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806A - 다방향 제어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방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제어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방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806A
KR19980070806A KR1019980002161A KR19980002161A KR19980070806A KR 19980070806 A KR19980070806 A KR 19980070806A KR 1019980002161 A KR1019980002161 A KR 1019980002161A KR 19980002161 A KR19980002161 A KR 19980002161A KR 19980070806 A KR19980070806 A KR 19980070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troller
switch
multidirectional
multidirectio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5420B1 (ko
Inventor
시게모토히데키
마츠이히로시
이시하라유키히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요오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요오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주) filed Critical 모리시타요오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7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제어기 및 양방향 제어기를 이용하는 양방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방향 제어기는, 제1 단부와 제1 단부에 제공된 지지 점을 통해서 흔들리는 제2 단부를 갖는 기판; 전자 부품이 조작될 때 전자 부품이 기판이 흔들리도록 하는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단부에 제공된 전자 부품; 상기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전자 부품이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될 때, 기판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스위치되도록 제공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방향 제어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방향 제어장치
본 발명은 양방향 제어기 및 양방향 제어기를 이용하는 양방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어기의 메인 기판의 표면에 대해서 수평(원주) 및 수직 방향으로 조작되는 다방향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서, 다방향 제어기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 퍼스널 컴퓨터의 포인팅 장치 또는 여러 전자 장치에 대한 원격 제어기를 위한 제어 장치로서 사용된다.
종래에는, 휴대용 전자 장치 또는 그와같은 장치에 사용되는 제어 장치가 제어기의 메인 기판의 표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조작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하, 종래의 제어기가 설명된다.
종래의 제어기에서, 제어 노브를 갖는 회전 전자 부품은 메인 기판의 일단부에 납땜 접합된다. 이 회전 전자 부품을부터 출력되는 전자 신호는 메인 기판상에 제공된 라인 패턴을 통해서 접속 단자에 유도된다. 그 전기 신호는 접속 단자에 접속되며,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의 회로에 접속되는 가요성 기판을 통해서 전송된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제어기는 장치의 메인 기판에 수평인 방향으로만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방향 제어기는, 제1 단부와 제1 단부에 제공된 지지 점을 통해서 흔들리는 제2 단부를 갖는 기판; 전자 부품이 조작될 때 전자 부품이 기판이 흔들리도록 하는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단부에 제공된 전자 부품; 상기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전자 부품이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될 때, 기판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스위치되도록 제공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판은 지지 점으로서 작용하는 얇은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판 및 지지 부재는 수지 몰딩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판은 상부 표면과 바닥 표면을 갖으며 스위치는 기판의 표면중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제공되며,지지 부재는 기판의 표면을 샌드위치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대향 지지부를 포함하며; 대향 지지부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의 표면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판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누르기 위해서 누름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판은 절연성 가요성 기판부 및 가요성 기판부에는 하나의 라인 패턴이 제공된다. 가요성 기판은 기판의 표면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라인 패턴은 전자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유도하며 스위치로부터 다방향 제어기의 외부에 있는 소자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전기 신호 유도부를 포함하며; 전기 신호 유도부는 기판의 상부 표면 또는 바닥 표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전자부품 및 스위치는 라인 패턴상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가요성 기판상에 제공되는 제1 고정 접점부와 접촉시키는 가동 접점부를 갖으며; 스위치는 가요성 기판부상에 제공되는 제2 고정 접점부상에서 변형가능한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판은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를 포함하며; 누름부는 기판의 표면중 적어도 하나위에 놓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다방향 제어기는 기판과 지지부재 사이의 조인트를 포함한다. 이 조인트의 적어도 일 부분은 지지점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기판을 지지부재로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개구 및 기판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은 지지점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판은 흔들림 샤프트를 갖으며 지지 부재는 기판을 지지하여 기판이 흔들림 샤프트에 대하여 상당히 흔들린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기판의 상부 표면보다 낮은 위치와 기판의 바닥 표면보다 높은 위치중 적어도 하나위에 제공되며; 기판은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를 포함하며; 누름부는 기판의 한 레벨로 부터 다른 레벨위에 제공되며 기판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판은 절연성 기판이며 기판은 한 라인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1 고정 접점부는 라인 패턴상에서 형성되며; 지지부재는 제1 고정 접점부와 변형되게 접촉시키는 탄성 접점부를 포함하며; 탄성 접점부는 전자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송하며 스위치로부터 다방향 제어기의 외부에 있는 소자로 전기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변형되는 금속 박판으로부터 형성되는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제2 고정 접점부는 라인 패턴상에 형성되며;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는 제2 고정 접점부상에 놓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전자부는 회전형 또는 슬라이딩형 엔코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전자부는 회전형 또는 슬라이딩형 스위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전자부는 선정된 위치에 클릭 조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또한 지지점으로 눌릴 때 스위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다방향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이다. 다방향 제어기는, 제1 단부와 제1 단부에 제공된 지지점을 통해서 흔들리는 제2 단부를 갖는 기판;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단부에 제공된 전자부를 포함한다. 전자부는 전자 부가 조작될 때 기판이 흔들리게하며;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전자부가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될 때, 기판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스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위치가 있다. 다방향 제어기는 다방향 제어 장치의 메인 몸체내에 장착되어 제어부의 일부가 메인 몸체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선정된 동작은 선정된 방향으로 제어부를 조작하므로서 실행되거나 정지된다.
