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651A -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651A
KR19980071651A KR1019980005769A KR19980005769A KR19980071651A KR 19980071651 A KR19980071651 A KR 19980071651A KR 1019980005769 A KR1019980005769 A KR 1019980005769A KR 19980005769 A KR19980005769 A KR 19980005769A KR 19980071651 A KR19980071651 A KR 19980071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electrode
line
scanning
liquid crystal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152B1 (ko
Inventor
히사아키 하야시
마코토 시부사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7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ant on signal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화소전극이 TFT를 매개로 접속된 주사선의 앞에 주사되는 인접한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앞의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할 수 없는 화소전극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도체배선을 배치하는 구조를 갖고, 게다가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면의 깜박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체배선에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화면의 깜박거림을 방지한다. 더욱이, 도체배선에 보상펄스와 함께 주사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표시화면의 휘도를 균일하게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티브 맥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는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을 소정의 틈을 두어 대향배치하고, 이 틈에 액정층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어레이기판은 글래스기판상에 알루미늄 등의 저저항재료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신호선과, MoW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주사선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고, 각 교차부마다 스위칭소자로서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이하, TFT라 칭함)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박막트랜지스터를 매개로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화소전극이 배치되고, 이 화소전극을 덮도록 글래스기판상에 배향막이 배치되어 어레이기판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대향기판은 ITO로 이루어진 대향전극이 배치되어 그 표면에 배향막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있다. 일본특허 제2523587호에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해, 주사선과는 별개로 배선(이하, 더미 주사선이라 칭함)을 설치하고, 최상행 또는 최하행에 배치되는 각 화소를 설치하며, 최상행 또는 최하행에 배치되는 각 화소의 화소전극이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 배선과 용량을 형성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선은, 예컨대 주사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다.
최상행 또는 최하행에 배치되는 각 화소의 화소전극이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 배선과 용량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하는 경우, 더미 주사선과 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의 전위파형과 주사선과 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의 전위파형이 다르게 되어 있다. 이하에,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관통전압보상구동은 스위칭소자의 오프기간중에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에 접속하는 스위칭소자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는 때의 화소전위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주사선에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화소전위의 변동은 게이트와 소스간의 기생용량, 화소전극과 배선간의 기생용량에 기인한다.
도 11은 주사선의 최상행에 더미 주사선을 배치하고, 최상행의 화소전극이 더미 주사선과 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화소반전구동을 채용하고 있으며, 1수평주사기간마다 극성이 반전하고, 인접하는 신호선간에 극성이 반전하고 있다. 또한,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하고 있다.
도 11의 (a)에 나타낸 점선은 m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 Vsig(m)을 나타낸다. 도 11의 (a)에 나타낸 굵은실선은 1행째 m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1)을 나타낸다. 이 화소전극은 m열째의 신호선과 1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1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더미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점선은 (m+1)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 Vsig(m+1)을 나타낸다. 도 2의 (b)에 나타낸 굵은실선은 2행째, (m+1)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2)을 나타낸다. 이 화소전극은 (m+1)열째의 신호선과 2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2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1행째의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11의 (c)에 나타낸 실선은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0)을 나타내고, 직류전압만이 인가되고 있다. 도 11의 (d)에 나타낸 실선은 1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1)을 나타낸다. 도 11의 (e)에 나타낸 실선은 2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2)을 나타낸다. 도 11의 (d), 도 11의 (e)에 있어서, 주사신호는 스위칭소자를 온시키는 주사펄스(21)와 보상펄스(14)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1의 (a), 도 11의 (b)에 나타낸 가는실선은 대향전극의 전위파형(Vcom)을 나타낸다.
1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되는 화소전극의 전위파형은 더미 주사선에 직류전압만이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칭소자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는 때의 화소전위의 변동이 보상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전극전압(공통전압)에 대해 플레임의 정극성측과 부극성측에 있어서의 화소전극전위가 다르게 되어 1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되는 화소전극에서는 화면의 깜박거림(flicker)이 발생하고, 더욱이 2행째 이하의 주사선에 접속되는 화소전극과 휘도가 다르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표시영역 전면에 걸쳐 균일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등가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기판의 더미 주사선의 배치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기판의 표시영역중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에 따라 절단한 어레이기판의 개략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배선구조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예비의 주사펄스, 12 --- 정규의 주사펄스,
14 --- 보상펄스, 21 --- 주사펄스,
100 --- 어레이기판, 103 --- 신호선,
111 --- 주사선, 120 --- 도체배선,
121 --- 스위칭소자, 151 --- 화소전극.
