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165U -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165U
KR19980067165U KR2019970011694U KR19970011694U KR19980067165U KR 19980067165 U KR19980067165 U KR 19980067165U KR 2019970011694 U KR2019970011694 U KR 2019970011694U KR 19970011694 U KR19970011694 U KR 19970011694U KR 19980067165 U KR19980067165 U KR 19980067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ar
collision
bar
in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70011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165U/ko
Publication of KR19980067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165U/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권취 설비로부터 권취되는 코일을 코일카를 이용하여 새들에 안착시키는 공정중 새들에 안착된 코일과 코일을 적재한 코일카간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코일 이송설비 및 코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일카의 전방 4곳에 코일과 코일카간의 충돌이 발생했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하되, 이는 코일카의 베이스상에 설치되며, 브라켓트 상에 설치된 케이스내에 안착설치되어 코일과 충돌하였음을 감지하고 코일카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전방 케이스에 설치되며, 고무카바내에 설치된 2중의 부싱에 의해 보호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선단부에는 마이크로스위치가 설치되어 리미트스위치로 충돌력을 전달하도록하는 푸시바와, 상기 푸시바의 전방에 위치하며, 충돌력을 푸시바로 전달하도록 형성시킨 장축으로 된 전달바와, 상기 전달바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후방에는 프렌지가 설치되고 전방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전달바와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며, 이 내부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전방에 프렌지를 형성한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된 프렌지에 설치되며, 코일과 충돌했을 때 코일의 충돌부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소정의 탄성을 갖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보호장치본체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본 고안은 코일권취 설비로부터 권취되는 코일을 코일카를 이용하여 새들에 안착시키는 공정중 새들에 안착된 코일과 코일을 적재한 코일카간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코일 이송설비 및 코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들에 안착된 코일과 새들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권취된 코일을 이송하는 코일카간의 충돌이 발생했을 때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코일의 보호는 물론 코일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을 권취한 후 이 권취된 코일을 목적지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권취설비(10)로 유입되는 스트립(S)을 소정의 크기(무게)로 권취한 후 이를 코일카(20)를 이용하여 새들(21)에 안착시킨다음 크레인(도면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코일적재장에 이송시킨다.
그러나, 상기 새들(21)에 안착된 코일(C1)을 적기에 코일적재장으로 이송하지 못하고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권취완료된 코일(C2)을 새들(21)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코일카(20)로 이송도중 작업자의 스위치 오동작이나 새들(21)에 안착된 코일(C1)과 코일카(20)간의 지리예측 실수로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21)에 안착된 코일(C1)과 코일카(20)간의 충돌이 일어나 새들(21)에 안착된 코일(C1)의 일측면 즉 에지부가 훼손됨은 물론 코일카(20)가 충격에 의하여 설비사고를 일으키게 됨으로 정상가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그에 다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새들에 안착된 코일과 코일카간의 충돌시 코일의 보호는 물론 코일카를 보호하며, 충돌과 함께 코일카의 작동을 중지시켜 설비사고를 예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코일카의 전방 4곳에 코일과 코일카간의 충돌이 발생했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하되, 이는 코일카의 상하부베이스상에 설치되며, 브라켓트상에 설치된 케이스내에 안착설치되어 코일과 충돌하였음을 감지하고 코일카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전방 케이스에 설치되며, 고무카바내에 설치된 2중의 부싱에 의해 보호되도록 설치되어있고, 선단부에는 마이크로스위치가 