따라서, 전술된 발명은 다음을 제공하는 장점이 가능하게 한다. 즉, (1) 수평 및 수직으로 조작될 수 있는 다방향 제어기와, 다방향 제어기를 이용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와; (2) 수직 방향으로 조작될 때 만족스러운 클릭 감각을 갖는 다방향 제어기와, 다방향 제어기를 이용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와; (3) 눌러진 작은 조작으로도 수직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는 다방향 제어기와, 다방향 제어기를 이용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와; (4) 수직 방향으로 여러 조작에 대해서 내구성이 있는 다방향 제어기와, 다방향 제어기를 이용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장점 및 다른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하므로서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다방향 제어 장치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4는 하나의 동작 위치에서 다방향 제어 장치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의 푸싱-형 스위치의 평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의 푸싱-형 스위치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의 지지부재와 메인 기판사이의 조인트를 예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라인 A-A을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의 측방향 횡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라인 B-B를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의 정방향 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의 횡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메인 기판 3: 회전 전자 부품
4A,4B: 푸싱형 스위치
5: 지지부재 100: 다방향 제어기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된 예를 통해서 기술된다.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구성 부품을 표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100)의 횡단면도이다. 도18은 다방향 제어기(100)의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메인 기판(1)은, 예를들면, 양 표면상에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라인 패턴이 제공되는 수지 기판과 같은, 얇은 탄성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된다. 제어 노브(2)를 갖는 회전 전자 부품은 메인 기판(1)의 정단부(80A) 부분(도면에서 좌측 단부)으로 납땜 접합된다. 푸싱형 스위치(4A,4B)는 메인 기판(1)의 상부 및 바닥 표면의 중간에 납땜 접합된다.
메인 기판(1)의 후단부(80A) 부분(도면의 우측 단부)은 지지 부재(5)의 홀(5A)을 통해서 눌려지며, 따라서 나사(6)에 의해서 고정된다. 대향 지지부(5B,5C)는 지지 부재(5)로부터 메인 기판(1)의 표면을 따라서 메인 기판(1)의 정단부(80A)로 연장된다. 범프(5D, 5E)는 지지부(5B,5C)로부터 푸싱형 스위치(4A,4B)상의 스위칭 버튼(4C,4D)로 돌출한다.
탄성 신호는 회전 전자 부품(3)으로부터 출력되며 푸싱형 스위치(4A,4B)는 메인 기판(1)상에서 패턴된 라인을 통해서 메인 기판(1)의 후단부(80A)의 접속 단자(1A)로 전송된다. 그후 전기 신호는 접속 단자(1A)로 접속된 가요성 라인 기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이러한 다방향 제어기(100)를 포함하는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회로로 전송된다.
회전 전자 부품(3)은 메인 기판(1)의 표면에 대해서 수평(원주) 및 수직 방향으로 제어 노브(2)를 회전시키므로 조작된다. 제어 노브(2)가 메인 기판(1)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눌릴 때, 지지부재(1)의 외부에 있는 메인 기판(1)의 이 부분은 메인 기판(1)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굴절된다.
스위칭 버튼(4C,4D)이 범프(5D,5E)와 접촉할 때, 푸싱형 스위치(4A 또는 4B)는 스위치 온 되거나 오프된다. 제어 노브(2)상의 전술된 수직력이 해제될 때, 메인 기판(1)은 그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서 굴곡위치로부터 그 원래 위치로 리턴된다.
특히, 다방향 제어기(100)는 메인 기판(1)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므로서 제어 노브(2)의 수직 방향으로 조작되며, 한편 그것은 제어 노브(2)를 회전하여 조작하므로서 수평 방향으로 조작된다.
그러나, 전술된 다방향 제어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어 노브(2)가 메인 기판(1)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눌릴 때, 메인 기판(1)은 굴곡된다. 메인 기판을 굴곡시키기 위한 이러한 힘은 푸시형 스위치(4A 또는 4B)를 스위칭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에 더해지며, 이는 스위치를 조작하는데 있어서 불충분한(또는 둔한) 클릭 감각을 야기시킨다. 더욱이, 푸싱형 스위치(4A,4B)가 제공되는 메인 기판(1)의 부분이 어떤 각으로 굴곡되므로, 조작 스트로크는 더 커지며 따라서 스위칭 제어는 불안정해진다.
실시예 1
이하, 전술된 문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의 일실시 예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2는 다방향 제어기(2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동일 기능 및 효과를 갖는 구성 요소는 도 17 및 도 18의 요소와 동일하게 표시되며,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는 베이스 기판(11)의 후단부(80B)의 얇은 지지점(15)을 갖는 베이스 기판(11)을 포함한다. 얇은 지지점(15)은 굴곡없이도 흔들리도록 베이스 기판(11)에 대한 지지점으로서 동작한다. 여기서, 용어 흔들다는 선정된 부분에서 굴곡되는 기판의 이동을 나타내지만, 기판의 나머지 주요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직선을 유지한다. 다방향 제어기(200)는 베이스 기판(11)의 전단부(80A)에서 회전하는 디스크-모향의 제어 노브(2)를 갖는 엔코더(3)(전자 부품(3)으로서)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3)는 베이스 기판(11)을 지지한다. 스위치(4A,4B)는 베이스 기판(11)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작용한다.