본 발명은, 화소전극이 TFT를 매개로 접속된 주사선의 앞에 주사되는 접속한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앞의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할 수 없는 화소전극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도체배선을 배치하는 구조를 갖춘 액정표시장치이며, 게다가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더미 주사선에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선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에 있어서도, 스위칭소자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는 때의 화소전위의 변동이 보상되기 때문에, 플레임의 정극성측과 부극성측에 있어서의 화소전극전위를 대칭으로 할 수 있어 화면의 깜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더미 주사선에 보상펄스 뿐만 아니라, 주사펄스도 갖는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미 주사선에는 보상펄스만, 임의의 주사선에는 주사펄스 및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의 전위파형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의 전위파형은 주사펄스의 유무에 의한 화소전위변화만큼 다르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영역의 액정에 인가되는 실효전압은 임의의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영역의 액정에 인가되는 실효전압보다 작게된다. 따라서, 더미 주사선과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영역의 휘도는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영역의 휘도보다도 밝게되어 표시영역에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방법에서는 더미 주사선에 보상펄스 뿐만 아니라 주사펄스도 갖는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임의의 주사선과 더미 주사선의 구동전위가 같게되고,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영역의 액정에 인가되는 실효전압은 임의의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영역의 액정에 인가되는 실효전압과 같게된다. 그 결과,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영역의 휘도는 임의의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영역의 휘도는 같게되고, 표시영역중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어 더미 주사선에 보상펄스만을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 보다도 더욱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는 노멀리화이트(normaly white)형의 광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이고, 배향막을 갖춘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을 배향막이 대향배치하도록 틈을 설치하여 배치하고, 이 틈에 액정층을 끼워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을 끼우도록 2장의 편광판이 배치된 구성을 하고 있다.
어레이기판의 구조를 도 5,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어레이기판(100)의 부분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를 절단한 경우의 어레이기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어레이기판(100)은 글래스기판(101)상에 1024×3개의 신호선(103)과 768개의 주사선(111)이 거의 직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주사선(111)은 글래스기판상에 직접 배치되고, 이 주사선(111)을 덮도록 글래스기판(101)상에 산화실리콘으로 되는 게이트절연막(113)이 배치되며, 신호선(103)은 이 절연막(113)상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선(103)과 주사선(111)의 교차부 근방에는 각 교차점마다 스위칭소자인 TFT(121)가 배치되고, 이 TFT(121)에 접속하도록 ITO로 이루어진 화소전극(151)이 배치되어 있다.
TFT(121)는 주사선(111)으로부터 연장한 게이트전극(112)상에 게이트절연막(113) 및 게이트질화막(114)이 적층되고, 이 위에 a-Si막이 반도체막(115)으로서 적층되며, 더욱이 이 반도체막(115) 상에 질화실리콘으로 되는 채널보호막(117)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반도체막(115)은 n+1형 a-Si막으로 되는 저저항 반도체막(119) 및 소스전압(131)을 매개로 화소전극(1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반도체막(115)은 저저항 반도체막(119) 및 신호선(103)으로부터 연장된 드레인전극(132)을 매개로 신호선(1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행째(n≠1)의 주사선(111)에 TFT를 매개로 접속되었다. 예컨대, 화소전극(151a)이 (n-1)행째의 주사선(111)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어레이기판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상부에서 하부로 향해 선(線) 순차 주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레임의 주사 초기의 최상행의 주사선보다 상부이면서, 이 최상행의 주사선과 거의 평행하게 이웃하도록도체배선인 더미 주사선(1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더미 주사선에는, TFT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한편, 대향기판(도시하지 않았음)에는 글래스기판상에 액정표시장치로서 완성한 경우에 어레이기판(100)의 TFT(121), 화소전극(151)과 신호선(103)의 틈사이 및, 화소전극(151)과 주사선(111)의 틈사이를 차광하기 위한 크롬막으로 되는 차광막과, 이 차광막 사이를 매립하도록 배치된 칼럼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적, 녹, 청의 3원색으로 구성되는 색부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색부상에는 ITO로 이루어진 대향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신호선(103) 및 주사선(111)은 각각의 배선의 편측이 어레이기판의 변까지 인출되어 있어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회로나 주사회로를 갖춘 구동회로기판에 TCP를 매개로 접속되고,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방법은 신호선측은 화소반전구동, 주사선측은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하고 있으며, 1수평주사기간마다 극성이 반전하고, 인접한 신호선간에 극성이 반전하고 있다. 