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378B1 -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 Google Patents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378B1
KR100368378B1 KR10-2000-0056764A KR20000056764A KR100368378B1 KR 100368378 B1 KR100368378 B1 KR 100368378B1 KR 20000056764 A KR20000056764 A KR 20000056764A KR 100368378 B1 KR100368378 B1 KR 10036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ole
headlamp
reinforcing rib
reinforcing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918A (ko
Inventor
김종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37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91Shock absorb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3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범퍼 등에 충격이 발생하여 그 충격이 헤드램프로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헤드램프의 손상을 방지하고 헤드램프의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좋게 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램프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마운팅부의 마운팅공을 확장하고 그 확장된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된 마운팅공에는 외부주연에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강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관통공과 마운팅공은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A Shock-Absorption Structure of Head-Lamp Mounting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램프 체결부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헤드램프 마운팅부의 마운팅공 내부주연에 보강리브를 형성시키고 이에 외부주연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안착시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서 범퍼에 충격이 발생해도 그 충격에너지를 상기 보강리브 들이 흡수하여 헤드램프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램프는 범퍼의 상부양측 어퍼멤버(Upper member)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범퍼에 충격이 발생하면 그 충격에너지가 헤드램프에 전달되어 상기 헤드램프가 손상(변형, 파손)되게 되는 바. 상기 헤드램프와 어퍼멤버간의 체결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램프 하우징(10)의 상부에 마운팅공(12)이 형성된 마운팅부(11)가 마련되고 어퍼멤버(43) 역시 마운팅공이 형성되어 볼트(30)와 너트(31)에 의해 직접 체결되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마운팅부(11)와 어퍼멤버(43)의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구조는 범퍼(41)에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에너지에 의해 범퍼(41)가 뒤로 밀리면서 헤드램프 하우징(10)의 상부 마운팅부(11)에 모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램프 하우징(10)은 상기 마운팅부(11)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파손됨으로 인하여 재사용 할 수 없게 되고 그에따른 새로운 헤드램프 하우징(10)으로 교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범퍼 등에 충격이 발생하여 그 충격이 헤드램프로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헤드램프의 손상을 방지하고 헤드램프의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좋게 하도록 한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전방 일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2는 헤드램프가 체결된 상태의 발췌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헤드램프 체결부 발췌 분해도
도 4는 종래의 헤드램프 체결부 발췌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 충격 흡수구조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 충격 흡수구조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 충격 흡수구조 결합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헤드램프 하우징 11 : 마운팅부
12 : 마운팅공 13 : 보강리브
20 : 보강부재 21 : 보강리브
22 : 관통공 30 : 볼트
31 : 너트 40 : 자동차
41 : 범퍼 42 : 헤드램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마운팅부의 마운팅공을 확장하고 그 확장된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된 마운팅공에는 외부주연에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강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관통공과 마운팅공은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돌기형태로 상기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외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돌기형태로 상기 보강부재의 외부주연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기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보강리브의 사이사이에는 보강부재의 외부주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보강리브가 끼워지고 상기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와 보강부재의 외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 충격 흡수구조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 충격 흡수구조 결합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 충격 흡수구조 결합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램프 하우징(10)의 상부에 볼트 체결하도록 마련된 마운팅부(11)의 마운팅공(12)을 확장하고 그 확장된 마운팅공(12)의 내부주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돌기형태의 보강리브(13)를 형성시켜 방사형태를 만든다.
상기 마운팅공(12)의 내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부(13)는 헤드램프 하우징(10)을 사출 할 때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강리브(13)가 형성된 마운팅공(12)에는 외부주연에 역시 돌기형태의 보강리브(21)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 보강부재(20)를 마련하여 방사형태를 만들고 그 방사형태의 보강부재(20)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마운팅공(12)의 내부주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보강리브(13)의 사이사이에는 보강부재(20)의 외부주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보강리브(21)가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마운팅부(11)의 마운팅공(12)에 보강부재(20)가 안착되면 상기 보강부재(20)의 관통공(22)과 마운팅부(11)의 마운팅공(12)을 볼트(30)가 관통하여 너트(31)에 의해서 안전하고 견고하게 체결된다.
