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421A -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 및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 Google Patents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 및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421A
KR19980064421A KR1019970071205A KR19970071205A KR19980064421A KR 19980064421 A KR19980064421 A KR 19980064421A KR 1019970071205 A KR1019970071205 A KR 1019970071205A KR 19970071205 A KR19970071205 A KR 19970071205A KR 19980064421 A KR19980064421 A KR 19980064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rolling
weigh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222B1 (ko
Inventor
하라구치유이치
야마시타마사유키
이치모토다케히코
미야모토겐이치
Original Assignee
고토다쿠야
가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토다쿠야, 가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토다쿠야
Publication of KR1998006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순환 시스템의 강판용 냉간압연기에 있어서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을 초과하는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고속 압연에 적당한 윤활성과 우수한 내스컴퇴적성과 양호한 실용성을 갖는 에멀션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 및 그것을 사용하는 고속압연방법을 제공한다.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a) 광물유 및/또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모노에스테르; (b) 유지; 및 (c)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불포화산의 다이머산 및/또는 폴리머산과 폴리올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잔존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알코올 또는 1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복합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d) 인계 극압제 또는 황계 극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 및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본 발명은 신규한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 및 그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순환 시스템에 사용되고 우수한 압연 윤활성, 강표면 품질성, 내압연기 오염성이 요구되는 냉간압연기에 사용하는데 적당한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에 관한 것이고 동시에 압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산성의 향상과 퇴적된 스컴(scum)으로부터 유도된 화재 위험성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윤활유를 사용하는 고속 압연방법, 보다 구체적으로 연질의 물질에 대해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문제들, 예를 들면 채터링 또는 열 스크래칭과 같은 윤활성의 저하, 압연기 주위의 스컴의 퇴적, 화재위험성, 외관의 악화 및 작업성의 악화를 일으키지 않는 고속압연을 할 수 있는 고속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성분으로서 우지 또는 팜유와 같은 천연발생 유지를 사용하고 오일성 향상제와 극압 첨가제, 방청제 및 산화방지제와 같은 윤활성분을 주성분에 배합하고 유화제와 분산제를 추가로 가하고 혼합물을 물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수성 에멀션이 지금까지 강판용 냉간압연유로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철강 제조기에 대해 압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이 현 생산설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면에서 달성되는 것이 큰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평균 압연속도로서 연질물질에 대해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물질에 대해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고속강판압연이 요구되는데, 예를 들면 요구된 압연속도가 생산라인에 의존하여 다양해지더라도 냉간압연유가 순환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연라인에서 요구된다. 천연발생 유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종래의 냉간압연유는 비용이 낮지만 다량의 스컴 퇴적, 순환안정성 저하 및 고속 압연의 불량한 윤활성을 포함하는 많은 문제를 갖는다. 게다가, 우지와 같은 고체 지방을 사용하여 제조한 종래의 압연유 사용은 압연기 주위에 스컴이 현저하게 퇴적되게 하고, 이것은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고 더욱이 화재 사고의 원인이 된다. 이런 이유로 고체지방이 없는 압연유를 사용하는 압연이 몇 년동안 이 기술분야에서 소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실온에서 고화되지 않는 액체 기제오일, 특히 합성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한 다양한 압연유가 제안되었고 이것은 고속 압연을 할 수 있다. 그 예는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한 압연유, 즉 이른바 장해 에스테르 (JP-A 6-108079 및 JP-A 6-322385) 및 복합에스테르와 조합한 장해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한 압연유(JP-A 6-279778)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압연유는 만족스러운 고속 압연성을 제공할 수 없고 압연기 주위에 스컴의 퇴적 감소를 위한 요구성능을 만족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압연유의 기제 오일의 점도 증가는 윤활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Hiroyasu Yamamoto et al., Sosei To Kakou, 37-422 (1996), 265). 그러나 비이온성 활성제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종래의 에멀션형 압연유는 슬립의 발생, 저하된 순환안정성 등이 발생되기 쉬워 생산성이 불리하게 저하되는 문제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JP-B 62-14599에 기재된 압연유 조성물은 우수한 순환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압연속도를 더 증가시키고 퇴적된 스컴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해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더욱이, JP-B 3-4600에는 합성 에스테르와 폴리머 분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압연기 청정형 압연유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압연유가 스컴의 퇴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더라도 압연속도 증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것을 여러 유형의 강판을 냉간압연하는데 사용할 때 종래의 압연유용 윤활유로는 달성될 수 없었던, 압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오일비용상승 및 장기간 동안의 순환안정성 저하의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내스컴 퇴적성, 내슬립성과 내시징(seizing)성 및 다른 특성들을 갖고 저가의 순환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압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것은 순환시스템에서 압연유를 사용하는 강판 냉간압연 라인에서 연질의 물질에 대해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채터링이나 열 스크래칭과 같은 윤활성의 저하없이 고속 압연을 하게 하고, 압연기 주위에 스컴의 퇴적을 감소시키면서 상기한 속도에서 고속압연을 하여 화재의 위험성, 악화된 외관 및 악화된 작업성의 문제를 피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연질의 물질은 강의 탄소함량이 0.11중량% 미만인 물질이고, 용어 경질의 물질은 강의 탄소함량이 0.11중량% 이상인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집중적인 연구를 하여 결과로서 (a) 광물유 및/또는 모노에스테르, (b) 유지 및 (c) 특정 복합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동점도 및 유동점을 갖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의 사용이 압연기 주위의 스컴의 퇴적을 감소시켜 화재의 위험성, 악화된 외관 및 악화된 작업성의 문제들을 피할 수 있고, 동시에 오일비용을 낮추면서 채터링 또는 열 스크래칭과 같은 윤활성의 저하를 야기하지 않고 고속 압연을 시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이것으로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상기 성분 이외에 (d) 인계 극압 첨가제 및/또는 황계 극압 첨가제의 사용이 더 고속에서 압연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10℃ 이하의 유동점과 40℃에서 60mm2/초(cSt) 이상의 동점도를 갖고 (a) 광물유 및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모노에스테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員) 5 내지 40중량% 미만; (b) 유지 5 내지 70중량%; 및 (c)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불포화산의 다이머산 및 폴리머산중에 선택된 적어도 1원 및 폴리올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잔존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알코올 또는 1가 지방산과 에스테르화된, 75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복합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성분과 또한 (d) 인계 극압제 및 황계 극압제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으로 이루어지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수중유형의 분산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소정의 냉간압연 조건하에서 특정 복합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의 사용이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고속 압연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았고, 이것으로 고속 압연방법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냉간압연기에서 강판을 1.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압연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의 냉간압연방법이 제공되어 있고,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불포화산의 다이머산 및 폴리머산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및 폴리올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잔존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알코올 또는 1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75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복합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를 윤활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를 사용하고, 윤활유는 60mm2/초(40℃) 이상의 동점도, 10℃ 이하의 유동점 및 140mPa·s 이상의 고압점도를 갖는다. 윤활유는 유지 5 내지 70중량%, 광물유 및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모노에스테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5 내지 70중량%, 그리고 인계 극압제 및 황계 극압제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0.5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복합에스테르(c)에 의해 종래의 우지계 압연유용 윤활유보다 나은 윤활성을 제공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 입경의 증가로 인한 슬립의 발생이 없어 고속 압연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윤활유가 복합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소정의 고압 점도를 가질 때 냉간압연기에서 1.5mm 이하의 판 두께로 강판 압연시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고속압연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성분(a)는 압연기 주위의 스컴의 퇴적을 감소시키고, 화재의 위험성 및 외관 및 작업성의 악화를 감소시킨다. 성분(b)의 배합으로 세정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종래의 합성에스테르계 압연유용 윤활유보다 더 저가인 윤활유가 될 수 있고 게다가 종래의 합성에스테르계 압연유용 윤활유에서 유도된 조업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압연유용 윤활유의 농도 저하, 스컴등의 발생으로 악화된 오일유니트 요구 저하는 강판이 종래의 우지계 압연유용 윤활유를 사용하는 강판 제조보다 높은 효과를 저가로 유리하게 제조되게 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제는 (a) 광물유 및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모노에스테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5 내지 40중량% 미만; (b) 유지 5 내지 70중량%; 및 (c)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불포화산의 다이머산 또는 폴리머산중에 선택된 적어도 1원 및 폴리올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잔존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알코올 또는 1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75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복합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이루어진다.