또한, 관통전압보상구동으로는 스위칭소자의 오프기간중에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에 인접하는 스위칭소자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는 때의 화소전위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주사선에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이하에, 래스터(raster) 회색표시패턴의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에 나타낸 점선은 m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 Vsig(m)을 나타낸다. 도 2의 (a)에 나타낸 굵은실선은 1행째 m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1)을 나타낸다. 이 화소전극은 m열째의 신호선과 1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1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더미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2의 (b)에 나타낸 점선은 (m+1)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 Vsig(m+1)을 나타낸다. 도 2의 (b)에 나타낸 굵은실선은 2행째, (m+1)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2)을 나타낸다. 이 화소전극은 (m+1)열째의 신호선과 2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2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1행째의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2의 (c)에 나타낸 실선은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0)을 나타낸다. 도 2의 (d)에 나타낸 실선은 1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1)을 나타낸다. 도 2의 (e)에 나타낸 실선은 2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2)을 나타낸다. 또한, 도 2의 (a), 도 2의 (b)에 나타낸 가는실선은 대향전극의 전위파형(Vcom)을 나타낸다. Vcom과 신호선의 구동파형(Vsig)의 중앙치(Vsigc)는 관통전압보상구동의 효과에 의해 거의 같다. 본 실시예의 구동전압은 TFT를 온시키는 주사선의 전위(기록전위)는 Vgh = 23(V), TFT를 오프시키는 전위(유지전위)는 Vg1 = -6(V), 보상전위는 Vgc = -10(V), 대향전극전위는 Vcom = 5(V)로 했다.
도 2를 이용하여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0)은 보상펄스(14)뿐이다. 또한, 1행째 이하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은, 예컨대 도 2의 (d), 도 2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TFT를 온시키는 주사펄스(21)와 보상펄스(14)를 갖고 있다. 따라서, 더미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1행째 m열째의 화소전극, 즉 1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화소전극의 전위파형은 도 2의 (a)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전위파형으로 된다. 한편, 2행째 이하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전극의 전위파형, 예컨대 2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되는 2행째 (m+1)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은 도 2의 (b)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전위파형으로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선 뿐만 아니라, 더미 주사선에도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에 있어서도, 스위칭소자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는 때의 화소전위의 변동이 보상되기 때문에, 플레임의 정극성측과 부극성측에 있어서의 화소전극전위를 대칭으로 할 수 있어 화면의 깜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소전극이 TFT를 매개로 접속된 주사선의 앞에 주사되는 인접한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앞의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할 수 없는 화소전극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도체배선을 배치하는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게다가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체배선에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화면의 깜박거림이 없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는 도체배선에 보상펄스만을 갖는 신호를 인가하고 있던 것에 대해, 도체배선에 주사펄스와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고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는 노멀리화이트형의 광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이고, 배향막을 갖춘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을 배향막이 대향배치하도록 틈을 설치하여 배치하고, 이 틈에 액정층을 끼워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을 끼우도록 2장의 편광판이 배치된 구성을 하고 있다.
어레이기판의 구조를 도 5,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어레이기판(100)의 부분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A-A´으로 절단한 경우의 어레이기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어레이기판(100)은 글래스기판(101) 상에 1024×3개의 신호선(103)과 768개의 주사선(111)이 거의 직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주사선(111)은 글래스기판상에 직접 배치되고, 이 주사선(111)을 덮도록 글래스기판(101)상에 산화실리콘으로 되는 게이트절연막(113)이 배치되며, 신호선(103)은 이 절연막(113)상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선(103)과 주사선(111)의 교차부 부근에는 각 교차점마다 스위칭소자인 TFT(121)가 배치되고, 이 TFT(121)에 접속하도록 ITO로 이루어진 화소전극(151)이 배치되어 있다.
