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952U - 완충성이 좋은 자동차 범퍼 - Google Patents

완충성이 좋은 자동차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952U
KR19980068952U KR2019980018283U KR19980018283U KR19980068952U KR 19980068952 U KR19980068952 U KR 19980068952U KR 2019980018283 U KR2019980018283 U KR 2019980018283U KR 19980018283 U KR19980018283 U KR 19980018283U KR 19980068952 U KR19980068952 U KR 199800689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mall
small tires
tir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2186Y1 (ko
Inventor
장진구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장진구
장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구, 장재혁 filed Critical 장진구
Priority to KR2019980018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1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9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952U/ko
Priority to DE29916520U priority patent/DE29916520U1/de
Priority to US09/400,300 priority patent/US6152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60R19/16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having deflecting members, e.g. rollers,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9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mprising a multiplicity of identical adjacent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범퍼를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가 극히 양호하도록 개량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통상의 범퍼 내부에 여러개의 소형 타이어를 동축으로 나란히 축설내장하여 이를 일반 승용차의 범퍼로 사용하는 경우 충격부하에 대한 완충성이 기존의 범퍼에 비해 현저히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범퍼(A)를 구성함에 있어서, 범퍼케이싱(1) 내부에 다수개의 소형타이어(3)를 내장하여 이의 허버휠(3a)을 횡축봉(2)에 의해 일렬 선상으로 축설하고, 상기 횡축봉(2)은 차대(4)의 전면 장공(6)에 유격을 갖도록 축지하며 양측단부에는 축봉(9)을 결합하여 소형타이어(3)를 수평상태로 결합하고 각 소형타이어(3)의 후방에는 받침대(5)를 설치하여 각 소형타이어(3)를 받쳐주도록 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완충성이 좋은 자동차 범퍼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범퍼를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가 극히 양호하도록 개량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통상의 범퍼 내부에 여러개의 소형 타이어를 동축으로 나란히 축설내장하여 이를 일반 승용차의 범퍼로 사용하는 경우 충격부하에 대한 완충성이 기존의 범퍼에 비해 현저히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기존의 자동차용 범퍼는 자동차의 전후방에 합성수지제 범퍼테를 부착하고 이의 내부에 충격완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발포성 완충심재 또는 합성수지 중공팩을 내장한 구조인 바, 이는 충돌사고가 발생할 시에 범퍼테가 찌그러지면 복원력이 약하므로 완충효과가 미흡하여 각종 인명사고의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동차 범퍼로서 요구되는 성상은 충돌사고시 완충효과가 양호하여야 하는 바 지금까지 일반화 된 범퍼는 주로 합성수지 범퍼케이싱 내부에 발포재나 완충용 심재 또는 탄력성이 없는 상태의 프라스틱에서 팩을 내장한 구성으로 이는 과도한 충돌사고시 심재나 에어팩이 터지면 복원력이 없어서 충격부하가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그대로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복원탄력이 좋은 여러개의 소형타이어를 동축에 일렬 선상으로 배열하여 범퍼 내부에 장착하므로서 충돌사고시 완충성의 유지 및 충돌 후 양호한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A:범퍼, 1:범퍼케이싱
2:횡축봉, 21:요입홈, 22:핀홀, 23:너트
3:소형타이어, 3a:허버휠
4:차대, 4a:돌출간
5:받침대, 51:고정볼트, 6:장공
7:나사핀, 71:너트
8:연결봉, 81:나사관, 82:나사부, 83:지지링
9:축봉, 91:삽입관, 92:정지핀, 93:핀홀, 94:패킹
10:나사봉, 11:체결너트
도 1은 본 고안의 범퍼구성을 사시도 및 단면구성으로 나타낸 것이다.
통상의 자동차용 범퍼A는 합성수지제의 범퍼케이싱1 내부에 완충용 심재를 내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고안의 범퍼A는 완충용 심재를 다수의 소형타이어3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내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범퍼A의 부착구조는 차대4의 전방에 타이어 받침대5를 고정볼트51로서 고정설치하고 받침대5의 전방에 돌출간4a을 돌설한다.