성분(a)로서 유용한 광물유는, 예를 들면 스핀들유, 터빈유, 실린더유 및 뉴트랄유와 같은 파라핀 광물유, 머신유와 같은 나프텐 광물유 및 방향족 광물유를 포함한다. 이들 광물유는 스컴의 용해에 기여하고 압연기 주위 부분의 청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파라핀 광물유는 내열성 및 윤활성의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광물유의 점도는 30mm2/초(40℃) 이하가 압연기 주위 부분의 청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에스테르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산 및 1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1가 알코올로부터 제조되고, 그 각각의 예는 메틸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옥틸스테아레이트, 라우릴스테아레이트, 메틸올레에이트, 이소데실올레에이트, 부틸팔미테이트, 메틸베헤네이트, 우지지방산의 메틸에스테르, 팜유 지방산의 부틸에스테르, 코코넛유 지방산의 2-에틸헥실에스테르 및 팜유 지방산의 라우릴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광물유와 같이 상기 모노에스테르는 스컴의 용해에 기여하고 압연기 주위 부분의 청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스컴 용해능의 면에서 모노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모노에스테르에 사용된 지방족 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알코올 각각이 22 탄소원자보다 많고 12 탄소원자보다 많을 때 스컴 용해능은 저하되기 쉽다. 한편, 지방족 카르복실산이 12 탄소원자보다 적으면 윤활성이 저하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카르복실산은 12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고 지방족 알코올은 4 내지 10 탄소원자를 갖는다.
단일 광물유 또는 모노에스테르는 성분(a)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둘 이상의 광물유 또는 모노에스테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성분(a)의 양은 스컴 용해능, 즉 압연기 주위 부분의 청정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윤활성 사이의 균형제공면에서 윤활유에 기초하여 5 내지 40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b)로서 유용한 유지는 우지, 우지올레인, 라드, 홍화기름, 유채유, 피마자유, 팜유, 정제 팜유, 팜 올레인, 및 코코넛유와 같은 동물성 그리고 식물성 오일을 포함한다. 성분(b)로서의 유지는 실질적으로 윤활성을 유지하면서 오일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유지가 실온 이하의 융점을 가질 때 또한 압연기 주위부분의 청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 향상 효과는 융점이 10℃ 이하일 때 유의해진다. 단일종류의 유지는 성분(b)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둘 이상 종류의 유지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한 성분(b)의 양은 오일 비용의 저하와 윤활성 사이의 균형 제공면에서 윤활유에 기초하여 5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성분으로서 성분(c)는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불포화산의 다이머산 및 폴리머산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및 폴리올로부터 제조되고 잔존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의 알코올 또는 1가의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복합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복합에스테르는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의 부분이 그 안에 잔존하고 폴리올, 1가 알코올이나 1가 지방산, 다이머산 또는 폴리머산과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복합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다수의 히드록실기가 복합에스테르에 잔존할 때 윤활성은 바람직하지 않게 저하된다. 복합에스테르의 히드록실가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복합에스테르의 산가가 과도하게 높으면 열안정성 및 에멀션 안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본문에서 사용한 다이머산 및 폴리머산은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모노엔산 또는 디엔산으로부터 유도된 것들이고, 그 예는 주마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가돌레산 및 톨유 지방산의 다이머산 및 폴리머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18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모노엔산 또는 디엔산의 다이머산 및 폴리머산이다.
본문에서 유용한 폴리올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부탄디올, 펜탄디올,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글리세린, 폴리올 및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또는 부틸렌옥시드와 같은 알킬렌옥시드와 폴리올의 부가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스리톨이다.
본문에서 유용한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알코올, 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올레일알코올을 포함한다. 본문에서 유용한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지방산은, 예를 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에루스산, 우지 지방산, 팜유 지방산 및 코코넛유 지방산을 포함한다.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알코올 및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팔미틱알코올, 스테아르산, 올레산, 우지지방산, 팜유지방산 및 코코넛유 지방산을 포함한다.
윤활성분(c)로서 복합에스테르는 윤활성분으로 지금까지 사용된 우지와 같은 유지와 비교하여 다수의 에스테르기와 높은 동점도를 갖고 따라서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유의한 효과도 갖는다. 복합에스테르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2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7,500이다. 분자량이 750 미만이면 윤활성이 유지의 것보다 불량해진다. 한편, 20,000보다 큰 분자량은 윤활성분의 용해성이 저하되고 점도가 증가되기 쉽고 종종 핸들링과 연관된 문제가 생긴다. 본문에서 사용된 용어 분자량은 표준 물질로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으로 언급된다.
단일 복합에스테르가 윤활성분(c)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둘 이상의 복합에스테르가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한 성분(c)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윤활성분에 기초하여 20 내지 90중량%의 범위에 있다. 양이 20중량% 미만이면 윤활성 향상 효과는 많이 기대할 수 없다. 윤활성과 오일 비용 사이의 균형 제공면에서 30 내지 60중량%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양이 60중량%를 초과하더라도 그러한 윤활유는 장래에 2,500m/분을 초과하는 속도에서 고속압연에 실용화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60mm2/초(40℃) 이상의 동점도 및 10℃ 이하의 유동점을 갖는다. 동점도가 60mm2/초(40℃)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를 사용하여 제조한 압연유와 종래의 우지계 압연유 사이의 윤활성 차가 적어진다. 동점도는 바람직하게는 65mm2/초(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mm2/초(40℃) 이상이다. 유동점이 10℃보다 높으면 겨울철에 유동성이 나빠져 내스컴 퇴적성이 저하되기 쉽다.