TFT(121)는 주사선(11)으로부터 연장한 게이트전극(112)상에 게이트절연막(113) 및 게이트질화막(114)이 적층되고, 이 위에 a-Si막이 반도체막(115)으로서 적층되며, 더욱이 이 반도체막(115)상에 질화실리콘으로 되는 채널보호막(117)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반도체막(115)은 n+형 a-Si막으로 되는 저저항 반도체막(119) 및 소스전극(131)을 매개로 화소전극(1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반도체막(115)은 저저항 반도체막(119) 및 신호선(103)으로부터 연장된 드레인전극(132)을 매개로 신호선(1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행째 (n≠1)의 주사선(111)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예컨대, 화소전극(151a)이 (n-1)행째의 주사선(111)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어레이기판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상부에서 하부로 향해 선(線) 순차 주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레임의 주사의 최초 최상행의 주사선보다 상부에, 또는 이 최상행의 주사선과 거의 평행하게 이웃하도록 도체배선인 더미 주사선(1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더미 주사선에는 TFT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한편, 대향기판(도시하지 않았음)에는 글래스기판상에 액정표시장치로서 완성한 경우에 어레이기판(100)의 TFT(121), 화소전극(151)과 신호선(103)의 틈사이 및, 화소전극(151)과 주사선(111)의 틈사이를 차광하기 위한 크롬막으로 되는 차광막과, 이 차광막 사이를 매립하도록 배치된 칼럼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적, 녹, 청의 3원색으로 구성되는 색부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색부상에는 ITO로 되는 대향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신호선(103) 및 주사선(111)은 각각의 배선의 편측이 어레이기판의 변까지 인출되어 있어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기판에 TAB를 매개로 접속되고,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도 2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고, 도 2는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모두 신호선측은 화소반전구동, 주사선측은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하고 있으며, 1수평주사기간마다 극성이 반전하고, 인접한 신호선 서로에 극성이 반전하고 있다.
이하에, 래스터 회색표시패턴의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도 2의 (a)에 나타낸 점선은 m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 Vsig(m)을 나타낸다. 도 1의 (a), 도 2의 (a)에 나타낸 굵은실선은 1행째 m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1)을 나타낸다. 이 화소전극은 m열째의 신호선과 1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1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더미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1의 (b), 도 2의 (b)에 나타낸 점선은 (m+1)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 Vsig(m+1)을 나타낸다. 도 1의 (b), 도 2의 (b)에 나타낸 굵은실선은 2행째, (m+1)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2)을 나타낸다. 이 화소전극은 (m+1)열째의 신호선과 2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2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1행째의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1의 (c), 도 2의 (c)에 나타낸 실선은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0)을 나타낸다. 도 1의 (d), 도 2의 (d)에 나타낸 실선은 1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1)을 나타낸다. 도 1의 (e), 도 2의 (e)에 나타낸 실선은 2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2)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a), 1b, 도 2의 (a), 2b에 나타낸 가는실선은 대향전극의 전위파형(Vcom)을 나타낸다. Vcom과 신호선의 구동파형(Vsig)의 중앙치(Vsigc)는 관통전압보상구동의 효과에 의해 거의 같다. 본 실시예의 구동전압은 TFT를 온시키는 주사선의 전위(기록전위)는 Vgh = 23(V), TFT를 오프시키는 전위(유지전위)는 Vg1 = -6(V), 보상전위는 Vgc = -10(V), 대향전극전위는 Vcom = 5(V)로 했다.