설치되어 리미트스위치로 충돌력을 전달하도록하는 푸시바와, 상기 푸시바의 전방에 위치하며, 충돌력을 푸시바로 전달하도록 형성시킨 장축으로된 전달바와, 상기 전달바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후방에는 프렌지가 설치되고 전방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전달바와 내부하우징을 수용하며, 이 내부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전방에 프렌지를 형성한 외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된 프렌지에 설치되며, 코일과 충돌했을 때 코일의 충돌부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소정의 탄성을 갖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보호장치본체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코일 이송설비의 발췌사시도
도 2 는 코일 스키드에 안착된 코일과 코일을 적재한 코일카간의 충돌상태를 보인 측면발췌도
도 3 은 본 고안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의 발췌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에 설치된 충격흡수장치 발췌사시도
도 5(가)(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보호장치본체30 : 리미트스위치
31 : 브라켓트32 : 케이스
40 : 푸시바41 : 고무카바
42, 43 : 부싱44 : 마이크로스위치
50 : 전달바60 : 내부하우징
61 : 프렌지62 : 걸림턱
70 : 외부하우징71 : 프렌지
72 : 걸림구80 : 압축스프링
90 : 평판100 : 충격흡수장치
본 고안은 코일카(20)의 전방 4곳에 코일(C1)과 코일카(20)간의 충돌이 발생했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100)를 설치하되, 이는 코일카(20)의 베이스(22)상에 설치되며, 브라케트(31)상에 설치된 케이스(32)내에 안착설치되어 코일(C1)과 충돌하였음을 감지하고 코일카(2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30)와, 상기 리미트스위치(30)의 전방케이스(32)에 설치되며, 고무카바(41)내에 설치된 2중의 부싱(42)(43)에 의해 보호되도록 설치되어있고, 선단부에는 마이크로스위치(44)가 설치되어 리미트스위치(30)로 충돌력을 전달하도록하는 푸시바(40)와, 상기 푸시바(40)의 전방에 위치하며, 충돌력을 푸시바(40)로 전달하도록 형성시킨 장측으로 된 전달바(50)와, 상기 전달바(50)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후방에는 프렌지(61)가 설치되고 전방에는 걸림턱(62)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하우징(60)과, 상기 전달바(50)와 내부하우징(60)을 수용하며, 이 내부하우징(6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전방에 프렌지(71)를 형성한 외부하우징(70)과, 상기 내부하우징(60)과 외부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80)과, 상기 외부하우징(70)의 전방에 형성된 프렌지(71)에 설치되며, 코일(C1)과 충돌했을 때 코일(C1)의 충돌부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소정의 탄성을 갖는 평판(90)으로 이루어져 보호장치본체(A)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도 1 및 도 5(가)(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21)에 안착된 코일(C1)이 대기상태에서 코일권취설비(10)에서 권취완료된 코일(C2)을 코일카(20)로 이송도중 코일카(20)의 전방 상기 새들에 안착된 코일(C1)의 일측면과 충돌이 일어났을 때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평판(90)이 코일(C1)의 일측면 즉, 에지부와 충돌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평판(90)은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새들(21)에 안착되 코일(C1)의 측면에 손상을 주지않는다.
따라서, 상기 코일(C1)과의 충돌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후방으로 밀리면서 외부하우징(70)이 내부하우징(60)을 따라 슬라이딩이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80)은 압축되고 외부하우징(70)의 전방에 형성된 프렌지(71)의 내측에 설치된 터치바(73)가 전달바(50)와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전달바(50)로 충격이 전달된 충격력을 푸시바(40)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같이 충격력을 전달받은 푸시바(40)는 선단부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44)가 코일권취설비(10)로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받은 리미트스위치(10)는 코일카(20)로 신호를 보내어 코일카(20)의 작동동작을 정지시키게한다.
이의 전기적인 시스템은 통상적인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은 기술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그리고, 외부하우징(70)의 후방 내측둘레면에 설치된 링체의 걸림구(72)는 압축된 스프링(80)이 복원되면서 외부하우징(70)을 원상태로 밀어줄때에 상기 외부하우징(70)이 내부하우징(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하기 위함이다.
한편, 내부하우징(60)의 전방에는 걸림구(72)가 걸리도록 걸림턱(62)을 형성시켰다.
