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431A -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431A
KR20120056431A KR1020100117960A KR20100117960A KR20120056431A KR 20120056431 A KR20120056431 A KR 20120056431A KR 1020100117960 A KR1020100117960 A KR 1020100117960A KR 20100117960 A KR20100117960 A KR 20100117960A KR 20120056431 A KR20120056431 A KR 20120056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beam
inflator
cushion
airba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266B1 (ko
Inventor
방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2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플레이터(41)가 백빔(12)의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후면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백빔(12)의 전면과 범퍼커버(14) 사이에 확보된 충분한 여유공간에 에어백쿠션(42)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범퍼커버(14)와 에어백쿠션(42)과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4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보행자 사고시 강체에 해당하는 인플레이터(41)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행자의 큰 부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백쿠션(42)과 함께 업소버(13)의 설치가 가능해짐에 따라 충격 흡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인플레이터(41)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가 백빔(12)을 통해 에어백쿠션(42)으로 전달됨에 따라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External air bag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범퍼에 설치되는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는 충돌 또는 추돌 사고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방 범퍼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범퍼(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결합되는 범퍼스테이(11)와, 상기 범퍼스테이(11)에 결합되는 백빔(12)과, 상기 백빔(12)의 전면에 결합되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업소버(13)와, 상기 업소버(13)를 감싸는 형태로 차체에 결합되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범퍼커버(14)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전방 범퍼(10)만으로는 충돌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함에 따라 대부분의 충돌에너지가 차체로 전달되어 차량 부품의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고, 심한 경우 탑승자에게 부상을 입히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단점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전방 범퍼(10)에 외장형 에어백장치를 설치하게 되었는 바, 상기 외장형 에어백장치(20)는 도 2와 같이 인플레이터(21)를 에어백쿠션(22)의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인플레이터(21)와 에어백쿠션(22)이 결합된 모듈을 백빔(12)의 전면에 고정하여 범퍼커버(14)로 감싸여지게 설치한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종래의 외장형 에어백장치(20)는 인플레이터(21)와 에어백쿠션(22)이 모두 공간이 협소한 백빔(12)과 범퍼커버(14)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범퍼커버(14)와 에어백쿠션(22)과의 간섭에 의해 상기 에어백쿠션(22)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범퍼커버(14)와 에어백쿠션(22)과의 사이에 공간이 없어서 업소버(13)의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3에는 다른 실시예의 설치구조를 갖는 외장형 에어백장치(30)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인플레이터(21)를 백빔(12)의 전면 이외의 위치에 고정 설치하고, 에어백쿠션(22)을 백빔(12)의 전면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인플레이터(21)와 상기 에어백쿠션(22)을 파이프(23)로 연결한 구성이다.
상기의 설치구조는 범퍼커버(14)와 에어백쿠션(22)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있으나, 상기 인플레이터(21)가 백빔(12)의 전면 이외의 위치에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인플레이터(21)와 주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새로운 단점이 있고, 또한 에어백가스를 전달하는 파이프(23)의 경로 설정이 어려워서 설계의 자유도가 낮은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범퍼커버(14)와 에어백쿠션(22)과의 사이에 공간이 없어서 업소버(13)의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범퍼커버와 에어백쿠션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인플레이터와 주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백가스를 전달하는 별도의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업소버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충격 흡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는, 백빔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백빔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에어백쿠션과;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를 상기 에어백쿠션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백빔에 구비된 가스이동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인플레이터하우징에 감싸여진 상태로 상기 인플레이터하우징이 상기 백빔에 결합되어 설치될 때 상기 백빔의 후면에 밀착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백빔의 전면과 상기 에어백쿠션 사이에는 쿠션리테이너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쿠션과 상기 쿠션리테이너는 상기 인플레이터하우징이 상기 백빔에 결합될 때 함께 