도 2를 이용하여, 다시 제1실시예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0)은 TFT를 온시키는 펄스는 없고, 보상펄스(14)만이 있다. 또한, 1행째 이하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은, 예컨대 도 2의 (d),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TFT를 온시키는 주사펄스(21)와 보상펄스(14)를 갖고 있다. 따라서, 더미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1행째 m열째의 화소전극, 즉 1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화소전극의 전위파형은 도 2의 (a)의 실선으로 표시되는 전위파형으로 된다. 한편, 2행째 이하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전극의 전위파형, 예컨대 2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되는 2행째 (m+1)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은 도 2의 (b)의 실선으로 표시되는 전위파형으로 되며, 1행째 m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과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전위파형의 차이는 더미 주사선에 주사펄스분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고, 더미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에서는 다른 화소전극과 비교하여 주사펄스가 인가되지 않는만큼 액정에 인가되는 실행전압은 작게된다. 그 결과, 노멀리화이트모드에서는 1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전극영역의 휘도는 2행째 이하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전극영역 보다도 밝게되어 있다. 여기서, 보상펄스는 스위칭소자의 오프기간중에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에 접속하는 스위칭소자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는 때의 화소전위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주사선 및 더미 주사선에 입력되는 전압펄스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서는 도 1의 (c)에 나타낸 더미 주사선의 전위파형(Vg0)을 주사선의 1행째 이하의 주사선, 예컨대 도 1의 (d), 도 1의 (e)에 나타내는 1행째와 2행째의 주사선의 전위파형과 마찬가지로, 보상펄스(14) 뿐만 아니라, TFT를 온시키는 주사펄스(21)를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도 1의 (a)의 굵은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된 1행째 m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1)은 2행째 이하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전극의 전위파형, 예컨대 도 1의 (b)의 굵은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2행째 (m+1)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과 같게된다. 따라서,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에 대응하는 액정에 인가되는 실효전압은 다른 화소전극에 대응하는 액정에 인가되는 실효전압과 같게되어 표시영역중 균일한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화상은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화소전극이 접속된 최상행 또는 최하행의 화소의 휘도가 다른 화소와 비교하여 밝게되어 있지만,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화상에서는 제1실시예에 비해, 표시영역에 걸쳐 더욱 균일한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3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보상펄스를 인가하는 보상기간이 2주사기간인 것에 대해, 제3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보상기간이 1주사기간인 점이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체배선인 더미 주사선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최상행에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방법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신호선측은 화소반전구동, 주사선측은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하고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낸 점선은 m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 Vsig(m)을 나타낸다. 도 7의 (a)에 나타낸 굵은실선은 1행째 m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1)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소전극은 m열째의 신호선과 1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1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더미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의 (b)에 나타낸 점선은 (m+1)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 Vsig(m+1)을 나타낸다. 도 7의 (b)에 나타낸 굵은실선은 2행째 (m+1)열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2)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소전극은 (m+1)열째의 신호선과 2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2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1행째의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의 (c)에 나타낸 실선은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0)을 나타내며, 도 7의 (d)에 나타낸 실선은 1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1)을 나타내고, 도 7의 (e)에 나타낸 실선은 2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2)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의 (c)에 나타낸 더미 주사선의 구동파형(Vg0)은 더미 주사선 이하에 배치되는 주사선, 예컨대 도 7의 (d), 도 7의 (e)에 나타내는 1행째와 2행째의 주사선의 전위파형과 마찬가지로, 보상펄스(14) 뿐만 아니라, TFT를 온시키는 주사펄스(21)를 갖고 있다. 이 경우, 도 7의 (c), 도 7의 (d), 도 7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상기간은 제1실시예와 다른 1주사기간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더미 주사선과 주사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의 화소전위와, TFT가 접속되어 있는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의 화소전위를 같게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영역중 균일한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상기간을 1주사기간으로 함으로써, 보상기간을 2주사기간으로 한 경우보다도, 1개의 주사선의 압력입력측과 종단측 각각의 최적 공통전압의 차를 작게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화면의 깜박거림을 억제할 수 있었다. 또, 이 화면의 깜박거림은 정극성, 부극성 각각의 플레임에 있어서의 액정인가전압 크기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통상, 정극성, 부극성 각각의 플레임에 있어서의 액정인가전압이 같게되도록 최적 공통전압을 설정하여 화면의 깜박거림을 억제하고 있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더블게이트스캔구동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게이트를 온시키는 정규의 주사펄스 인가에 앞서 예비주사펄스를 인가함으로써, 화소전위의 기록부족을 해소하고, 스위칭소자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선측은 화소반전구동, 주사선측은 관통전압보상구동을 채용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최상행에 도체배선인 더미 주사선을 배치하고 있다.
도 8의 (a), 8b에 나타낸 점선은 각각 m열째, (m+1)열째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을 나타낸다. 도 8의 (a), 도 8의 (b)에 나타낸 가는실선은 대향기판측의 대향전극에 인가되는 전위파형(Vcom)을 나타낸다. 도 8의 (a)는 1행째의 화소전극의 전위파형(Vp1)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소전극은 m열째의 신호선과 1행째의 주사선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1행째의 주사선에 TFT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더미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도 8의 (c)는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0)을 나타낸다. 도 8의 (d)는 더미 주사선 다음의 행에 배치되는 1행째의 주사선, 즉 더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이루는 화소전극으로 TFT를 매개로 접속되는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1)을 나타낸다. 도 8의 (e)는, 더욱이 다음의 행인 2행째의 주사선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Vg2)을 나타낸다.