윤활성분(a) 내지 (c)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동점도와 유동점을 갖는 상기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의 사용은 슬립, 채터링 및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고속압연을 할 수 있고 압연기 주위의 스컴 퇴적성을 저하시켜 화재 위험성, 외관의 악화 및 작업성 악화의 문제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게다가 오일 비용의 상승도 피할 수 있다. 연질의 물질에 대해 달성할 수 있는 압연속도는 연질의 물질에 대해 1,700 내지 2,800m/분, 바람직하게는 1,750 내지 2,800m/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800 내지 2,800m/분이다. 경질의 물질에 대해 달성할 수 있는 압연속도는 1,500 내지 2,500m/분, 바람직하게는 1,550 내지 2,500m/분이다.
본 발명에서, 윤활유는 (d) 인계 및 황계 극압 첨가제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문에서 유용한 인계 극압 첨가제는, 예를 들면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올레일포스페이트, 디옥틸산포스페이트, 디라우릴산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파이트, 트리올레일포스파이트, 디트리데실산포스파이트, 디올레일산포스파이트, 및 모노-2-에틸헥실산포스페이트의 방향족 아민염을 포함한다. 본문에서 유용한 황계 극압 첨가제는, 예를 들면 황화 라드, 황화 우지와 황화 식물성 오일 에스테르, 황화 올레핀 및 황화 광물유(각각 활성형 및 불활성형)와 같은 황화 유지, 디벤질디술피드, 디-3차-부틸디술피드, 및 아연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성분(d)로서 인계 극압 첨가제 또는 황계 극압 첨가제의 첨가는 내시징성에 기여하고 압연속도를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단일 인계 극압 첨가제 또는 황계 극압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둘 이상의 인계 극압 첨가제 또는 황계 극압 첨가제를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가한 성분(d)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윤활유에 기초하여 0.5 내지 5중량%의 범위내에 있다. 성분(d)의 양이 클수록 윤활성이 좋아진다. 5중량%를 초과하여 가한 성분(d)의 양은 오일 비용이 상승되고 내시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기가 쉽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한 성분(d)의 양은 오일비용과 윤활성 향상 효과 사이의 균형면에서 1.0 내지 3중량%의 범위내에 있다.
성분(d)의 배합은 압연기 주위에 스컴의 퇴적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화재 위험성, 외관의 악화 및 작업성 악화를 피하면서 슬립, 채터링 및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추가의 고속압연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윤활성분이 수용성 분산제에 의해 물에 분산될 때 수분산형 압연유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압연유용 윤활유는 오일(윤활제) 단독의 형태로 언급되고 일반적으로 이 형태로 시중 구입가능하다. 한편, 압연유는 물에 분산된 압연유용 윤활유로 이루어지는 오일로 언급된다. 일반적으로 오일은 냉간압연에서 작업섹션에 압연유의 형태로 공급된다. 종종 압연유는 압연유 에멀션 또는 냉각제로 명명된다. 더욱이, 본문에 언급된 수분산형 압연유용 윤활유는 물과 혼합될 때 윤활유가 그 안에 분산되도록 작용하는 수용성 분산제를 함유하는 압연유용 윤활유를 의미한다.
수용성 분산제는 윤활유에 함유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윤활유로부터 별도로 공급될 수 있고 윤활유 및 물과 혼합하여 에멀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필요하면 하기할 다른 윤활성분(d) 및 오일성 향상제, 극압 첨가제, 산화방지제 등을 성분(a) 내지 (c)로 이루어지는 윤활성분에 가하여 윤활유를 형성하고 분산제를 윤활유에 가하여 물에 분산시켰다. 이 경우에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혼합비는 수분산형 압연유 조성물중의 윤활유 농도가 1 내지 20%가 되게 한다. 이 농도가 1% 미만이면 압연유로서 만족스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20%를 초과하면 증가량을 상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가 어려워진다.
종래의 분산제는 수용성 분산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가한 수용성 분산제 양은 윤활유에 기초하여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이다. 수용성 분산제의 예는 평균분자량 1,000 내지 10,000,000을 갖고 다음 폴리머 ① 내지 ⑦중에서 선택된 원인 수용성 양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및 수용성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분산제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① 적어도 한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 또는 그 염 또는 4차 암모늄염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② 적어도 한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 또는 그 염 또는 4차 암모늄염과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중 어떤 것도 함유하지 않은 비닐 모노머 또는 그 염의 코폴리머;
③ 에틸렌이민의 개환 폴리머의 염 또는 4차 암모늄 염;
④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폴리에틸렌 폴리아민 또는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의 중축합물의 염 또는 4차 암모늄염;
⑤ 디할로알칸/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폴리머;
⑥ 에피할로히드린/아민 중축합물; 및
⑦ 키토산염 또는 전분, 또는 셀룰로스 또는 그것의 양이온 변형된 생성물. 상기 수용성 양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및 수용성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은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함유해야 한다. 더욱이, 카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다른 기가 분자내에 존재할 수 있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1) 다음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로 나타낸, 적어도 한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이하 질소-함유 비닐 모노머로 언급됨)의 염 또는 4차 암모늄염의 호모폴리머, 또는 그것들중 둘 이상의 코폴리머:
상기식에서 A는 -O- 또는 -NH-를 나타내고; n1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1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R2및 R3은 각각 H, CH3또는 C2H5를 나타내고;
상기식에서 R1, R2, R3및 n1은 화학식 1과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고;
상기식에서 R1은 화학식 1과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고; 피리딘은 위치 2 또는 4에서 치환되고;
상기식에서 R1및 R2는 화학식 1과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고; 피리딘은 위치 2 또는 4에서 치환되고;
상기식에서 R1, R2및 R3은 화학식 1과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다.
이들 모노머의 구체에는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및 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와 같은 화학식 1로 나타낸 모노머; 디메틸아미노메틸에틸렌, 디에틸아미노메틸에틸렌, 디메틸아미노메틸프로펜 및 디에틸아미노메틸프로펜과 같은 화학식 2로 나타낸 모노머; 비닐피리딘과 같은 화학식 3으로 나타낸 모노머; 비닐피페리딘 및 비닐-N-메틸피페리딘과 같은 화학식 4로 나타낸 모노머; 및 비닐벤질아민 및 비닐-N,N-디메틸벤질아민과 같은 화학식 5로 나타낸 모노머를 포함한다.
이들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중에서 1,000 내지 10,000,000의 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2)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로 나타낸 질소함유 비닐모노머 및 그 염 및 4차 암모늄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염 및 유도체,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비닐 화합물 및 그 염, 아크릴로니트릴, 비닐피롤리돈 및 2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고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둘다 함유하지 않은 지방족 올레핀중에서 선택된 비닐 모노머(이하 비닐 모노머로 언급됨)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의 코폴리머.
이 비닐 모노머의 구체예는 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및 알칼리금속염, 암모늄염, 이들 산의 아미드 화합물 및 에스테르화 생성물; 비닐술폰산, 메탈릴술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p-스티렌술폰산, 및 이들 산의 알칼리금속 및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질소함유 비닐 모노머와 비닐 모노머의 코폴리머중에서 1,000 내지 10,000,000의 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3) 에틸렌이민의 개환 폴리머의 염 또는 4차 암모늄 염.