지지부재(13)는 대향 지지부(14A,14B)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11)은 예를 들면, 수지를 갖는 지지부재(13)와 일체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요성 기판(16)은 베이스 기판(11)과 측면으로 정렬되기 위해서 라인 X에서 접히며, 가요성 기판(16)을 통해서 제공된 홀(16A)을 통해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우얼(dowel)(11A)을 결합시키므로서 기판(11)에 고정된다. 가요성 기판(16)은 금속 호일 또는 그와같은 것으로부터 형성된 라인 패턴을 갖는다. 회전 전자 부품(3), 즉, 회전형 엔코더(3)는 선정된 클릭 조절장치를 갖으며 가요성 기판(16)의 라인 부분에 납땜 접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메인 기판(17)(도1)이 형성된다.
푸싱형 스위치(4A,4B)는 엔코더(3)와 얇은 지지점(15) 사이에서 가요성 기판(16)상의 라인 패턴에 납땜 접합된다.
베이스 기판(11)의 후단부(80B)는 지지점(15)을 통해서 지지부재(13)에 부착된다. 대향 지지부(14A,14B)는 지지부재(13)로부터 베이스 기판(11)의 표면을 따라서 베이스 기판(11)의 전단부(80A)를 향하여 연장된다. 범프(14C,14D)는 스위치(4A,4B)상의 스위칭 버튼(4C,4D)을 터치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도1에서, 베이스 기판(11)은 푸싱형 스위치(4A,4B)중 어느것도 범프(14C,14D)의 압력에 의해서 스위치되지 않는 원래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요성 기판(16)상의 라인 패턴은 엔코더(3) 및 스위치(4A,4B)로부터 다방향 제어기의 외부로 전기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서 전기 신호 유도부(16B)를 포함한다. 전기 신호 유도부(16B)는 베이스 기판(11)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제공된다.
도 3은 다방향 제어 장치(210)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다방향 제어기(200)는 바람직하게는 나사(19)에 의해서 다방향 제어 장치(즉, 전자 장치)(210)에 고정되어 지지부(14B)의 바닥 표면이 다방향 제어 장치(210)의 메인 케이스(18)에 부착되며 제어 노브(2)의 일부(이하, 돌출 노브부(2A)라고 부른다)는 메인 케이스(18)를 통해서 입구(20)를 통해서 돌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의 동작이 기술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하는 노브부(2A)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베이스 기판(11)의 표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때, 엔코더(3)는 제어 노브(2)가 불연속으로 증가하도록 회전되는(즉, 선정된 클릭 조절장치에서)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펄스 신호는 가요성 기판(16)의 전기 신호 유도부(16B)를 통해서 전자 장치내에 제공된다.
일단 이러한 회전 조작이 완료되면, 제어 노브(2)는 선정된 클릭킹 조절로 유지된다.
도 4는 하나의 동작부내의, 다방향 제어 장치(210)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 노브부(2A)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상방으로 눌릴 때, 베이스 기판(11)은 굴곡없이 지지점(15)을 통해서 상방으로 흔들린다. 그 결과, 푸싱형 스위치(4A)상의 스위칭 버튼(4C)은 범프(14C)에 의해서 눌리며, 따라서 푸싱형 스위치(4A)를 동작시킨다. 푸싱형 스위치(4A)를 스위칭하므로서 발생되는 신호는 전기 신호 유도부(16B)를 통해서 전자 장치의 회로로 전송된다.
상방으로 눌려진 힘이 돌출 노브부(2A)로부터 해제될 때, 베이스 기판(11)은 그 복원력으로 인해서 중립 위치로 리턴된다.
유사하게, 돌출 노브부(2A)가 하방을 눌려질 때, 베이스 기판(11)은 굴곡없이 얇은 지지점(15)을 통해서 하방으로 흔들린다. 그 결과로서, 푸싱-형 스위치(4B)상의 스위칭 버튼(4D)은 범프(14D)에 의해서 눌려지며, 따라서 푸싱-형 스위치(14D)에 의해서 눌려진다.
제어 노브(2)가 수직 방향(상방 또는 하방)으로 눌려질 때, 제어 노브(2)는 엔코더(3)의 선정된 클릭 조절에서 정착된다. 그러므로, 제어 노브(2)는 베이스 기판(11)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펄스 신호가 엔코더(3)에 의해서 발생되지 않는다.
중립 위치에 메인 기판(17)을 유지하기 위한 푸싱형 스위치(4A,4B)(그리고 제어 노브(2))의 복원력과, 스위치(4A,4B)를 누르는데 요구되는 힘 즉, 복원력에 반하는 힘은 바람직하게는 크게되어 메인 기판(17)(따라서 제어 노브(2))이 안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베이스 기판(11)은 스위치(4A,4B)를 온 및 오프 시키기 위해서 굴곡시키지 않고도 얇은 지지점(15)을 통해서 수직 방향으로 흔들린다.