결합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이동구멍은 상기 백빔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백빔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가스유입구멍과; 상기 백빔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백빔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가스배출구멍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백빔은 상기 가스이동구멍을 제외한 나머지의 모든 부위가 밀폐된 박스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는, 인플레이터가 백빔의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후면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백빔의 전면과 범퍼커버 사이에 확보된 충분한 여유공간에 에어백쿠션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범퍼커버와 에어백쿠션과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보행자 사고시 강체에 해당하는 인플레이터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행자의 큰 부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백쿠션과 함께 업소버의 설치가 가능해짐에 따라 충격 흡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가 백빔을 통해 에어백쿠션으로 전달됨에 따라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 전방 범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에어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에어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에어백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전방 범퍼(10)에 설치된 외장형 에어백장치(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범퍼(10)를 구성하는 백빔(12)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인플레이터(41)와, 상기 백빔(12)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에어백쿠션(42)과, 상기 인플레이터(41)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를 상기 에어백쿠션(42)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백빔(12)에 구비된 가스이동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41)는 인플레이터하우징(43)에 감싸여진 상태로 상기 인플레이터하우징(43)의 상하 양단이 상기 백빔(12)의 상하면에 다수개의 볼트(51)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될 때 상기 백빔(12)의 후면에 밀착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백빔(12)의 전면과 상기 에어백쿠션(42) 사이에는 쿠션리테이너(44)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쿠션(42)의 상하 양단과 상기 쿠션리테이너(44)의 상하 양단은 상기 인플레이터하우징(43)의 상하 양단이 상기 백빔(12)의 상하면에 다수개의 볼트(51)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될 때 상기 볼트(51)를 매개로 함께 결합되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가스이동구멍은 상기 백빔(12)의 내부공간(12a)과 연결되도록 상기 백빔(12)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가스유입구멍(12b)과, 상기 백빔(12)의 내부공간(12a)과 연결되도록 상기 백빔(12)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가스배출구멍(12c)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백빔(12)은 에어백가스의 원활한 전달을 위하여 상기 가스유입구멍(12b)과 상기 가스배출구멍(12c)을 제외한 나머지의 모든 부위가 밀폐된 박스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백빔(12)은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구조이면서 양단이 밀폐된 구조가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장형 에어백장치(40)의 경우 인플레이터(41)의 폭발로 인해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백빔(12)의 후면에 형성된 가스유입구멍(12b)을 통해 내부공간(12a)으로 유입된 후 전면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멍(12c)을 통해 에어백쿠션(42)으로 분사되며, 상기 에어백쿠션(42)은 가스배출구멍(12c)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백가스의 압력으로 범퍼커버(14) 밖으로 돌출되면서 전개되는 바, 전개된 에어백쿠션(42)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쪽으로의 충격력 전달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에어백장치(40)는 인플레이터(41)가 백빔(12)의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후면에 밀착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백빔(12)의 전면과 범퍼커버(14) 사이에는 충분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백빔(12)의 전면과 범퍼커버(14) 사이에 확보된 충분한 여유공간에 에어백쿠션(42)만을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범퍼커버(14)와 에어백쿠션(42)과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4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플레이터(41)가 백빔(12)의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후면에 밀착 설치됨에 따라 상기 인플레이터(41)와 주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보행자 사고시 강체에 해당하는 인플레이터(41)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행자의 큰 부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백빔(12)의 전면과 범퍼커버(14) 사이에 확보된 여유공간에 에어백쿠션(42)만을 설치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쿠션(42)이 설치된 후에도 여유공간을 확보가 가능해지고, 이러한 여유공간에 업소버(13)를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충격 흡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41)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가 백빔(12)의 가스유입구멍(12b)과 내부공간(12a) 및 가스배출구멍(12c)을 통해 에어백쿠션(42)으로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에어백가스를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파이프 사용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2 - 백빔 12a - 내부공간