그 구체예는 다음 화학식 6으로 나타낸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고 1,000 내지 10,000,000의 평균분자량을 갖는다:
상기식에서 n2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n3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4)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폴리에틸렌폴리아민 또는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의 중축합물의 염 또는 4차 암모늄염.
그 구체예는 화학식 7로 나타낸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폴리아민과의 중축합물 및 화학식 8로 나타낸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과의 중축합물을 포함하고, 중축합물은 1,000 내지 10,000,000의 분자량을 갖는다:
상기식에서 R4는 1 내지 10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기 또는 다이머산 잔기를 나타내고, R'는 -CH2CH2-를 나타내고 n4는 2 내지 7의 정수이고;
상기식에서 R4는 화학식 7과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고 R5는 1 내지 8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H 또는 CH3을 나타내고 n5및 n6은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본문에서 유용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다이머산 및 아디프산을 포함하고, 본문에서 유용한 폴리에틸렌폴리아민은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트리에틸렌테트라민을 포함한다.
(5) 디할로알칸/폴리알킬렌폴리아민 중축합물.
그 구체예는 1,2-디클로로에탄, 1,2-디브로모에탄 또는 1,3-디클로로프로판과 같은 디할로알칸과 그 분자내에 둘 이상의 3차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의 중축합물의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고, 중축합물의 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00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은 다음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6) 에피할로히드린/아민 중축합물.
그 구체예는 다음 화학식 9로 나타낸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고 1,000 내지 10,000,000의 평균분자량을 갖는다:
상기식에서 R7내지 R9는 각각 CH3또는 C2H5를 나타내고 X-는 할라이드 이온을 나타낸다.
(7) 키토산 염 또는 전분, 또는 셀룰로스 또는 그것의 양이온 변형된 생성물.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1) 내지 (6)은 10,000 내지 1,000,000의 평균분자량을 갖는다.
수용성 양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또는 수용성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질소함유 비닐모노머의 염 또는 4차 암모늄염을 형성하기 위한 반대이온으로서 음이온은 술페이트,니트레이트, 클로라이드, 글리콜레이트, 아세테이트 및 포스페이트 이온을 포함한다. 이들중에서 산성 포스페이트기를 갖는 유기 또는 무기 포스페이트 이온 또는 보레이트 이온은 윤활성 또는 방청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이온 이외의 반대이온의 사용도 포함된다.
이들 수용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이들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은 전체 압연유 조성물에 기초하여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수용성 양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및 수용성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 (1) 내지 (7)의 작용 및 메카니즘은 아직 완전하게 설명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수층에 완전하게 그리고 균일하게 용해된 수용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은 병합이 시작되기 전에 기계적 전단력에 따라 미세한 윤활유 성분의 입자를 흡착한다. 폴리머 화합물은 자체의 입자들중에서 일종의 응집작용에 의해 오일입자를 큰 입자로 성장시키고 또한 입체적이고 전기적인 보호콜로이드 작용으로 큰 입자를 안정하게 물에 분산시킨다.
보다 바람직한 수용성 분산제는 수용성 양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및 수용성 양쪽성 폴리머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이고 이것은 1,000 내지 1,000,000의 평균분자량을 갖고 적어도 한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 및 그 염 및 4차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와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 및 그 염중 어떤 것도 함유하지 않은 비닐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중에서 선택된 폴리머이다. 그것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상기 화합물 (1) 및 (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의 사용으로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압연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압연은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에 윤활유를 단독으로 유화시킴으로써 제조한 에멀션형 압연유는 오일을 강판에 불균일하게 퇴적시켜 슬립 또는 채터링을 일으키고, 따라서 만족스런 고속압연을 시행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상기 분산제의 사용에 의한 수분산형 압연유의 제조는 작업할 부분을 습식화하면서 기제오일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어 슬립, 채터링 등이 일어나지 않는 고속 압연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압연유는 Du Nouy 장력계로 25℃에서 측정할 때 40mN/m 이상의 계면장력을 갖는다. 주 유화제로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윤활유 에멀션은 낮은 계면장력과 친유성을 갖는다. 따라서 불량한 압연유 습식성 및 불량한 냉각성을 갖는다. 반대로 주 유화제로서 수용성 분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상기 에멀션은 높은 계면장력과 친수성을 갖는다. 그러한 에멀션은 우수한 에멀션 안정성을 갖고 또한 양호한 압연유 습식성 및 냉각성은 이 에멀션이 고속 압연에 사용하는데 적당하게 한다. 특히, 상기 특성들은 계면장력이 40mN/m 이상일 때 우수하다. 45 내지 70mN/m의 계면장력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는 상기 성분들 외에 임의의 첨가제, 예를 들면 다른 윤활제, 오일성 향상제, 방청제, 산화방지제 및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문에서 유용한 다른 윤활제는 다가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장해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본문에서 유용한 오일성 향상제는, 예를 들면 올레산, 우지 지방산, 팜유 지방산 및 톨유 지방산의 폴리머산과 같은 지방산을 포함한다. 그것들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에 약 10중량%까지의 양으로 가할 수 있다.
본문에서 유용한 방청제는, 예를 들면 알켄일숙신산과 그 유도체,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및 다른 아민을 포함한다. 그것들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에 약 2중량%까지의 양으로 가할 수 있다.
본문에서 유용한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2,4-디-tert-부틸-p-크레졸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과 같은 페놀 화합물, 그리고 페닐-α-나프틸아민 및 페노티아진과 같은 방향족 아민을 포함한다. 그것들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에 약 5중량%까지의 양으로 가할 수 있다.
본문에서 유용한 유화제는, 예를 들면 올레산의 트리에탄올아민염 및 석유 술포네이트의 나트륨염과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그것들은 윤활성에 대해 역효과를 갖지 않을 그러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속압연방법에 따라,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의 고속압연은 냉간압연기에서 1.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 강판을 압연하는데 있어서 성분(c)로서 상기한 특정 복합에스테르의 2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를 윤활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윤활유는 60mm2/초(40℃) 이상의 동점도, 10℃ 이하의 유동점 및 140mPa·s 이상의 고압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고속압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 강판을 압연하는데 적당하다. 강판의 냉간압연은 판두께의 감소로 인한 저하된 생산성의 문제를 갖는다. 특히, 0.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판의 경우에 작업 열로 인한 판의 온도 상승은 현저하고 빈번하게 열스크래칭이 일어난다. 이 경우에 종래의 우지계 냉간압연유의 사용은 압연속도를 증가시킬 수 없어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같은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압연속도는 판 두께의 감소량에 대응하는 정도로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오일에서 압연속도의 저하는 불가피하다. 장래에 박판에 대한 작업기술의 진보 및 강판의 장력 증가로 더욱 더 판두께가 감소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 경우에 생산성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기 위해 0.5mm 이하의 판두께에서 압연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고속압연방법은 140mPa·s 이상의 고속점도를 필요로 한다. 본문에서 언급된 고속 점도는 다음 수학식 1로 결정되고:
η = ηo· exp (α · P)
상기식에서 η은 130℃ 및 300MPa에서 윤활유의 고압 점도(단위: mPa·s)를 나타내고, ηo은 130℃ 및 0.1MPa에서 윤활유의 상압 점도(단위: mPa·s)를 나타내고, P는 윤활유에 적용된 압력 300MPa를 나타내고, α는 윤활유의 압력점도계수(단위: KPa-1×105)를 나타내고 다음 수학식 2로 결정되고:
α = (0.1657 + 0.2332 · Logηo) · mo
상기식에서 mo은 온도-점도 계수(단위: K-1)를 나타내고 다음 ASTM-Walther의 방정식에 의해 대기압하에서 두 온도 레벨에서 윤활유의 점도 측정 결과로부터 결정되고:
Log(Log(ηm+ 0.7)) = -mq· LogT + n
상기식에서 ηm은 두 온도레벨에서 윤활유의 점도(mm2/초)를 나타내고 T는 온도(K)를 나타내고 n은 상수이다.