또한, 내부하우징(60)의 후방에 형성된 프렌지(61)는 코일카(20)의 전방에 볼트체결하기 위한 것이고, 외부하우징(70)의 전방에 형성된 프렌지(71)는 평판(90)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푸시바(40)를 보호하는 각각의 부싱(42)(43)중 내부에 위치한 부싱(43)은 피스톤 역할을 하고, 외부에 위치한 부싱(42)은 피스톤 역할을 하는 내부 부싱(43) 및 푸시바(40)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새들에 안착된 코일과 코일카간의 충돌시 코일의 보호는 물론 코일카를 보호하며, 충돌과 함께 코일카의 작동을 중지시켜 설비사고를 예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코일카(20)의 전방 4곳에 코일(C1)과 코일카(20)간의 충돌이 발생했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100)를 설치하되, 이는 코일카(20)의 베이스(22)상에 설치되며, 브라케트(31)상에 설치된 케이스(32)내에 안착설치되어 코일(C1)과 충돌하였음을 감지하고 코일카(2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하는 리미트스위치(30)와,
    상기 리미트스위치(30)의 전방케이스(32)에 설치되며, 고무카바(41)내에 설치된 2중의 부싱(42)(43)에 의해 보호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선단부에는 마이크로스위치(44)가 설치되어 리미트스위치(30)로 충돌력을 전달하도록하는 푸시바(40)와,
    상기 푸시바(40)의 전방에 위치하며, 충돌력을 푸시바(40)로 전달하도록 형성시킨 장축으로 된 전달바(50)와,
    상기 전달바(50)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후방에는 프렌지(61)가 설치되고 전방에는 걸림턱(62)이 형서오디어 있는 내부하우징(60)과,
    상기 전달바(50)와 내부하우징(60)을 수용하며, 이 내부하우징(60)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전방에 프렌지(71)를 형성한 외부하우징(70)과,
    상기 내부하우징(60)과 외부하우징(70)을 수용하도록 설치되며,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80)과,
    상기 외부하우징(70)의 전방에 형성된 프렌지(71)에 설치되며, 코일(C1)과 충돌했을 때 코일(C1)의 충돌부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소정의 탄성을 갖는 평판(90)으로 이루어져 보호장치본체(A)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KR2019970011694U 1997-05-23 1997-05-23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KR199800671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694U KR19980067165U (ko) 1997-05-23 1997-05-23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694U KR19980067165U (ko) 1997-05-23 1997-05-23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165U true KR19980067165U (ko) 1998-12-05

Family

ID=6968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694U KR19980067165U (ko) 1997-05-23 1997-05-23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1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68B1 (ko) * 2008-10-21 2011-01-07 주식회사 삼우에코 곡선 주행이 가능한 코일카
KR102240620B1 (ko) * 2019-11-29 2021-04-15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전도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68B1 (ko) * 2008-10-21 2011-01-07 주식회사 삼우에코 곡선 주행이 가능한 코일카
KR102240620B1 (ko) * 2019-11-29 2021-04-15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전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66586B (zh) 跌落保护装置及其控制方法、移动终端
KR20160062903A (ko) 파단형 후드 힌지장치
CN111980500A (zh) 头盔锁具、头盔锁具控制方法、置物容器及两轮车
US20210057808A1 (en) Radar apparatus mounting assembly
KR19980067165U (ko) 권취코일 이송중의 코일 및 코일카 보호장치
JPH0616097A (ja) センサユニット
US20160190778A1 (en) Switchboard with position-indicating apparatus
US20130067970A1 (en) Steering lock device
KR102426077B1 (ko) 랙 포스트 보호대
CN105114406A (zh) 一种箱盖辅助防护装置
CN113276654B (zh) 一种电动汽车主动式电池防撞保护装置
KR20120056431A (ko)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EP2915765A1 (en) Bumper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s and/or loading/unloading bays
CN212251365U (zh) 一种空气控制阀用防护装置
KR100560351B1 (ko) 도로의 안전시설물
JP4349168B2 (ja) 衝突時衝撃吸収装置
KR101651566B1 (ko)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JP2002264069A (ja) 機械式ストッパ装置
CN115410608B (zh) 一种车载固态硬盘
CN220650053U (zh) 一种急停模式触发工装
KR20090097554A (ko) 주차장 자동차 보호 장치
CN217902503U (zh) 一种带有防护装置的声光报警器
CN113370820B (zh) 一种新能源汽车防撞充电桩
CN219513715U (zh) 一种地线防护装置
CN211417197U (zh) 一种吸能卡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