단 상기 마운팅공(12)의 내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13)와 보강부재(20)의 외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21)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 등으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는 자동차(40)의 범퍼(41)에 충격이 발생하여 그 범퍼(41)가 밀리게 되면 그 충격에너지가 헤드램프(42)로 전달되고 그 충격에너지를 전달받은 헤드램프(42)는 마운팅부(11)로 전달되면서 상기 마운팅부(11)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공(12)에 안착된 보강부재(20)의 보강리브(21) 및 마운팅공(12)의 보강리브(13)는 상호 끼워져 있고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이 상호 움직이면서 상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헤드램프(42)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해 준다.
한편 마운팅공(12)의 내부주연에 방사형태의 보강리브(13)를 형성시키고 보강부재(20)의 외부주연에 방사형태의 보강리브(21)를 형성시켜 그들이 상호 끼워지게 한 아유는 충격 발생시 그 충격에너지를 분산 흡수하여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종래에 문제시되던 범퍼(41)의 충격발생에 의한 헤드램프(41)의 변형 및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재사용 할 수 있음으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는 조립작업시 소정의 유동성이 있음으로 작업성이 좋으며 조립 후에도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헤드램프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마운팅부의 마운팅공을 확장하고 그 확장된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등 간격으로 보강리브를 형성시킨 다음 이에 외부주연에 보강리브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보강부재를 안착시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서 범퍼에 충격이 발생해도 헤드램프를 안점하게 보호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헤드램프 하우징(10)의 상부에 마련된 마운팅부(11)의 마운팅공(12)을 확장하고 그 확장된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보강리브(13)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된 마운팅공에는 외부주연에 보강리브(21)가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22)이 형성된 보강부재(20)가 안착되고 상기 관통공과 마운팅공은 볼트(30)가 관통하여 너트(31)에 의해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돌기형태로 상기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외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돌기형태로 상기 보강부재의 외부주연 따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보강리브의 사이사이에는 보강부재의 외부주연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보강리브가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공의 내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와 보강부재의 외부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KR10-2000-0056764A 2000-09-27 2000-09-27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KR100368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764A KR100368378B1 (ko) 2000-09-27 2000-09-27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764A KR100368378B1 (ko) 2000-09-27 2000-09-27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918A KR20020024918A (ko) 2002-04-03
KR100368378B1 true KR100368378B1 (ko) 2003-01-24

Family

ID=1969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764A KR100368378B1 (ko) 2000-09-27 2000-09-27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3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918A (ko)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7548Y1 (ko) 가요성 도로 안전-가드
KR100368378B1 (ko) 헤드램프 체결부의 충격 흡수구조
KR200174349Y1 (ko) 자동차의 공압 실린더형 범퍼
KR0115985Y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JPS5846920Y2 (ja) 自動車用バンパ−サイドの取付構造
KR200146881Y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KR200152676Y1 (ko) 프론트 범퍼페시아 변형방지용 브라켓
KR200149005Y1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KR200267613Y1 (ko)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 범퍼의 레인포스먼트 범퍼 레일
KR200155469Y1 (ko) 차량용 전면범퍼구조
KR970001738B1 (ko) 차량의 범퍼마운팅 시스템
KR200171467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KR0171785B1 (ko) 접시형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차의 범퍼스테이
KR100368149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보스부의 장착구조
KR100407270B1 (ko) 차량의 리어 범퍼
KR100463402B1 (ko) 리어범퍼의 사이드 보강구조
KR0131417Y1 (ko) 자동차용 안개등 커버 취부구조
KR0125705Y1 (ko) 차량용 외장부품 장착구조
KR10023157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KR1003502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보강구조
KR100302359B1 (ko) 자동차의범퍼시스템
KR100381540B1 (ko) 자동차용 보조범퍼의 설치구조
KR19980048155U (ko) 범퍼사이드 처짐방지구조
JP2000108815A (ja) フロントバンパ取付構造
KR20040083280A (ko) 자동차 범퍼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