돌출간4a에는 장공6을 천공하여 양측단부에 요입홈21과 핀홀22이 뚫린 횡축봉2을 끼우고 이 횡축봉2에 다수의 소형타이어3를 연립상태로 나란히 끼운다.
횡축봉2에 연립상태로 다수개의 소형타이어3를 끼운 후 양측에 최종적으로 끼워진 소형타이어3는 나사핀7을 핀홀22에 끼워 너트71로서 체결하여 양측단부에 결합된 소형타이어3를 고정한다.
상기 나사핀7을 끼울 시에는 먼저 전방에 나사관81이 형성되고 타측에 나사부82가 형성된 연결봉8을 횡축봉2 내측으로 삽입한 다음 나사핀7을 나사관81에 나사결합하여 핀홀22을 관통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연결봉8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위해 지지링83을 횡축봉2 내측에 삽입하여 연결봉8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횡축봉2에 연립상태로 다수개 결합된 소형타이어3는 차량의 전후방의 정면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한편, 횡축봉2의 양측에 형성된 요입홈21에 끼움되는 정지핀92을 돌설한 삽입관91과, 내측에 나사봉10을 지지하는 패킹94이 내입된 축봉9을 일체로 형성하여 소형타이어3를 축봉9의 상,하 양측에 수평상태로 끼워 체결너트11로 고정결합한다.
상기 축봉9은 삽입관91을 관통하여 핀홀93로 돌출되는 연결봉8의 나사부82에 너트23를 체결하여 횡축봉2에 결합고정한다.
축봉9에 수평상태로 결합된 소형타이어3는 차량의 좌우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의 결합 후 그 외부에 범퍼케이싱1을 씌워서 외관 마무리를 한다.
상기 각 소형타이어3는 중심축이 되는 허버휠3a이 축봉9에 수평상태로 끼워지고 횡축봉2에 일괄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범퍼케이싱1 속에 안정성 있게 고정이 되며 범퍼케이싱1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하여지면 이의 충격부하를 여러개의 소형타이어3가 동시에 받아 주게되어 완충력을 발휘한다.
본 고안의 소형타이어3 내장형 범퍼A는 통상의 자동차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앞범퍼와 뒷범퍼에 동일한 구조로서 설치하여 실용화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본 고안은 범퍼케이싱1의 내부에 고무튜우브가 내입된 다수의 소형타이어3가 일렬 선상으로 내장되고 이들은 횡축봉2에 의해서 동축으로 축설되어 있어서 범퍼케이싱1을 안정성있게 받쳐주고, 또한 소형타이어3가 횡축봉2 좌우측의 축봉9에 수평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운행 중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범퍼케이싱1이 소형타이어3를 압축시킨다.
이때 다수의 소형타이어3는 일시적으로 차체쪽으로 압축되면서 횡축봉2이 장공6의 유격공간에 의해 일시 후진하였다가 소형타이어3 내부에 응축된 공기압과 후방에 설치된 받침대5에 의해 원상복귀되면서 범퍼케이싱1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형 규격으로된 다수개의 소형타이어3가 동시에 차량의 전후방 및 좌우측에서 가해지는 충격부하에 대해 완충응력과 복원력을 발휘하므로 왼만한 충돌사고 조건에서는 인명의 치명적인 손상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전범퍼로서 매우 실용성이 높은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범퍼A를 구성함에 있어서, 범퍼케이싱1 내부에 다수개의 소형타이어3를 내장하여 이의 허버휠3a을 횡축봉2에 의해 일렬 선상으로 축설하고,
    상기 횡축봉2은 차대4의 전면 장공6에 유격을 갖도록 축지하며 양측단부에는 축봉9을 결합하여 소형타이어3를 수평상태로 결합하고 각 소형타이어3의 후방에는 받침대5를 설치하여 각 소형타이어3를 받쳐주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이 좋은 자동차 범퍼.
