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248U - 전자제품의 d-sub 결착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d-sub 결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248U
KR19980067248U KR2019970011791U KR19970011791U KR19980067248U KR 19980067248 U KR19980067248 U KR 19980067248U KR 2019970011791 U KR2019970011791 U KR 2019970011791U KR 19970011791 U KR19970011791 U KR 19970011791U KR 19980067248 U KR19980067248 U KR 199800672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fastening
shield
hole
shiel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1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248U/ko
Publication of KR19980067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248U/ko

Links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의 보다 완벽한 쉴드를 도모하기 위한 전자제품의 D-SUB 결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쉴드판의 구조를D-SUB의 코넥터를 돌출시키기 위한 홀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시 고정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리브와, 외각 쉴드용 커버를 체결시 완전한 쉴드를 위하여 끝 모양이 바람개비 모양으로 굴곡된 고정쉴드판을 체결시 PCB 기판에 솔더링하지 않고 D-SUB에 직접 체결함으로써,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내부적으로 회로 고장시 분해가 용이하고, 완벽한 쉴드를 하게 되어 기기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D-SUB 결착 구조
본 고안은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의 D-SUB를 이용한 접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D-SUB의 결착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완벽한 쉴드를 도모하기 위한 전자제품의 D-SUB 결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니터와 같은 전자 제품의 내부로는 각종 회로 소자 및 부품이 솔더링되는 메인 회로 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의 보조 역활을 하면서 각종 회로 소자 및 접속용 콘넥터가 솔더링 접속되는 서브 회로 기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 회로 기판은 메인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어야 하며 각종 소자들이 솔더링되어 자체 중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번 고정되면 유동이 없어야 전기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메인 회로 기판과의 접속 단락에 의한 회로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회로 기판은 좁은 공간에서 메인 회로 기판상에 접속되면서 고정되어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하고, 회로적인 고장이 발생시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메인 회로상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타 부품과의 전기적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쉴드 기능을 부여하도록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시 쉴드 브라켓으로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제품에 이용하는 D-SUB 쉴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 PCB 회로 기판(2)에 D-SUB(3)를 솔더링하여 고정시키고 다시 그 위에 고정쉴드판(4)을 솔더링한 후 고정 스크류(6)를 이용하여 코넥터와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결착 방법은 모니터(1)의 메인 PCB 회로 기판(2)에 D-SUB(3)가 솔더링되어 고정 스크류(6)에 의해 고정되게 되므로 D-SUB(3)를 누르는 힘이 가해지므로 솔더링 부위가 약해지게 되고 고정 스크류(6)가 풀리게 되면 유동이 되므로 결착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D-SUB(3)와 고정쉴드판(4)이 PCB 회로 기판(2)에 솔더링되어 쉴드됨으로 작업공수가 늘어나고 고정스크류(6)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서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부적으로 회로 고장시 분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고정 쉴드 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다 완벽한 쉴드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정쉴드판의 구조가 D-SUB의 코넥터를 돌출시키기 위한 홀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시 고정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리브와, 외각 쉴드용 커버를 체결시 완전한 쉴드를 위하여 끝 모양이 바람개비 모양으로 굴곡되어 탄성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고정쉴드판을 체결시 PCB 기판에 솔더링하지 않고 D-SUB에 직접 체결하는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측면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D-SUB의 결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D-SUB의 결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쉴드판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D-SUB와 고정쉴드판의 결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는 도 5에 따른 A - 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PCB 기판(10)에는 코넥터(21)가 돌출된 D-SUB(20)가 솔더링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D-SUB(20)에는 고정쉴드판(30)을 고정 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D-SUB(20)의 코넥터(21)에 끼워지는 고정 쉴드 판(30)은 상기 D-SUB(20)의 코넥터(21)를 돌출시키기 위한 홀(31)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하기 위한 삽입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시 고정시키기 위한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D-SUB(20)는 외각 쉴드용 커버(30)를 체결시 완전한 쉴드를 위하여 끝 모양(G 부분)이 굴곡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른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메인 PCB 기판(10)에 D-SUB(20)의 코넥터(21) 방향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고정쉴드판(30)의 홀(31)을 이용하여 D-SUB(20)의 코넥터(21)에 삽입한 후 D-SUB(20)에 고정쉴드판(3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과 삽입공(32)을 맞추게 된다.
여기서, 고정쉴드판의 삽입공과 D-SUB의 체결공이 맞춰어지면 리브(33)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이 고정쉴드판(30)이 D-SUB(20)에 체결되면 외곽 쉴드용 케이스를 조립하게 되는데 이 때, 고정쉴드판(30)의 탄성편이 미끄러져 들어가 굴곡된 부분을 누르게 되어 완전한 쉴드가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미 도시된 코넥터를 D-SUB(20)에 돌출된 코넥터(21)에 끼운 후 코넥터 조립용 스크류(50)를 이용하여 고정쉴드판(30)에 돌출된 리브(33)에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쉴드판을 솔더링하지 않고 D-SUB에 직접 체결함으로써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따라서 내부적으로 회로 고장시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쉴드판을 D-SUB에 직접 체결하여 완벽한 쉴드를 하게 되어 기기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PCB 기판에 코넥터가 돌출된 D-SUB가 솔더링되어 설치되고, 상기 D-SUB에는 고정쉴드판을 고정 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제품의 D-SUB 결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쉴드판은 D-SUB에 직접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D-SUB 결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쉴드판은 D-SUB의 코넥터를 돌출시키기 위한 홀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시 고정시키기 위한 리브와, 외각 쉴드용 커버를 체결시 완전한 쉴드를 위하여 끝 모양이 굴곡되어 탄성편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D-SUB 결착 구조.
KR2019970011791U 1997-05-24 1997-05-24 전자제품의 d-sub 결착구조 KR199800672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791U KR19980067248U (ko) 1997-05-24 1997-05-24 전자제품의 d-sub 결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791U KR19980067248U (ko) 1997-05-24 1997-05-24 전자제품의 d-sub 결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48U true KR19980067248U (ko) 1998-12-05

Family

ID=6967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791U KR19980067248U (ko) 1997-05-24 1997-05-24 전자제품의 d-sub 결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24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8339B2 (en) Connec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assuring a stable mounting operation
JPH0339901Y2 (ko)
US5709569A (en) Panel mount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
US6991494B1 (en) Panel mount cable connector assembly
JP3465486B2 (ja) 電気コネクタ
US6236574B1 (en) Sub printed circuit board fixing device in electronic products
US6663432B2 (en) Shielded cabl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101121696B1 (ko) 고정구 및 이 고정구를 이용한 전기 커넥터
US66199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US20060128213A1 (en) Connector and nut holding structure for connector
JPH0362467A (ja) 電気コネクタ
JP327805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9980067248U (ko) 전자제품의 d-sub 결착구조
JP2000173708A (ja) 取付ブラケッ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3128568B2 (ja) 電気コネクタの実装構造及びその実装に用いる治具
JPH10261455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393992B2 (ja) 電気コネクタ
JP3557629B2 (ja) プリント基板への部品取付け方法
KR0123938Y1 (ko) 모니터의 시그널 케이블 고정용 리어브라켓
JPS6333508Y2 (ko)
KR890008391Y1 (ko) 프린트 기판상의 안테나선 연결장치
JPH05206672A (ja) プリント配線板の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2867804B2 (ja) プリント板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3144119B2 (ja) 電気機器の接続構造
JP2000156267A (ja) 同軸コネク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