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567B1 - 차량의 범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범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567B1
KR102095567B1 KR1020130136497A KR20130136497A KR102095567B1 KR 102095567 B1 KR102095567 B1 KR 102095567B1 KR 1020130136497 A KR1020130136497 A KR 1020130136497A KR 20130136497 A KR20130136497 A KR 20130136497A KR 102095567 B1 KR102095567 B1 KR 10209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vehicle
bracket
stiffener
hydraulic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267A (ko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5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2Fluid shock absorbers, e.g. with coaxial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3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의 전방에 설치되는 범퍼빔과 상기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범퍼빔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시키는 범퍼스테이 및 상기 범퍼빔 하측에서 배치되어, 상기 범퍼스테이와 브라켓으로 연결된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범퍼 장치{Bumper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 스티프너 및 브라켓 등의 파손을 막기 위한 차량의 범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는 캐리어, 라디에이터 등이 장착된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에 전방에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차체의 프렘 또는 엔진 등의 각종 장치들을 보호하고, 차량의 탑승자를 충격을 감소 및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댐퍼 등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엔드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범퍼빔의 하측에 배치되는 스티프너는 차량 충돌시 보행자의 다리 하측부에서 발생되는 굽힘각이 커져, 보행자의 다리가 쉽게 부러지거나 이로 인하여 보행자의 다리가 차체로 빨려 들어가는 등의 2차적인 부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스티프너는 기존 보행자 보호를 위한 로어 스티프너 구조는 하단부에 돌출되어 있어서 일부 테스트에 의해 충돌시 범퍼빔 보다 먼저 고정벽에 충돌하게 되므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범퍼 장치에 장착된 스티프너 및 브라켓이 차량 충돌시 파손되지 않으면서 고속 저중량 충돌 및 저속 고중량시 부드럽게 밀리는 차량의 범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의 전방에 설치되는 범퍼빔과 상기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범퍼빔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시키는 범퍼스테이 및 상기 범퍼빔 하측에서 배치되어, 상기 범퍼스테이와 브라켓으로 연결된 스티프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범퍼스테이의 내부에 유압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유압댐퍼의 일측이 상기 범퍼빔과 연결되고, 상기 유압댐퍼의 하측면에 상기 브라켓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일단에 상기 스티프너가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의 타단에 상기 유압댐퍼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타단과 근접하여 상기 스티프너에 충돌발생으로 전, 후방으로 회동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압댐퍼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스테이는 하측에 브라켓홀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프너는 수평스티프너로 구비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범퍼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시 범퍼빔보다 먼저 충돌되는 스티프너에 의해 스티프너, 브라켓 및 백빔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저속시 고정벽 충돌과 보행자 보호 충돌시 브라켓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고속 저중량 충돌 및 저속 고중량시 부드럽게 밀리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범퍼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범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범퍼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범퍼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범퍼 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범퍼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엔드모듈(10)과 프론트엔드모듈(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범퍼빔(20)과 프론트엔드모듈(10)과 범퍼빔(2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시키는 범퍼스테이(25) 및 범퍼빔(20) 하측에서 배치되어, 범퍼스테이(25)와 브라켓(50)으로 연결된 스티프너(40)를 포함한다.
프론트엔드모듈(10)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다. 프론트엔드모듈(10)은 차량 전방의 부품을 통합하여 조립시킨 부품으로 캐리어에 헤드램프, 백빔과 같은 부품이 결합된 형태이다. 프론트엔드모듈(10)에는 엔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라디에이터 차량의 전방을 밝히는 전조등등이 포함된다.
범퍼는 프론트엔드모듈(10)의 전방에 범퍼빔(20)에 장착된다. 즉, 범퍼빔(20)은 프론트엔드모듈(10)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차량 외관을 형성한다.
범퍼빔(20)은 스틸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도리 수도 있으며, 스틸 및 플라스틱 재질이 복합된 하이브리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범퍼빔(20)의 전방에는 충돌에너지를 먼저 흡수할 수 있는 우레탄과 같은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그 충격흡수부재의 전방에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가 배치될 수 있다. 범퍼빔(20)은 범퍼(미도시)와 프론트엔드모듈(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범퍼스테이(25)는 프론트엔드모듈(10)과 범퍼빔(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엔드모듈(10)에 범퍼를 결합시킨다.
범퍼빔(2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범퍼스테이(25)는 복수의 스틸 부재들이 용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범퍼빔(2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주름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범퍼스테이(25)는 범퍼빔(20)과 차체의 사이드 멤버(미도시) 사이를 연결한다. 범퍼스테이(25)의 전면에는 범퍼빔(2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미도시)가 배치되고, 범퍼스테이(25)의 후면에는 상기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배치된다. 범퍼스테이(25)는 내부에 후술할 유압댐퍼가 구비된다. 결합부재들이 범퍼스테이(25)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범퍼빔(20) 및 상기 사이드 멤버에 체결될 수 있다.
범퍼스테이(25)는 상기 사이드 멤버가 충돌에너지에 의해 적절히 변형되어서 승객이 위치한 차실내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범퍼빔(2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상기 사이드 멤버로 분산시켜 전달하여야 한다.
범퍼스테이(25)는 범퍼스테이(25)의 내부에 유압댐퍼(30)가 구비되어, 일측이 범퍼와 연결되고, 유압댐퍼(30)의 하측면에 브라켓(50)이 연결된다. 범퍼스테이(25)는 하측에 브라켓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브라켓의 타측이 삽입된다.
유압댐퍼(30)는 범퍼스테이(25)의 내부에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쇼크업소버로 구비되나, 충격을 흡수하는 다른 완충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압댐퍼(30)는 범퍼스테이(25)의 내부에 피스톤(34)이 댐퍼빔(20)을 향하여 배치되어 스티프너(40) 작동시 댐퍼빔(20)을 유압댐퍼(30)의 피스톤(34)이 밀게된다. 유압댐퍼(30)의 외통(32)이 브라켓(50)의 타측(52)과 연결되어, 스티프너(40)에 충돌이 발생되어 후측으로 이동시 브라켓(50)의 후술할 회전축(56)을 중심으로 브라켓(50)의 타측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유압댐퍼(30)의 피스톤(34)이 범퍼빔(20)을 밀게 된다.
스티프너(40)는 범퍼빔(20) 하측에 수평스티프너로 구비되어 배치되고, 범퍼스테이(25)와 브라켓(50)으로 연결된다. 보다상세하게는, 스티프너(40)는 범퍼빔(20)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 스티프너(40)로 브라켓(50)의 일측과 볼팅 등으로 연결되어 범퍼스테이(25)와 연결된다.
브라켓(50)은 범퍼스테이(25)의 내부에 구비된 유압댐퍼(30)의 하측면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50)은 일측(54)이 스티프너(40)와 볼팅등으로 연결된다. 브라켓(50)은 타측(52)이 유압댐퍼(30)의 하측면에 연결된다. 유압댐퍼(30)의 하측면은 일반적으로 유압댐퍼(30)가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외통(32)과 내통(35)으로 구비되는데 브라켓(50)의 타측(52)은 외통(32)과 연결된다.
브라켓(50)은 타측과 근접하여 회전축이 형성된다. 즉, 브라켓(50)의 타측(52)과 근접하여 스티프너(40)에 충돌발생으로 전, 후방으로 회동되는 회전축(56)이 형성되어, 회전축(56)을 중심으로 유압댐퍼(30)가 전, 후 방향으로 작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측면 코너부가 보행자나 다른 물체에 충돌한 경우, 그 충격이 스티프너(40)의 일단에 가해지게 되는데, 상기 스티프너(40)에 가해진 충돌 에너지만큼 브라켓(50)의 회전축(56)에 의해 상기 스티프너(4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회전축(56)을 중심으로 상기 브라켓(50)이 회동하여 유압댐퍼(30)가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유압댐퍼(3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연결된 범퍼빔(20)에 힘이 가해지게 되어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프론트엔드모듈 20: 범퍼빔
25: 범퍼스테이 30: 유압댐퍼
40: 스티프너 50: 브라켓