베이스 기판(11)을 굴곡시키는 힘이 메인 기판(17)을 흔들기 위해서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어 노브(2)는 종래의 제어기에 비해서 적은 힘으로 수직 방향으로 조작된다. 다시 말해서, 실제 조작력에 대해서 제어 노브(2)상에 인가된 힘의 경사(변화율)는 종래 제어기에서 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다방향 제어기(200)가 제공되는데 이는 수평 및 수직 방향(즉, 4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제어 노브(2)가 수직 방향으로 조작될 때 만족스러운 클릭 감각을 갖는다. 더욱이, 베이스 기판(11)이 굴곡없이 흔들릴 때, 조작 스트로크는 작으며, 따라서 제어기(200)를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에는 엔코더(3)가 제공된다. 그 대신에, 회전형 스위치가 엔코더(3)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방향 제어기(200)에는,예를들어 일본 공개 공보 제 8-203387호에 공개된 메인 기판(11)의 후단부(80B)를 향해서 메인 기판(11)의 전단부(80A)의 제어 노브(2)를 푸싱하므로서 스위치 온 및 오프되는 부가적인 푸싱형 스위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다방향 제어기가 제공되는데 이는 5 방향으로 조작된다.
그 대신에, 3 방향으로 조작되는 다방향 제어기가 제공되는데 이는 메인 기판(17)상에서 스위치(4A,4B)중 하나를 생략하므로서 제공된다.
범프(14C,14D)가 메인 기판(17)상에 제공되며 스위치(4A,4B)가 대향 지지부(14A,14B)상에 제공되는 경우에 동일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300)가 도5,6, 7A,7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같은 기능 및 효과를 갖는 구성 부품은 전의 도면에서와 같은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되며,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30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다방향 제어기(300)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다방향 제어기(300)의 푸시형 스위치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7B는 다방향 제어기(300)의 푸싱-형 스위치의 확대된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300)는 굴곡없이 베이스 기판(21)의 후부(80B)에 제공된 얇은 지지점(25)을 통해서 흔들리는 베이스 기판(21)을 포함한다. 제어기(300)는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되는 제어 노브(38)와, 기판(21)의 선단부(80A)에 제공된 엔코더(28)와, 베이스 기판(2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3)와, 푸싱형 스위치(32,33)를 포함한다. 푸싱-형 스위치(32,33)는 베이스 기판(21)의 흔들림에 대해 응답하여 스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3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와 다르며, 선정된 클릭 조절을 갖는 회전-형 엔코더(즉, 회전전자 부품)(28)의 구조 및 푸싱-형 스위치의 구조에서 다르다.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지지 부재(23)는 대향 지지부(24A,24B)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21)은 수지를 갖는 지지부재(23)와 일체가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 방식으로, 단일층의 가요성 기판(26)은 라인 Y에서 접힌다. 접힌 가요성 기판(26)은 베이스 기판(21)과 측면에 배치되며, 가요성 기판(26)을 통해서 제공되는 홀(26A)을 통해서 연장되는 베이스 기판(21)의 상부 및 바닥 표면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우얼(21A)을 결합시키므로서 기판(21)에 고정된다. 가요성 기판(26)은 금속 호일로부터 이루어진 라인 패턴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기판(26) 및 베이스 기판(21)을 포함하는, 라인 패턴이 제공되는 메인 기판(27)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 기판(21)의 전단부(80A)에는 회전-형 엔코더(28)를 위한 드루 홀(29,through hole) 및 선정된 클릭 조절장치를 위한 링-형상의 부분(30)이 제공된다. 상기 드루 홀(29) 및 링-형상 부분(30)은 동심이다.
베이스 기판(21)상의 라인 패턴에는 엔코더(28)를 위한 반경방향 고정부(31)(도5)가 제공된다. 이에 더해서, 고정부(34A,34B, 35A,35B)는 푸싱-형 스위치(32,33)를 고정시키므로서 가요성 기판(26)상에 제공된다.
메인 기판(27)에서 그와같이 형성된 라인 패턴상에서, 링-형상의 부분(30)과 탄성으로 접촉하게 하는 선정된 클릭 조절장치에 대한 스프링(36) 및 회전가능한 디스크-형상의 제어 노브(38)가 제공된다. 반경 방향의 고정부(31)과 탄성으로 접촉시키는 이동가능한 탄성부(37)는 제어 노브(38)의 바닥 표면상에 제공된다. 제어 노브(38)의 중심 홀을 통해서 연장되는 원형 택트(39)가 삽입되며 드루 홀(29)에 코울크되며, 따라서 제어 노브(38)가 베이스 기판(2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엔코더(28)가 형성된다.
도7A 및 7B를 참조하여, 가요성 기판(26)의 상부 및 바닥 표면상에 형성된 고정부(34A,34B,35A,35B)는 변형 가능한 금속판으로부터 바람직하게 형성되는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40,41)로 덮힌다. 절연막(42,43)은 돔-형상의 접촉부(40,41)상에 접합되며, 따라서 푸싱형 스위치(32,33)를 형성한다.
도 5로 돌아가서, 범프(24C,24D)는 대향 지지부(24A,24B)의 단부에 제공된다. 범프(24C,24D)는 푸싱-형 스위치(32,33)에 닿도록 배치된다. 제어 노브(38)상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메인 기판(27)은 스위치(32,33)가 범프(24C,24D)에 의해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서 스위치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유지된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링-형상의 외측 고정 접점부(34A)(이는 노치(34C)를 갖음) 및 중앙 고정 접점부(34B)는 라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금속 호일로부터 형성된다.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외측 주변부는 외측 고정 접점부(34A)상에 배치된다.