KR2019980018283U 1998-09-22 1998-09-22 완충튜브가내장된자동차범퍼 KR200182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283U KR200182186Y1 (ko) 1998-09-22 1998-09-22 완충튜브가내장된자동차범퍼
DE29916520U DE29916520U1 (de) 1998-09-22 1999-09-20 Fahrzeugstoßfänger
US09/400,300 US6152503A (en) 1998-09-22 1999-09-21 Vehicle bu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283U KR200182186Y1 (ko) 1998-09-22 1998-09-22 완충튜브가내장된자동차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952U true KR19980068952U (ko) 1998-12-05
KR200182186Y1 KR200182186Y1 (ko) 2000-08-01

Family

ID=1953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283U KR200182186Y1 (ko) 1998-09-22 1998-09-22 완충튜브가내장된자동차범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52503A (ko)
KR (1) KR200182186Y1 (ko)
DE (1) DE29916520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0683A (zh) * 2021-09-01 2021-11-16 李仁明 一种用于机动车的安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2011B1 (en) * 2001-11-15 2003-11-25 Flex-N-Gate Corporation Bumper cover
DE10325992A1 (de) * 2003-06-07 2004-12-23 Volkswagen Ag Luftgestütztes Deformationselement für den Fußgängerschutz an einem Fahrzeug
FR2894206B1 (fr) * 2005-12-02 2008-03-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bsorption d'energi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dispositif
CN101314349B (zh) * 2007-06-01 2012-08-2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保险杠吸能装置
US9932005B2 (en) 2016-04-13 2018-04-03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Vehicle bumper assembly
US10131301B2 (en) * 2017-03-07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y, Llc Passive energy absorber structure adaptable to manage impact energy for different deformation targets and loads
CN112128311A (zh) * 2020-08-11 2020-12-25 国电青山热电有限公司 一种电厂汽轮机的减震安装底座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02A (en) * 1898-12-20 Gar-fender
US3708195A (en) * 1972-01-27 1973-01-02 E Kottsieper Impact softening device for automobiles
US3961818A (en) * 1975-03-28 1976-06-08 Roth Jr George Air bumper
US4186913A (en) * 1975-12-18 1980-02-05 Bruner A J Barrier
US5238228A (en) * 1991-07-25 1993-08-24 Moon Danial G Impact absorbing barri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0683A (zh) * 2021-09-01 2021-11-16 李仁明 一种用于机动车的安全装置
CN113650683B (zh) * 2021-09-01 2022-09-23 李仁明 一种用于机动车的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186Y1 (ko) 2000-08-01
US6152503A (en) 2000-11-28
DE29916520U1 (de) 199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7398B1 (en) Impact energy absorption system for vehicles
US4930823A (en) Vehicle bumper
US8136855B2 (en) Vehicle bumper assembly and associated vehicle comprising this bumper assembly
KR20080023348A (ko) 자동차의 전방을 위한 안내되는 하측 영역
EP2842815B1 (en) Wheel-embracing mechanism and safety vehicle having the wheel-embracing mechanism
KR19980068952U (ko) 완충성이 좋은 자동차 범퍼
KR101114035B1 (ko) 자동차의 전방부 구조
KR100535552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9990038078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KR0152181B1 (ko) 자동차용 임팩트빔 구조
KR200174349Y1 (ko) 자동차의 공압 실린더형 범퍼
KR200222913Y1 (ko) 에어튜브가 내장된 자동차용 범퍼
KR0137261Y1 (ko) 자동차의 충격완화 범퍼
KR100448156B1 (ko) 범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0182745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012572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KR200284054Y1 (ko) 자동차범퍼의 충격완화장치
KR19990041303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101021403B1 (ko)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200338556Y1 (ko) 도로용 차량충돌 충격 흡수장치
KR19980068372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960006455Y1 (ko) 자동차용 에어 핸들
KR100371234B1 (ko) 자동차의 범퍼
KR20050013040A (ko)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CN113370933A (zh) 一种汽车后门行人保护气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