물에 분산된 압연유용 윤활유의 에멀션은 강판의 냉간압연에서 윤활제로도 쓰이는 냉각제로 사용된다. O/W 에멀션을 압연섹션의 입구에서 고압섹션에서 탈유화시키고 오일만을 작업섹션으로 도입하고, 반면에 물은 배수하고 작업섹션에 거의도입되지 않는다. 작업섹션으로 도입된 오일양 및 경계마찰계수는 압연윤활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이들 중에서 경계마찰계수(금속표면상에서 거칠게 흡착된 막을 형성하는 정도)는 윤활유 조성물에 의해 측정되고 작업섹션으로 도입된 오일 양은 압연을 위한 입구에서 고온, 고압조건(일반적으로 100℃ 내지 150℃, 100 내지 700MPa)하에서 윤활유 점도에 의해 측정된다. 점도가 적당하고 작업섹션으로 도입된 오일양이 증가되면 강판과 압연롤 사이의 접촉율은 작아지고 열 스크래칭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압연방법에서, 130℃ 및 300MPa에서 윤활유의 고압점도는 140mPa·s 이상이다. 이 경우에 작업섹션으로 도입된 오일양은 종래의 우지계 냉간압연유의 것보다 많고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고속압연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70 내지 300mPa·s의 윤활유의 고압점도는 더 고속압연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이, 윤활유의 고압점도는 장래에 고속압연에 대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mPa·s이다.
고압점도 η의 계산방법의 예를 설명할 것이다. 처음에 40℃ 및 100℃에서 윤활유의 동점도를 측정한다. 측정결과를 두 변수가 있는 연립방정식을 확립하기 위해 ASTM-Walther의 방정식에 대입하고 mo및 n을 구한다. 다음에 130℃에서 동점도 ηo를 ASTM-Walther의 방정식에 따라 계산하고 mo과 함께 압력-점도 계수 α를 계산하기 위해 수학식 2에 대입한다. 마지막으로 130℃ 및 300MPa에서의 점도 η는 300MPa 및 상기 계산한 α 및 ηo을 대입함으로써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다.
윤활유는 성분(b)로서 상기한 유지 5 내지 7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는 단독으로 또는 그것들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가한 유지의 양은 윤활유에 기초하여 5 내지 7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가한 유지의 양이 70중량%를 초과하면 복합에스테르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윤활성 향상효과를 달성하기가 어려워진다. 한편, 5중량%보다 작으면 오일비용의 감소 효과가 지나치게 저하된다. 오일비용 감소와 윤활성 사이의 균형면에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압연방법에 사용한 윤활유는 광물유 및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에서 제조된 모노에스테르중에서 선택된 성분(a)로서 상기한 적어도 1원 5 내지 7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물유 또는 모노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그것들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한 광물유 또는 모노에스테르의 양은 윤활유에 기초하여 5 내지 70중량%일 수 있다. 양이 70중량%를 초과하면 윤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반면에 5중량%보다 작으면 스컴 용해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압연기 주위부분의 청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가 어려워진다. 가한 광물유 또는 모노에스테르의 양은 압연기 주위부분의 청정과 윤활성 사이의 균형면에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이다.
윤활유는 인계 극압제 및 황계 극압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0.5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속압연방법에서 윤활유는 수용성 분산제에 의해 물에 윤활성분을 분산시킴으로써 수분산형 압연유로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 수용성 분산제는 윤활유에 함유될 수 있다. 대안으로, 윤활유로부터 별도로 공급될 수 있고 윤활유와 물을 혼합하여 에멀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희석시켜 수분산형 압연유 조성물의 윤활유의 농도를 1 내지 20%로 한다. 상기 경우에서 농도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종래의 분산제는 수용성 분산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가한 수용성 분산제의 양은 윤활유에 기초하여 0.1 내지 10중량%의 범위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얻은 압연유는 Du Nouy 장력계로 25℃에서 측정한 40mN/m 이상의 계면장력을 갖는다.
작용
본 발명에 따른 압연유용 윤활유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한 수분산형 압연유에서 윤활유의 분산입자는 적당한 입경을 갖고 균일한 에멀션 분산 및 입경 분포는 장기간동안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분산형 압연유가 냉간압연유로 순환하면서 사용될 때 초기 양호한 압연 윤활성은 장기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작업부가 고속압연에서와 같은 고온상태로 될 때 고점성 기제오일을 사용하여 제조한 종래의 에멀션형 압연유의 사용은 오일을 불균일하게 퇴적시켜 슬립 또는 채터링을 일으키고 반면에 압연유의 수분산형 압연유로의 형태는 기제오일이 작업부를 습식화하면서 작업부에 균일하게 확산되게 하여 고점도 기제오일로부터 유도된 슬립 또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의 발달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롤과 강판 사이의 계면에서 마찰열로부터 유도된 온도 상승이 고 점도 및 고 내시징성을 갖는 기제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억제되기 때문에 고속압연동안 시징이 일어나지 않는다. 더욱이, 유동점이 10℃ 이하이기 때문에 내스컴퇴적성은 겨울철에도 실질적으로 저하되지 않는다. 게다가 고 점도 및 고 내시징성을 갖는 기제오일의 사용은 오일 확장하는 동안에 퇴적된 오일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압연후에 강판면상에 퇴적된 오일양이 적어 세정성이 저하되지 않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본 발명의 고속압연방법에 따라서 윤활유는 양호한 압연윤활성을 갖고 소정의 고압점도를 만족시키면 작업부에 도입된 오일양은 양호한 레벨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 달성된 것보다 빠른,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 이상의 고속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1.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 강판을 압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지만, 이들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에 1 내지 8
표 1 및 표 2에 명시된 다양한 압연유용 윤활유 성분(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8)을 함께 혼합하고 60 내지 90℃에서 가열하면서 DC 교반기로 교반하여 균일한 오일을 제조하였다. 다음에 오일 및 수돗물을 시험조건문단에서 하기할 오일농도로 함께 혼합하고 혼합물을 가열하고 호모믹서로 교반하여 에멀션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은 에멀션을 다음 시험예에서 윤활성, 청정성, 내스컴퇴적성, 입경안정성 및 고속압연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시험예 1 (압연 시험)
상기 제조한 여러 압연유용 윤활유에 이단압연기(폭 200mmø×200mm 폭, SUJ-2, Hs=90)로 다음 조건하에서 스트립 단일패스 압연시험을 행하여 40%의 압하율일 때 압연하중(tonf/m)에 의해 윤활성을 평가하였다. 압연하중이 종래의 시중 구입가능한 우지계 냉간압연유용 윤활유에서 압연하중 95%보다 낮으면 윤활성은 양호하다고 간주된다. 압연 강판을 다음 조건하에서 청정하여 물-습식 면적율(%)에 의해 오일 청정성을 평가하였다. 물-습식 면적율이 80% 이상이면 오일 청정성은 양호하다고 간주된다.