도 8의 (c), 도 8의 (d), 도 8의 (e)에 있어서, 부호 11로 부여된 펄스는 예비주사펄스, 부호 12로 부여된 펄스는 정규의 주사펄스, 부호 13으로 부여된 펄스는 보조펄스, 부호 14로 부여된 펄스는 보상펄스이다. 그리고, 더미 주사선 및 각각의 주사선에는 2주사(2H)의 보상기간에 보상펄스(14)가 인가되어 있다. 예비주사펄스(11)는 정규의 주사펄스(12)가 인가되는 때의 신호선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와 동일한 극성을 갖는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주사기간에 인가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반전구동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선에 인가되는 구동신호는 1플레임에 대해 1주사 1열마다 정극성과 부극성을 반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주사선에서는 도 8의 (d), 도 8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규의 주사펄스(12)가 인가되는 주사기간의 2개 앞의 주사기간에 예비의 주사펄스(11)가 인가되고 있다. 또한, 도 8의 (d)에서는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예비의 주사펄스(11)는 정규의 주사펄스(12) 3개 앞의 주사기간에 인가되고 있으며, 상세한 것은 이후에 설명한다. 또한, 보조펄스(13)는 보상펄스(14)가 인가되는 기간내에 인가되고 있다. 보조펄스(13)가 인가되는 타이밍은, 예컨대 1행째의 주사선(도 8의 (d))의 정규의 주사펄스가 오프하는 때에, 이 주사선 앞의 행에 상당하는 더미 주사선(도 8의 (c))의 보조펄스(13)가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펄스(13)를 인가함으로써, 보조펄스를 인가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1개의 주사선의 전압입력측과 종단측 각각의 최적 공통전압의 차를 작게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화면의 깜박거림을 억제할 수 있었다. 여기서, 보조펄스(13)를 인가하지 않고,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상기간을 2주사에서 1주사로 해도 마찬가지로 화면의 깜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신호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은, 예컨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프레임기간중에 귀선(blanking)기간과 주사기간을 갖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1주사기간마다 극성이 반전하고 있다. 그리고, 귀선기간내에서 1회,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극성의 펄스가 2주사기간분 연속된 형으로 펄스가 인가된다. 이는 주사선 개수가 우수이고, 화소반전구동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펄스를 넣을 필요가 생기는 것이다. 왜냐하면, 화소반전구동을 행하는 경우, 어떤 1화소에 주목한 경우, 어떤 임의의 플레임과 다음의 플레임에서는 그 화소에 인가되는 액정인가전압의 극성을 역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고, 주사선 개수가 우수의 경우에는 귀선기간에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주사기간분을 연속하여 동일극성의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다음의 플레임에 있어서의 극성을 반전시키고 있다. 이 2주사기간 동극성펄스는 1주사반전구동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이용한다. 여기서, 미리 설명했지만, 예비주사펄스는 정규의 주사펄스가 인가되는 경우의 구동신호와 동일극성을 갖는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주사기간에 인가될 필요가 있다. 더미 주사선에서는 귀선기간내에 예비주사펄스 및 정규의 주사펄스가 인가되기 위하여, 2주사기간분을 연속하여 동일극성의 신호의 펄스가 인가되는 귀선기간내에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주사선에 인가되는 예비펄스는 정규펄스 3개 앞의 주사기간에 인가되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더블게이트스캔구동에 있어서도, 더미 주사선과 주사선에 인가되는 신호의 구동파형이 모두 동일하지는 않지만, 더미 주사선 및 주사선에 주사펄스 및 보상펄스를 인가함으로써, 1행째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전극의 화소전위와 2행째 이하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전극의 화소전위를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영역중 균일한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이들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상부에서 하부로 선(線) 순차 주사하고, 도체배선(120)인 더미 주사선이 최상행의 주사선(111b)에 TFT를 매개로 접속한 화소전극(151b)과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상부에서 하부로 선 순차 주사하는 경우에 더미 주사선(120)이 최하행의 주사선(111c)의 하부에 배치되고, 최하행의 주사선(111c)에 TFT를 매개로 접속한 화소전극과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더미 주사선에 스위칭소자 및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되는 화소전극은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 주사선(120)에는 통상의 주사선(111)과 마찬가지로 스위칭소자(201) 및 이 스위칭소자(201)를 매개로 접속되는 더미 화소전극(202)을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더미 화소전극은 표시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또한, 도 9, 도 10은 각각 도체배선인 더미 주사선이 표시화면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된 경우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배선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스위칭소자를 구성하는 채널보호막 및 반도체막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더욱이, 도 10에서는 더미 주사선에 스위칭소자 및 더미 화소전극이 배치된 경우가 도시하고 있으며, 점선으로 둘러싼 영역이 액정표시장치로 한 경우의 표시에 관여하는 표시영역으로 되고, 그 이외의 영역은 비표시영역으로 된다. 또한, 이 구조는 도체배선을 표시화면의 상방에 배치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화소전극이 TFT를 매개로 접속된 주사선의 앞에 주사되는 인접한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앞의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할 수 없는 화소전극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도체배선을 배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도체배선에도 다른 주사선과 마찬가지로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화소전극이 TFT를 매개로 접속된 주사선의 앞에 주사되는 인접한 주사선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바로 앞의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할 수 없는 화소전극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도체배선을 배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도체배선에도 다른 주사선과 마찬가지로 주사펄스와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화소전극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주사선 및, 화소전극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도체배선의 각각에 인가하는 주사신호로서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체배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의 화면의 깜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화소전극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주사선 및, 화소전극과 절연막을 매개로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도체배선의 각각에 인가하는 주사신호에 동일한 주사펄스와 보상펄스를 갖기 때문에, 도체배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 및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는 화소전극 각각의 화소전극 영역의 액정에 인가되는 실효전압을 같게할 수 있어 휘도를 같게할 수 있다. 이 결과, 표시영역중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어 표시품위가 향상한다.

