용접하여 그 지지브라켓(18)를 인너패널(16)에 용접하며,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 사이에 평판형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22)를 지지브라켓(18)과 수직방향으로 용접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브라켓(18)과 인너패널(16) 사이에는 절곡형 지지대(26)를 용접하며, 지지대(26)의 측면과 인너패널(16) 사이에 흡수용패드(24)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형 지지대(26)와 인너패널(16) 사이에는 평판형 받침대(28)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KR1019970007599A 1997-03-07 1997-03-07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KR19980072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599A KR19980072683A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599A KR19980072683A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683A true KR19980072683A (ko) 1998-11-05

Family

ID=6598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599A KR19980072683A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26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2683A (ko) 자동차용 도어의 강성 증대장치
KR100269484B1 (ko) 차량의 루프패널 충격흡수구조
KR20000018315U (ko)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KR017604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충격 흡수 구조
KR100424745B1 (ko) 사이드도어의 충격흡수구조
KR100482101B1 (ko) 자동차 도어의 승객 보호용 충격 흡수 장치
KR0160035B1 (ko) 자동차의 측면도아 충격흡수구조
KR100189026B1 (ko) 자동차의 도어와 센터필러 보강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200145814Y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장치
KR100199771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0133981Y1 (ko) 자동차용 임팩트 바
KR0128314Y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충격 흡수구조
KR100401861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빔
KR0176032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장치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49041Y1 (ko)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된 임팩트 빔
KR0131508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200147331Y1 (ko) 자동차용 사이드임팩트 보강구조
KR19980022808A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KR100210142B1 (ko) 차량용 도어의 임팩트 빔 장착구조
KR19980021913U (ko) 도어의 측방 충격 흡수용 보강브래킷
KR19980038682U (ko) 자동차 도어의 측면충격흡수장치
KR19980036325U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충격 완화구조
KR19980013418U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