절연막(34E)(도 7A)는 노치(34C)를 통해서 중앙 고정 접점부(34B)에 연장되는 리드부(34D)에 부착된다. 절연막(34E)은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40)의 외부 주변이 유도부(34D)와 접촉하지 않게 한다. 탄성 절연막(42)은 이동가능한 돔-형상부(40)의 상부 표면위에 부착된다. 이러한 절연막(42)은 전술된 위치에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를 고정한다.
이와 유사하게, 메인 기판(27)의 바닥 표면상에 제공된 스위치(33)는 스위치(32)와 대체로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엔코더(28) 및 스위치(32,33)로부터 전기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전기 신호 유도부(26B)는 가요성 기판(26)과 일체로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3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와 대체로 같으며,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300)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에서 얻은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 반면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 보다 비싸며 더 작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300)에는 엔코더(28)가 제공된다. 그 대신에, 회전-형 스위치가 엔코더(28)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방향 제어기(300)에는 부가적인 푸싱-형 스위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예를들면, 일본국 공개 공보 제 8-203387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메인 기판(21)의 후단부(80B)를 향하여 메인 기판(21)의 선단부(80A)의 제어 노브(38)를 밀므로서 스위치 온 및 오프된다. 이 경우에, 5 방향으로 조작되는 다방향 제어기가 제공된다.
그 대신에, 굴절가능한 기판(26)상에 스위치(32 또는 33)중 하나를 생략하므로서 3 방향으로 조작되는 다방향 제어기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400)가 도8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같은 기능 및 효과를 갖는 구성 요소는 전의 도면에서와 같은 참조 번호에 의해서 표시되며,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40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9는 다방향 제어기(4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400)는 메인 기판(44)을 삽입하기 위한 드루 홀(48)을 갖는 지지부재(46)를 포함한다. 드루 홀(48) 및 메인 기판(44)이 서로 접촉되게 하는 부분은 지지점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메인 기판(44)은 굴곡없이 지지점을 통해서 흔들린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400)는 메인 기판(44)이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며 유지되는 면에서 제 2 실시예의 다방향 제어기(300)와 다르다.
메인 기판(44)은 그 기판의 상부 및 바닥 표면상에 금속 호일 또는 그와 같은 것으로 된 라인 패턴을갖는 강성 절연 기판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46)는 바람직하게는 수지로 되며 대향 지지부(47A, 47B)를 갖는다. 지지부재(46)는 굴곡없이 흔들리도록 메인 기판(44)을 유지 및 허용한다.
제어 노브(2)를 갖는 엔코더(3)는 메인 기판(44)의 선단부(80A)에 납땜 용접된다. 스위치(4A,4B)는 메인 기판(44)의 상부 및 바닥 표면에 납땜 용접된다. 범프(47C,47D)는 지지부재(46)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지지부(47A,47B)의 단부에 제공된다. 범프(47C,47D)는 스위치 버튼(4A,4B)를 터치하기 위해서 배치된다. 제어 노브(2)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메인 기판(44)은 스위치(4A,4B)가 범프(47C, 47D)에 의해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서 스위치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유지된다.
도8 및 9를 참조하여, 엔코더(3) 및 스위치(4A,4B)로 부터의 전기 신호는 메인 기판(44)상에 제공된 라인 패턴을 통해서, 메인 기판(44)의 후단부(80B)의 바닥 표면상에 제공된 고정 접점부(49A,49B,...49n)에 전송된다. 변형가능한 금속판으로 형성된 탄성 접점부(50A, 50B,...50n)은 후단부(80B)의 지지부재(46)에 부착된다. 탄성 접점부(50A,50B,...50n)의단부의 접촉점(51A, 51B,...51n)은 접촉부(50A,50B,...50n)의 하부(52A,52B,...52n)을 통해서 전기 신호를 다방향 제어기(400)의 외부로 유도하기 위해서 고정 접점부(49A,49B,...49n)와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400)의 메인 기판(44)과 지지부재(46)사이의 조인트 구조를 예시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메인 기판(44)은 다음과 같이 지지부재(46)에 제공된 드루 홀(48)로 삽입된다. 메인 기판(44)의 후단부(90B)에는 테이퍼된 부분(44A)가 제공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퍼된 부분(44A)은 드루 홀(48)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작은 개구(48A)(힌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음)로 강제 삽입된다. 메인 기판(44)은 월(44B)이 지지부재(46)와 접촉하게 될 때 까지 개구(48A)로 삽입된다. 그 결과, 더 작은 홀(48A)은 디텐트(44C)와 결합되며 메인 기판(44)은 지지부재(46)와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기판(44)은 메인 기판(44)의 표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8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루 홀(48)이 메인 기판(44)의 후단부(80B)의 더 큰 직경을 가지므로, 메인 기판(44)은 굴곡 없이 메인 기판(44)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40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300)와 대체로 같으며,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400)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에서 얻은 것과 같은 효과를 갖으며, 다방향 제어기(200)보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전자 부품을 이용하므로서 4 방향으로 조작되는 다방향 제어기(400)를 형성하는 것이 더 쉽다. 더욱이, 전기 신호는 지지부재의 탄성 접점부를 통해서 전자 장치의 라인 기판에 직접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다방향 제어기(400)는 수직 방향으로 여러 조작에 대해서 내구성이 있다.