Claims (6)

  1.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엔드모듈;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는 범퍼빔;
    상기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범퍼빔 사이를 결합하며, 하측에 브라켓홀을 포함하는 범퍼스테이;
    상기 범퍼스테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범퍼빔의 후방에 배치되는 유압댐퍼; 및
    상기 범퍼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범퍼스테이와 브라켓으로 연결된 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차량이 충돌할 시에, 충돌 속도와 대상의 중량에 따라 회동하되, 상기 범퍼빔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댐퍼는 상기 스티프너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것인 차량의 범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댐퍼의 일측은 상기 범퍼빔과 연결되고, 상기 유압댐퍼의 하측면에는 상기 브라켓이 연결되는 차량의 범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단에 상기 스티프너가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의 타단에 상기 유압댐퍼가 연결되는 차량의 범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타단과 근접하여 상기 스티프너에 충돌발생으로 전, 후방으로 회동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압댐퍼가 작동하는 차량의 범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스테이는 상기 브라켓의 타단에 삽입되는 차량의 범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수평스티프너로 구비되는 차량의 범퍼 장치.

KR1020130136497A 2013-11-11 2013-11-11 차량의 범퍼 장치 KR102095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97A KR102095567B1 (ko) 2013-11-11 2013-11-11 차량의 범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97A KR102095567B1 (ko) 2013-11-11 2013-11-11 차량의 범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267A KR20150054267A (ko) 2015-05-20
KR102095567B1 true KR102095567B1 (ko) 2020-03-31

Family

ID=5339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497A KR102095567B1 (ko) 2013-11-11 2013-11-11 차량의 범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5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5108B1 (en) * 1999-06-28 2004-04-21 Mazda Motor Corporation Structure of the front of a vehicle body
KR20110103706A (ko) * 2010-03-15 2011-09-2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267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752B1 (ko) 스몰 오버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JP6235355B2 (ja) レーダの取付構造
CN108688612B (zh) 车辆前部结构
US9475441B2 (en) Unique and efficient grille design with integrated energy absorber and energy absorber with locking feature
US20170225713A1 (en) Motor vehicle body arrangement designed in particular for a collision with little overlap
KR20180069557A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대응하는 차체 보강구조
RU2416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удара
KR102095567B1 (ko) 차량의 범퍼 장치
KR20130063415A (ko) 충격 흡수 및 충격 차단 성능이 구비된 로워 스티프너 일체형 언더 커버
KR20140063198A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101755495B1 (ko) 전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KR20130136302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1704003B1 (ko) 보행자 보호장치
KR101518513B1 (ko) 쿨링모듈 파손 방지용 완충장치
CN105873808B (zh) 具有变形元件和纵梁的机动车车身
KR101588801B1 (ko) 전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KR20090058860A (ko) 차량의 크래쉬박스
KR20170071174A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조립구조
KR102027919B1 (ko)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585663B1 (ko) 캐리어 결합장치
GB2522613A (en) Front end impact structure
KR100368378B1 (ko)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KR101664848B1 (ko) 충돌성능을 만족하는 크래쉬박스 조립체
KR101371981B1 (ko) 자동차의 프론트엔드모듈 어셈블리
KR102237192B1 (ko) 필러넥 회피거동용 마운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