Claims (9)

  1. 교차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신호선, 이들 주사선과 신호선의 교차부마다 배치된 스위칭소자,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되는 화소전극, 이 화소전극에 대향하는 대향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간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액정층을 구비하고,
    각 상기 주사선에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키는 주사펄스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오프시에 따른 기생용량에 기인하여 상기 화소전극의 전위변동을 보상하는 보상펄스를 갖는 주사신호를 순차 인가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화소전극에 상기 신호선을 매개로 화상신호를 기록하며,
    상기 주사선에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되는 화소전극은, 이 주사선의 앞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다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중, 상기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지 않는 화소전극은 도체배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도체배선에는 상기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 교차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신호선, 이들 주사선과 신호선의 교차부마다 배치된 스위칭소자,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되는 화소전극, 이 화소전극에 대향하는 대향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간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액정층을 구비하고,
    각 상기 주사선에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키는 주사펄스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오프시에 따른 기생용량에 기인하여 상기 화소전극의 전위변동을 보상하는 보상펄스를 갖는 주사신호를 순차 인가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화소전극에 상기 신호선을 매개로 화상신호를 기록하며,
    상기 주사선에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되는 화소전극은, 이 주사선의 앞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다른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중, 상기 주사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지 않는 화소전극은 도체배선과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도체배선에는 상기 주사펄스와 상기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주사선의 주사방향이 화면 상부에서 화면 하부로 향하는 경우, 상기 도체배선은 최상행의 주사선의 상부에 상기 최상행의 주사선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주사선의 주사방향이 화면 상부에서 화면 하부로 향하는 경우, 상기 도체배선은 최하행의 주사선의 하부에 상기 최하행의 주사선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 및 상기 도체배선에 각각 인가되는 주사신호의 구동파형의 형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배선에는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화소전극이 접속되고, 상기 도체배선에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된 화소전극은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배선에는 상기 스위칭소자 및 이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되는 화소전극은 접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유효표시영역내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화소전극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사선과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선,
    상기 주사선과 신호선의 교차부마다 배치되고, 상기 화소전극의 각각과 접속된 스위칭소자,
    상기 화소전극에 대향하는 대향전극,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간 전위차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액정층,
    상기 각 주사선에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키는 주사펄스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오프시에 따른 기생용량에 기인하여 상기 화소전극의 전위변동을 보상하는 보상펄스를 갖는 주사신호를 순차 인가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화소전극에 상기 신호선을 매개로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수단을 갖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최상행 또는 최하행을 제거하는 화소전극은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되는 상기 주사선과는 다른 인접하는 주사선의 사이에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최상행 또는 최하행의 상기 화소전극은 도체배선과의 사이에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도체배선에는 상기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유효표시영역내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화소전극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사선과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선,
    상기 주사선과 신호선의 교차부마다 배치되고, 상기 화소전극의 각각과 접속된 스위칭소자,
    상기 화소전극에 대향하는 대향전극,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간 전위차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액정층,