스위치(4A,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은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방향 제어기(400)가 저렴하게 그리고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다방향 제어기(400)에는 엔코더(3)가 제공된다. 그 대신에, 회전형 스위치가 엔코더(3)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방향 제어기(400)에는 부가적인 푸싱-형 스위치가 제공되는데, 이 스위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공개 공보 제 8-203387호에 개재된 메인 기판(44)의 후단부(80B)로 향하여 메인 기판(44)의 선단부(80A)의 제어 노브(2)를 밀므로서 스위치 온 및 오프된다. 이 경우에, 5 방향으로 조작되는 다방향 제어기가 제공된다.
그 대신에, 3 방향으로 조작되는 다방향 제어기가 제공되는데 이는 메인 기판(44)상의 스위치(4A,4B)중 하나를 생략하므로서 제공된다.
범프(47C, 47D)가 메인 기판(44)상에 제공되며 스위치(4A,4B)가 대향하는지지부(47A, 47B)상에 제공되는 경우에 동일 효과가 얻어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500)가 도1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같은 기능 및 효과를 갖는 구성 요소는 전의 도면과 같은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되며,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500)의 횡단면도이다. 도12는 다방향 제어기(500)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다방향 제어기(5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11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500)는 메인 기판(12)을 포함한다. 메인 기판(12)은 흔들림 샤프트(12A)를 갖는다. 지지부재는 메인 기판(12)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53) 및 하부 지지부(54)를 갖어서 메인 기판(12)이 흔들림 샤프트(12A)에 대해서 상당히 흔들린다. 따라서, 메인 기판(12)은 굴곡없이 흔들림 샤프트(12A)에 대해서 상당히 흔들린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500)는 엔코더에 대해서 메인 기판(12)의 반대 측면상에 제공되는 스위치(4A)를 포함한다.
엔코더 및 제어 노브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102)은 메인 기판(12)에 부착된다. 흔들림 샤프트(12A)은 메인 기판(12)의 후단부(80B)에 제공된다. 흔들림 샤프트(12A)는 상부 및 하부 지지부(53,54)의 흔들림 샤프트 지지부(53A,54A)에 의해서 지지되므로서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전자 부품(102)은 메인 기판(12)와 조립되어 제어 노브의 일부가 상부 지지부(53)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와 하부 지지부(54)의 노치(54B)로부터 돌출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치(4A)는 메인 기판(12)하에서 가요성 기판(55)상에 제공된다. 스위칭 버튼(4C)은 메인 기판(12)의 바닥 표면상에 제공된다. 스위칭 버튼(4C)은 그 복원력에 의해서 메인 기판(12)을 상부로 유지한다. 도11에서, 스위치(4A)는 스위치 오프된다.
도11내지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요성 기판(55)은 메인 기판(55)에 제공되는 다수의 단자(12C)에 그리고 스위치(4A)에 접속된다. 가요성 기판(55)은 엔코더 및 스위치(4A)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다방향 제어기(500)의 외부로 유도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50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과 대체로 같으며,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서, 다방향 제어기(500)가 제공되는데 이는 메인 기판(12)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제어 노브를 조작하는데 클릭 감도가 만족스럽다. 이에 더해서, 제어기(500)는 안정된 조작 스트로크를 갖으며 수직 방향으로 여러 조작에 대해서 내구성을 갖는다.
스위치(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은 이동 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로 형성되며, 따라서 다방향 제어기(500)가 저렴하며 더 소형으로 형성될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500)는 엔코더가 제공된다. 그 대신에, 회전형 스위치가 엔코더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방향 제어기(500)에는 부가적인 푸싱형 스위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예를들면, 일본 공개 공보 제 8-203387호에 개시된 바와같은 후단부(80B)를 향하여 메인 기판(12)의 전단부(80B)의 제어 노브를 밀므로서 스위치 온되거나 스위치 오프된다. 이 경우에, 5 방향으로 조작되는 다방향 제어기가 제공된다.
실시예 5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600)가 도14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같은 기능 및 효과를 갖는 구성 요소는 전의 도면과 동일 참조 번호에 의해서 표시되며,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6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5는 도14의 라인 A-A를 따라서 취해진 다방향 제어기(600)의 측면 횡단면도이며, 도16은 도14의 라인 B-B를 따라서 취해진 다방향 제어기(600)의 정면 횡단면도이다.
도14 내지 16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600)는 메인 기판(22)를 포함한다. 메인 기판(22)에는 흔들림 샤프트(22A)가 제공된다.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부재는 메인 기판(22)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56) 및 하부 지지부(57)를 포함하여 메인 기판(22)이 흔들림 샤프트(22A)에 대해서 상당히 흔들린다. 따라서, 메인 기판(22)은 굴곡 없이 흔들림 샤프트(22)에 대해서 상당히 흔들린다.
다방향 제어기(600)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500)와, 암형상의 스위칭부(22B,22C)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 점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스위치(4A, 4B)는 스위칭부(22B,22C)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공된다.