(압연 조건)
압연재: 연강(SPCC-B, 30mm 폭×700mm 길이×2mm 두께, Ra: 0.02㎛)
롤 조도: 연마지에 의해 압연방향으로 연마하여 조도 Ra를 0.3 내지 0.4㎛(Rz: 2.8 내지 3.2㎛)로 조정한다.
판온도: 100℃
압연속도: 400m/분
압하율: 40%
압연판수: 2
압연유 농도: 3부피%
압연유 온도: 60℃
교반 조건: M형 호모믹서, 9,000rpm
분무량: 2ℓ/분, 1kgf/cm2
(청정 조건)
청정액: 2% 가성소다+0.1%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HLB=12.4)+0.1% 글루콘 산나트륨용액
탈지 방법: 침지→전해→브러쉬→린스
침지 조건: 80℃, 1초
전해 조건: 80℃, 5A/dm2, 1초
브러쉬 조건: 50rpm 역방향, 1회
린스 조건: 50℃에서 온수로 분무(1ℓ/분×3초)
시험예 2 (연속압연시험)
상기 제조한 여러 압연유용 윤활유에 이단 압연기로 다음 조건하에서 코일장력 3 패스 압연시험을 행하여 퇴적된 스컴 양(g)에 의해 내스컴퇴적성을 평가하였다. 퇴적된 스컴 양이 종래의 시중구입가능한 우지계 냉간압연유용 윤활유에서 50%보다 적으면, 내스컴퇴적성이 양호하다고 간주된다. 더욱이, 시험 전후의 에멀션의 입경을 컬터(Coulter) 카운터로 측정하고 입경안정성을 평균입경(부피 분포) 변화량의 절대값(㎛)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균입경 변화량의 절대값이 2㎛ 이하이면 입경안정성은 양호하다고 간주된다.
(압연 조건)
압연재: 연강(SPCC-D, 50mm 폭×100mm 길이× 1mm 두께, Ra: 0.5㎛)
롤 조도: Ra를 1.5㎛로 조정
판 온도: 상온
압연 속도: 10m/분
압연 장력: 7kgf/mm2
압하율: 각 패스에 대해 25%
(전체 감소율: 58%)
압연유 농도: 3부피%
용액 조건: 60℃, 10ℓ
교반 조건: M형 호모믹서, 9,000rpm
분무량: 1ℓ/분, 1kgf/cm2, 노즐 상하 각 1개
분위기 온도: 20℃
시험예 3 (고속압연시험)
상기 제조한 여러 압연유용 윤활유에 대해 박판의 고속압연을 다음 조건하에서 시행하여 압연을 열 스크래칭과 슬립이 일어나지 않게 시행할 수 있는 최대 압연속도(m/분)로 고속압연성을 평가하였다(연질의 물질에 대한 평가는 고속 압연성 1로 나타나고 경질의 물질에 대한 평가는 고속 압연성 2로 나타난다). 최대압연속도가 고속압연성 1에 대해 1,700m/분 이상이거나 또는 최대압연속도가 고속압연성 2에 대해 1,500m/분 이상이면 특히 양호하다고 간주된다.
(압연 조건)
압연기: 한 방향식 이단 압연기(530mmø×120mm 폭, 특수강, Hs: 90)
압연재: 연강(SPCC-B, C=0.08중량%, 30mm 폭×700mm 길이×2.0mm 두께, Ra: 0.02 ㎛)
롤 조도 Ra: 0.3㎛
판 온도: 100℃
압연속도: 500 내지 2,000m/분
압하율: 35%
압연유 농도: 4부피%
용액 조건: 60℃, 20ℓ
교반 조건: M형 호모믹서, 9,000rpm
분무량: 1ℓ/분, 1kgf/cm2
발명예
No. 1 2 3 4 5 6 7 8 9
윤활유조성(중량%) 성분(a) 광물유 A 17 16
광물유 B 25 12
모노에스테르 A 19
모노에스테르 B 14 15 20 42
성분(b) 유지 A 30 33 13 57
유지 B 35 20
유지 C 25
성분(c) 복합에스테르 A 36 59 40 70
복합에스테르 B 38 30 42
복합에스테르 C 45 35
성분(d) 극압제 A 2 1 2 1
극압제 B 1
극압제 C 1
분산제 분산제 A 1 1 1
분산제 B 1 1
분산제 C 1 1 1
분산제 D 2
다른 첨가제 A: 7B: 1C: 1J: 1 A: 3 A: 6B: 1C: 2D: 1 A: 4C: 1 A: 5B: 1C: 1 A: 5B: 1C: 1D: 1 A: 3B: 1C: 1F:24 A: 3B: 1C: 1E:10 A: 4B: 1C: 2
동점도 (mm2·s-1/40℃) 69.4 85.4 74.9 104.4 62.3 78.4 115.0 81.0 97.0
동점도 (mm2·s-1/100℃) 13.3 16.1 13.9 18.1 12.0 14.4 19.2 14.8 16.4
고압점도 (mPa·s) 166 203 179 248 150 187 272 193 231
유동점 (℃) 0 8 3 0 4 2 0 2 3
계면장력 (mN/m) 48.5 51.0 42.1 52.0 50.0 41.0 49.5 51.0 52.0
윤활성 (tonf/m) 560 540 545 530 550 550 510 540 550
오일청정성 (%) 100 90 95 90 100 95 80 90 95
내스컴퇴적성 (g) 9 18 11 10 12 10 16 10 15
입경안정성 (㎛) 1 1 0 0 2 1 1 1 2
고속압연성 1 (m/분) 1800 1950 2000 2000 1950 2000 2000 1900 2000
고속압연성 2 (m/분) 1500 1700 1800 1800 1600 1800 1900 1600 1750
비교예
No. 1 2 3 4 5 6 7 8
윤활유조성(중량%) 성분(a) 광물유 A 시중구입가능한우지계냉간압연유
광물유 B 30 70
모노에스테르 A 59 10
모노에스테르 B
성분(b) 유지 A 10 60
유지 B 60
유지 C 40
성분(c) 복합에스테르 A 20
복합에스테르 B 20 15
복합에스테르 C 20 20
성분(d) 극압제 A 1 1 1 1 1
극압제 B 2
극압제 C
분산제 분산제 A
분산제 B
분산제 C 1 1 1 1
분산제 D 2
다른 첨가제 A: 3C: 1D: 3E:74F:15J: 2 D: 2G:59H: 9I:28J: 2 A: 2C: 2J :4 A: 5B: 1C: 1J: 1 A: 5B: 1C: 1J: 1 A: 5B: 1C: 1E:15J: 1 A: 5B: 1C: 1J: 1
동점도 (mm2·s-1/40℃) 43.0 70.0 45.0 16.4 48.0 54.4 57.0 48.5
동점도 (mm2·s-1/100℃) 8.8 12.8 9.8 5.1 9.2 10.7 11.1 8.0
고압점도 (mPa·s) 104 168 108 38 116 131 137 118
유동점 (℃) 25 0 0 2 12 0 6 0
계면장력 (mN/m) 34.0 33.2 34.0 49.0 52.0 52.0 52.0 52.0
윤활성 (tonf/m) 600 600 645 670 590 650 590 620
오일청정성 (%) 100 80 90 95 100 100 100 100
내스컴퇴적성 (g) 56 28 43 9 25 10 15 9
입경안정성 (㎛) 5 2 6 1 0 0 0 0
고속압연성 1 (m/분) 1500 1700 1500 1500 1600 1600 1650 1500
고속압연성 2 (m/분) 1250 1350 1200 1100 1300 1200 1300 1200
표 1 및 표 2에서 윤활유 조성물 성분으로서 광물유, 모노에스테르, 유지, 복합에스테르 및 다른 첨가제는 다음과 같다.