12b - 가스유입구멍 12c - 가스배출구멍
40 - 외장형 에어백장치 41 - 인플레이터
42 - 에어백쿠션 43 - 인플레이터하우징
44 - 쿠션리테이너

Claims (5)

  1. 백빔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백빔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에어백쿠션과;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를 상기 에어백쿠션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백빔에 구비된 가스이동구멍
    을 포함하는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인플레이터하우징에 감싸여진 상태로 상기 인플레이터하우징이 상기 백빔에 결합되어 설치될 때 상기 백빔의 후면에 밀착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빔의 전면과 상기 에어백쿠션 사이에는 쿠션리테이너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쿠션과 상기 쿠션리테이너는 상기 인플레이터하우징이 상기 백빔에 결합될 때 함께 결합되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이동구멍은
    상기 백빔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백빔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가스유입구멍과;
    상기 백빔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백빔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가스배출구멍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백빔은 상기 가스이동구멍을 제외한 나머지의 모든 부위가 밀폐된 박스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KR1020100117960A 2010-11-25 2010-11-25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KR10115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60A KR101154266B1 (ko) 2010-11-25 2010-11-25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60A KR101154266B1 (ko) 2010-11-25 2010-11-25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31A true KR20120056431A (ko) 2012-06-04
KR101154266B1 KR101154266B1 (ko) 2012-06-13

Family

ID=4660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960A KR101154266B1 (ko) 2010-11-25 2010-11-25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2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681A (zh) * 2012-12-05 2014-06-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外部安全气囊装置
CN105270302A (zh) * 2014-05-28 2016-01-27 福特全球技术公司 包括安全气囊的保险杠总成
WO2017182013A1 (en) 2016-04-20 2017-10-26 Havlik, Martin Shock-absorbing device, particularly for vehicles
US10870402B2 (en) 2016-04-20 2020-12-22 Martin Havlik Shock-absorbing device, particularly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210A (ko) * 2007-08-08 2009-02-12 이병훈 자동차용 충격완화장치
JP2009160984A (ja) 2007-12-28 2009-07-23 Mazda Motor Corp 歩行者保護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681A (zh) * 2012-12-05 2014-06-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外部安全气囊装置
KR101428243B1 (ko) * 2012-12-05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장 에어백장치
CN105270302A (zh) * 2014-05-28 2016-01-27 福特全球技术公司 包括安全气囊的保险杠总成
CN105270302B (zh) * 2014-05-28 2019-09-24 福特全球技术公司 包括安全气囊的保险杠总成
WO2017182013A1 (en) 2016-04-20 2017-10-26 Havlik, Martin Shock-absorbing device, particularly for vehicles
US10870402B2 (en) 2016-04-20 2020-12-22 Martin Havlik Shock-absorbing device, particularly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266B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45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US8672078B2 (en) External airbag module for vehicle and back beam for mounting external airbag module
KR101428243B1 (ko) 외장 에어백장치
KR101154266B1 (ko)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KR20120119138A (ko) 범퍼 에어백 장치
CN204222792U (zh) 一种汽车保险杠与车架的吸能结构
CN207059760U (zh) 油箱保护装置以及具有它的车辆
JP2013220766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20100060135A (ko) 저속충돌 대응을 위한 범퍼의 백빔 보강구조
JP2008037246A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8120310A (ja) 車両用フード跳ね上げ装置
KR101855750B1 (ko) 차체 보강 유닛
CN104386010A (zh) 复合减震式汽车保险杠装置
KR100535552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구조
KR20160020882A (ko) 차량의 범퍼 장치
KR101588801B1 (ko) 전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KR20090112796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20120009171A (ko) 차량용 후방 범퍼 백빔
JP200807426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2237192B1 (ko) 필러넥 회피거동용 마운팅 유닛
KR102095567B1 (ko) 차량의 범퍼 장치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100657661B1 (ko)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가드 장치
JP4735220B2 (ja) 車両の前部構造
IT202000003137A1 (it) Sistema di protezione frontale per veico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