엔코더 및 제어 노브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102)은 메인 기판(22)에 부착된다. 흔들림 샤프트(22A)는 메인 기판(22)의 후단부(80A)에 제공된다. 흔들림 샤프트(22A)는 상부 및 하부 지지부(56,57)의 흔들림 샤프트 지지부(56A, 57A)에 의해서 지지되므로서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전자 부품(102)은 메인 기판(22)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어 노브의 일부가 상부 및 하부 지지부(56,57)의 노치(56B,57B)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로부터 돌출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같이, 범프(22D)는 스위칭부(22B)의 상부 표면상에 그리고 스위칭부(22C)의 바닥 표면상에 제공된다. 스위치(4A,4B)는 범프(22D)가 스위칭 버튼(4C,4D)와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제어 노브(2)상에 힘이 인가되지 않을 때, 메인 기판(22)은 스위치(4A,4B)의 스위칭 버튼(4C,4D)의 복원력에 의해서 중립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14 내지 16에서, 스위치(4A, 4B)는 스위치 오프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칭부(22C) 및 메인 기판(22)은 다른 레벨로 형성되어 스위치(4B)가 메인 기판(22)의 바닥 표면(22E)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다방향 제어기(600)의 높이는 스위치(4B)가 기판(22)의 바닥 표면(22E)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된다.
이와 유사하게, 스위칭부(22B) 및 메인 기판(22)은 다른 레벨로 형성되어 스위치(4A)가 메인 기판(22)의 상부 표면(22F)보다 낮은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14 및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요성 기판(58)은 메인 기판(22)상에 제공된 단자(22E)에 그리고 스위치(4A,4B)에 접속된다. 가요성 기판(58)은 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스위치(4A, 4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다방향 제어기(600)의 외부로 유도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60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200)와 대체로 같으며,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600)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제어기(500)에서 얻어진 것과 대체로 같은 구조를 갖으며, 스위치(4A, 4B)를 포함하는 다방향 제어기(600)의 높이는 다방향 제어기(500)과 비교해서 최소로 유지된다.
스위치(4A,4B)는 메인 기판(22)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범프(22D)는 상부 지지부(56) 및 하부 지지부(57)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 대신에, 스위치(4A,4B)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스위치(4A,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이동가능한 돔-형상의 접촉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방향 제어기(600)가 더 저렴하며 더 소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600)는 엔코더가 제공된다. 그 대신에, 회전형 스위치가 엔코더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방향 제어기(600)에는 부가적인 푸싱-형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들면, 일본 공개 공보 제 8-203387호에 개시된 메인 기판(22)의 후단부(80B)를 향하여 메인 기판(22)의 선단부(80A)의 제어 노브를 밀므로서 스위치 온 및 오프된다. 이 경우에, 5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는 다방향 제어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다방향 제어기와 다방향 제어기를 이용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다방향 제어기는 수직 방향으로 제어 노브를 조작하고 안정된 조작 스트로크를 조작하는데 클릭 감도가 만족스럽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방향 제어기와 다방향 제어기를 이용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다방향 제어기는 여러 조작에 대해서 내구성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므로서, 다방향 제어기는, 제1 단부와 제1 단부에 제공된 지지 점을 통해서 흔들리는 제2 단부를 갖는 기판; 전자 부품이 조작될 때 전자 부품이 기판이 흔들리도록 하는 소정 방향으로 조작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단부에 제공된 전자 부품; 상기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전자 부품이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될 때, 기판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스위치되도록 제공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므로서 소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2)

  1. 제1 단부와 제1 단부에 제공된 지지 점을 통해서 흔들리는 제2 단부를 갖는 기판;
    전자 부품이 조작될 때 전자 부품이 기판이 흔들리도록 하는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단부에 제공된 전자 부품;
    상기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전자 부품이 선정된 방향으로 조작될 때, 기판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스위치되도록 제공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지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얇은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지지부재는 수지 몰딩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부 표면 및 바닥 표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는 기판의 하나이상의 표면상에 제공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기판의 상기 표면들을 그 사이에 샌드위치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대향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향 지지부의 하나이상은 기판의 표면이 향하는 하나이상 방향으로 기판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누르기 위해서 누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절연 가요성 기판부를 포함하며 가요성 기판부는 라인 패턴이 제공되며, 가요성 기판부는 기판의 표면중 하나이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패턴은 전자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서 그리고 스위치로부터 다방향 제어기의 외부에 있는 소자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전기 신호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신호 유도부는 기판의 상부 표면 및 바닥 표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 및 스위치는 라인 패턴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요성 기판상에 제공되는 제1 고정 접점부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는 가요성 기판부상에 제공되는 제2 고정 접점부상에 탄성 금속 박판으로부터 형성되는 돔-형상의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하나이상의 기판의 표면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의 일부는 지지점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부재 안으로 기판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 및 기판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은 지지점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흔들림 샤프트를 포함하며 지지부재는 기판을 지지하여 기판이 흔들림 샤프트에 대해서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기판의 상부 표면보다 낮은 위치와 기판의 바닥 표면보다 높은 위치의 하나이상 위에 제공되며;
    상기 기판은 스위치를 누르기 위해서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기판의 레벨과 다른 레벨로 제공되며 기판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절연 기판이며 상기 기판은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제1 고정 접점부는 라인 패턴상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제1 고정 접점부와 변형되게 접촉하는 탄성 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접점부는 전기 신호를 전자 부품으로부터 전송하며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다방향 제어기의 외부에 있는 구성 요소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탄성 금속 박판으로부터 형성되는 돔-형상의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며;
    제2 고정 접점부는 라인 패턴상에 형성되며;
    돔-형상의 가동 접점부는 제2 고정 접점부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회전형 또는 슬라이딩형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회전형 또는 슬라이딩형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소정 위치에 클릭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가 지지점을 향해서 눌릴 때 스위치 접촉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기.
