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200U -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200U
KR19980066200U KR2019970010576U KR19970010576U KR19980066200U KR 19980066200 U KR19980066200 U KR 19980066200U KR 2019970010576 U KR2019970010576 U KR 2019970010576U KR 19970010576 U KR19970010576 U KR 19970010576U KR 19980066200 U KR19980066200 U KR 199800662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ead rest
seat
seat ba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10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200U/ko
Publication of KR19980066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200U/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대략 장방형으로 된 헤드 레스트 몸체와, 상기 헤드 레스트 몸체를 시트 백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폴과, 상기 폴의 위치를 조절 및 록킹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폴을 두 개의 소부재로 분리, 형성하고, 이들 소부재를 힌지핀으로 연결하여 헤드 레스트 몸체를 시트 백에 대하여 그 후방으로 젖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는, 기본적으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베드형의 시트를 꾸미고자 하는 경우, 헤드 레스트를 충분히 위로 올리면, 폴의 하단 부근에 형성된 힌지부가 90°꺾이면서 후방으로 젖혀 폴딩시킬 수 있으므로 평탄한 베드형의 시트를 꾸밀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 증대로 인한 자동차의 상품성을 한 층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백의 후방으로 폴딩(Folding), 즉 접을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시트 백의 상부에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주는 헤드 레스트라는 것이 설치되어 운전의 피로를 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를 누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의 헤드 레스트는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헤드 레스트 몸체(1)와, 상기 헤드 레스트 몸체(1)를 시트 백(2)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폴(3)과, 상기 폴(3)의 위치를 조절 및 록킹하기 위한 록킹수단(도시예에는 생략되어 있음)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록킹수단은 폴(3)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수 개의 위치 조절용 홈(도시예에는 생략되어 있음)과, 시트 백(2)의 폴(3) 고정위치에 설치되는 록커(도시예에는 생략되어 있음)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헤드 레스트는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록킹수단으로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운전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 지지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헤드 레스트는 운전자 체형에 따라 그 높이만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로써, 예를 들어 미니 벤이나 소형 버스에서 소형 항공기 형식으로 중앙 통로를 두고 시트를 배치하는 형식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시트를 뒤로 젖혀 리어 시트와 함께 베드형의 시트를 꾸미는 경우, 프론트 시트에 있는 헤드 레스트가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에 얹혀지게 되어 평탄한 면을 이루지 않음에 따라 탑승자가 편히 누워 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백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백의 후방으로 폴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베드형의 시트를 꾸미고자 하는 경우 헤드 레스트가 튀어 나오지 않아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를 뒤로 누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 레스트를 갖는 시트를 베드형으로 꾸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상세도로써,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헤드 레스트를 갖는 시트 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헤드 레스트 몸체2 : 시트 백
3 : 폴3a, 3b : 소부재
4 : 힌지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헤드 레스트 몸체와, 상기 헤드 레스트 몸체를 시트 백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폴과, 상기 폴의 위치를 조절 및 록킹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폴을 두 개의 소부재로 분리, 형성하고, 이들 소부재를 힌지핀으로 연결하여 헤드 레스트 몸체를 시트 백에 대하여 그 후방으로 폴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의 힌지핀 위치는 힌지핀으로부터 헤드 레스트 하면까지의 거리와, 힌지핀으로부터 폴 끝단까지의 거리가 2 : 1이 되는 위치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는, 기본적으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 베드형의 시트를 꾸미고자 하는 경우, 헤드 레스트를 충분히 올려 뒤로 젖혀 폴딩시킬 수 있으므로 전면이 평탄한 베드형의 시트를 꾸밀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 증대로 인한 자동차의 상품성을 한 층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 레스트를 갖는 시트를 베드형으로 꾸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상세도로써,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의 헤드 레스트를 갖는 시트 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는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헤드 레스트 몸체(1)와, 상기 헤드 레스트 몸체(1)를 시트 백(2)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폴(3)과, 도시예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폴(3)의 위치를 조절 및 록킹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헤드 레스트와 같게 이루어지나, 본 고안은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백(2)의 후방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폴(3)이 두 개의 소부재(3a)(3b),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헤드 레스트 몸체(1)측 소부재(3a)와, 시트 백(2)측 소부재(3b)로 분리, 형성되어 있고, 이들 소부재(3a)(3b)의 결합부에는 각각 돌기부와 홈부가 형성되어, 이들 돌기부와 홈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핀(4)에 의해 회동이 가능한 채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 레스트를 시트 백(2)의 후방으로 접을 수 있어, 베드형의 시트를 꾸밀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헤드 레스트가 상부로 튀어나오지 않아 전면이 평탄한 시트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힌지핀(4)의 위치는 폴(3)의 끝단으로부터 헤드 레스트 몸체(1) 하면까지의 거리와, 폴(3)의 끝단으로부터 힌지핀(4)까지의 거리 비가 2 : 1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힌지핀부가 시트 백(2)에 내장되어 있으나, 헤드 레스트를 충분히 위로 올리면 힌지핀부가 노출되어 헤드 레스트를 접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는, 상기 헤드 레스트가 시트 백(2)의 뒤로 젖혀질 때, 상기 폴(3)의 힌지핀(4)이 시트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시트 백(2)의 후면부 상측을 낮게 성형함에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는, 기본적으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베드형의 시트를 꾸미고자 하는 경우, 헤드 레스트를 충분히 위로 올려 젖혀 폴딩시킬 수 있으므로, 전면이 평탄한 베드형의 시트를 꾸밀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 증대로 인한 자동차의 상품성을 한 층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헤드 레스트 몸체와, 상기 헤드 레스트 몸체를 시트 백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폴과, 상기 폴의 위치를 조절 및 록킹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폴을 두 개의 소부재로 분리, 형성하고, 이들 소부재를 힌지핀으로 연결하여 헤드 레스트 몸체를 시트 백에 대하여 그 후방으로 폴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힌지핀 위치는 힌지핀으로부터 헤드 레스트 하면까지의 거리와, 힌지핀으로부터 폴 끝단까지의 거리가 2 : 1이 되는 위치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2019970010576U 1997-05-13 1997-05-13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199800662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576U KR19980066200U (ko) 1997-05-13 1997-05-13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576U KR19980066200U (ko) 1997-05-13 1997-05-13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200U true KR19980066200U (ko) 1998-12-05

Family

ID=6967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576U KR19980066200U (ko) 1997-05-13 1997-05-13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20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39442A (ja) 自動車
US4065174A (en) Automotive seat convertible to a bed
KR100501117B1 (ko) 자동차용 전열 시트 조립체
KR20030043903A (ko) 간이침대 겸용 운송수단 시트
KR19980066200U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CN218577893U (zh) 车辆的驾驶室和车辆
KR19980059676A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19980035754U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CN218805361U (zh) 一种折叠式儿童安全座椅
JPH0232111Y2 (ko)
JPS6122506Y2 (ko)
JPS6132172B2 (ko)
JPH10305744A (ja) 分割状に着脱できる背もたれを設けた自動車用シート
JPH0110270Y2 (ko)
JP3268417B2 (ja) 自動車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備えた乗用車
JPH0110268Y2 (ko)
JPS633308Y2 (ko)
JPH0542654Y2 (ko)
KR970036771A (ko) 자동차용 시트구조
KR0125231Y1 (ko) 자동차용 드라이버 시트
JPH055066Y2 (ko)
KR0162134B1 (ko) 접이식 리어 시트
KR0125227Y1 (ko) 자동차 프론트 시트의 절첩구조
KR19980024585U (ko) 접이식 자동차용 리어 시트
KR200147457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