    상기 각 주사선에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키는 주사펄스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오프시에 따른 기생용량에 기인하여 상기 화소전극의 전위변동을 보상하는 보상펄스를 갖는 주사신호를 순차 인가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화소전극에 상기 신호선을 매개로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수단을 갖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최상행 또는 최하행을 제거하는 화소전극은 상기 스위칭소자를 매개로 접속되는 상기 주사선과는 다른 인접하는 주사선의 사이에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최상행 또는 최하행의 상기 화소전극은 도체배선과의 사이에 보조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도체배선에는 상기 주사펄스 및 상기 보상펄스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9980005769A 1997-02-24 1998-02-24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272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38748 1997-02-24
JP3874897 1997-02-24
JP98-030870 1998-02-13
JP10030870A JPH10293287A (ja) 1997-02-24 1998-02-13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651A true KR19980071651A (ko) 1998-10-26
KR100272152B1 KR100272152B1 (ko) 2000-11-15

Family

ID=2636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769A KR100272152B1 (ko) 1997-02-24 1998-02-24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30654A (ko)
JP (1) JPH10293287A (ko)
KR (1) KR100272152B1 (ko)
TW (1) TW3793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92B1 (ko) * 2000-03-15 2004-04-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884B1 (ko) * 1999-09-22 2006-08-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구동방법
JP2001282170A (ja) * 2000-03-31 2001-10-12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の行電極駆動装置
US6891521B2 (en) * 2000-09-18 2005-05-10 Lg.Philips Lcd Co., Ltd. Driving metho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s thereof
JP2003022054A (ja) * 2001-07-06 2003-01-24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TW588179B (en) * 2001-07-25 2004-05-21 Hannstar Display Corp Substrate structure for thin film transistor array
KR100848958B1 (ko) * 2001-12-26 2008-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57378B1 (ko) 2002-12-31 2008-09-05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게이트 펄스의 구동방법
JP4763248B2 (ja) * 2004-04-07 2011-08-3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
US7714814B2 (en) * 2004-08-18 2010-05-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with an aging pulse
JP4449784B2 (ja) 2005-02-28 2010-04-14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TWI349905B (en) * 2006-08-16 2011-10-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charge sharing
JP2014178438A (ja) * 2013-03-14 2014-09-25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TWI560588B (en) * 2015-01-09 2016-12-01 Au Optronics Corp Touch panel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ame
CN107731157A (zh) * 2017-10-31 2018-02-23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亮度调节方法
CN109949755B (zh) * 2017-12-20 2021-04-09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馈通电压补偿电路及液晶显示装置
CN108469697B (zh) * 2018-05-14 2021-06-1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0176A (ja) * 1982-06-17 1983-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5489919A (en) * 1991-07-08 1996-02-06 Asashi Glass Company Ltd. Driving method of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3256730B2 (ja) * 1996-04-22 2002-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92B1 (ko) * 2000-03-15 2004-04-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79315B (en) 2000-01-11
KR100272152B1 (ko) 2000-11-15
US6130654A (en) 2000-10-10
JPH10293287A (ja) 199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9363B2 (ja)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US20050190138A1 (en) LCD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652215B1 (ko) 액정표시장치
US8941572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272152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457891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液晶表示パネル
US20090102824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11049106A1 (ja) 液晶表示装置
WO2007091365A1 (ja) 表示装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液晶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5290419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ユニット、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520131B2 (ja) 液晶表示装置
CN110728959A (zh) 液晶显示装置
JP2003280036A (ja) 液晶表示装置
JP4178977B2 (ja) 表示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並びに、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924428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162332B2 (ja)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US83847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643833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11142815A (ja) 液晶表示装置
WO2010125716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226785B1 (ko) 액정표시장치
JPH08146386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3132904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3405432B2 (ja) 液晶表示装置
EP0907159B1 (en)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