광물유 A: 파라핀계 광물유 (10mm2/초(40℃))
광물유 B: 파라핀계 광물유 (28mm2/초(40℃))
모노에스테르 A: 2-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모노에스테르 B: 이소데실스테아레이트
유지 A: 정제 팜유 (요오드가: 65, 융점: 8℃)
유지 B: 홍화 기름 (요오드가: 70, 융점: 0℃)
유지 C: 우지 올레인 (요오드가: 60, 융점: 20℃)
복합에스테르 A: 올레산의 폴리머산 (다이머산:트리머 및 고급 폴리머산= 60:40 (중량비))/디에틸렌글리콜/올레일알코올=2/1/2 (몰비)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산가: 8, 히드록실가: 6, 중량평균분자량: 1,800)
복합에스테르 B: 톨유 지방산의 폴리머산 (다이머산:트리머 및 고급 폴리머산= 75:25 (중량비))/펜타에리스리톨/올레산= 1/2/6 (몰비)으로부터 제조 된 에스테르 (산가: 4, 히드록실가: 8, 중량평균분자량= 3,000)
복합에스테르 C: 톨유 지방산의 폴리머산 (다이머산:트리머 및 고급 폴리머산= 90:10 (중량비))/트리메틸올프로판/팜유 지방산= 1/2/4 (몰비)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 (산가: 3, 히드록실가: 6, 중량평균분자량: 1,900)
극압제 A: 트리올레일포스페이트
극압제 B: 모노-2-에틸헥실산포스페이트의 방향족 아민염
극압제 C: 황화라드 (활성형, S%; 10.5%)
다른 첨가제 A: 오일성 향상제 (팜유 지방산)
다른 첨가제 B: 방청제 (헥사데센일숙신산)
다른 첨가제 C: 산화방지제 (페닐-α-나프틸아민)
다른 첨가제 D: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HLB: 12.4)
다른 첨가제 E: 트리메틸올프로판/올레산/스테아르산= 14.4/60.0/25.6 (중량비)으 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 (산가: 5)
다른 첨가제 F: 펜타에리스리톨/올레산/스테아르산= 14.4/60.0/25.6 (중량비)으로 부터 제조된 에스테르 (산가: 5)
다른 첨가제 G: 펜타에리스리톨/(이소스테아르산:올레산:리놀레산= 70:28:2 (중량 비))= 1/3 (몰비)으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
다른 첨가제 H: 세바스산/펜타에리스리톨/(이소스테아르산:올레산:리놀레산= 70:28 :2 (중량비))= 1/2/4 (몰비)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
다른 첨가제 I: 2-에틸헥실알코올/(스테아르산:올레산= 1:1 (중량비))= 1/1 (몰비) 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
다른 첨가제 J: 톨유 지방산의 폴리머산 (다이머산:트리머 및 고급 폴리머산= 7:3 (중량비))
분산제 A: 글리콜산으로 중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도데실메타크릴레이 트/나트륨메타크릴레이트= 3/1/1 (몰비)의 코폴리머 (중량평균 분자 량: 100,000)
분산제 B: 글리콜산으로 중화된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의 호모폴리머 (중 량평균 분자량: 300,000)
분산제 C: 인산으로 중화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나트륨아크릴레이트= 6/1 (몰비)의 코폴리머 (중량평균 분자량: 600,000)
분산제 D: 카프릴산으로 중화된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호모폴리머 (중 량평균 분자량: 30,000)
시중 구입가능한 우지계 압연유용 윤활유: 우지/유화제= 98중량%/2중량%
더욱이, 복합에스테르 및 분산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복합에스테르 (GPC 분자량 분석의 결과를 그대로 표시)
(조건)
컬럼: HS6K (실리카겔 시스템)×2
컬럼 온도: (40℃)
용리액: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검출기: RI (굴절계)
주입량: 3중량% THF 용액, 20μl
용액의 유속: 1.0ml/분
분자량 표준: 폴리스티렌
2) 분산제 (가수분해후 GPC 분자량 분석 및 원래의 분자량에 대한 결과의 환산)
(조건)
컬럼: G2000SW (실리카겔 시스템)×2
컬럼 온도: (40℃)
용리액: 0.1N 염화나트륨 용액/아세토니트릴= 70/30 (중량비)
검출기: RI (굴절계)
주입량: 1중량% 용리액, 20μl
용액의 유속: 0.4ml/분
분자량 표준: 폴리스티렌술폰산나트륨
표 1 및 표 2에 주어진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압연유용 윤활유는 비교 생성물보다 모든 특성이 우수하다. 비교 생성물 1로서 시중 구입가능한 우지계 냉간압연유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는 윤활성, 내스컴퇴적성, 입경 안정성 및 고속 압연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소정의 복합에스테르 및 소정의 고압 점도의 포함으로 연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경질의 물질에 대해서는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고속 압연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질물질에 대한 1,8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또는 1,550m/분 이상의 속도에서 우수한 고속 압연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4)

  1. (a) 광물유 및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모노에스테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5 내지 40중량% 미만;
    (b) 유지 5 내지 70중량%; 및
    (c)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불포화산의 다이머산 및 폴리머산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및 폴리올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잔존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알코올 또는 1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75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복합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이루어지는, 60mm2/초(40℃) 이상의 동점도와 10℃ 이하의 유동점을 갖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b)로서 유지는 10℃ 이하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 인계 극압제 및 황계 극압제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0.5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윤활유 및 적어도 한 수용성 분산제로 이루어지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
  5. 제 4 항에 있어서, 수용성 분산제는 적어도 한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 및 그 염 및 4차 암모늄 염과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함유하지 않은 비닐 모노머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의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중에서 선택된 폴리머인 1,000 내지 1,0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용성 양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및 수용성 양쪽이온성 폴리머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Du Nouy 장력계로 25℃에서 측정한 40mN/m 이상의 계면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
  7. 강판의 냉간압연방법에 있어서, 강의 탄소 함량이 0.11중량% 미만인 연질의 물질의 강판을 1,7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냉간압연기에서 1.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압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16 내지 20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 지방족 불포화산의 다이머산 및 폴리머산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및 폴리올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잔존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는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1가 알코올 또는 1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75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복합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를 윤활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를 사용하고, 윤활유는 60mm2/초(40℃) 이상의 동점도, 10℃ 이하의 유동점 및 다음 수학식 1로 결정된 140mPa·s 이상의 고압점도를 갖고:
    (수학식 1)
    η = ηo· exp (α · P)
    상기식에서 η은 130℃ 및 300MPa에서 윤활유의 고압 점도(단위: mPa·s)를 나타내고, ηo은 130℃ 및 0.1MPa에서 윤활유의 상압 점도(단위: mPa·s)를 나타내고, P는 윤활유에 적용된 압력 300MPa를 나타내고, α는 윤활유의 압력-점도계수(단위: KPa-1×105)를 나타내고 다음 수학식 2로 결정되고:
    (수학식 2)
    α = (0.1657 + 0.2332 · Logηo) · mo
    상기식에서 mo은 온도-점도 계수(단위: K-1)를 나타내고 다음 ASTM-Walther의 방정식에 의해 대기압하에서 두 온도 레벨에서 윤활유의 점도 측정 결과로부터 결정되고:
    Log(Log(ηm+ 0.7)) = -mq· LogT + n
    상기식에서 ηm은 두 온도레벨에서 윤활유의 점도(mm2/초)를 나타내고 T는 온도(K)를 나타내고 n은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강판은 강의 탄소함량이 0.11중량% 이상인 경질의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1,500m/분 이상의 속도에서 압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유지 5 내지 7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윤활유로서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광물유 및 12 내지 2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 내지 12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모노에스테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5 내지 70중량% 미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인계 극압제 및 황계 극압제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 0.5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수분산형 강판 냉간압연유용 윤활유는 적어도 한 수용성 분산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수용성 분산제는 적어도 한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비닐 모노머 및 그 염 및 4차 암모늄 염과 염기성 질소원자 또는 양이온성 질소원자를 함유하지 않은 비닐 모노머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의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중에서 선택된 폴리머인 1,000 내지 1,0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수용성 양이온성 폴리머 화합물 및 수용성 양쪽이온성 폴리머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압연유는 Du Nouy 장력계로 25℃에서 측정할 때 40mN/m 이상의 계면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간압연방법.
KR1019970071205A 1996-12-20 1997-12-20 수분산형강판냉간압연유용윤활유및강판의냉간압연방법 KR100345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185296 1996-12-20
JP96-341852 199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421A true KR19980064421A (ko) 1998-10-07
KR100345222B1 KR100345222B1 (ko) 2002-09-18

Family

ID=1834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205A KR100345222B1 (ko) 1996-12-20 1997-12-20 수분산형강판냉간압연유용윤활유및강판의냉간압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45222B1 (ko)
CN (1) CN109387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03B1 (ko) * 2008-05-14 2010-05-17 주식회사 포스코 스컴 발생을 최소화한 수용성 냉간 압연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2732A2 (en) * 2001-05-15 2002-1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ubricant composition and analysis method for same
JP2004204214A (ja) * 2002-11-08 2004-07-22 Kao Corp 鋼板冷間圧延油
JP4355279B2 (ja) * 2004-11-22 2009-10-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冷間圧延における潤滑油供給方法
WO2010129953A1 (en) * 2009-05-08 2010-11-11 Quaker Chemical Corporation Aqueous solution lubricant for steel cold rolling
CN102260580B (zh) * 2010-05-25 2013-05-29 石家庄新泰特种油有限公司 一种冷轧极薄板轧制油组合物
CN102618375B (zh) * 2012-03-14 2013-09-25 北京科技大学 一种水基乳化型带钢轧制液的制备方法
JP6342003B2 (ja) 2013-12-24 2018-06-13 アルセロールミタル 熱間圧延方法
CN105038926B (zh) * 2015-07-03 2017-07-18 上海尤希路化学工业有限公司 纯阳离子带钢冷轧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07B (zh) * 1986-12-03 1991-09-11 易善坤 装配式漏电电流互感器
EP0282012A3 (en) * 1987-03-09 1989-09-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uperconducting semiconductor device
JP3024141B2 (ja) * 1989-05-19 2000-03-21 東レ株式会社 金属インサート成形用サーモトロピック液晶ポリマ組成物
JPH06108079A (ja) * 1992-09-29 1994-04-19 Nkk Corp ブリキ用冷間圧延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03B1 (ko) * 2008-05-14 2010-05-17 주식회사 포스코 스컴 발생을 최소화한 수용성 냉간 압연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8793A (zh) 1998-07-29
KR100345222B1 (ko) 2002-09-18
CN1093875C (zh)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8736A (e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mechanical working of aluminum and aluminum alloys
JP2972169B2 (ja) 鋼板冷間圧延方法
US4452711A (en) Aqueous metalworking lubricant containing polyoxypropylene-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block copolymers
JP3354024B2 (ja) アルミニウム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低温成形用潤滑剤
KR930010533B1 (ko) 철재류 냉간압연유
KR100345222B1 (ko) 수분산형강판냉간압연유용윤활유및강판의냉간압연방법
GB2115832A (en) Metal rolling oils
KR20040041027A (ko) 강판 냉간압연유
US4767554A (en) Polycarboxylic acid ester drawing and ironing lubricant emulsions and concentrates
JP2008007544A (ja) 極薄鋼板用冷間圧延油組成物
JP3096289B2 (ja) 水分散型鋼板冷間圧延油
JP2779506B2 (ja) アルミニウム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用熱間圧延油組成物
JP3331013B2 (ja) チタン板用冷間圧延油組成物
JP2008037928A (ja) 鋼板冷間圧延油用潤滑油
KR950010600B1 (ko) 방부성 및 유화분산성이 우수한 박판 냉각 압연유
JP5898554B2 (ja) 金属加工用潤滑油組成物
JP4829425B2 (ja) 鋼板用水溶性冷間圧延油
JP2020105450A (ja) アルミニウム用熱間圧延油組成物及びアルミニウムの熱間圧延方法
JP3370873B2 (ja) アルミニウム又は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圧延方法
JPH0221437B2 (ko)
JPH10183158A (ja) アルミニウム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圧延方法
JP3038444B2 (ja) ステンレス鋼用冷間圧延油
WO2021143804A1 (zh) 水溶性金属加工液组合物及其使用方法
JPH01230697A (ja) 金属加工用潤滑剤
JPH083576A (ja) 金属加工用潤滑油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