  21. 제1 단부에 제공되는 지지점을 통해서 흔들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기판;
    전자 부품이 조작될 때 전자 부품이 기판이 흔들리게 하는 소정 방향으로 조작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단부에 제공되는 전자 부품;
    상기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전자 부품이 소정 방향으로 조작될 때, 기판의 흔들림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도록 제공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방향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제어기는 다방향 제어 장치의 메인 몸체에 장착되어 제어부의 일부가 메인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소정 동작은 소정 방향으로 제어부를 조작하므로서 실행 또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방향 제어 장치.
KR1019980002161A 1997-01-24 1998-01-24 다방향제어기및이에사용되는다방향제어장치 KR100305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6897 1997-01-24
JP97-010868 1997-01-24
JP97-278369 1997-10-13
JP27836997A JP4026201B2 (ja) 1997-01-24 1997-10-13 多方向操作体及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806A true KR19980070806A (ko) 1998-10-26
KR100305420B1 KR100305420B1 (ko) 2001-11-22

Family

ID=2634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161A KR100305420B1 (ko) 1997-01-24 1998-01-24 다방향제어기및이에사용되는다방향제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81323B1 (ko)
EP (1) EP0855668B1 (ko)
JP (1) JP4026201B2 (ko)
KR (1) KR100305420B1 (ko)
CN (1) CN1137428C (ko)
DE (1) DE69837823T2 (ko)
MY (1) MY114472A (ko)
TW (1) TW4004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94B1 (ko) * 2000-04-27 2007-08-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회전조작스위치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9996B2 (ja) * 2000-03-10 2007-0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DE10021065A1 (de) * 2000-04-28 2001-10-31 Bosch Gmbh Robert Bedieneinheit
EP2163969B1 (en) * 2000-11-21 2014-08-06 Contour Design, Inc. ergonomic pointing device
DE102007035894A1 (de) * 2007-07-31 2009-02-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bedienvorrichtung
DE102007035892A1 (de) 2007-07-31 2009-02-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einheit
DE102008042458A1 (de) 2008-09-29 2010-04-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einheit
DE102008042457A1 (de) 2008-09-29 2010-04-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einheit
DE102008042456A1 (de) 2008-09-29 2010-04-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einheit
DE102008042459A1 (de) 2008-09-29 2010-04-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einheit
FR3026499B1 (fr) * 2014-09-30 2017-04-14 Delphi Tech Inc Systeme de commandes a molette manipulable
CN104965607A (zh) * 2015-06-26 2015-10-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输出设备及信号输出方法
JP6755705B2 (ja) 2016-05-09 2020-09-16 株式会社ディスコ レーザー加工装置
JP6755707B2 (ja) 2016-05-12 2020-09-16 株式会社ディスコ レーザー加工装置
JP7339031B2 (ja) 2019-06-28 2023-09-05 株式会社ディスコ レーザー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4388A (en) * 1980-02-20 1988-12-27 Summagraphics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US4951036A (en) * 1988-08-04 1990-08-21 The Grass Valley Group, Inc. Touchpad jogger
EP0540094A1 (fr) * 1991-10-30 1993-05-05 Laboratoires D'electronique Philips S.A.S. Dispositif de commandes multidirectionnelles
US5408621A (en) * 1993-06-10 1995-04-18 Ben-Arie; Jezekiel Combinatorial data entry system having multi-position switches, each switch having tiltable control knob
US5563630A (en) * 1993-10-28 1996-10-08 Mind Path Technologies, Inc. Computer mouse
FR2724764A1 (fr) * 1994-09-19 1996-03-22 Peugeot Actionneur multifonctions
SE504758C2 (sv) * 1995-12-21 1997-04-21 Siemens Elema Ab Apparat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94B1 (ko) * 2000-04-27 2007-08-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회전조작스위치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7823D1 (de) 2007-07-12
CN1189643A (zh) 1998-08-05
KR100305420B1 (ko) 2001-11-22
MY114472A (en) 2002-10-31
JP4026201B2 (ja) 2007-12-26
DE69837823T2 (de) 2008-01-31
TW400498B (en) 2000-08-01
EP0855668B1 (en) 2007-05-30
EP0855668A3 (en) 1999-06-09
JPH10269014A (ja) 1998-10-09
EP0855668A2 (en) 1998-07-29
CN1137428C (zh) 2004-02-04
US6181323B1 (en) 2001-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7848B1 (en) Multi operating electronic component
KR19980070806A (ko) 다방향 제어기 및 이에 사용되는 다방향 제어장치
JP3903731B2 (ja)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199314B2 (en) Joystick and switch
US5613600A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JP48828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70032903A (ko) 스위치 장치
JP2001084877A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896734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EP1477999B1 (en) Switching device including stopper surface-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JP2002063830A (ja) 押釦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H0751626Y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2042612A (ja) 操作装置
WO2002056329A1 (fr) Interrupteur de commande multidirectionnel
JP201000342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229784A (ja) スイッチ装置
JP4375381B2 (ja)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393767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1124777A (ja) 多方向スイッチ
JP2006059649A (ja) 操作入力装置
JP4379142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WO2021220979A1 (ja) スイッチ
JPH0637554Y2 (ja) スイツチ装置
JP2002236552A (ja) 座標入力装置
JP4186612B2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